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083B1 -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083B1
KR101824083B1 KR1020160088719A KR20160088719A KR101824083B1 KR 101824083 B1 KR101824083 B1 KR 101824083B1 KR 1020160088719 A KR1020160088719 A KR 1020160088719A KR 20160088719 A KR20160088719 A KR 20160088719A KR 101824083 B1 KR101824083 B1 KR 10182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fire
fire extinguisher
information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550A (ko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인 filed Critical (주)세이프인
Priority to KR102016008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0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소화기의 사용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가상현실 내에서 가상의 화재를 발생시키면, 체험자는 소화기를 찾고, 그 소화기를 들고 이동하며, 노즐을 화염을 향하여 조준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화재 진압 상황을 좀 더 현실감 있게 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of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 내에서 소화기 모형을 이용하여 소화기의 사용법과 화재 진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의 사용법을 교육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써, 소화기 모형을 구비하고, 인위적으로 화재를 연출하여 소화기 모형의 노즐을 화염에 조준하여 물줄기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는 상황에 대하여 현실감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화재 현장을 영상과 음성으로 구현하고, 연무를 발생시켰다. 그리고 체험자는 소화기의 노즐을 화염에 조준하고 소화기의 노즐을 움켜쥐면 물줄기가 분사되어 화염을 진화시켰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훈련 목적의 소화기는 특정한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어 있고, 화염은 매번 같은 위치에서 발생시킨다. 그리고 체험자는 소화기 사용의 체험하기에 앞서서 어느 위치에서 화염이 발생될 것인지를 이미 알고 있는 상황에서 체험이 실시되는 것으로써 긴장감이 반감될 수 있다.
특히, 종래에 알려진 훈련 목적의 소화기는 바닥이나 테이블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고, 현실에서는 소화기를 들고 화재 현장으로 접근하는 등의 이동이 있을 수 있다.
즉, 종래에 알려진 훈련 목적의 소화기를 이용하여 소화기 체험을 하고자 할 때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상황과 괴리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부연설명하면, 현실에서는 소화기가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화재가 어디에서 어떻게 어떤 형태로 어느 규모로 발생할 것인지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체험자에게 소화기의 사용 요령과 화재 진압을 교육함에 있어서, 훈련상황을 실제 화재 상황과 가깝도록 구현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513837호(2015.04.1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화재를 발생시키고, 소화기를 들고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며, 비록 가상현실에서 화재진압을 실시하더라도 물리적으로 소화기의 무게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화재 현장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노즐을 화염에 조준하여 소화기 사용 요령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바디(14)의 상측에 구비된 레버(13)와, 상기 레버(13)의 조작이 억제되는 안전 핀(11)과, 상기 바디(14)의 상측에 연결된 노즐(12)을 포함하고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자유로운 소화기 모형(10); 상기 안전 핀(11)이 제거 되었을 때에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21); 상기 노즐(12)의 자세와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노즐(12)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센서(22); 상기 레버(13)가 조작되었을 때에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23); 가상현실 내에서 가상 화재의 상황이 연출되고,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화재가 진압되는 가상 소화 영상이 생성되는 제어부(30); 및 상기 소화기 모형(10)의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이 검출되고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이 제4 신호로 출력되는 제4 센서(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4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화재가 진압되는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통신부(40)와 통신에 의하여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이 수신되며,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이 상기 체험자에게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어(50)는 상기 체험자의 시선 방향과, 체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체험자 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체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4 신호로 출력하는 제4 센서(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4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어(50)가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어(50)마다 해당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한 체험자의 시선 방향과, 해당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한 체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수 체험자 정보로 각각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복수 체험자 정보를 상기 제어부(30)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복수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은 각각의 체험자 정보에 부합되도록 복수로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40)는 복수의 가상 소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어(50)에 각각 전송하되, 체험자 정보와 대응하는 해당 디스플레이어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상기 바디(14)가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복수의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5 신호로 출력하는 복수의 제4 센서(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5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복수로 생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가상현실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고, 화재 상황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체험자는 화재 상황을 인지한 후에 소화기의 본체를 들고 이동이 가능하며 노즐을 화염을 향하여 조준할 수 있는 것으로써, 가상현실을 구현하되 실제 화재 상황이 발생했을 때와 매우 유사하게 체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실제로 현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상황, 예컨대, 체험자가 예상하지 못한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된 상황을 연출할 수 있고, 소화기를 들고 화재 현장으로 이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현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된 화재 현장을 구현할 수 있고, 여러 명의 체험자가 동시에 화재 진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들이 가상현실 내에서 화재 진압을 수행할 때에 동일한 목표의 화재 지점에 대하여 합동하여 화재 진압을 실시할 수 있고, 이때 체험자들의 이동 동선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으로써 화재 진압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등 실제 화재 진압의 상황과 극히 유사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의 사용 요령과 화재 진압 훈련을 좀 더 현실감 있게 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여러 명이 함께 훈련 받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 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 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에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여러 명이 함께 훈련 받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 모형(10), 제1, 2, 3 센서(21, 22, 23), 제어부(30) 및 통신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모형(10)은 외형적인 구성은 통상적인 소화기의 외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공되지만, 내부에는 상기 각 센서, 제어부 및 통신부 등의 전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고, 유선의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기 모형(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14)의 상측에 구비된 레버(13)와, 상기 레버(13)의 조작이 억제되는 안전 핀(11)과, 상기 바디(14)의 상측에 연결된 노즐(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화기 모형(10)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이에 부연설명하면, 종래에 알려진 교육 또는 훈련 목적으로 설치되는 소화기는 바닥에 고정되거나 책상과 유사한 구조물에 고정된 형태였다. 이로써 이미 노즐은 특정한 방향을 향하는 자세를 갖고, 안전핀 제거 후 레버를 움켜쥐면 물줄기가 발사되는 형태이다. 즉, 종래에 알려진 교육 또는 훈련 목적으로 설치되는 소화기는 화재가 어느 위치에서 발생할지 예측이 가능하여 교육효과가 높지 않을 수 있다. 심지어 종래에 알려진 교육 또는 훈련 목적으로 설치되는 소화기는 물줄기를 발사하는 체험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써 실제 화재 현장과 상황이 너무나도 다른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 사용 요령을 교육 받기에 앞서서 어느 위치에서 어느 규모의 화재가 발생할 것인지를 예상할 수 없고, 이로써 체험자가 긴장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가 소화기 모형(10)을 들고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서 소화기를 찾고, 그 소화기를 들고 화재 현장으로 이동하는 과정부터 체험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실제 화재 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21)는 상기 안전 핀(11)이 제거 되었을 때에 제1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소화기를 실제로 사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22)는 상기 노즐(12)의 자세와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노즐(12)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2 신호로 출력한다. 제2 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는 노즐(12)이 소화기 모형(10)에 정렬되어 있는 자세, 예컨대 클램프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체험자가 노즐(12)을 잡아서 인위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화재 지점을 조준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가 화재 발생을 인식한 후에, 소화기를 찾고, 소화기에 정렬된 노즐을 꺼내어 화재 지점을 조준하는 일련의 동작까지 체험할 수 있는 것으로써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과 거의 유사하게 체험할 수 있어 현실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상기 제3 센서(23)는 상기 레버(13)가 조작되었을 때에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제 소화기에서는 레버(13)를 조작함으로써 소화제가 분사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제3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실제 소화기의 작동과 유사하게 가상현실 내에서 가상의 소화제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가상현실 내에서 가상 화재의 상황이 연출되고,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화재가 진압되는 가상 소화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의 배경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기 하여 선택할 수 있고, 인터넷 온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인터넷 온라인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서 선택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의 배경은 거실, 부엌, 안방 등 일반 가정의 내부일 수 있고, 산업 현장이나, 사무실, 일반 가게 상점, 관광지 등 다양한 배경으로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가상 화재는 발생되는 위치가 매번 새롭거나 직전에 발생한 상황과 다른 위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체험자는 반복하여 소화기 사용 요령을 훈련 받더라도 새로운 화재 상황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신호는 노즐이 움직일 때에 발생되는 데이터로써, 노즐이 조준 되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고, 아울러 제3 신호에 의하여 소화제가 분사되는 영상이 구현될 수 있으며, 결국, 제어부(30)는 배경 영상과, 화재 영상과, 소화제가 분사되는 영상을 합성하여 가상 화재가 진압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종 영상에는 음성이 포함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음성이 가상현실 내에 보이는 상황에 부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음성은 부가적으로 효과음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성에는 유리창이 깨지는 소리, 비명소리 등의 효과음이 부가될 수 있다. 이로써 가상현실 내에서 발생된 화재 현장에 긴장감과 극적인 효과를 가미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소화기 모형(10)의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제어부(30)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영상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통신부(40)를 통하여 상기 각종 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데이터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통신부(40)에서 사용되는 통신 규격은 이미 알려진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예컨대,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고, 케이블을 직접 연결한 유선 통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40)는 이동통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소화기 모형(10)의 외부에서는 상기 통신부(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데이터와 음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체험자 본인, 또는 교육을 주관하는 강사, 또는 함께 교육에 참여하는 다른 참가자 들이 볼 수 있도록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가 예상하지 못한 시점에,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할 수 있고, 체험자는 소화기를 찾고, 소화기를 확보한 상태로 화재지점으로 이동하며, 안전핀을 제거하고, 노즐을 화재지점으로 조준하며, 레버를 움켜지는 등의 일련의 실제 소화기 사용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서 화재를 발생시키고, 가상의 소화제가 분사되는 것으로써, 물리적인 소화제가 분사되지 않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의 사용 요령을 교육하거나 화재 진압을 훈련하는 환경이 실제로 오염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 사용 요령과 화재 진압 훈련을 마친 후에, 뒷정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센서(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센서(24)는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이 검출되고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이 제4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4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화재가 진압되는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체험자가 소화기를 찾았을 때에, 소화기 모형(10)이 놓여진 자세와 위치가 제어부(30)에 제공되고, 체험자가 소화기 모형(10)을 들고 이동하였을 때에는 가상현실의 영상에서 소화기를 들고 이동하는 것이 반영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센서(24)는 소화기 모형(10)의 정보(자세 및 위치)를 가상현실 내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화기 사용이 좀 더 현실감 있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디스플레이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어(50)는 체험자의 신체에 착용 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어(50)는 상기 통신부(40)와 통신에 의하여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이 수신될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이 상기 체험자에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체험자는 디스플레이어(5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소화기 사용 요령에 따라 소화기 모형(10)을 취급할 때에, 디스플레이어(50)에는 체험자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동작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어(50)에서 상기 체험자의 시선 방향과, 체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체험자 정보로 출력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체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가 이동하고 고개를 돌리는 등의 일상적인 동작을 취할 때에, 그러한 동작이 가상 소화 영상에 반영되고 디스플레이어(50)에서 반영된 가상 소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4 신호로 출력하는 제4 센서(24)를 더 포함 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4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가 움직이는 것과, 이로써 소화기 모형(10)이 이동되는 것을 모두 반영하여 가상 소화 영상이 생성되는 것으로써 가상현실 내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현실감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다수의 체험자가 한꺼번에 소화기 사용 요령과 화재 진압을 체험할 수 있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여러 명이 함께 소화기 사용을 체험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여러 명이 함께 훈련 받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디스플레이어(50)가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소화기 모형(10)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체험자 1인당 1개의 디스플레이어(50)와 1개의 소화기 모형(1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디스플레이어(50)와 각각의 소화기 모형(10)은 고유의 식별 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어(50)마다 해당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한 체험자의 시선 방향과, 해당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한 체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수 체험자 정보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복수 체험자 정보를 상기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복수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은 각각의 체험자 정보에 부합되도록 복수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40)는 복수의 가상 소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어(50)에 각각 전송하되, 체험자 정보와 대응하는 해당 디스플레이어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여러 명의 체험자가 동시에 협동하여 화재 진압을 체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체험자(U1)와 제2 체험자(U2)가 제1 화재 지점(60)을 목표로 화재 진압을 시도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3 체험자(Un)도 추가로 합세하여 상기 제1 화재 지점의 화재 진압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제3체험자(Un)는 다른 제2 화재 지점(62)에 대하여 화재 진압을 수행하고 나서, 제1 화재 지점(60)의 화재 진화에 참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화재 진압을 훈련할 때에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상황을 좀 더 현실적으로 구현하고 체험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4)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4)에는 각각 제4 센서(2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4 센서(24)는 상기 복수의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복수의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5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5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복수로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체험자가 여러 명인 경우에, 화재 진압을 하는 과정에서 체험자 간에 자리를 바꿀 수 있고, 이때에는 각각의 체험자에게 보이는 가상 소화 영상이 다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재 진압을 시도하는 동안에 제1 체험자(U1)와 제2 체험자(U2)자가 이동하여 서로의 물리적인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에, 현실에서 이동된 변위가 가상현실의 영상에 반영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여러 명의 체험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훈련을 진행할 수 있고, 특히, 각각의 체험자가 자리를 바꾸거나 서있는 방향을 바꿀 때에, 해당 체험자에게 보이는 영상은 해당 체험자가 이동된 변위나 시선 방향이 반영되는 것으로써 현실감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의 제어부(30)와 통신부(40)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부(32)와 처리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저장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33)는 통신부(40)와 연결되어 영상의 데이터, 음성의 데이터 및 각종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1)에는 '가상현실'에 대한 데이터와 '가상 화재'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의 배경이 될 수 있는 데이터로써, 가정집, 사무실, 산업 현장 등 다양한 영상이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영상은 해당 영상에 부합되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화재는 화재의 규모나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화재에는 유류를 포함한 화재인지, 폭발성 화재인지, 유독가스가 포함된 화재인지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가상 화재를 구현할 때에, 해당 소화기로 화재 진압이 가능한 정도인지, 아니면 다른 종류의 소화기를 찾아야 하는지 등을 체험할 수도 있다.
즉, 체험자 또는 훈련을 주관하는 강사에 의하여 '가상현실'과 '가상 화재'가 선택되어 불러오기 된다.
상기 입력부(32)에는 안전 핀 정보, 노즐 정보, 레버 정보, 소화기 정보 및 체험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안전 핀 정보는 안전핀(11)이 제거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제1 센서(21)에서 발생되는 제1 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정보는 상기 노즐(12)이 이동되는 변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제2 센서(22)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신호를 바탕으로 노즐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움직임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레버 정보는 레버(13)의 작동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체험자가 안전핀(11)을 제거하지 않으면, 레버(13)는 작동될 수 없으므로, 결국 제1 신호가 발생되고 난 후에만 제3 신호가 유효하게 된다.
상기 소화기 정보는 상기 소화기 모형(10)의 자체가 어떤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지, 움직이는 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체험자가 소화기 모형(10)을 들거나 소화기 모형(10)을 들고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자세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제4 센서(24)에 의하여 제4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체험자 정보는 체험자가 착용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어(50)로부터 확보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체험자의 시선방향이나 이동 변위(위치 변위)일 수 있고, 이러한 체험자의 시선 방향 및 위치는 체험자 정보로써 디스플레이어(5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즉, 체험자가 디스플레이어(5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그러한 움직임과 시선 방향이 대한 정보가 체험자 정보로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4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33)는, 초기화를 실시한 후에,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는 가상현실 속에서 소화기의 위치와 자세를 초기화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체험자가 체험을 시작할 때에, 현실에서 소화기 모형(10)의 자세, 위치 및 방향과 가상현실 속에서 소화기의 자세, 위치 및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체험자가 가상현실 내에서 소화기 사용을 체험할 때에 현실과 가상현실 간의 괴리감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현실과 가상현실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체험자가 어지럼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합성은 가상현실의 배경이 되는 제1 영상과, 가상 화재인 제2 영상과 소화제가 분사되는 제3 영상이 합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2, 3 영상에는 영상에 부합되는 음성이 함께 존재하고, 이로써 합성된 영상에는 합성된 영상에 부합되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의 합성에서 상기 제3 영상은 체험자 정보 및 노즐 정보와 관련이 깊을 수 있다. 즉, 체험자가 소화기 모형(10)을 들고 이동하거나 노즐(12)을 움직이면, 가상현실 속에서는 체험자가 이동하는 대로 배경이 변화될 수 있고, 노즐(12)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현실 속에서 소화제가 분사되는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체험자의 시선이 돌아가면 가상현실 속에서 체험자의 시선이 반영되어 가상현실 내에서 영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40)는 상기 제어부(30)에서 합성되어 생성된 최종의 영상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소화기 모형(10)의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어에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어가 3차원 영상 플레이어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가상현실 내에서 모든 사물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 눈 영상과 오른쪽 눈 영상이 각각 생성될 수 있고, 체험자는 왼쪽 눈 영상을 왼쪽 눈으로, 오른 쪽 눈 영상을 오른쪽 눈으로 볼 수 있게 하고, 이로써 체험자는 왼쪽 눈 영상과 오른 쪽 눈 영상을 동시에 받아들임으로써 입체감이 있는 3차원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체험자 또는 강사는 가상현실의 배경이 될 영상을 선택하여 불러온다(S10).
이후, 제어부(30)에는 각종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S11). 입력되는 정보는 "안전 핀 정보', '노즐 정보', '레버 정보', '소화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여러 사람이 함께 화재 진압을 체험할 수 있는 것으로써, 체험자가 여러 명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체험자가 복수인 경우에, 소화기 모형(10)과 디스플레이어(50)는 체험자의 인원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소화기 모형(1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어(50)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각각 체험자 마다 고유의 '식별 기호'가 부여될 수 있고, '가상현실' 속에서 각 소화기의 위치와 자세가 초기화될 수 있으며, 각 소화기 모형(10)과 대응될 출력 신호를 초기화 할 수 있다(S12).
이에 부연설명하면, 체험자가 3명인 경우에, 제1 체험자(U1)는 제1 소화기 모델과 제1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체험자(U2)는 제2 소화기 모델과 제2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할 것이고, 제3 체험자(Un)는 제3 소화기 모델과 제3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소화기의 위치와 자세가 가상현실 내에서 초기화가 되면, 제1 체험자(U1)의 시선은 제1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될 영상에 반영된다. 마찬가지로 제2 체험자(U2)의 시선은 제2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될 영상에 반영되고, 제3 체험자(Un)의 시선은 제3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될 영상에 반영될 수 있다. 즉, 각 체험자 마다 자신의 시선에 적합한 영상을 받아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화기 모델이 복수인 경우에, 어느 하나가 서버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소화기 모델은 클라이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서버 역할을 하는 소화기 모델의 제어부(30)는 나머지 소화기 모델의 제어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부연설명하면, 서버 역할의 소화기 모형(10)은 클라이언트 역할의 소화기 모형(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S11단계에서 설명된 상기 정보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역할의 제어부(30)는 각 체험자의 상황에 부합되는 영상과 음성을 합성하여 출력하고, 이로써 각각의 체험자는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영상과 음성을 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 화재' 영상을 합성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S13). 이때 화재 발생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화재 발생 경고음은 체험자가 소화기를 확보하기 위한 준비 신호로 이해할 수도 있다.
체험자는 가상현실 속에서 화재가 발생함을 인지하고 소화기를 찾는데, 현실에서는 소화기 모형(10)를 확보한 상태이고, 가상현실 속에서는 소화기를 찾는 과정과 소화기의 확보 과정이 표시될 수 있다.
체험자는 소화기 사용 요령에 따라 안전핀(11)을 제거한다. 제어부(30)는 안전핀(11)이 제거되었다는 제1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안전 핀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한다(S14).
체험자는, 안전 핀(11)이 제거된 후에, 노즐(12)을 움직이고, 레버(13)를 움켜지게 된다. 이때 노즐(12)의 움직임에 따라 노즐 정보가 생성되고, 이로써 가상현실 속에서는 노즐이 움직이고, 체험자가 노즐(12)을 화재 지점으로 조준하도록 움직임에 따라 가상현실 속에서 노즐은 화재 지점을 조준하게 된다(S15). 아울러 체험자는 레버(13)를 작동시킴으로써 가상현실 속에서 소화제가 분사되는 영상이 출력된다(S15).
그리고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 화재' 영상과 '소화제 분사' 영상이 합성되어 '가상 소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S16).
한편, 소화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7). 여기서 소화 조건은 소화제가 화재 지점에 얼마만큼 정확하게 그리고 소정의 시간 동안 분사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즉 현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때에 소화제가 화염에 닿더라도 곧바로 소화되는 것이 아니라, 소화제가 적정하게 분사되었을 때에 소화되는 것을 현실감 있도록 반영하는 것이다.
소화 조건이 충족되면, '가상 화재' 영상에서 '소화 조건'이 충족된 영역을 소거하고, '가상 화재' 영상을 갱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S18). 즉, 소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염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는데, 가상현실 속에서 화염이 점차 소화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 화재' 영상이 소거되는 판단한다(S19). '가상 화재'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화재 진압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 화재' 영상이 점차 소거되어 완전히 사라지면 화재 진압이 완료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 화재' 영상이 소거 완료되면 '소화 완료' 취지의 메시지를 출력하고 종료한다(S2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체험자가 현실에서는 소화기 모형(10)을 취득하고, 가상현실 속에서 화재 진압을 실시하도록 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특히 체험자는 가상현실 속에서 실질적은 화재 진압하기 전에, 화재가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고, 소화기를 찾아 화재 현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체험할 수 있는 것으로써 가상현실에서 체험하는 것임에도 현실적인 감각을 익힐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종전에 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대형 스크린 또는 대형 모니터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써 구성요소가 간소화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 모형(10)의 바디(14) 내에 제어부(30)와 통신부(40)를 구비함으로써, 종전에 별도로 구비되던 서버 컴퓨터를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실제 화재 현장처럼, 화재가 발생되는 지점이 여러 곳일 수 있고, 훈련에 참가하는 인원이 여러 명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가상현실 속에서 여러 지점에 발생되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특히 동료와 협동하여 동일한 화재 지점을 진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여러 명의 체험자가 동시에 움직일 때에 그러한 움직임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 것으로써 예컨대, 체험자들은 화재를 진압하는 동안에 서로 자리를 바꾸거나 화재 진압이 더욱 용이한 동선으로 찾아가며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종래에 알려진 교육 목적 또는 훈련 목적의 소화기에 비교하여 실제 상황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화재 상황을 구현할 수 있고, 실제 화재 진압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화재 진압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소화기 사용 요령을 교육하거나 화재 진압을 훈련할 때에 체험자에게 더욱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어 교육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는 화재 상황을 가상현실에서 구현하고, 물리적인 소화기의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의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여 소화기 사용을 체험하도록 하거나 소화기 사용 요령을 교육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소화기 모형
11: 안전핀 12: 노즐
13: 레버 14: 바디
21, 22, 23, 24: 제1 내지 제4 센서
30: 제어부
31: 저장부 32: 입력부
33: 처리부 40: 통신부
50: 디스플레이어
60, 62: 제1, 2 화재 지점
U1, U2, Un: 제1, 2, n 체험자

Claims (7)

  1. 바디(14)의 상측에 구비된 레버(13)와, 상기 레버(13)의 조작이 억제되는 안전 핀(11)과, 상기 바디(14)의 상측에 연결된 노즐(12)을 포함하고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자유로운 소화기 모형(10);
    상기 안전 핀(11)이 제거 되었을 때에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21);
    상기 노즐(12)의 자세와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노즐(12)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센서(22);
    상기 레버(13)가 조작되었을 때에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23);
    가상현실 내에서 가상 화재의 상황이 연출되고,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화재가 진압되는 가상 소화 영상이 생성되는 제어부(30);
    상기 바디(14)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이 검출되고 상기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이 제4 신호로 출력되는 제4 센서(24); 및
    상기 소화기 모형(10)의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4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화재가 진압되는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체험자의 신체에 착용 되고, 상기 통신부(40)와 통신에 의하여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이 수신되며,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이 상기 체험자에게 보여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어(50);
    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어(50)는 상기 체험자의 시선 방향과, 체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체험자 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체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어(50)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어(50)마다 해당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한 체험자의 시선 방향과, 해당 디스플레이어를 착용한 체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복수 체험자 정보로 각각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복수 체험자 정보를 상기 제어부(30)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복수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은 각각의 체험자 정보에 부합되도록 복수로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40)는 복수의 가상 소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어(50)에 각각 전송하되, 체험자 정보와 대응하는 해당 디스플레이어에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4)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바디(14)의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복수의 바디(14)의 자세와 움직임을 제5 신호로 출력하는 복수의 제4 센서(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5 신호와 상기 체험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 소화 영상을 복수로 생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KR1020160088719A 2016-07-13 2016-07-13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KR10182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19A KR101824083B1 (ko) 2016-07-13 2016-07-13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19A KR101824083B1 (ko) 2016-07-13 2016-07-13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50A KR20180007550A (ko) 2018-01-23
KR101824083B1 true KR101824083B1 (ko) 2018-01-31

Family

ID=6107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19A KR101824083B1 (ko) 2016-07-13 2016-07-13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4750B4 (de) * 2018-10-08 2020-05-14 Universität Kassel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Brandbekämpfungsübung
KR102261098B1 (ko) * 2018-12-10 2021-06-07 김현우 체험형 소화 장비
CN109767668B (zh) * 2019-03-05 2021-04-20 郑州万特电气股份有限公司 基于Unity3D的虚拟消防培训装置
KR102517339B1 (ko) * 2021-02-05 2023-04-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현실을 이용한 가상 화재 대응 교육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630B1 (ko) * 2011-09-02 2013-07-12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소방 훈련용 장치
KR101513837B1 (ko) * 2014-11-12 2015-04-21 박종민 가상 소화기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입체 3d 시뮬레이션 가상 소화기 장치 사용 체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630B1 (ko) * 2011-09-02 2013-07-12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소방 훈련용 장치
KR101513837B1 (ko) * 2014-11-12 2015-04-21 박종민 가상 소화기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입체 3d 시뮬레이션 가상 소화기 장치 사용 체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50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2631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画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09690633B (zh) 模拟系统、处理方法以及信息存储介质
Simeone et al. Substitutional reality: Us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o design virtual reality experiences
JP6410378B1 (ja) Vrを用いた消火体験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体験用消火器、及びプログラム
KR101824083B1 (ko)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CN106023289B (zh) 图像生成系统及图像生成方法
JP6263252B1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1801965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n computer
JP6298130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80348987A1 (en) Method executed on computer for providing virtual spa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US20180261120A1 (en) Video generat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video generating device, display system, video generation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80247454A1 (en) Unknown
EP4316618A1 (en)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Zenner et al. A projection-based interface to involve semi-immersed users in substitutional realities
KR101838603B1 (ko) 훈련용 증강현실 소화기
US20220347559A1 (en) Game program, game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20180280748A1 (en) Training system
JP2018136944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908684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9087262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8092635A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826626B2 (ja) 視聴プログラム、視聴方法、および視聴端末
JP6722316B1 (ja) 配信プログラム、配信方法、コンピュータ、および視聴端末
KR20210013900A (ko) Vr을 이용한 소화체험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15569341B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多人协同消防训练方法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