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505B1 -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 Google Patents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505B1
KR101826505B1 KR1020160089678A KR20160089678A KR101826505B1 KR 101826505 B1 KR101826505 B1 KR 101826505B1 KR 1020160089678 A KR1020160089678 A KR 1020160089678A KR 20160089678 A KR20160089678 A KR 20160089678A KR 101826505 B1 KR101826505 B1 KR 10182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mart
board
message
arriv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881A (ko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이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이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이트론
Publication of KR2017011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별로 지정된 스마트 토이가 스마트 보드와 연동하여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는, 사용자 별로 지정되는 스마트 토이; 스마트 토이가 이동하는 경로가 다수의 구역들로 구획된 스마트 보드; 및 스마트 토이를 스마트 보드 상의 구역들 중 어느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를 결정하는 이동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스마트 토이는 이동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도착 구역에 위치되었을 때, 내장된 센서로 도착 구역에 표시된 마커를 인식하여 도착 구역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Board game tool using smart toy}
본 발명은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별로 지정된 스마트 토이가 스마트 보드와 연동하여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 게임은 판(보드) 위에서 말이나 카드를 놓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게임으로서, 포커처럼 정해진 숫자의 카드를 통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거나, 블루마블과 같이 일정한 게임 보드를 두고 그 위에 게임 참여자 별로 지정되는 몇 개의 게임 말(playing piece)을 순서로 이동시키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종류의 게임을 모두 포괄한다.
이러한 보드 게임은 게임자가 직접 대면하여 즐기기 때문에 주로 혼자 즐기게 되는 컴퓨터 게임과 다른 색다른 맛을 지니게 된다. 또한 대화를 통한 사교성을 높여주며,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되므로 도덕심을 기반으로 한 협력과 책임감, 인내심 등 사회발달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아동교육이나 노인치료에 이러한 보드 게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드 게임의 소재로서 게임 말과 게임 보드를 이용하는 보드 게임의 경우에는 게임 참여자 또는 게임 말이 수행하여야 하는 지령을 게임 참여자들이 공유하고 볼 수 있도록 게임 보드 상에 미리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자신이 향후 수행할지도 모르는 지령들이 한번에 다 보여 기대감이 낮아지므로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게임 트랙 상의 하나의 구역 마다 하나의 지령만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 참여자의 게임 진행이 횟수를 거듭할수록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6297호 '독립운동 보드게임 세트'(2010.10.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참여자 또는 게임 말이 수행하여야 하는 지령 메시지를 사용자의 음성, 영상 또는 동작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컨텐츠를 음성 또는 시각으로 즐길 수 있게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를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말의 이동 위치에 따라 게임 참여자 또는 게임 말이 수행하여야 하는 지령 메시지가 항상 고정되지 않고, 게임이 진행될 때마다 다양하게 변화함으로써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동기 및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를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보드와 연동하여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는, 사용자 별로 지정되는 스마트 토이; 상기 스마트 토이가 이동하는 경로가 다수의 구역들로 구획된 스마트 보드; 및 상기 스마트 토이를 상기 스마트 보드 상의 구역들 중 어느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를 결정하는 이동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이동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도착 구역에 위치되었을 때, 내장된 센서로 상기 도착 구역에 표시된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도착 구역에 상응하는 게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도착 구역에 할당된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와 연동하여 게임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도착 구역에 할당된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토이는 이전 도착 구역에서 출력한 게임 메시지에 따라 상기 도착 구역에 할당된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토이는 이전 도착 구역에서 출력한 게임 메시지에 따라 상기 도착 구역에 할당된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중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게임 메시지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토이는 OID(Optical Identification Device)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 보드 상의 도착 구역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여 상기 도착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게임 메시지를 음성, 영상 또는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토이는 스마트 보드 별로 결정되는 게임 메시지를 무선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보드는 상기 도착 구역에 상기 스마트 토이가 위치하였을 때, 음성 또는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게임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보드는 상기 다수의 구역들의 각 구역 별로 표시되는 마커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보드는 상기 다수의 구역들 중 2 이상의 구역에 표시된 마커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결정 수단은 주사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참여자 또는 게임 말이 수행하여야 하는 지령 메시지를 사용자의 음성, 영상 또는 동작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컨텐츠를 음성 또는 시각으로 즐길 수 있게 하여 그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말의 이동 위치에 따라 게임 참여자 또는 게임 말이 수행하여야 하는 지령 메시지가 항상 고정되지 않고, 게임이 진행될 때마다 다양하게 변화함으로써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동기 및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토이가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토이가 스마트 보드 별 게임 메시지를 무선 업데이트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 도구(10)는, 스마트 토이(100), 스마트 보드(200), 이동 결정 수단(300) 및 게임 카드(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스마트 토이(100, 100a, 100b)는 캐릭터가 형상화된 게임 말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 별로 지정된다. 사용자의 차례마다 각각의 스마트토이(100, 100a, 100b)는 이동 결정 수단(300) 조작에 따라 랜덤하게 결정되는 숫자 만큼 스마트 보드(200) 상에 표시된 게임경로(game track)인 다수의 구역들(200a, 200b, 200c, …, 200n)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게임이 진행된다.
스마트 보드(200)는 상기 스마트 토이(100)가 이동하는 경로가 다수의 구역들(200a, 200b, 200c, …, 200n)로 구획되어 있는 일종의 게임판이다. 스마트 보드(200)의 각각의 구역들(200a, 200b, 200c, …, 200n)은, 스마트 토이(100)가 도착하는 경우, 스마트 토이(100) 또는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지령을 내리거나, 게임 카드(400)를 획득 또는 반납하도록 하는 게임 메시지들이 지정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토이(100) 또는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지령을 내리는 게임 메시지의 경우에는 '장기자랑 하기', '1 턴 쉬기', '상대편과 위치 바꾸기' 등과 같은 게임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고, 게임 카드(400)를 획득 또는 반납하도록 하는 게임 메시지는 '게임 카드 2장 획득', '게임 카드 2장 반납' 등과 같은 게임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메시지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토이(100)가 특정 구역에 도착하여 내장된 센서를 통해 전자 마커(electronic marker)를 인식하면, 해당 구역에 상응하는 여러 게임 메시지들 중 하나의 게임 메시지로 선택되어 출력된다.
이동 결정 수단(300)은 스마트 토이(100)를 스마트 보드(200) 상의 구역들(200a, 200b, 200c, …, 200n) 중 어느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이동 결정 수단(300)은 주사위와 같이 스마트 토이(100)가 이동할 구역의 갯수를 랜덤하게 결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반드시 주사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림판 등의 다양한 공지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결정 수단(300)이 2개의 주사위인 경우, 사용자가 2개의 주사위를 굴려서 랜덤하게 결정되는 2 내지 12의 숫자들 중 어느 하나의 숫자 만큼 스마트 토이(100)가 이동방향의 다음 도착 구역으로 이동한다. 즉, 2개의 주사위를 굴려서 결정된 숫자가 '4'에 해당하는 경우, 스마트 토이(100)가 현재 위치하는 구역에서 이동방향으로 4번째 순서에 위치하는 구역을 다음 도착 구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토이(100)의 다음 도착 구역으로의 이동은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킬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스마트 토이(100)가 이동 결정 수단(300)과의 근거리 통신으로 랜덤하게 결정된 숫자를 인식하여 다음 도착 구역으로 자동 주행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게임 카드(400)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카드로서, 한 벌의 카드로 구성된다. 게임 카드(400)는 각 카드마다 해당 카드를 획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획득하게 되는 점수가 표시되어 있고, 스마트 토이(100)가 특정한 구역에 도착함에 따라 출력되는 게임 메시지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 카드(400)를 획득하거나 반납하게 된다. 게임 카드(400)에 표시되는 점수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거나, 2장 이상의 게임 카드에 동일한 점수가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의 규칙은 2명 이상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토이(100)를 선택한 후, 교대로 이동 결정 수단(300)을 조작하여 스마트 토이(100)를 스마트 보드(200) 상에 표시되어 있는 순차적인 구역들(200a, 200b, 200c, …, 200n)에서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특정한 시작 구역(시작점)에 N회(예를 들어, 3회) 도착 또는 통과하게 되면 보드 게임이 종료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 토이(100)가 특정한 시작 구역을 N회 통과하면서 게임 메시지에 따라 획득한 게임 카드(400)의 점수를 합산하여 게임의 승패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토이(100)가 이동 결정 수단(300)으로 결정된 구역에 도착하여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별로 이동 결정 수단(300)을 조작하여 랜덤하게 결정된 숫자에 따라, 스마트 토이(100)가 보드 상의 구역들(200a, 200b, 200c, …, 200n) 중 특정한 구역(200k, 이하 '도착 구역'이라 함)으로 이동하여 위치는 경우, 스마트 토이(100)에 내장된 센서(110)가 해당 도착 구역(200k) 상에 표시되어 있는 마커(210k)를 인식한다. 이때, 스마트 보드(200) 상의 다수의 구역들(200a, 200b, 200c, …, 200n)의 각 구역 별로 표시되어 있는 마커는 서로 상이하거나, 2 이상의 구역에 표시된 마커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스마트 토이(100)가 마커(210k)를 인식하는 센서(110)로는 OID(Optical Identification Device)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마트 토이(100)는 도착 구역(200k)의 마커(210k)를 터치하였을 때, OID 센서(110)의 렌즈로 마커(210k)를 스캔하여 마커(210k)에 인쇄된 닷코드(Dot Code)를 읽어 드리고, 읽어드린 닷코드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마이컴(미도시)에서 해당 도착 구역(200k)을 식별한다. 그리고, 스마트 토이(100)는 별도의 저장 공간(메모리)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구역(200a, 200b, 200c, …, 200n) 별 게임 메시지 정보에서 해당 도착 구역(200k)에 상응하는 게임 메시지를 출력 수단(1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스마트 토이(100)가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130)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해당 게임 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특정한 동작으로 움직여 게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의 음성, 영상 또는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조합하여 게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토이(100)가 출력하게 되는 도착 구역(200k)에 상응하는 게임 메시지는 해당 도착 구역(200k)에 미리 할당되는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로서, 스마트 토이(100)는 이들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마트 토이(100)가 도착 구역(200k)에 도착 시 해당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아닌, 스마트 보드(100)가 도착 구역(200k)에 위치한 스마트 토이(100)를 인식하여 내장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해당 게임 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토이(100)가 도착 구역(200k)에 위치(도착)하면 마커를 인식하여 도착 구역(200k)을 식별하고, 도착 구역(200k)에 대해 미리 할당되어 저장된 게임 메시지들(211k, 213k, 215k, …, 231k, 233k, 235k, … )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랜덤하게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토이(100)는 이전에 도착했었던 구역(200i, 이하 '이전 도착 구역'이라 함)에서 출력한 게임 메시지에 따라 도착 구역(200i)에서 출력하게 되는 게임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 토이(100)가 이전 도착 구역(200i)에서 할당된 '메시지 A'(211i), '메시지 B'(213i), '메시지 C'(215i) 중 '메시지 A'(211i)를 게임 메시지로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한 경우, 다음 도착 구역(200k)에서는 할당된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중 이전에 출력한 '메시지 A'(211i)와 스토리가 연관되는 게임 메시지 그룹(210k)인 '메시지 A-1'(211k), '메시지 A-2'(213k), '메시지 A-3'(215k)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예를 들어, '메시지 A-1'(211k)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스마트 토이(100)가 이전 도착 구역(200i)에서 할당된 '메시지 A'(211i), '메시지 B'(213i), '메시지 C'(215i) 중 '메시지 B'(213i)를 게임 메시지로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한 경우, 다음 도착 구역(200k)에서는 할당된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 중 이전에 출력한 '메시지 B'(213i)와 스토리가 연관되는 게임 메시지 그룹(230k)인 '메시지 B-1'(231k), '메시지 B-2'(233k), '메시지 B-3'(235k)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예를 들어, '메시지 B-2'(233k)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토이(100)가 출력하는 일련의 게임 메시지들은 시간적 순서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토이(100)가 도착 구역(200i)에 도착하여 출력한 게임 메시지가 '게임 카드 2장 획득'이어서 사용자가 2장의 게임 카드(400)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 도착 구역(200k)에서 출력되는 게임 메시지는 이전 게임 메시지인 '게임 카드 2장 획득'과 연관되는 게임 메시지인 '이전에 획득한 게임 카드 2장 반납'이라는 게임 메시지가 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바로 이전에 획득하였던 2장의 게임 카드(400)를 바로 반납시키도록 하는 상호 유기적인 지령이 내려질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보드 게임 진행 과정에서 느끼는 흥미와 몰입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토이(100)가 스마트 보드(200) 별 게임 메시지를 무선 업데이트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100)는 내장된 통신 모듈(150)을 통해 외부의 서버(5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스마트 보드(200) 별로 결정되는 게임 메시지를 무선 업데이트한다. 즉, 스마트 보드(200)가 새롭게 추가되는 경우에 있어서, 스마트 토이(100)는 서버(500)에 접속하여 새롭게 추가된 스마트 보드(200)의 스토리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게임 메시지(컨덴츠) 및 펌웨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500)로부터 업데이트된 게임 메시지 및 펌웨어를 무선 다운로드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스마트 토이
200 : 스마트 보드
300 : 이동 결정 수단
400 : 게임 카드
500 : 서버

Claims (12)

  1. 사용자 별로 지정되는 스마트 토이;
    상기 스마트 토이가 이동하는 경로가 다수의 구역들로 구획된 스마트 보드; 및
    상기 스마트 토이를 상기 스마트 보드 상의 구역들 중 어느 하나의 구역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를 결정하는 이동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이동 결정 수단으로 결정된 도착 구역에 위치되었을 때, 내장된 센서로 상기 도착 구역에 표시된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도착 구역에 상응하는 게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도착 구역에는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이 할당되고, 상기 도착 구역에 할당되는 다수의 게임 메시지들은 이전 도착 구역에 할당된 게임 메시지들 각각과 연관되는 2 이상의 게임 메시지들로 구성되는 게임 메시지 그룹들로 구분되며,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도착 구역에 위치되었을 때, 이전 도착 구역에서 출력한 게임 메시지에 따라 상기 게임 메시지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게임 메시지 그룹이 결정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게임 메시지 그룹 내에 속하는 2 이상의 게임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게임 메시지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토이는 OID(Optical Identification Device)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 보드 상의 도착 구역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여 상기 도착 구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게임 메시지를 음성, 영상 또는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토이는 스마트 보드 별로 결정되는 게임 메시지를 무선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드는 상기 도착 구역에 상기 스마트 토이가 위치하였을 때, 음성 또는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게임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드는 상기 다수의 구역들의 각 구역 별로 표시되는 마커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드는 상기 다수의 구역들 중 2 이상의 구역에 표시된 마커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결정 수단은 주사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KR1020160089678A 2016-04-01 2016-07-15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KR101826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052 2016-04-01
KR20160040052 2016-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81A KR20170112881A (ko) 2017-10-12
KR101826505B1 true KR101826505B1 (ko) 2018-02-08

Family

ID=6014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678A KR101826505B1 (ko) 2016-04-01 2016-07-15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84B1 (ko) * 2018-04-27 2019-05-08 주식회사 로봇앤모어 캐릭터 로봇 및 캐릭터 건물을 이용한 보드 게임 시스템
KR101985369B1 (ko) * 2018-11-21 2019-09-03 진영매 수학 학습 보드 게임
KR102191841B1 (ko) * 2018-12-06 2020-12-17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미션을 수행하는 교육용 로봇
KR102164189B1 (ko) * 2019-02-14 2020-10-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식별코드 기반 정보갱신이 가능한 보드게임 세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7184A (ja) * 2011-09-30 2013-04-25 Media Factory:Kk キャラクタ再生装置及びキャラクタ再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7184A (ja) * 2011-09-30 2013-04-25 Media Factory:Kk キャラクタ再生装置及びキャラクタ再生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81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505B1 (ko)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보드 게임 도구
KR101708866B1 (ko) 완구, 그를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701898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rt game match-up mode together with virtual player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30116048A1 (en) Multi-media interactive play system
JP2009011838A (ja)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US20160290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rt game match-up mod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EP3735305B1 (en) Interactive component for an amusement park
US20220090884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providing event effect
KR102164189B1 (ko) 식별코드 기반 정보갱신이 가능한 보드게임 세트
EP3473970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display unit
JP2019098117A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EP3473971B9 (en) Dart gam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esson image
KR20150008213A (ko) 직업 메모리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EP3473972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JP202017918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19130652A1 (ja) ゲーム機、ゲーム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20221254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an Image Projector
JP2020044203A (ja) ゲーム玩具、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50273321A1 (en) Interactive Module
WO2019187605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258923B2 (ja) プログラム
JP6692883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2002915B1 (ko) 학습용 게임 장치 및 방법
WO2022113330A1 (ja) 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230080162A (ko) 놀이시설용 태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그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