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335B1 - 소방용 대피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335B1
KR101826335B1 KR1020160099912A KR20160099912A KR101826335B1 KR 101826335 B1 KR101826335 B1 KR 101826335B1 KR 1020160099912 A KR1020160099912 A KR 1020160099912A KR 20160099912 A KR20160099912 A KR 20160099912A KR 101826335 B1 KR101826335 B1 KR 10182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ooling water
fire
spir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6009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1/00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층건물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복층 건축물 내에 위치한 대피객들이 옥외로 신속히 대피하도록 하는 것으로, 옥외로 활강하여 대피과정에 화상이나 화염에 의한 질식을 방지함으로써, 대피객들의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소방용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용 대피장치{Evacuation apparatus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층건물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복층 건축물 내에 위치한 대피객들이 옥외로 신속히 대피하도록 하는 것으로, 옥외로 활강하여 대피과정에 화상이나 화염에 의한 질식을 방지함으로써, 대피객들의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소방용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건물에는 화재 등의 긴급상황 시에 대피객들이 옥외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계단이 시설되어,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되면 대피객들은 비상계단을 통해 옥외로 대피하게 된다.
그런데, 평상시에 비상계단을 이용하더라도 대피객 개개인들이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진 상태에서 질서있는 행동이 가능하지만, 화재나 긴급상황이 발생될 경우 마음이 급해져 복층 건축물 내에 입주한 대피객들이 일시에 비상계단으로 몰려 들게 되고 또 서로 먼저 나가기 위해 앞다투는 과정에서 압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 질서 유지를 통한 옥외로의 대피가 어렵다.
특히,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될 때에는 비상계단을 통해 화염이 확산되고, 이러한 경우 비상계단을 통한 옥외로의 탈출이 어렵고, 또 비상계단은 대피객들이 일일히 계단을 딪으면서 옥외로 탈출하여야 하므로 고층의 경우 체력 소비가 심하여 대피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러한 문제점은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노약자들에게 더욱 심화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비상탈출을 목적으로 한 완강기는 한사람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튜브형으로 제작되어 그 상단을 창틀에 고정시키되 하단을 지면에 닿게 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실질적으로 완강기의 장착에 따른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고, 또 사용법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여 대피객들이 이를 제대로 활용하거나, 고층의 경우에는 이를 적용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 실1998-017918호(건물용 비상탈출 구조물)와, 공개실용신안공보 2000-0003885호(빌딩 비상 대피 장치), 등록 실용실안공보 제 20-0344310호(건물의 비상탈출장치)에서는, 나선의 활강 사면을 미끄러지면서 옥외로 활강하여 대피하도록 한 비상 탈출용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비상 탈출용 장치를 통해 복층 건축물 내에 위치한 대피객들의 대피를 도모하면, 대피객들은 단순히 활강 사면을 진입하여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옥외로 대피하게 되므로, 복수의 대피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특히 대피과정에 체력의 소모가 최소화되어 노약자나 환자로 손쉽게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비상 탈출용 장치는 그 특성상 외부에 노출된 관계로 햇빛 등에 의해 고온으로 상시 가열되고, 특히 화재에 의한 화기에 의해 가열되어서, 대피객의 대피과정에 화상 위험이 존재하고, 특히 고온으로 가열되어 대피 자체가 어려운 한계성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복층 건축물에서 확산된 화염에 의해 대피과정에 유독가스의 흡입에 따른 대피객의 2차적인 안전사고의 발생이 야기될 수도 있다.
KR 20-2000-0003885 U KR 20-1998-017918 U KR 20-0344310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의 활강사면을 따라 대피객들이 옥외로 대피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햇빛과 화기에 의한 이상 가열을 방지하고, 또 대피과정에 화염의 흡입을 최소화시켜, 대피과정에 발생되는 2차적인 안전사고의 예방하면서 복수의 대피객들이 신속하게 옥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대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대피장치는,
건축물의 옥외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외측에 대피객의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나선 활강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관통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활강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활강관체들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가 연통되게 형성되어서,
화재 발생시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각 활강관체에는 급수부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가 순환하여 배출되고, 상기 활강관체는 순환하여 배출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냉각되어, 복수의 활강관체로 이루어진 나선 활강 사면부를 통한 대피객의 대피과정에 가열된 활강관체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부는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는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급수부를 구동시켜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각 활강관체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는,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급수부를 통해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활강관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가열된 활강관체의 냉각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의 상부에는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배시켜 각 활강관체에 공급하는 급수 매니폴더가 배치되어, 각 활강관체는 급수 매니폴더를 통해 냉각수를 분배하여 공급하여서 하부로 자중 낙하하면서, 활강관체의 냉각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는 급수조에 저장된 냉각수를 펌핑하여 급수관을 통해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활강관체의 상부로 강제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의 하부에는 활강관체를 순환하여 배출되는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 매니폴더가 배치되고, 상기 집수 매니폴더에 집수된 냉각수는 급수부의 급수조로 회수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급수부는 활강관체를 순환한 냉각수를 활강관체로 재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대피장치는 건축물의 외측에 배치되어 나선 활강 사면부를 형성하여, 나선 활강 사면부를 통해 건축물의 각 층에 위치한 대피객들이 미끄러지면서 옥외로 대피하도록 구성되어, 많은 대피객들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고, 또 대피과정에 많은 시간과 체력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노약자나 환자도 신속하게 옥외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급수부를 부가하여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활강관체에 냉각수를 공급 및 순환시켜서, 태양광이나 화기에 의해 활강관체가 이상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선 활강 사면부를 통한 대피과정에 대피객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는 상시 구동되지 아니하고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와 연계하여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활강관체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또 활강관체를 순환한 냉각수는 급수부에 회수되어 활강관체에 재순환하므로, 한정된 용량의 냉각수를 통해 지속적인 활강관체의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대, 또는 나선 활강 사면부에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를 미끄러지면서 옥외로 대피하는 대피객들은 활강 사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 화염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유독가스의 흡입하는 현상이 최소화되고, 또 나선 활강 사면부의 표면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마찰이 저감된 상태로 하부로 미끌림하여 옥외로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소방용 대피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소방용 대피 장치를 건축물의 외측에 시공한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도 2와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 및 'C'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소방용 대피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소방용 대피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소방용 대피 장치를 건축물의 외측에 시공한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도 2와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 및 'C'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소방용 대피장치(1)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층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복층 병원 등 복층 건축물의 외측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복층 건축물(100)의 각 층에 형성된 대피구(110)를 통해 대피한 대피객들이 옥외로 보다 신속히 대피하도록 하는 소방용 대피수단이다.
상기 소방용 대피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층 건축물의 외측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지지되어 대피객의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에는, 도 2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층의 대피구(110)와 연통하는 진입로(20a)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 등 복층 건축물(100) 내 긴급상황의 발생시, 각 층에 위치한 대피객들은 대피구(110)와 연통하는 진입로(20a)를 통해 나선 활강 사면부(20)로 진입하여서,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표면을 미끄럼하여 옥외로 대피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대피장치(1)를 복층 건축물의 외측에 배치하면, 대피객들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고,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서 화염에 의한 대피객들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소방용 대피장치(1)는 그 특성상 복층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옥외형으로 구성되는 관계로, 태양광에 상시 노출되고, 또 화재가 발생된 복층 건축물에 인접되게 위치하므로, 강한 태양광과 고온의 화기와 화염에 의해 쉽게 가열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대피객의 대피를 방해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기도 하고 또 대피과정에 대피객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표면에 도 6b와 같이 방연성 내지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층(21)을 형성하여, 상기 화재시 발생된 화기에 의해 나선의 활강 사면부(20)가 고온으로 가열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피객들이 미끄럼하여 지면으로 대피하는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직접적으로 냉각하는 냉각구조를 부가하여, 화재 발생시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직접적인 냉각을 도모하여서 태양광이나 화기에 의한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고온 가열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냉각을 도모하면, 이를 미끄럼하여 대피하는 대피객들이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통해 대피하는 과정에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 즉 화상이나 화염에 의한 질식사고 등이 예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복수의 활강관체(22)로 구성하고, 부가된 급수부(30)를 통해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구성하는 각 활강관체(22)에 냉각수를 공급 및 순환시켜서, 순환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신속한 냉각이 도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활강관체(22)는 우수한 강도와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도 1과 같이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구성하는 활강관체(22)들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30)가 연통되어서, 상기 급수부(30)는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40)는 복층 건축물의 각 층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미도시)나 상황실(미도시)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화제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급수부(30)를 구동시켜 활강관체(22) 내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건축물 내 화재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한 평상시에는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40)는 급수부(30)의 구동을 정지시켜, 냉각수의 순환을 통한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냉각을 도모하지 아니한다.
그런데, 건축물에 화재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되어 상황실이나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신호가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40)에 수신되면,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40)는 급수부(30)를 구동시켜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구성하는 각 활강관체(22)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상기 활강관체(22) 내로 공급된 냉각수는 활강관체(22)의 중공부를 따라 순환하여 배출되면서 활강관체(22)의 냉각을 도모한다.
이때, 상기 냉각수가 순환하여 배출되는 활강관체(22)의 중공부 내에는 확산부재(23)가 배치되어, 중공부를 통해 순환하는 냉각수는 확산부재(22)에 의해 활강관체(22)의 내벽으로 확산되어서, 가열된 활강관체(22)의 보다 신속한 냉각을 도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부재는 강구나, 판상체 등으로 이루어져, 중공부를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를 간섭시켜 활강관체(22)의 내벽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활강관체(22) 내에 확산부재(23)를 배치하면, 적은 수량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면서, 냉각수와 활강관체(22) 사이의 안정된 열교환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불필요한 냉각수의 순환을 방지하고, 또 화재 등의 긴급상황의 발생시에는 활강관체의 신속한 냉각을 도모하여 태양광과 화기에 의해 활강관체(22)가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른 대피객들의 안전사고의 예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급수부(30)는 복층 건축물 내부나, 외부에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급수관을 통해 냉각수(소방용수)를 공급하는 범용의 소화전(미도시)이나, 냉각수(소방용수)를 싣고 다니면서 급수관을 통해 냉각수(소방용수)를 공급하는 범용의 소방용 급수차량(미도시) 등이 활용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전용의 급수부(30)를 배치하여 냉각수의 안정적인 순환 공급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들 급수부로 채택 가능한 소방용 급수차량이나 소화전, 또는 전용의 급수부는 활강관체에 단독으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도 있고, 상호 병행하여 활강관체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를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용의 급수부(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각수를 저정하는 급수조(34)와, 상기 급수조(34)에 저장된 냉각수를 급수관(31)을 통해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각 활강관체(22) 내로 강제 공급하는 급수펌프(3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상부에 급수관(31)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배시켜 각 활강관체(22)에 공급하는 급수 매니폴더(32)를 배치하여, 상기 각 활강관체(22)는 급수 매니폴더(32)를 통해 급수조(34)으로부터 분배받은 냉각수를 하부로 자중 순환시키면서 냉각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하부에는 활강관체(22)를 순환한 냉각수를 회수하는 집수 매니폴더(33)가 배치되고, 상기 집수 매니폴더(33)에 집수된 냉각수는 회수관(38)을 통해 급수조(34)에 회수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급수펌프(37)는 급수조(34)에 저장된 냉각수를 활강관체(22)에 공급하고, 또 활강관체(22)를 순환한 냉각수를 급수조(34)에 회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활강관체(22)의 냉각에 따른 냉각수의 사용량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30)에는 활강관체(22)를 순환한 냉각수의 냉각을 도모하는 냉각기(35)와, 냉각수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기(36)를 부가하여 형성되어, 상기 급수조(34)에는 여과 및 냉각된 냉각수가 회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각 활강관체(22)를 순환하여 집수 매니폴더(33)를 통해 회수된 냉각수는 냉각기(35)를 통과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고, 또 여과기(36)를 통과하면서 잔류된 이물질의 여과가 이루어져 급수조(34)에는 항시 냉각되고, 이물질들이 여과되어진 냉각수만이 충입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대피장치(1)는 화재 발생시 냉각 및 여과된 냉각수를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구성하는 각 활강관체(22)에 공급하여서 활강관체(22)의 냉각을 도모하고, 또 냉각을 마친 냉각수의 냉각과 여과한 다음 활강관체(22)에 재순환시켜서, 최소의 냉각수의 사용하면서도 활강관체(22)의 안정적인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부(30)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나선 활강 사면부(20)에 냉각수를 분무하여 분무된 냉각수 입자에 의해 나선 활강 사면부(20)로 유입되어진 화염의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고, 나선 활강 사면부(20) 내에 잔류된 열기를 냉각하는 한편,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표면에 냉각수로 이루어진 수분층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과 나선 활강 사면부(20)가 형성된 지지대의 각 지점 및 나선 활강 사면부(20)에 분사노즐(50)을 각각 배치하여서, 분사노즐(50)을 통해 급수부(30)에서 공급되는 나선 활강 사면부(20)에 냉각수 입자들이 분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미끄러지면서 옥외로 대피하는 대피객들은 나선 활강 사면부(20)를 통과하는 과정에 화염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유독가스의 흡입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20)의 표면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마찰이 저감된 상태로 하부로 미끌림하여 옥외로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1. 소방용 대피장치
10. 지지대
20. 나선 활강 사면부 20a. 진입로
21. 방열층 22. 활강관체
23. 확산부재
30. 급수부 31. 급수관
32. 급수 매니폴더 33. 집수 매니폴더
34. 급수조 35. 냉각기
36. 여과기 37. 급수펌프
40.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 50. 분사노즐

Claims (4)

  1. 건축물의 옥외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외측에 대피객의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나선 활강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관통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활강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활강관체들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가 연통되게 형성되어서,
    화재 발생시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각 활강관체에는 급수부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가 순환하여 배출되고, 상기 활강관체는 순환하여 배출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냉각되어, 복수의 활강관체로 이루어진 나선 활강 사면부를 통한 대피객의 대피과정에 가열된 활강관체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예방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급수부는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는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급수부를 구동시켜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각 활강관체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재신호 수신 제어부는,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급수부를 통해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활강관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가열된 활강관체의 냉각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대피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복층 건축물 내부나 외부에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급수관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는 소화전이나, 냉각수를 싣고 다니면서 급수관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는 소방용 급수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대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급수조에 저장된 냉각수를 펌핑하여 급수관을 통해 나선 활강 사면부를 구성하는 활강관체의 상부로 강제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20160099912A 2016-08-05 2016-08-05 소방용 대피장치 KR10182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12A KR101826335B1 (ko) 2016-08-05 2016-08-05 소방용 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12A KR101826335B1 (ko) 2016-08-05 2016-08-05 소방용 대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335B1 true KR101826335B1 (ko) 2018-02-06

Family

ID=6122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912A KR101826335B1 (ko) 2016-08-05 2016-08-05 소방용 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3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700B1 (ko) * 2018-12-03 2019-06-25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나선형 미끄럼틀 시공방법
KR101997696B1 (ko) * 2018-07-12 2019-07-09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1970146B1 (ko) * 2018-12-03 2019-08-23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078719B1 (ko) * 2018-09-21 2020-02-18 주식회사 에프디솔루션 비상 탈출용 미끄럼틀
KR102115319B1 (ko) * 2019-03-29 2020-05-26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설치가 용이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CN113144448A (zh) * 2021-04-22 2021-07-23 贵州八六三科技有限公司 一种居家阻燃抗复燃逃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105B2 (ja) * 1992-08-19 2000-02-28 ロデー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分子微小エレメントを含む高分子基材
KR200322827Y1 (ko) 2003-05-09 2003-08-14 리엔-쯔 쯔사이 나선식 피난용 미끄럼대의 구조
JP2004267594A (ja) * 2003-03-11 2004-09-30 Mitsuhiro Arikawa 遊戯器具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105B2 (ja) * 1992-08-19 2000-02-28 ロデー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分子微小エレメントを含む高分子基材
JP2004267594A (ja) * 2003-03-11 2004-09-30 Mitsuhiro Arikawa 遊戯器具構造
KR200322827Y1 (ko) 2003-05-09 2003-08-14 리엔-쯔 쯔사이 나선식 피난용 미끄럼대의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96B1 (ko) * 2018-07-12 2019-07-09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078719B1 (ko) * 2018-09-21 2020-02-18 주식회사 에프디솔루션 비상 탈출용 미끄럼틀
KR101992700B1 (ko) * 2018-12-03 2019-06-25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나선형 미끄럼틀 시공방법
KR101970146B1 (ko) * 2018-12-03 2019-08-23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115319B1 (ko) * 2019-03-29 2020-05-26 주식회사 모든티앤에스 설치가 용이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CN113144448A (zh) * 2021-04-22 2021-07-23 贵州八六三科技有限公司 一种居家阻燃抗复燃逃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335B1 (ko) 소방용 대피장치
US20060144639A1 (en) Building escape railing system
KR101997696B1 (ko)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GB2285816A (en) Emergency evacuation structure for multi-storied buildings
CN209679380U (zh) 一种建筑整体消防安全智能系统
KR20200110872A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CN109550179A (zh) 一种建筑整体消防安全智能系统
KR102078719B1 (ko) 비상 탈출용 미끄럼틀
CN207462490U (zh) 一种高层建筑消防救助装置
CN109972728A (zh) 一种消防通道系统
CN209848198U (zh) 一种消防救生扶手
CN207934390U (zh) 逃生通道及楼房
WO2020252809A1 (zh) 一种多层建筑应急救援滑降梯
US20050121257A1 (en) Survival tower
RU2690805C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Poon Tall Building Evacuation Strategy—The Refuge Floor Concept Revisited
Razon et al. A study on fire safety and security at kitchen in apartment buildings
US5740885A (en) Fireproof water-cooled escape cable and method
Tsui et al. Possibility of applying a performance-based approach for designing means of escape in a public transport interchange
Pang et al. Fire safety concerns on existing supertall buildings and proposed upgrading in Hong Kong
CN112096166B (zh) 提升交通建筑配套地下商业设施防火安全性能的设计方法
KR102046813B1 (ko) 화염 차폐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JP2519552B2 (ja) 高層ビル用避難用タワ―
CN217015103U (zh) 一种基于空调外机平台的逃生通道
KR20190022229A (ko)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