KR101826523B1 - 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 Google Patents

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523B1
KR101826523B1 KR1020160154806A KR20160154806A KR101826523B1 KR 101826523 B1 KR101826523 B1 KR 101826523B1 KR 1020160154806 A KR1020160154806 A KR 1020160154806A KR 20160154806 A KR20160154806 A KR 20160154806A KR 101826523 B1 KR101826523 B1 KR 10182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ever
safety lever
push
child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동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5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5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05B77/26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hand actuated, e.g. by a lever at the edge of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side handle having a push type child lock function. The inside handle having a push type child loc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ush bar; a guide frame; an elastic force applying portion; and a fixing bracket. The inside handle having a push type child lock function is able to realize a child lock function of a vehicle driver or a protector eve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r a door of the vehicle is in a closed state.

Description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

본 발명은 차량용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terior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일반적으로 차일드 락 장치는 차량의 운행 또는 정지시 유아 또는 어린이가 차량의 문을 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다. 차일드 락을 걸어놓으면 뒷좌석에 어린이가 탑승하는 경우에 아이들이 무심코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더라도 차량의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외부에서는 차량의 문을 열 수가 있다. 해제 상태인 경우는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통해서 도어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평상시 상태이다.Generally, a child lock device is a technique developed to prevent a child or a child from opening the vehicle door when the vehicle is running or stopped. It is designed to prevent children from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even if the child unintentionally pulls the inside handle when the child rests on the child seat when the child is locked. The door of the vehicle can be opened outside the vehicle. In the unlocked state, the door lock device can be released through the inside door hand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일드 락장치의 조작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side han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witch of the child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차량의 도어(5)에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도어(5)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은 인사이드 핸들 레버(1),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1)에 연결된 핸들로드(2), 인사이드 핸들 레버(1)의 일측에 위치되는 세이프티 핸들 레버(3), 세이프티 핸들 레버(3)에 연결되는 세이프티 핸들 로드(4)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 로드(2) 및 세이프티 핸들 로드(4)는 도어(5) 내측 측면에 형성되어 차량 도어를 구속하는 도어 락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1 and 2, the vehicle door 5 is provided with an inside handle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 of the occupant on the vehicle, an inside handle lever 1, A safety handle lever 3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inside handle lever 1 and a safety handle rod 4 connected to the safety handle lever 3. At this time, the handle rod 2 and the safety handle rod 4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5 and connected to a door lock device (not shown) for restraining the vehicle door.

한편, 상기 도어 락 장치에는 차일드 락 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차일드 락장치의 상태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5)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일드 락 장치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 주행 시에는 차내에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1) 및 세이프티 핸들 레버(3)를 당겨도(회전시켜도) 상기 도어 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Meanwhile, the door lock devic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hild lock device. The operation switch 7 for operating the state of the child lock device is formed to be ex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hicle door 5 as shown in FIG. 2 . As described above, such a conventional child lock apparatus can prevent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apparatus from being released even when the inside handle lever 1 and the safety handle lever 3 are pulled (rotated) .

이와 같은 종래의 차일드 락 장치가 구성된 도어 락 장치의 사용은 먼저 어린이를 뒷자석에 탑승시킨 다음 도어(5)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5)의 측면에 설치된 차일드 락 장치의 조작 스위치(7)를 수동으로 잠금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5)를 닫는다, 이때, 도어(5)가 한번 닫히면 도어 락 장치는 잠금 상태가 되어 있어 어린이가 차 실내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 레버(1) 및 세이프티 핸들 레버(3)를 당겨 이동시킬지라도 상기 도어 락 장치의 잠금 상태는 해제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차량의 실내에서는 도어(5)가 열리지 않는다. The use of the door lock device constructed as such a conventional child lock device is carried out by first operating a child lock device operated by a child lock devi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5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door 5 is opened, 7 is manually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door 5 is closed. At this time, if the door 5 is closed once, the door lock device is in a locked state so that the child can move the inside handle lever 1, Even if the handle lever 3 is pulled and moved,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is not released and the locked state is maintained, so that the door 5 is not open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반면, 도어(5)를 개방 및 상기 차일드 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때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차량의 실외에서 뒷자석 문을 열고 상기 도어(5) 측면에 설치된 차일드 락 장치의 조작 스위치(7)를 수동으로 잠금 해제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opening the door 5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child lock apparatus, the driver gets off and opens the rear magnet door outside the vehicle, and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es 7 ) Is manually unlock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일드 락 장치는 도어 락 장치측에 차일드 락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면서 부품의 크기가 커 공간 활용도가 낮고, 상기 차일드 락장치가 작동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차량의 문을 열지 않고는 열리지 않는 단점이 있어 차량의 사고 시 유아나 어린이의 탈출이 불가능하여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hild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hild lock apparatus is additionally constructed on the side of the door lock apparatus, the space utilization is low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components, and when the child lock apparatus is opera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be opened so that infants and children can not escape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leading to large-scale disasters.

또한, 차일드 락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일드 락 장치의 조작 스위치(7)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함에 따라 상당한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종종 운전자가 차일드 락 장치의 작동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in order to operate the child lock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manually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7 of the child lock apparatu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so that considerable troubles have occurred and sometimes the driver forgets to operate the child lock apparatus .

아울러, 차일드 락 조작 장치의 조작 스위치가 차랑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임에 따라, 차량 도어의 수밀성이 저하되어 도어 락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switch of the child lock oper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tightness of the vehicle door is lowered and the durability of the door lock device is lowered.

0001. 한국등록특허 제10-0466086호(등록일: 2005.01.04)000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66086 (Registered on Apr. 1, 200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일드 락을 차량의 인사이드 핸들부에 일체 시키고 부품의 크기를 작게 하여 원가 절감 및 차량 도어 락의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차량이 운전중이거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차량 운전자 또는 보호자의 차일드 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lock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ide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that can implement a child lock function of a driver or a guardian even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or when the door is closed.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은 인사이드 핸들 레버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핸들 로드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일측에 위치되는 세이프티 레버와, 상기 세이프티 레버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세이프티 핸들 로드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편평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이 세이프티 레버를 관통하여 차량 실내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머리부로 구성된 고정편으로 형성되는 푸쉬바; 상기 세이프티 레버의 회전을 위한 회전 기준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푸쉬바의 가이드 홈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푸쉬바의 선형이동 범위 및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푸쉬바의 몸체 단면과 유사한 폭 및 면적으로 세이프티 레버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장부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구조의 지지판과, 일단이 지지판에 접촉하고 타단이 지지판과 마주보는 몸체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가력부; 및 상기 세이프티 레버의 회전반경을 벗어난 지점에 위치되고, 일 측면에는 고정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편의 머리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삽입된 머리부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홈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ide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includes an inside handle lever, a handle rod connecting the inside handle lever and the door lock device, a safety lever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inside handle lever, And a safety handle rod connecting the door lock device to the door lock device. The inside handle includes a body having a flat plate structure and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safety lever to be expos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push bar formed of a fixed piece composed of an extension extending further from the end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width of the body and a head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extension; A guide frame serving as a rotation reference point for rotation of the safety lever and guided by a linear movement range and a movement path of the push bar, A support plate fixed to the safety lever at a width and an area similar to the body section of the push bar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xtension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at the center, A resiliently engaging portion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position out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safety lever and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head portion of the fixing piece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inserted thereinto, A fixing bracket includ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sertion groove for fixing the inserted head portion; And an inner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일드 락 조작을 위해 별도의 도어 개폐의 필요없이 손쉽게 기능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차량이 운행 중일 때에도 차일드 락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function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door opening and closing for a child lock op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hild lock function even when the vehicle is in operation.

도어 락 장치와 같은 도어래치의 구조 변경 없이 인사이드 핸들 구조만 변경함으로써 파워 차일드 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power child lock function can be realized by changing only the inside handle structur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door latch such as the door lock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일드 락장치의 조작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에 의한 차일드 락 기능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side han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witch of the child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an inside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hild lock function by the inside handle having the push type child loc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삭제delete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an inside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은 차량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10)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10)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핸들 로드(20)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세이프티 레버(30)와, 상기 세이프티 레버(30)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세이프티 핸들 로드(40)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레버(30)에 구성되는 푸쉬형 차일드 락 장치를 포함한다.3A and 3B, an inside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ide handle lever 10 installed on a vehicle, a handle rod 10 connecting the inside handle lever 10 and the door lock device, A safety lever 30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inside handle lever 10 and a safety handle rod 40 connecting the safety lever 30 and the door lock device, , And a push-type child lock apparatus constituted in the safety lever (30).

상기 푸쉬형 차일드 락장치는 세이프티 핸들(30)의 회전을 방지하여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으로, 푸쉬바(50), 탄성가력부(60), 가이드 프레임(70) 및 고정브라켓(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sh-type child lock apparatus prevents the door of the vehicle from being opened by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safety handle 30. The push-type child lock apparatus includes a push bar 50, an elastic engaging section 60, a guide frame 70, ).

상기 푸쉬바(50)는 편평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세이프티 레버(60) 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51)와 고정편(52)로 구분 형성된다. 몸체(51)는 일단이 세이프티 레버(60)를 관통하여 외부(차량 실내)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이동방향과 대응되는 몸체(51)의 길이방향 따라 가이드 홀(53)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편(52)은 몸체(51)의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몸체(5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54)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머리부(55)가 형성된다. The push bar 50 is formed in a flat plate structure an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afety lever 60 and is divided into a body 51 and a fixing piece 52. The body 51 is disposed such that one end of the body 51 is exposed through the safety lever 60 to the outside (vehicle interior), and a guide hole 5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51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The fixing piece 52 has an extending portion 54 that extends further from the end of the body 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s to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51 and an extending portion 54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 head portion 55 is formed.

상기 탄성가력부(60)는 상기 푸시바(50)의 이동을 위해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 세이프티 레버(30)에 설치되는 지지판(61)과, 상기 지지판(61) 및 푸쉬바(50)의 몸체(51)에 접촉하는 스프링(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판(61)은 몸체(51)의 단면과 유사한 폭 및 면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로써 세이프티 레버(30)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연장부(54)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때, 스프링(62)은 일단이 지지판(61)에 접촉하고, 타단이 지지판(61)과 마주보는 몸체(51)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62)은 연장부(54)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가력부(60)는 푸쉬바(5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푸쉬바(50)가 고정브라켓(80)으로부터 인출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engaging portion 6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push bar 50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61 mounted on the safety lever 30 and a support plate 61 fixed to the body of the push bar 50 And a spring (62) that contacts the spring (51). Specifically, the support plate 61 is fixed to the safety lever 30 with a plate having a width and an area similar to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51,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xtension portion 54 can pass is formed at the center . At this time, the spring 62 is configured so that one end thereof contacts the support plate 61 and the other end thereof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51 facing the support plate 61. These springs (62) are configured as a pair so as to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extension (54) interposed therebetween. Such an elastic engaging portion 60 can give a sense of operation to the use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ush bar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ush bar 50 is pulled out from the fixed bracket 80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it acts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surface.

상기 가이드 프레임(70)은 세이프티 레버(30)의 회전을 위한 회전 기준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푸쉬바(50)의 이동 범위 및 선형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푸쉬바(50)의 가이드 홀(53)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세이프티 레버(30)가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이 인사이드 핸들 레버(10) 및 도어 프레임 등에 체결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70)은 세이프티 레버(30)의 회전과, 푸쉬바(50)의 선형 이동 가이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frame 70 serves as a rotation reference point for rotation of the safety lever 30 and guides the movement range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push bar 50. The guide frame 70 has a guide hole 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inside handle lever 10 and the door frame so that the safety lever 30 freely rotates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53 through the opening / The guide frame 7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safety lever 30 and the linear movement guide of the push bar 50.

상기 고정브라켓(80)은 상기 푸쉬바(50)의 고정편(52)과 결합되어 고정편(52)을 선택적으로 홀딩되도록 하는 것으로, 세이프티 레버(30)의 회전반경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80)에는 일 측면에는 고정편(5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55)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삽입홈(81)이 형성되고, 삽입홈(81)에는 삽입된 머리부(55)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홈(81)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 돌기(82)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 돌기(82)는 머리부(55)가 삽입된 후, 머리부(55)가 고정 돌기(82)에 걸려 고정편(52)이 삽입홈(81)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홀딩함과 동시에, 푸시바(50)의 인출을 위한 조작 시,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머리부(55)가 고정 돌기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삽입홈(81)을 따라 머리부(55)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8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브라켓(80)은 별도로 제작되어 도어트림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측 도어트림과 함께 사출 성형됨으로써 도어트림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80 is coupled to the fixing piece 52 of the push bar 50 to selectively hold the fixing piece 52 and is formed outsi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safety lever 30. [ The fixing bracket 8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81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head portion 55 so that the fixing member 52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80. In the insertion groove 81, Fixing projections 82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groove 81 are formed to fix the fixing protrusions 55. At this time, after the head part 55 is inserted, the head part 55 of the fixing protrusion 82 is caught by the fixing protrusion 82 to hold the fixing piece 52 from coming out of the insertion groove 81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portion 55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groove 81 so that the head portion 55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rojection por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1 when the push bar 50 is pulled out The inclined surface 83 is formed. The fixing bracket 80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trim,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or trim by injection molding together with the inner door trim.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또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에 의한 차일드 락 기능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hild lock function by the inside handle having the push type child loc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를 참고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10)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10)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핸들 로드(20)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일측에 위치되는 세이프티 레버(30)와, 상기 세이프티 레버(30)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세이프티 핸들 로드(40)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차량 주행 시, 차량 실내에서 세이프티 레버(30)의 조작에 의해 도어 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세이프티 레버(30)를 구속함으로써 차일드 락 장치의 기능 수행된다. 이때, 기존에 차일드 락 기능을 위해 도어 락장치에 구성되어 있던 부품들을 모두 삭제하고, 세이프티 레버(30)에 푸쉬바(50), 탄성가력부(60), 가이드 프레임(70) 및 고정브라켓(80)으로 구성되는 푸쉬형 차일드 락 장치가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A, there is shown an internal handle 10, which is installed in a vehicle, a handle rod 20 which connects the inside handle lever 10 and the door lock device, An internal handle including a safety lever (30) and a safety handle rod (40) connecting the safety lever (30) to a door lock device. The inside handle of the inside handle The function of the child lock apparatus is performed by restricting the safety lever 30 so as not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apparatus. At this tim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oor lock device are removed for the child lock function, and the push lever 50, the elastic force applying portion 60, the guide frame 70, and the fixing bracket 80 is constituted by a push-type child lock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푸쉬형 차일드 락 장치에 의한 차일드 락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탑승자가 아이와 함께 차량에 탑승을 위해 차량 도어를 개방시키는 상태에서는 도 4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이프티 레버(30)가 인사이드 핸들 레버(10)보다 더 회된 상태로써, 인사이드 핸들 레버(10)의 회전을 통해 도어 락 장치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ld lock function by the push-type child lock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a state in which the occupant opens the vehicle door for boarding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child, as shown in FIG. 4A, The door can be opened by releasing the lock by the door lock devic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inside handle lever 10 in a state where the door lock device 10 is further rotated.

이후, 탑승자가 아이와 함께 탑승하여 도어를 닫은 후,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4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이프티 레버(30)가 잠금 위치에 오도록 회전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0)에 조작에 의해 도어 락 장치가 작동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가 된다.When the occupant or the driver rotates the safety lever 30 so that the safety lever 30 is in the locked position as shown by 4b after the occupant boarded the door together with the child and the driver operates the door lock device 10, So that the door is locked so as not to be opened.

이후, 탑승자가 차일드 락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세이프티 레버(30)에 도출 형성된 푸쉬바(50)를 누르게 되면, 도 4c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바(50)는 가이드 홀(53)과 가이드 프레임(70)에 의해 직선 이동되고, 푸쉬바(50)의 고정편(52)이 고정브라켓(80)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80) 측으로 이동되는 고정편(52)은 머리부(55)와 함께 삽입홈(81)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프링(62)이 압축된 상태가 되어 스프링(62)에 의해 푸시바(50)가 이동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push bar 50 formed on the safety lever 30 to actuate the child lock apparatus, the push bar 50 is guided by the guide hole 53 and the guide frame 50 70 and the fixing piece 52 of the push bar 50 is moved toward the fixing bracket 80 side. The fixing piece 52 which is moved toward the fixing bracket 8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81 together with the head 55 and the spring 62 is compressed, A force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member 50 is moved is received.

이때, 스프링(62)에 의해 푸시바(50)가 이동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때, 푸시바(50)는 탑승자 손이 접촉해 있는 상태임에 따라 스프링(62)에 의한 큰 탄성력이 작용되지 않아 온전한 복원력이 부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편(52)이 삽입홈(81)에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되게 되고, 이에 고정편(52)의 머리부(55)가 고정 돌기(82)와 충돌해 빠져나올 정도의 힘이 부가되지 않음에 따라 고정편(52)의 이동이 고정 돌기(82)에 의해 제한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ush bar 50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bar 50 is moved by the spring 62, a larg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62 is applied to the push bar 50 It does not work and does not add full resilience. Therefore, the fixing piece 52 is slowly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iece 5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81, so that the head portion 55 of the fixing piece 52 collides with the fixing protrusion 82 The movement of the fixing piece 52 is restricted by the fixing projections 82. [0053] As shown in Fig.

이렇게 고정편(52)이 고정브라켓(8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세이프티 레버(30)가 회전되지 못함에 따라 차일드 락 기능이 수행된다.In this state where the fixing piece 52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80, the child-lock function is performed as the safety lever 30 can not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ccupant.

한편,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에는 먼저, 푸쉬바(50)를 다시 누른 후 바로 손을 떼게 된다. 이때, 눌려진 푸시바(50)의 고정편(52)은 고정브라켓(80)의 삽입홈(81) 후단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탑승자가 푸쉬바(50)를 누른 후 손을 뗌과 동시에 푸쉬바(50)가 탄성가력부(60)의 스프링(62)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스프링(62)에 의한 탄성력은 고정편(52)이 삽입홈(81)에 삽입된 후 다시 삽입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보다 더 크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부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삽입홈(81)의 후단 방향으로 밀린 고정편(52)의 머리부(55)가 고정 돌기(82)와 큰 힘으로 충돌하게 되고, 충돌과 동시에 고정 돌기(82)를 지나 삽입홈(81)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푸쉬바(5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세이프티 레버(30)가 다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enger gets off the vehicle, the push bar 50 is pressed again, and then his / her hand is released immediately. At this time, the fixed piece 52 of the pressed push bar 5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81 of the fixed bracket 80, the passenger pushes the push bar 50, 50 are forc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spring 62 of the resilient engaging portion 60. 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62 is larger than when the fixing piece 52 is moved in the inserted directio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81. The head portion 55 of the fixing piece 52 pushed in the rear end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81 collides with the fixing protrusion 82 with a large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added in this way, 82 so that the push bar 5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safety lever 30 can be rotated again.

이후 탑승자는 수동으로 세이프티 레버(30)를 회전시킨 후, 인사이드 핸들 레버(10)를 회전시키면 도어 락 장치가 해제되어 내부에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After the passenger manually rotates the safety lever 30 and then rotates the inside handle lever 10, the door lock device is releas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from the ins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의 경우, 세이프티 레버에 형성된 푸쉬바의 조작에 의해 차일드락 기능이 구현 또는 구현 해제됨에 따라 차량의 실내에서도 차일드 락 기능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inside handle having the push-type child-lock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lock function is implemented or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push bar formed on the safety lever, Can be operated.

또한, 도어 락장치와 같은 도어래치의 구조 변경 없이 인사이드 핸들 구조만 변경함으로써 파워 차일드 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로써, 도어래치를 처음 설계할 때부터 고려되지 않으면 차일드 락 기능을 차량에 적용할 수 없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wer child lock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only the inside handle structur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door latch such as the door lock device, the child lock function can not be applied to the vehicle unless the door latch is considered from the initial design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인사이드 핸들 레버 20: 핸들 로드
30: 세이프티 레버 40: 세이프티 핸들 로드
50: 푸쉬바 60: 탄성가력부
70: 가이드 프레임 80: 고정브라켓
10: Inside handle lever 20: Handle rod
30: Safety lever 40: Safety handle rod
50: push bar 60: elastic force part
70: Guide frame 80: Fixing bracket

Claims (3)

인사이드 핸들 레버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핸들 로드와, 상기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일측에 위치되는 세이프티 레버와, 상기 세이프티 레버와 도어 락 장치를 연결하는 세이프티 핸들 로드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편평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이 세이프티 레버를 관통하여 차량 실내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머리부로 구성된 고정편으로 형성되는 푸쉬바;
상기 세이프티 레버의 회전을 위한 회전 기준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푸쉬바의 가이드 홈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푸쉬바의 선형이동 범위 및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푸쉬바의 몸체 단면과 유사한 폭 및 면적으로 세이프티 레버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장부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구조의 지지판과, 일단이 지지판에 접촉하고 타단이 지지판과 마주보는 몸체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가력부; 및
상기 세이프티 레버의 회전반경을 벗어난 지점에 위치되고, 일 측면에는 고정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편의 머리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삽입된 머리부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홈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
A handle lever for connecting the inside handle handle lever and the door lock device; a safety lever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inside handle lever; and a safety handle rod for connecting the safety lever and the door lock device. In the handle,
A body formed of a flat plate structure and having one end penetrated through the safety lever and expos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push bar formed of a fixed piece composed of an extended portion formed to be extended and a head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end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A guide frame serving as a rotation reference point for rotation of the safety lever and guided by a linear movement range and a movement path of the push bar,
A support plate fixed to the safety lever at a width and an area similar to the body section of the push bar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xtension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at the center, A resiliently engaging portion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And
The safety lever is located at a position outsi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safety lever. The one side surface of the safety lever is formed with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head portion of the fixing piece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inserted and drawn out. A fixing bracket composed of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groove for fixing the inserted head part;
And an inner handle having a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지지판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prings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with the through holes being interposed therebetw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삽입홈의 양측 내벽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돌출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머리부의 고정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삽입홈을 따라 머리부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ly symmetrical on both side inner walls of the insertion groove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ad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hea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can be easily fixed and removed. Inside handle with push type child lock function.


KR1020160154806A 2016-11-21 2016-11-21 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KR101826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06A KR101826523B1 (en) 2016-11-21 2016-11-21 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06A KR101826523B1 (en) 2016-11-21 2016-11-21 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523B1 true KR101826523B1 (en) 2018-02-07

Family

ID=6120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806A KR101826523B1 (en) 2016-11-21 2016-11-21 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52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79B1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1836472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KR101827398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CN101292073B (en) Child safety gate assemblies
CN111902595B (en) Vehicle storage device with openable member integrated with push button type actuating mechanism
JP2018071085A (en) Door lock apparatus
KR19990066954A (en) Vehicle door fastener assembly
KR101826523B1 (en) Inside handle with push-type child lock function
KR100683227B1 (en) Locking apparatus of projecting glove box
JP6176715B2 (en) Buckle and seat bel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100872300B1 (en) Locking device of emergency switch door for tail gate
KR100561816B1 (en) Glove box lock mechanism for automobile
KR100946481B1 (en) Outside door handle for vehicles
JP3859401B2 (en) Buckle and seat bel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20100134474A (en) Locking device of glove box
JPH0712162Y2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KR100921090B1 (en) Switching Device of Console Box for an Automobile
KR102291235B1 (en) Inside handles structure of integrated strap handle for vehicle
KR102422970B1 (en) Emergency release device for tail gate
KR100764702B1 (en) Common lever system for pumping and reclining seat
KR20220055242A (en) Emergency release device for tail gate
KR20180060401A (en)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KR101138931B1 (en) A operating switch for the vehicle sunroof
KR0118738Y1 (en) Apparatus for door locking a vehicle
KR101363899B1 (en) Loking device of glov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