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98B1 - 체험형 소화 장비 - Google Patents

체험형 소화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98B1
KR102261098B1 KR1020180158302A KR20180158302A KR102261098B1 KR 102261098 B1 KR102261098 B1 KR 102261098B1 KR 1020180158302 A KR1020180158302 A KR 1020180158302A KR 20180158302 A KR20180158302 A KR 20180158302A KR 102261098 B1 KR102261098 B1 KR 102261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equipment
experiential
sen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786A (ko
Inventor
김현우
용상엽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102018015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0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3Extinguishers with spraying and projection of extinguishing agents by pressurised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소화 장비에는 손잡이부, 노즐부, 본체부가 포함되고, 손잡이부에는 압력감지 센서 및 안전핀 인식 센서가 포함되며, 노즐부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가 포함되고, 본체부에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모듈이 포함되고, 체험형 소화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컨텐츠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체험형 소화 장비{THE EXPERIENCE-BAS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체험형 소화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영상 컨텐츠와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는 체혐형 소화 장비에 관한 것이다.
화재(fire)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발생되어 환경조건에 따라 확산될 수 있다. 또한, 화재로 인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막대하게 발생될 수도 있다. 화재는 발생하는 대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뉠 수 있다. 공장, 빌딩 등에서 발생되는 건물 화재, 산림이나 자연환경에서 발생되는 임야 화재, 자동차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화재, 선박 등에서 발생되는 선박화재, 비행기 등에서 발생되는 항공기 화재, 기타 환경 및 조건에서 발생되는 화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원인에 따라 실화, 방화, 자연발화, 천재지변에 의한 발화, 기타 사유에 의한 발화 등으로 나뉠 수 있고, 소실(피해) 정도에 따라 전소, 반소, 부분연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화학약품 등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그 원료가 되는 원유 등의 취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었고, 또한 각종 편의시설의 보급(ex. 전기에너지의 대량 소비 등)에 따라 화재 발생의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화재는 건조한 계절인 겨울 등에 주로 발생되며 이는 불의 사용도(의존도)가 다른 계절에 비하여 높고, 취급에 있어서 부주의한 경우가 늘기 때문으로 해석되곤 한다. 또한, 지역에 따라 화재 발생 빈도가 달라지기도 하고, 습도, 계절풍 등에 따라서도 화재 발생 가능성이 상이하게 나타나곤 한다.
이러한 화재의 발생 시, 초기의 소화 과정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화재 발생 지점에 인접한 사람에 의하여 소화 과정이 조속하게 실행될수록 화재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화 활동 및 관련시설에 대하여는 소방법 등을 통하여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화재의 발생 시 긴장, 불안 등에 빠져 적절한 소화 과정을 수행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작은 화재가 대형 재앙으로 발전되곤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7790호 (등록일자 2014.01.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불(fire)이 나는 등의 긴급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대처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체험형 소화 장비 및 그 동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소화 장비에는 손잡이부, 노즐부, 본체부가 포함되고, 손잡이부에는 압력감지 센서 및 안전핀 인식 센서가 포함되며, 노즐부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가 포함되고, 본체부에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모듈이 포함되고, 체험형 소화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컨텐츠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된 압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 1 로드 및 제 1 로드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로드를 포함하는 형태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된 제 2 로드만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 1 로드와 제 2 로드가 연결된 손잡이부에는 연결 부위에 인접하여 압력감지 센서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로드가 제 2 로드에 가까이 접근하게 됨에 따라 압력감지 센서를 통하여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고, 안전핀 인식 센서를 통하여 손잡이부에 안전핀이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노즐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는 노즐부의 일단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하단 영역에는 제어모듈 및 전원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제어모듈에는 압력감지 센서, 안전핀 인식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이미지 센서, 통신모듈 및 전원모듈이 연결되며, 제어모듈로부터 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기기와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모듈의 형태이고, 제어모듈은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 조건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형태이며, 전원모듈은 충전식 또는 교체가 가능한 탈부착 형태일 수 있다.
노즐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식별 마커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제어모듈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텐츠에는 증강현실(AR) 이미지, 가상현실(VR)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부에는 경보출력모듈이 더 포함되고, 경보출력모듈을 통하여 소정의 패턴의 광(light), 문자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외부기기는 이미지 컨텐츠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의 동작 방법은,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식별 마커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제어모듈을 통하여 처리하거나, 노즐부의 위치값 변화 여부를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제어모듈을 통하여 인식하는 단계, 안전핀 인식 센서를 통하여 소화 장비로부터 안전핀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압력감지 센서를 통하여 손잡이부의 조작유무를 인식하는 단계, 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소화 장비의 동작 상태가 외부기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를 이용하면, 화재 진압에 있어서의 프로세서를 직간접적으로 체험을 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화재 진압 과정을 정확히 체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반복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동작됨에 따라 화재에 대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을 유도하고, 촉진할 수 있다.
외부기기의 이미지 컨텐츠와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체험에 있어서 흥미 유발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연령, 사용언어, 인지력 등에 무관하게 체험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실제로 화재가 발생되기 전 까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화기를 실제 사용해 본적이 거의 없다. 게다가 실제 소화기를 가지고 소화 훈련 등을 받는 경우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다시 말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론적으로는 소화 방법에 대하여 어렴풋이 이해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화재 발생 시 실제로 소화기 등의 안전핀을 뽑고 화재 발생 지역에 조준해서 작동을 해본 경험이 없기에 실제 화재 발생 상황에서는 당황하여 소화를 성공적으로 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를 이용하여 연습을 하게 되면 실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 연동되는 체험형 소화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에서의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텐츠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의 동작 순서의 일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 연동되는 체험형 소화 장비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에서의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텐츠의 예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의 동작 순서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소화 장비(1000)에는 손잡이부(100), 노즐부(200), 본체부(300)가 포함되고, 손잡이부(100)에는 압력감지 센서(110) 및 안전핀 인식 센서(120)가 포함되며, 노즐부(200)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210) 및 이미지 센서(220)가 포함되고, 본체부(300)에는 외부기기(1)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310), 제어모듈(320) 및 전원모듈(330)이 포함되고, 체험형 소화 장비(10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컨텐츠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체험형 소화 장비(1000)는 기존의 소화기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체험형 소화 장비(1000)는 소화 과정의 체험을 위한 임의의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컨텐츠는 안전교육 화재 가상체험을 위한 컨텐츠일 수 있고,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1)와 소화 장비(1000)는 블루투스 연결(ex. 페어링) 등을 통하여 서로를 인식할 수 있다.
외부기기(1)와 소화 장비(1000)가 연결되면, 외부기기(1)를 통하여 제공될 컨텐츠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장비(1000)의 권장 조작 조건(ex. 소화기의 크기, 소화액의 종류, 소화액 용량, 소화기 동작방식 상의 특이사항 등)이 소화 장비(1000) 측으로 전달되어 셋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공장 등 대형 시설물에서는 초대형의 소화기를 비치해두고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화학공장 컨셉의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해당 초대형 소화기의 사용상의 특이사항, 소화액의 용량 등에 대하여 소화 장비(1000)에 미리 셋팅해둘 수 있다. 화학공장 컨셉의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소화 장비(1000)의 권장 동작 조건에 맞도록 소화 장비(1000)를 조작하며 소화 체험을 할 수 있다.
소화 장비(1000)가 외부기기(1)와 연결되면, 이미지 컨텐츠에서는 예를 들면, 특정 이미지가 담긴 스티커 등의 형상의 식별 마커(ex. QR 코드 등)를 부착한 장소에 특수 효과를 삽입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처럼 외부기기(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이게 나타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소화 장비(1000)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태의 식별 마커가 부착되어 있는 오프라인 공간(ex. 체험 스페이스 등) 상에서 해당 식별 마커를 소화 장비(1000)의 이미지 센서(220)로 인식시킨다면, 해당 식별 마커와 상응하게 미리 설정된 이미지 컨텐츠가 외부기기(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별도로 구축된 체혐 스페이스 등에는 각각의 체험 공간에 할당된 상이한 형태의 식별 마커가 벽면 등에 미리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소화 장비(1000)의 이미지 센서(220)를 이용하여 해당 식별 마커를 소화 장비(1000)에 인식(ex. 식별 마커의 촬영을 통한 인식 등)시킬 수 있다. 소화 장비(1000)에서는 해당 식별 마커가 인식되면, 마커에 매칭되어 미리 할당된(설정된) 이미지 컨텐츠를 외부기기(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마커는 이미지 컨텐츠 자체 내부에서 일종의 객체와 같이 표현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VR 이미지 컨텐츠에서 소정 형태의 식별 마커(ex. 온열기, 컨센트 등)에 대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지나가거나, 사용자가 터치, 클릭 등의 입력을 인가한다면 이미지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처럼 특수 효과를 삽입하여 외부기기(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상에서의 각종 요소(ex. 풍향 등)에 대한 정보가 해당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내에서 바람이 부는 것으로 표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바람을 등지고 소화 장비를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ex. "바람을 등지고 소화 장비를 사용하세요!") 등을 사용자에게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1)는 소화 장비(10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스마트폰, 테블릿 PC, 랩탑, 또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외부기기(1) 등을 통하여 제공받은 컨텐츠와 체험형 소화 장비(1000)를 이용하여 컨텐츠(ex. 도 5의 (a)와 같은 AR 컨텐츠 등) 상에서 발생된 것으로 나타낸 화재를 진압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자신이 존재하는 장소(ex. 학교, 복도 등)를 배경으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이미지 컨텐츠 상에 나타날 수 있고,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소화 장비(1000)를 이용하여 소화 연습(체험)을 할 수 있다. 체험형 소화 장비(1000)에서는 안전핀 뽑는 동작 인식, 노즐(호스) 방향 인식(전, 후, 좌, 우 등 모든 방향 인식 가능), 손잡이 구동(가압 여부 등)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외부기기(1) 등에서 인식된 인가 입력에 상응하도록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체험형 소화 장비(1000)를 이용하여 화재 진원지 부분(ex, 컨텐츠 상의 화재 발생 표현 부분)을 소정의 시간 동안 대향하여 유지하고 손잡이 등을 조작(ex. 가압, 버튼 누름 등)하고 있으면 화재가 꺼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를 위한 소정의 시간은 화재의 규모, 화재 발생 조건(ex. 계절, 습도, 온도 등)으로 설정된 상황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상환 조건을 외부기기(1) 등을 통하여 미리 결정하여 셋팅해둘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특정 이미지가 담긴 스티커가 부착된 이미지가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인식되면 외부기기(1)에서는 미리 구축된 3D 애니메이션VR 화면(ex. 도 5의 (b) 등) 등이 제공될 수 있다. 3D 애니메이션VR 화면(컨텐츠)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체험형 소화 장비(1000)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체험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핀 뽑는 동작 인식, 호스 방향 인식(전 방향 인식 가능), 손잡이 구동 여부 등은 체험형 소화 장비(1000)의 각종 요소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인식) 될 수 있다. 확인된 데이터는 통신모듈(310)을 통하여 외부기기(1)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기기(1) 상의 컨텐츠에서는 체험형 소화 장비(1000)의 동작 상태가 실시간으로 표현될 수 있다. 화재 진원지 부분을 특정 시간 동안 소화한 것으로 인식되면 이미지 컨텐츠 상에서 화재가 꺼져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구축된 3D 애니메이션VR 화면, AR 컨텐츠, 동영상 등은 사운드 등과 같은 추가적인 효과와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실감나는 소화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기기(1)에서는 동영상 화면(ex. 도 5의 (c) 등) 등이 제공될 수 있고, 이후의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된 압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 1 로드(101) 및 제 1 로드(101)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로드(102)를 포함하는 형태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된 제 2 로드(102)만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부(100)는 가압식의 교차형 로드들로 형성될 수 있거나, 로드 상에 적어도 하나의 누름 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소화 장비(1000)는 사용자의 연령, 인지도 등에 구애 받지 않고, 누구든지 손쉽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이즈와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부(100)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로드(102) 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기존 가압식 손잡이부(100)의 소화기로부터 소화액의 토출과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로드(101)와 제 2 로드(102)가 연결된 손잡이부(100)에는 연결 부위에 인접하여 압력감지 센서(110)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로드(101)가 제 2 로드(102)에 가까이 접근하게 됨에 따라 압력감지 센서(110)를 통하여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고, 안전핀 인식 센서(120)를 통하여 손잡이부(100)에 안전핀이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압력감지 센서(110)는 제 1 로드(101)와 제 2 로드(102)의 연결 지점 또는 해당 연결 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압력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제 1 로드(101)를 내리 누름으로써, 제 1 로드(101)가 제 2 로드(102)에 가까이 접근하게 될 수 이고, 이에 따라 압력감지 센서(110)를 통하여 미소의 또는 상당한 수준의 압력의 변화가 실시간으로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200)의 소정의 위치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210) 및 이미지 센서(220)가 장착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는 노즐부(200)의 일단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21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9축 센서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움직임 감지 센서(210)는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 등의 비교를 통하여 노즐부(200)가 움직였는지, 움직였다면 얼마나 움직였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200)의 소정의 위치는 노즐부(200)의 일단(tip) 또는 일단에 인접한 영역(ex. 단부로부터 10mm 이격된 거리 등)일 수 있다.
또한, 노즐부(200)에는 이미지 센서(220)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이미지 센서(220)는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센서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20)는 움직임 감지 센서(210)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노즐부(200)의 소화액에 토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노즐부(200)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300)의 하단 영역에는 제어모듈(320) 및 전원모듈(330)이 배치될 수 있고, 제어모듈(320)에는 압력감지 센서(110), 안전핀 인식 센서(120), 움직임 감지 센서(210), 이미지 센서(220), 통신모듈(310) 및 전원모듈(330)이 연결되며, 제어모듈(320)로부터 통신모듈(310)을 통하여 외부기기(1)와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모듈(320)은 아두이노 등과 같은 간단한 형태의 컨트롤러로 구성할 수도 있고, 고속 연산이 가능한 고집적의 컨트롤러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제어모듈(320)에는 경보출력모듈(400)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모듈(310)은 외부기기(1)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모듈의 형태이고, 제어모듈(320)은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 조건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형태이며, 전원모듈(330)은 충전식 또는 교체가 가능한 탈부착 형태일 수 있다.
통신모듈(310)은 블루투스, NFC, WiFi 등과 같이 외부기기(1)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동작되는 전자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신모듈(310)은 외부기기(1)와 광 케이블 등과 같은 부품을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320)은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 조건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MCU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모듈(320)은 아두이노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모듈(330)은 충전식 또는 교체가 가능한 탈부착 형태일 수 있다. 전원모듈(330)이 충전식인 경우, 체험형 소화 장비(1000)의 외부를 향하여 충전용 슬롯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330)은 사용자에 의하여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한 탈부착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200)의 이미지 센서(220)를 통하여 식별 마커(ex. QR 코드, 미리 설정된 고유의 불씨 아이콘 이미지 등)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제어모듈(320)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노즐부(200)의 이미지 센서(220)를 통하여 식별 마커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면, 제어모듈(320)에서 해당 이미지를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기기(1) 및 체험형 소화 장비(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지 센서(220)를 통하여 도 4의 그림을 비추면, 외부기기(1)에서는 사용자가 시청하던 이미지가 화재가 발생된 것과 같이 변경되어 출력(제공)될 수도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텐츠에는 증강현실(AR) 이미지(ex. 도 5의 (a)), 가상현실(VR) 이미지(ex. 도 5의 (c)) 및 동영상(ex. 도 5의 (b)와 같은 3D 애니메이션 동영상 화면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부(300)에는 경보출력모듈(400)이 더 포함되고, 경보출력모듈(400)을 통하여 소정의 패턴의 광(light), 문자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경보출력모듈(400)에서는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주변 사용자에게도 알리기 위하여,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 신호를 소정의 발광 패턴으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체혐형 소화 장비(1000)의 현재 동작 상태(ex. 잔여 소화액, 화재 진압 가능성 추정 결과 등)는 문자 및 이미지 등과 같은 형태(ex. “소화액을 다 사용하였습니다. 즉시 탈출하십시오.” 등)로 경보출력모듈(400)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된 정보를 확인하여 이후의 조치(ex. 화재 현장 대피, 잔여 불씨 제거 등)를 적절히 취할 수 있다.
외부기기(1)는 이미지 컨텐츠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1)는 PC, 스마트폰, 테블릿 PC, 랩탑, 또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체험형 소화 장비의 동작 방법은, 도 6에서와 같이,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식별 마커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제어모듈을 통하여 처리하거나, 노즐부의 위치값 변화 여부를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제어모듈을 통하여 인식하는 단계(S100), 안전핀 인식 센서를 통하여 소화 장비로부터 안전핀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S200), 압력감지 센서를 통하여 손잡이부의 조작유무를 인식하는 단계(S300), 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S400), 소화 장비의 동작 상태가 외부기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체험형 소화 장비(1000)와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는 외부기기(1)의 동작 과정이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장비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장비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외부기기 1000: 체험형 소화 장비
100: 손잡이부 200: 노즐부
300: 본체부
110: 압력감지 센서 120: 안전핀 인식 센서
210: 움직임 감지 센서 220: 이미지 센서
310: 통신모듈 320: 제어모듈
330: 전원모듈
101: 제 1 로드 102: 제 2 로드
400: 경보출력모듈

Claims (12)

  1. 체험형 소화 장비로서,
    상기 소화 장비에는 손잡이부, 노즐부, 본체부가 포함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압력감지 센서 및 안전핀 인식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된 압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 1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로드를 포함하는 형태이고,
    상기 제 1 로드와 제 2 로드의 연결 부위에 인접하여 상기 압력감지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로드가 상기 제 2 로드에 가까이 접근하게 됨에 따라 상기 압력감지 센서를 통해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노즐부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는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인접한 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압력감지 센서, 안전핀 인식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이미지 센서, 통신모듈 및 전원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외부기기를 통해 상황에 따라 소화를 위한 소정의 시간이 상이하게 설정가능하며,
    상기 체험형 소화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컨텐츠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소화 장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 인식 센서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안전핀이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소화 장비.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 영역에는 제어모듈 및 전원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모듈의 형태이고,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 조건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형태이며, 상기 전원모듈은 충전식 또는 교체가 가능한 탈부착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소화 장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식별 마커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제어모듈을 통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소화 장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는 증강현실(AR) 이미지, 가상현실(VR)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소화 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경보출력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경보출력모듈을 통하여 소정의 패턴의 광(light), 문자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소화 장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이미지 컨텐츠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소화 장비.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58302A 2018-12-10 2018-12-10 체험형 소화 장비 KR102261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02A KR102261098B1 (ko) 2018-12-10 2018-12-10 체험형 소화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02A KR102261098B1 (ko) 2018-12-10 2018-12-10 체험형 소화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786A KR20200070786A (ko) 2020-06-18
KR102261098B1 true KR102261098B1 (ko) 2021-06-07

Family

ID=7114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302A KR102261098B1 (ko) 2018-12-10 2018-12-10 체험형 소화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0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790B1 (ko) 2010-12-17 2014-02-03 허완규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KR101736440B1 (ko) * 2015-03-09 2017-05-19 (주)굿게이트 훈련용 소화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현실 기반의 재난 대응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8206A (ko) * 2016-06-07 2017-12-15 (주)굿게이트 소방 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 훈련 방법
KR101824083B1 (ko) * 2016-07-13 2018-01-31 (주)세이프인 가상현실의 훈련용 소화기
KR101879102B1 (ko) * 2016-12-23 2018-07-16 주식회사 이제갬 증강현실 시스템 구현 방법
KR101868366B1 (ko) * 2017-06-28 2018-06-18 (주)한성기술단 소화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9066호(2016.9.21.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8206호(2017.12.15.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7550호(2018.1.23.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4182호(2018.7.3. 공개)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868366호(2018.6.18.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786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774B1 (ko) 외부 조건들에 기초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자동 제어
Duarte et al. Behavioral compliance for dynamic versus static signs in a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CN106530887B (zh) 模拟火灾现场逃生方法及装置
Herdel et al. Above and beyond: A scoping review of domains and applications for human-drone interaction
KR20170029409A (ko) 인간과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화를 핸들링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
CN208225312U (zh) 模拟灭火系统
US9690784B1 (en) Culturally adaptive avatar simulator
KR20210088601A (ko) 상태 인식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Mitsuhara et al. Using Digital Game, Augmented Reality, and Head Mounted Displays for Immediate-Action Commander Training.
CN107437063A (zh) 用于感测环境的装置和方法、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Hong et al. NL-based communication with firefighting robots
KR102364275B1 (ko) 현실세계 데이터의 가상화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5473A (ko) 화재진압교육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8744379B (zh) 一种结合真实灭火器的vr消防体验装置及方法
KR102261098B1 (ko) 체험형 소화 장비
KR102212241B1 (ko) 혼합현실 기반의 소방 체험 시스템
KR2018007456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40045635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2160650B1 (ko) 사용자의 의도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5691263B (zh) 一种带出警可视化诱导和消防宣传微体验的智慧消防设备
Bishop Smart dust and remote sensing: The political subject in autonomous systems
Rueben et al. “I See You!”: A Design Framework for Interface Cues about Agent Visual Perception from a Thematic Analysis of Videogames
Wagner Principles of evacuation robots
Wei et al. Integrating Kinect and haptics for interactive STEM education in local and distributed environments
KR20210117654A (ko) 오디오 인식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