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076B1 -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 Google Patents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076B1
KR101824076B1 KR1020150156777A KR20150156777A KR101824076B1 KR 101824076 B1 KR101824076 B1 KR 101824076B1 KR 1020150156777 A KR1020150156777 A KR 1020150156777A KR 20150156777 A KR20150156777 A KR 20150156777A KR 101824076 B1 KR101824076 B1 KR 101824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connecting rod
bulb
bla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073A (ko
Inventor
차영순
Original Assignee
김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주 filed Critical 김범주
Priority to KR102015015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0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근(고구마, 양파 등)의 종류에 따라서 보습장치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근의 수확에 의한 외부에 상처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흙이 서로 혼합되어 묻히는 것을 방지하여 구근이 상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줄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단하는 줄기 절단장치가 설치된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견인 연결구의 하측으로 삼각 연결대가 연결된 견인장치와; 상기 견인장치의 하측으로 전방 후레임과 후방 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동 고정대에 연결볼트로 결합하는 보습 연결대의 하측으로 보습장치를 설치하여 구근을 수확하는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보습 연결대의 하측에서 한쪽으로 연결된 측면 날개 보습 전방에 전방 보습이 돌출되고 후방에는 배출 보습을 형성하는 보습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보습과 측면 날개 보습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 보습이 경미한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다 선단에서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새가 날아가는 모습을 갖도록 하고,
상기 보습장치의 보습 연결대 전방으로 전방 후레임에 설치하는 날 설치대에 경사지게 하측으로 형성한 날 연결대의 하측에 절단날을 설치하여 줄기를 절단하도록 하고, 상기 날 연결대와 날 설치대의 사이를 탄성축과 탄성 스프링을 설치하는 줄기 절단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Exchangeable the bulb harvest plowshare equipment}
본 발명의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근(고구마, 양파 등)의 종류에 따라서 보습장치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근의 수확에 의한 외부에 상처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흙이 서로 혼합되어 묻히는 것을 방지하여 구근이 상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줄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단하는 줄기 절단장치가 설치된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근작물은 지중에서 생육되는 땅속작물로서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등이 있으며, 이러한 구근을 수확하고자 할 때에는 일일이 땅을 파고 지중에 위치된 작물을 수확하였다.
이러한 구근작물을 종래에는 일일이 인력으로 수확하고 있었으나,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일일이 땅을 파헤치면서 수확해야 하므로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커, 비생산적임은 물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이르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근작물을 기계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의 증진은 물론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서 경제적인 수확을 할 수 있도록 된 구근작물 수확장치들이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구근작물 수확장치들은 대부분 트랙터 등과 같은 농업용 견인량의 후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주행을 하면서 작물을 수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근작물 수확장치들 중 하나로써, 한국실용신안등록 제368493호(명칭: 작물 채굴기의 개량구조)가 있으며, 상기 한국실용신안등록 제368493호(명칭: 작물 채굴기의 개량구조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중판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좌판과 우판이 구비되고, 상기 좌판과 우판의 사이에는 기어박스와 연결된 중앙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가이드축이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 가이드축에는 슬라이드관이 구비된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우판과 연결부의 사이에는 채굴기 전체를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중판과 우판의 사이에는 땅을 파헤치게 하향 경사진 경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판과 우판의 사이 작동축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넓이 진동판이 구비되는 작물 채굴기에 있어서, 우판의 외측에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판이 구비됨은 물론 이 회전판의 일측에는 링크의 일단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링크의 타단은 하부 작동축의 일측에 연결된 작동캠과 상호 연결되어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구근작물 수확장치들은 대부분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이 탈부착되며, 상하로 요동되는 채집판(진동판)에 의해 지중를 파헤치면서 주행하여 구근작물을 수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구근 작물이 있는 흙을 파헤치면서 구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구근이 채굴되면서 이동할 때 보습과 충돌하여 외부가 손상되므로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고, 구근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게 되므로 한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 보습으로는 이러한 다양한 구근을 수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175847호(2012. 08. 14. 등록)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15-0048480호(2015. 05. 07. 공개)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494050호(2015. 02. 10.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835667호(2008. 05. 30.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보습장치를 독립되게 또는 전체의 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근(고구마, 양파 등)의 종류에 따라서 보습장치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보습장치의 형태를 통하여 구근의 수확에 의한 외부에 상처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흙이 서로 혼합되어 구근이 흙에 묻히는 것을 방지하여 구근이 상부에 노출되어 수확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보습 연결대가 전진할 때 제거해서 고랑에 있는 줄기를 절단하여 줄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단하는 줄기 절단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폭 조절 실린더를 통하여 보습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랑의 폭과 형태에 따라서 자유롭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견인 연결구의 하측으로 삼각 연결대가 연결된 견인장치와; 상기 견인장치의 하측으로 전방 후레임과 후방 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동 고정대에 연결볼트로 결합하는 보습 연결대의 하측으로 보습장치를 설치하여 구근을 수확하는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보습 연결대의 하측에서 한쪽으로 연결된 측면 날개 보습 전방에 전방 보습이 돌출되고 후방에는 배출 보습을 형성하는 보습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보습과 측면 날개 보습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 보습이 경미한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다 선단에서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새가 날아가는 모습을 갖도록 하고,
상기 보습장치의 보습 연결대 전방으로 전방 후레임에 설치하는 날 설치대에 경사지게 하측으로 형성한 날 연결대의 하측에 절단날을 설치하여 줄기를 절단하도록 하고, 상기 날 연결대와 날 설치대의 사이를 탄성축과 탄성 스프링을 설치하는 줄기 절단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보습장치를 독립되게 또는 전체의 폭에서 넓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근(고구마, 양파 등)의 종류에 따라서 보습장치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근의 수확을 편리하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습장치의 형태를 통하여 땅속 진입과 흙의 분산 및 구근과 흙의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구근의 수확에 의한 외부에 상처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고랑 사이에 설치한 흙 차단판을 통하여 흙이 서로 혼합되어 구근이 흙에 묻히는 것을 방지하여 구근이 상부에 노출되어 수확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습 연결대가 전진할 때 줄기 절단장치가 회전하면서 절단하는 줄기의 제거작업으로 고랑에 있는 줄기가 보습 연결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수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폭 조절 실린더를 통하여 작업을 시작하기 전 또는 작업을 진행하는 중에 보습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랑의 폭과 형태에 따라서 자유롭게 위치 이동을 수행하여 구부러진 고랑에서도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린더로 왕복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도 8에 대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보습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줄기 절단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트랙터 등에 연결하여 견인되도록 하는 견인 연결구(11)의 하측으로 삼각 연결대(12)가 돌출되어 하측의 견인 연결대(13)에 연결되며, 상기 견인 연결대(13)를 연결한 연결판(23)이 고정된 이동링(25)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폭 조절축(24)의 양쪽 선단이 전방 후레임(14)과 후방 후레임(15)에 연결되는 고정대(26)에 연결되는 견인장치(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판(23)은 전방 후레임(14)과 후방 후레임(1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23)의 한쪽에서 실린더축(22)이 돌출되어 폭 조절 실린더(21)에 연결되어 후방 후레임(15)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폭 조절장치(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 후레임(15)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 고정대(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고정대(31)는 후방 후레임(15)에서 위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고정볼트(32)의 상측에서 너트(33)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 고정대(31)에서 가로방향으로 연결볼트(27)를 통하여 고정되는 보습 연결대(34)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보습 연결대(34)의 하측에는 후방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흙 차단판(35)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흙 차단판(35)의 내부에서 한쪽으로 측면 날개 보습(37)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날개 보습(37)의 전방으로 전방 보습(36)이 돌출되고 후방에는 배출 보습(38)이 형성되는 보습장치(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전방 보습(36)과 측면 날개 보습(37)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 보습(38)이 경미한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다 선단에서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새가 날아가는 모습을 측면상태로 나타낸 "
Figure 112017058394764-pat00001
"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측면 날개 보습(37)는 전방에서 볼 때 양쪽 선단이 상측으로 돌출되고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습 연결대(34)가 연결되며 위치의 이동이 자유로운 이동 고정대(31)는 후방 후레임(15)에서 자유롭게 이동하여 폭을 독립되게 조절 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32)와 너트(33)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고, 보습 연결대(34)는 이동 고정대(31)의 사이에 결합하여 가로방향에서 연결볼트(27)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줄기 절단장치(40)는 전방 후레임(14)에 설치한 날 설치대(46)를 날 연결볼트(43)로 고정하고, 상기 날 설치대(46)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날 연결대(42)가 돌출되어 보습 연결대(34)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날 연결대(42)와 날 설치대(46)에는 탄성축(44)과 탄성 스프링(45)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날 연결대(42)의 하측에는 절단날(41)의 일측에서 절단 스프라켓(64)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후레임(15)의 상측에서 상하 및 좌우 조정이 가능한 동력 스프라켓(63)을 체인(62)으로 연결하되, 상기 체인(62)은 보습 연결대(34)의 일측에 설치되어 줄기를 절단하도록 하며 동력축(61)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체인(6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후 상기 동력축(61)의 중앙에 베벨피니언을 통하여 동력을 양쪽으로 전달하는 감속코터(6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보습장치(30)는 주로 고구마 등을 수확하고, 양파, 감자 등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교환 보습장치(50)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보습장치(30)를 제거한 위치에 설치하는 교환 보습장치(50)는 이동 고정대(31)의 사이에서 보습 연결대(34) 2∼4칸의 폭을 차지 하거나, 고랑 또는 수확 장소의 상황에 맞도록 보습 연결대(34)를 설치하고, 상기 보습 연결대(34)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흙 차단판(35)을 연결하며, 상기 보습 연결대(3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측 선단에 배출 보습(52)을 형성한 후, 상기 배출 보습(52)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하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보습(51)을 다수 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고구마를 수확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량에 줄기 제거장치를 연결하여 고구마 줄기를 제거하게 되며, 제거된 고구마 줄기는 수거하여 사료 또는 비료용으로 사용하게 되며, 제거된 고구마 줄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고랑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구마 줄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견인장치(10)의 견인 연결구(11)를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량에 연결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견인할 수 있도록 하되; 전방의 줄기 절단장치(40)가 고랑에 있는 고구마 줄기를 절단하고, 후방을 따라 이동하는 보습장치(30)가 고구마를 수확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줄기 절단장치(40)는 고랑의 바닥에 닿거나 조금 상승한 위치에서 감속모터(60)에 연결된 동력축(61)이 회전하면서 동력 스프라켓(63)에서 절단 스프라켓(64)에 체인(62)으로 연결되어 절단날(41)을 회전시키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고랑에 배출 또는 위치한 고구마 줄기를 절단하며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날 연결대(42)의 후방으로 연결된 탄성축(44)과 탄성 스프링(45)을 통하여 적절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고구마 줄기를 부드럽게 절단하면서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랑에 있는 고구마 줄기를 절단하면서 전진하게 되므로 이어서 전진하는 보습 연결대(34)에 고구마 줄기가 걸려 작업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습 연결대(34)가 고랑에 위치하도록 정렬한 상태에서 진행하면 보습장치(30)의 전방 보습(36)이 고랑의 흙을 파고 들어가 고구마가 있는 하측 부분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전방 보습(36)이 고구마의 하측으로 진입하면서 상측의 흙과 고구마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 날개 보습(37)이 흙과 고구마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면서 고구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보습장치(30)가 전방으로 빠르게 이송하면 흙은 측면 날개 보습(37)과 배출 보습(38)의 후방으로 빠르게 배출되면서 흙이 먼저 바닥에 배출되고 고구마가 나중에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 보습(38)는 흙이 빠르게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확하기 위한 고구마의 표면과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후방으로 배출되어 표면의 상처를 방지하게 되며 흙의 상부로 노출되어 수확하기에 편리하도록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보습장치(30)는 전방이 땅을 파고 들어가기 쉽게 경사가 크게 형성되고 후방에서 경사를 완만하게 형성하여 흙의 배출이 빠르고 수확하는 고구마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후방으로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습장치(30)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보습 연결대(34)의 하측에 설치된 흙 차단판(35)은 보습장치(30)에 의해 배출되는 흙이 고랑이 있는 부분인 측면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하여 그 자리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흙이 옆 고랑에서 배출되는 고구마를 덮어 수확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습장치(30)로 고구마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전방의 고랑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휘여지도록 형성된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폭 조절장치(20)의 폭 조절 실린더(21)를 구동하면 실린더축(22)이 전진 및 후진하게 되므로 연결판(23)과 이동링(25)이 폭 조절축(24)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게 되므로 보습 연결대(34)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랑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이동시켜 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폭 조절장치(20)는 고구마를 수확하는 작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둑과 가까운 위치를 통과하기 위해서 위치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습 연결대(34)는 이동 고정대(31)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탈착하는 것이며, 이동 고정대(31)를 후방 후레임(15)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랑의 폭에 따른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교환 보습장치(50)로 신속하게 교환하여 고랑의 폭과 작물의 종류에 따른 신속하고 편리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서 양파나 감자와 같은 구근 작물을 채취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습장치(30)를 교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보습장치(20)의 측면 날개 보습(37) 또는 보습 연결대(34)를 제거하여 교환 보습장치(50)의 양쪽 선단에 위치한 배출 보습(52)이 연결된 보습 연결대(34)를 이동 고정대(31)의 사이에 결합하여 연결볼트(27)로 새롭게 설치하는 것이다.
교환 보습장치(50)를 새롭게 설치한 후에는 보습 연결대(34)가 이동 고정대(31)의 2∼4칸의 폭을 차지하고 전방에 일정한 간격에서 전방 보습(51)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교환 보습장치(50)가 설치된 견인장치(10)를 통하여 고랑에서 전진한다.
그러면 전방 보습(51)이 고랑을 파고 들어가게 되고 흙이 배출 보습(5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흙은 후방으로 배출되어 곧바로 낙하되며 양파나 감자는 흙의 상측으로 배출되어 수확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보습장치(30)와 교환 보습장치(50)는 구근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것으로 선택하여 간편하게 설치한 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근의 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편리하고 안정되게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폭 조절장치를 통하여 보습장치의 위치를 왕복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구근의 종류에 따라서 보습장치를 교환하여 구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수확할 수 있고, 전진하는 보습 연결대의 전방에서 줄기 절단장치가 줄기를 절단하여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견인장치 11 : 견인 연결구
12 : 삼각 연결대 13 : 견인 연결축
14 : 전방 후레임 15 : 후방 후레임
20 : 폭 조절장치 21 : 폭 조절 실린더
22 : 실린더축 23 : 연결판
24 : 폭조절 축 25 : 이동링
26 : 고정대 30 : 보습장치
31 : 이동 고정대 32 : 고정볼트
33 : 너트 34 : 보습 연결대
35 : 흙 차단판 36, 51 : 전방 보습
37 : 측면 날개 보습 38, 52 : 배출 보습
40 : 줄기 절단장치 41 : 절단날
42 : 날 연결대 43 : 날 연결볼트
44 : 탄성축 45 : 탄성스프링
46 : 날 설치대 50 : 교환 보습장치
60 : 감속모터 61 : 동력축
62 : 체인 63 : 동력 스프라켓
64 : 절단 스프라켓

Claims (7)

  1. 견인 연결구(11)의 하측으로 삼각 연결대(12)가 연결된 견인장치(10)와; 상기 견인장치(10)의 하측으로 전방 후레임(14)과 후방 후레임(15)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후레임(15)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동 고정대(31)에 연결볼트(27)로 결합하는 보습 연결대(34)의 하측으로 보습장치를 설치하여 구근을 수확하는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보습 연결대(34)의 하측에서 한쪽으로 연결된 측면 날개 보습(37) 전방에 전방 보습(36)이 돌출되고 후방에는 배출 보습(38)을 형성하는 보습장치(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보습(36)과 측면 날개 보습(37)이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 보습(38)이 경미한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다 선단에서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새가 날아가는 모습을 갖도록 하고,
    상기 보습장치(30)의 보습 연결대(34) 전방으로 전방 후레임(14)에 설치하는 날 설치대(46)에 경사지게 하측으로 형성한 날 연결대(42)의 하측에 절단날(41)을 설치하여 줄기를 절단하도록 하고, 상기 날 연결대(42)와 날 설치대(46)의 사이를 탄성축(44)과 탄성 스프링(45)을 설치하는 줄기 절단장치(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장치(30)는 전방 보습(36)과 측면 날개 보습(37) 및 배출 보습(38)이 전체적으로는 새가 날아가는 보습을 측면상태로 "
    Figure 112017058394764-pat00014
    "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연결대(34)의 하측 후방에는 보습장치(30)에 의해 배출되는 흙이 고랑 부분인 측면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하도록 흙 차단판(35)이 일직선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KR1020150156777A 2015-11-09 2015-11-09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KR101824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77A KR101824076B1 (ko) 2015-11-09 2015-11-09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77A KR101824076B1 (ko) 2015-11-09 2015-11-09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73A KR20170054073A (ko) 2017-05-17
KR101824076B1 true KR101824076B1 (ko) 2018-01-31

Family

ID=5904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777A KR101824076B1 (ko) 2015-11-09 2015-11-09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0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92B1 (ko) * 2008-01-02 2009-10-08 이도현 방제 및 커팅 기능이 구비된 잔디 관리기
KR101388220B1 (ko) * 2013-10-15 2014-05-28 이세원 구근류작물 수확용 굴취기
KR101476921B1 (ko) * 2013-08-01 2014-12-26 정근화 진동식 굴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92B1 (ko) * 2008-01-02 2009-10-08 이도현 방제 및 커팅 기능이 구비된 잔디 관리기
KR101476921B1 (ko) * 2013-08-01 2014-12-26 정근화 진동식 굴취기
KR101388220B1 (ko) * 2013-10-15 2014-05-28 이세원 구근류작물 수확용 굴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73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03B1 (ko) 땅속작물 굴취 작업기
KR101323850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CN103262709A (zh) 自行式甘蓝菜收割机
KR101824076B1 (ko) 보습장치의 교환 가능한 구근 수확기
JP2009142226A (ja) 葉菜収穫機
CN203353191U (zh) 自行式甘蓝菜收割机
EP3310152B1 (en) Harvesting inter-seeded crops
KR101369728B1 (ko) 구황작물 줄기 제거장치
US92045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nt material from a bed of plants
KR200461744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흙 공급구조
KR101693499B1 (ko)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JP2017205079A (ja) 茎葉処理機
JP3863898B2 (ja) 根菜収穫機
CN206078120U (zh) 一种全自动葫芦收获机的割台装置
JP2016032460A (ja) 根菜類収穫機
KR101399098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CN114467377B (zh) 一种抛荒农田复耕处理设备
KR20190103794A (ko) 자주식 양파 수확기
KR200461743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농작물 배출구조
JP2018064473A (ja) 茎葉処理機
JP3863897B2 (ja) 根菜収穫機
CN208590251U (zh) 一种自走式大蒜联合收获机
JP2019083727A (ja) 排葉寄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茎葉処理機
JP3863899B2 (ja) 根菜収穫機
JP2008079520A (ja) 農作物の収穫装置又は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