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497B1 - 내진 구조물 - Google Patents
내진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3497B1 KR101823497B1 KR1020170051828A KR20170051828A KR101823497B1 KR 101823497 B1 KR101823497 B1 KR 101823497B1 KR 1020170051828 A KR1020170051828 A KR 1020170051828A KR 20170051828 A KR20170051828 A KR 20170051828A KR 101823497 B1 KR101823497 B1 KR 101823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thquake
- dustproof
- dustproof portion
- moved
- proo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은, 건물의 일 구성 요소인 기둥들 사이를 연결하는 보 - 상기 보는 제1 보 및 상기 제1 보의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보를 구비함. - 에 배치되어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내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에 연결되는 제1 구조물; 상기 제2 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보에 연결되는 제2 구조물;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내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진 모듈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 내진부 및 제2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조물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 및 인장응력으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내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공된 건축물에 내진 성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최소한의 비용으로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건축물에 내진 보강을 한다. 내진 보강은 지진에 의해서 건축물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진이 발생된 후 건축물의 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건축물의 자산 가치를 보전하는 목적을 만족시키면서 지신 시에 건축물이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를 명확히 예상을 한 후 이에 따라 구체적인 보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내진 보강은 크게 세가지 유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건물의 강도와 강성을 증가시키는 강도증진형, 건물의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연성증진형, 지진하중을 저감시키는 방법인 지진하중저감형이 있다. 이 중에서, 지진하중저감형은 건물의 중량을 감소시키거나, 면진 장치를 설치하거나 제진 장치를 설치한다. 제진 장치는 강재 댐퍼, 오일 댐퍼, 마찰 댐퍼 등이 있다.
여기서, 기존의 마찰 댐퍼는 내진 설계를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 단가가 비싸고, 오일 댐퍼 또는 강재댐퍼에 의해 내진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미 건축 현장에서 활용되는 자재를 사용하여 내진 기능을 향상시키는 내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건물의 일 구성 요소인 기둥들 사이를 연결하는 보 - 상기 보는 제1 보 및 상기 제1 보의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보를 구비함. - 에 배치되어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내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에 연결되는 제1 구조물; 상기 제2 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보에 연결되는 제2 구조물;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내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진 모듈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 내진부 및 제2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조물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 및 인장응력으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내진 모듈은, 복수개 배치되며, 하나의 상기 내진 모듈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내진 모듈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는 일면이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가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현하고,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의 이동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는,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진부는,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결합수단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관통부와 형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접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판은, 상기 제2 관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과 다른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는,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진부는,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단부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판은,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과 다른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구조물, 상기 제2 구조물,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는, H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일면이 상기 제1 내진부와 접촉되고, 타면이 상기 제2 내진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에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는,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진부는,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찰판은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과 다른 면인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제1 보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연결구역-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은 상기 제1 구조물의 임의의 부분으로서, 상기 제1 구조물의 일 부분 이거나, 상기 제1 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음. -을 구비하고, 상기 내진 구조물은, 복수의 상기 연결구역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1 보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제1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체결수단과 가장 인접한 제2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체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구조물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구조물은,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기 제2 체결수단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구조물의 폭 방향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내진 구조물에 의하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가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제1 구조물 및 제2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내진 모듈이 구비하는 제1 내진부 및 제2 내진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결합수단이 구비하는 접합판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제1 구조물이 제1 보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동작하여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내진 모듈이 구비하는 제1 내진부와 제2 내진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도 10(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내진 구조물이 동작하여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도 (11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13(b)는 도 (11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제1 구조물 및 제2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내진 모듈이 구비하는 제1 내진부 및 제2 내진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결합수단이 구비하는 접합판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제1 구조물이 제1 보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동작하여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내진 모듈이 구비하는 제1 내진부와 제2 내진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도 10(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내진 구조물이 동작하여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도 (11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13(b)는 도 (11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가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방향은 w1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w2 방향일 수 있으며, 제3 방향은 w3 방향일 수 있고, 제4 방향은 w4방향일 수 있고, 제5 방향은 w5 방향일 수 있으며, 제6 방향은 w6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 상기 방향에 대한 표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하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방향에 대한 부호는 도 1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건물은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과, 임의의 기둥과 상기 임의의 기둥으로부터 인접하는 기둥을 연결하는 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은 본 발명인 내진 구조물이 설치되는 제1 보(10), 제2 보(20), 제1 기둥(30) 및 제2 기둥(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30)은 상기 제1 방향(w1)에 배치되는 기둥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둥(40)은 상기 제2 방향(w2)에 배치되는 기둥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10)는 상기 내진 구조물의 상기 제3 방향(w3)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둥(30)과 상기 제2 기둥(4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20)는 상기 내진 구조물의 상기 제4 방향(w4)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둥(30)과 상기 제2 기둥(4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보(20)는 상기 제1 보(10)의 하측 방향을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w1)은 상기 제2 기둥(40)에서 상기 제1 기둥(30)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w2)을 상기 제1 기둥(30)에서 상기 제2 기둥(40)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w3)은 상기 제2 보(20)에서 상기 제1 보(10)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4 방향(w4)을 상기 제1 보(10)에서 상기 제2 보(20)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5 방향(w5)은 상기 제1방향, 상기 제2 방향(w2),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과 직교하면서 전방을 나타내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6 방향(w6)은 상기 제5 방향(w5)과 반대 방향인 후방을 나타내는 방향일 수 있다.
내진 구조물은 상기 제1 보(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10)에 연결되는 제1 구조물(50), 상기 제2 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20)에 연결되는 제2 구조물(60),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되어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내진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진 구조물은 상기 제1 구조물(50), 상기 제2 구조물(60), 상기 내진 모듈(100), 상기 내진 모듈(100)을 상기 제1 구조물(50)과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00), 상기 내진 모듈(100)의 구성요소 간에 결합을 구현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제1 구조물(50)과 상기 제1 보(10)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구조물(60)과 상기 제2 보(20)를 연결하는 체결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진 모듈(100)은 제1 내진부(110) 및 제2 내진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진부(110)는 상기 내진 모듈(100)에서 상기 제2 방향(w2)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내진부(120)는 상기 내진 모듈(100)에서 상기 제1 방향(w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진부(110)는 상기 내진 모듈(100)에서 상기 제1 방향(w1)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진부(110)는 상기 내진 모듈(100)에서 상기 제2 방향(w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진 모듈(100)은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 및 인장응력으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삽입부재(310) 및 접합판(3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10)는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상기 삽입부재(310)와 함께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400)은 상기 제1 구조물(50)을 상기 제1 보(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00)은 상기 제2 구조물(60)을 상기 제2 보(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수단(400)은 볼트, 나사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한 체결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과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2 내진부(120)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과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물(50)이 상기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물(50)이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제는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200)는 힌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술했던 연결부재(200)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조물(50), 상기 제2 구조물(60),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는 H빔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상기 제1 구조물(50), 상기 제2 구조물(60),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H빔인 것을 하나의 예시로 설명을 한다.
여기서, H 빔은 일단부, 타단부 및 중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상기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단부는 상기 중심부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타단부는 상기 중심부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단부는 일단일면 및 일단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단일면은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와 반대 방향 면일 수 있다. 상기 일탄타면은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 방향 면일 수 있다. 상기 일단타면은 상기 중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단부는 타단일면 및 타단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단일면은 상기 타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와 반대 방향 면일 수 있다. 상기 타단타면은 상기 타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 방향 면일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구조물(50), 상기 제2 구조물(60),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에 대해서 일단부, 타단부 및 중심부를 공통적이게 서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구조물(50)의 일단부는 제1 구조물일단부(51), 상기 제1 구조물(50)의 타단부는 제1 구조물타단부(52), 상기 제1 구조물(50)의 중심부는 제1 구조물중심부(53), 상기 제1 구조물(50)의 일단부의 일단일면은 제1 구조물일단일면(51a), 상기 제1 구조물(50)의 일단부의 일단타면은 제1 구조물일단타면(51b), 상기 제1 구조물(50)의 타단부의 타단일면은 제1 구조물타단일면(52a), 상기 제1 구조물(50)의 타단부의 타단타면은 제1 구조물타단타면(52b)으로 서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구조물(60)에 대해서, 제2 구조물일단부(61), 제2 구조물타단부(62), 제2 구조물중심부(63), 제2 구조물일단일면(61a), 제2 구조물일단타면(61a), 제2 구조물타단일면(62a) 및 제2 구조물타단타면(62b)으로 서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진부(110)에 대해서, 제1 내진부일단부(111), 제1 내진부타단부(112), 제1 내진부중심부(113),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 제1 내진부일단타면(111b), 제1 내진부타단일면(112a) 및 제1 내진부타단타면(112b)으로 서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진부(120)에 대해서, 제2 내진부일단부(121), 제2 내진부타단부(122), 제2 내진부(120)중심부,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 제2 내진부타단일면(122a) 및 제2 내진부타단타면(122b)으로 서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제1 구조물 및 제2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구조물(50)은 상기 제1 보(10)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연결구역(70)-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구조물(50)의 임의의 부분으로서, 상기 제1 구조물(50)의 일 부분 이거나, 상기 제1 구조물(5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음. -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구조물일단부(5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구조물일단일면(51a)으로부터 상기 제2 구조물일단타면(61a)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상기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으로 세 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전에서 상기 연결구역(7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구조물타단부(5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구조물타단일면(52a)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구조물(60)은 상기 제2 보(20)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연결구역(70)-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2 구조물(60)의 임의의 부분으로서, 상기 제2 구조물(60)의 일 부분 이거나, 상기 제2 구조물(6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음. -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2 구조물타단부(6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2 구조물타단일면(62a)으로부터 상기 제2 구조물타단타면(62b)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상기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으로 세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전에서 상기 연결구역(7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2 구조물일단부(6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2 구조물타단일면(62a)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임의의 구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10)와 상기 제1 구조물(50)이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 수단이 삽입되는 홀일 수 있고, 상기 제1 구조물(50)의 임의의 부분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구조물일단부(51) 및 상기 제2 구조물타단부(62)를 관통하는 홀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구역(70)은 홀이 아닌 상기 제1 구조물일단부(51) 및 상기 제2 구조물타단부(62)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기 연결구역(70)에는 상기 체결수단(40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별도의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연결부재(200)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을 연결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내진 모듈이 구비하는 제1 내진부 및 제2 내진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진부(110)는 상기 제1 내진부일단부(111)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115) 및 상기 제1 내진부중심부(113)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관통부(115)는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3개의 상기 제1 관통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1 관통부(115)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1 관통부(115)는 상기 제1 내진부일단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관통부(115)는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에서부터 상기 제1 내진부일단타면(111b)으로 상기 제1 내진일단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부(115)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관통부(115)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관통부(115)는 상기 삽입부재(310)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연결/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6)는 상기 제1 내진부중심부(11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6)는 상기 제1 내진중심부에서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6)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의해 상기 제1 내진부(110)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6)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과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내진부(120)는 상기 제2 내진부일단부(121)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125)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중심부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통부(125)는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3개의 상기 제2 관통부(125)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2 관통부(125)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 관통부(125)는 상기 제2 내진부일단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에서부터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으로 상기 제2 내진부일단부(121)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부(125)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관통부(125)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 관통부(125)는 상기 제1 관통부(115)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재(310)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연결/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관통부(115)와 상기 제2 관통부(125)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관통부(125)는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결합수단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관통부(115)와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통부(125)는 상기 제1 방향(w1)과 상기 제2 방향(w2)에 수직인 방향인 상기 제3 방향(w3)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통부(125)는 상기 제4 방향(w4)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6)는 상기 제2 내진부(120)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26)는 상기 제2 내진중심부에서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26)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의해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26)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2 내진부(120)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과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결합수단이 구비하는 접합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의 연결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결부재관통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관통부(210)는 핀(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관통부(210)와 상기 제1 연결부(116)에 상기 핀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관통부(210)와 상기 제2 연결부(126)에 상기 핀이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재관통부(210)는 상기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을 기준으로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관통부(210)는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이 위치 이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제1 방향(w1) 또는 상기 제2 방향(w2)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부재관통부(210)는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w1) 또는 상기 제2 방향(w2)으로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제조 오차, 상기 연결부재(200) 간의 간격에 따른 제조 오차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간의 비 접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관통부(210)는 장반경이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으로 배치되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연결부재관통부(21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술한 상기 연결부재관통부(21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제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술한 연결부재(20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접합판(32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접합판(32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과 다른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서, 상기 접합판(320)의 일면은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320)의 타면은 상기 삽입부재(310)와 대응되는 체결부재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제1 관통부(115) 및 상기 제2 관통부(125)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10)와 함께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여기서,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은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일 수 있다.)과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여기서,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은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일 수 있다.)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접합판(320)은 상기 접합판관통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합판관통부(321)는 상기 접합판(320)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관통부(321)는 상기 삽입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관통부(321)는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삽입부재(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제1 보(10), 제2 보(20), 제1 기둥(30) 및 제2 기둥(40)을 제외하고,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상기 제1 관통부(115) 및 상기 제2 관통부(125)를 지나는 가상의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조물(50)과 제2 구조물(60) 사이에 내진 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진 모듈(100)은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조물(50)과 상기 제2 구조물(6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한 개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물(50)은 상기 체결수단(400)에 의해 상기 제1 보(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조물(60)은 상기 체결수단(400)에 의해 상기 제2 보(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진 모듈(100)은 복수 개로서, 상기 제1 구조물(50)과 상기 제2 구조물(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상기 내진 모듈(100)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내진 모듈(100)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의 우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진 모듈(100)은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는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에 상기 연결부재(20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과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제1 관통부(115)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제2 관통부(125)에 삽입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부(115) 및 상기 제2 관통부(125)에 삽입된 삽입부재(310)에 상기 접합판(320)이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삽입부재(310)에 대응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삽입부재(31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320)의 일면은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에 접촉되고 상기 접합판(320)의 타면은 상기 체결부재와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방법에 의해,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제1 구조물이 제1 보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조물(50)은 상기 제1 보(10)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연결구역(70)-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구조물(50)의 임의의 부분으로서, 상기 제1 구조물(50)의 일 부분 이거나, 상기 제1 구조물(5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음. -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조물(60)은 상기 제2 보(20)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연결구역(70)-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70)은 상기 제2 구조물(60)의 임의의 부분으로서, 상기 제2 구조물(60)의 일 부분 이거나, 상기 제2 구조물(6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음. -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구조물(50) 및/또는 상기 제2 구조물(60)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역(70)은 상기 제1 구조물(50) 및/또는 상기 제2 구조물(60)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연결구역(70)은 제1 연결구역(71), 제2 연결구역(72), 제3 연결구역(73), 제N 연결구역(70)(여기서, N은 4 이상의 자연수)을 구비할 수 있다.
내진 구조물은 복수의 상기 연결구역(7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1 보(10) 간의 연결을 구현하거나 상기 제2 구조물(60) 및 상기 제2 보(20)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제1 체결수단(410) 및 상기 제1 체결수단(410)과 가장 인접한 제2 체결수단(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400)은 상기 연결구역(70)에 삽입되는 제1 체결수단(410), 제2 체결수단(420), 제3 체결수단(430), 제N 체결수단(400)(여기서, N은 4 이상의 자연수)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조물(50)은 제1 연결구역(71), 제2 연결구역(72), 제3 연결구역(73), 제4 연결구역(74), 제5 연결구역(75) 및 제6 연결구역(76)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은 상기 제1 연결구역(7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수단(420)은 상기 제4 연결구역(7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수단(430)은 상기 제5 연결구역(75)에 삽입될 수 잇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은 상기 제2 체결수단(420)으로부터 상기 제1 구조물(5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수단(420)은 상기 제1 체결수단(410) 및 상기 제3 체결수단(430)으로부터 상기 제1 구조물(5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체결수단(430)은 상기 제2 체결수단(420)으로부터 상기 제1 구조물(50)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수단(410)과 상기 제2 체결수단(420)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구조물(50)의 폭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수단(420)과 상기 제1 체결수단(410) 및 상기 제3 체결수단(430)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구조물(50)의 폭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수단(420)과 상기 제3 체결수단(430)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구조물(50)의 폭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체결수단(400) 간의 이격거리가 상술한 특징을 가짐으로서, 상기 제1 보(10)의 파손없이 상기 제1 구조물(50)을 상기 제1 보(10)에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일 예로서, 상기 체결수단(400) 및 상기 연결구역(70)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특징은 제2 보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동작하여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1 구조물(50)은 제1 방향(w1) 또는 제2 방향(w2)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구조물(60)은 제2 방향(w2) 또는 제2 방향(w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 구조물이 제1 방향(w1)으로 이동하고, 제2 구조물(60)이 제2 방향(w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구조물(50)이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고, 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1 방향(w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f) 및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에 작용되는 인장응력으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은 인장응력 이외에도 전단응력 등 다양한 응력으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8의 좌측 내진 모듈(100)에서처럼, 상기 제1 내진부(110)는 상기 제2 내진부(120)를 기준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우측 내진 모듈(100)에서처럼, 상기 제1 내진부(110)는 상기 제2 내진부(120)를 기준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진부(110)는 일면이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구조물(50)이 상기 제1 방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구조물(50)이 상기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마찰력(f)을 발생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이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에 접촉되어, 상기 제1 구조물(50) 및 상기 제2 구조물(60)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이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마찰력(f)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 되어 마찰력(f)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접합판(320)은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에서 슬라이딩 되어 마찰력(f)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슬라이딩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은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내진 모듈이 구비하는 제1 내진부와 제2 내진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판(330)은 상기 접합판(330)은,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과 다른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접합판(330)은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사익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접합판(330)은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125) 전부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판(330)은 두 개의 상기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접합판(330)은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125) 전부를 커버하도록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판(330)은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125) 전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와 길이가 동일 할 수 있다.
상기 접합판(33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복수의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하도록 배치됨으로서, 상기 접합판(330)과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이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판(330)과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내진 구조물의 내진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0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내진 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판(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500)은, 일면이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접촉되고, 타면이 상기 제2 내진부(120)와 접촉되어, 상기 제1 구조물(50)이 상기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에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마찰판(500)은 하나의 상기 제1 관통부(115) 및/또는 상기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찰판(500)은 사각형의 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마찰판(500)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마찰판(500)은 상기 삽입부재(310)가 관통하는 마찰관통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판(500)은 상기 삽입부재(310)가 삽입되어서,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과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판(500)은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에 슬라이딩 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마찰판(500)의 배치로 인해, 내진 구조물의 내진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제작 공정 및 설치 공정 상 발생될 수 있는 오차에 대해서 대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200) 간의 이격 오차로 인해,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 간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 및/또는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이 평평하지 못하고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 간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마찰판(500)을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내진 구조물이 동작하여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례로, 상기 제1 구조물(50)이 상기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마찰판(500)은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마찰력(f)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마찰판(500)은 상기 제1 내진부일단일면(111a)과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와 접촉하여, 상기 제1 구조물(50)이 상기 제1 방향(w1)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60)이 상기 제2 방향(w2)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내진부일단일면(111a)과 상기 제2 내진부일단일면(121a)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마찰력(f)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f)은 상기 마찰판(500)과 상기 제1 내진부(110)의 일면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에서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2 내진부일단타면(121b)과 상기 접합판(320)에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슬라이딩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1은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b)는 도 12(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내진부(120)는,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마찰판(600)은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일면과 다른 면인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120)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마찰판(600)은 상기 제 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제1 관통부(115) 및/또는 상기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판(600)은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상기 제1 관통부(115) 및 상기 제2 관통부(125)를 모두 커버할 수 있으면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와 길이가 같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술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마찰판(600)은 삽입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마찰관통부(6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 에서, 상기 마찰판(600)은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는 모든 제1 관통부(115) 및 상기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부 상기 제1 관통부(115) 및 상기 제2 관통부(125)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특징을 가짐으로서, 상기 마찰판(600)은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 사이에서 슬라이딩되어 발생시키는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3(a)의 내진 구조물이 포함하는 마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마찰판(700)은 복수의 상기 제1 관통부(115) 및 복수의 상기 제2 관통부(125)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판(700)은 복수의 상기 제1 관통부(115) 및 복수의 상기 제2 관통부(125)를 모두 커버할 수 있으면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진부(110) 및 상기 제2 내진부(120)와 길이가 같을 수 있다.
상기 마찰판(700)은 삽입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마찰관통부(7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서, 상기 마찰판(700)은 상기 제1 내진부(110)와 상기 제2 내진부(120) 사이에서 슬라이딩되어 발생시키는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의 연결부재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진부(110)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의 제1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진부(120)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의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관통부는 제1 연결부재관통부(210a), 제2 연결부재관통부(210b) 및 제3 연결부재관통부(210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1 연결부(116a), 제1-2 연결부(116b) 및 제1-3 연결부(116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1 연결부(126a), 제2-2 연결부(126b) 및 제2-3 연결부(126c)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연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1 연결부(116a)를 기준으로 상기 제4 방향(w4)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방향(w1)과 상기 제2 방향(w2)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제2-2 연결부(116b)를 기준으로 상기 제2-1 연결부(116a)와 상기 제2-3 연결부(116c)가 상기 제1 방향(w1)과 상기 제2 방향(w2)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상기 제1 연결부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1 내진부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제1 연결부의 개수 및 형상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한 상술한 특징(일례로, 복수의 상기 제1 연결부의 형상에 대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관통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관통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한 상술한 특징(일례로, 복수의 상기 제1 연결부의 형상에 대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제1 보 20 : 제2 보
50 : 제1 구조물 60 : 제2 구조물
Claims (15)
- 건물의 일 구성 요소인 기둥들 사이를 연결하는 보 - 상기 보는 제1 보 및 상기 제1 보의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보를 구비함. - 에 배치되어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내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에 연결되는 제1 구조물;
상기 제2 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보에 연결되는 제2 구조물;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내진 모듈; 및
상기 내진모듈이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상기 내진모듈과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진 모듈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 내진부 및 제2 내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진부는,
상기 제2 내진부와 나란히 배치되면서 일면이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진부가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이 위치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내진모듈은,
상기 제1 구조물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이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발생되는 마찰력 및 인장응력으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내진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모듈은,
복수개 배치되며,
하나의 상기 내진 모듈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내진 모듈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현하고,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진부는,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진부는,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결합수단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관통부와 형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과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접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판은,
상기 제2 관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과 다른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진부는,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진부는,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단부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판은,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과 다른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내진부의 상기 타면에서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 상기 제2 구조물, 상기 제1 내진부 및 상기 제2 내진부는,
H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판은,
일면이 상기 제1 내진부와 접촉되고, 타면이 상기 제2 내진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에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지진에 의한 건물의 진동을 상쇄하여 건물의 내진 기능을 구현하는 내진 구조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진부는,
상기 제1 내진부의 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진부는,
상기 제2 내진부의 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찰판은
상기 복수의 제1 관통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관통부를 커버하도록 일면이 상기 제1 내진부와 접촉되고 타면이 상기 제2 내진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진부와 상기 제2 내진부에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제1 보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연결구역- 상기 복수의 연결구역은 상기 제1 구조물의 임의의 부분으로서, 상기 제1 구조물의 일 부분 이거나, 상기 제1 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음. -을 구비하고,
상기 내진 구조물은,
복수의 상기 연결구역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1 보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제1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체결수단과 가장 인접한 제2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체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구조물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기 제2 체결수단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구조물의 폭 방향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828A KR101823497B1 (ko) | 2017-04-21 | 2017-04-21 | 내진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828A KR101823497B1 (ko) | 2017-04-21 | 2017-04-21 | 내진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3497B1 true KR101823497B1 (ko) | 2018-03-14 |
Family
ID=6166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1828A KR101823497B1 (ko) | 2017-04-21 | 2017-04-21 | 내진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349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48775A (ja) * | 1999-03-03 | 2000-09-12 | Sekisui House Ltd | 摩擦ダンパー及びこれを使用した壁体 |
JP3271239B2 (ja) * | 1997-08-25 | 2002-04-02 | 日本鋼管株式会社 | 鋼製耐震壁 |
JP2015135175A (ja) * | 2014-01-17 | 2015-07-27 | ツァイトアンファーレンクオチアシーイエンイエンチョウユアン | レバー式粘弾性振動吸収装置 |
KR101589735B1 (ko) * | 2015-09-21 | 2016-01-28 | 박상태 | 변위증폭 지렛대가 구비된 지진하중 감쇠장치 |
-
2017
- 2017-04-21 KR KR1020170051828A patent/KR1018234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71239B2 (ja) * | 1997-08-25 | 2002-04-02 | 日本鋼管株式会社 | 鋼製耐震壁 |
JP2000248775A (ja) * | 1999-03-03 | 2000-09-12 | Sekisui House Ltd | 摩擦ダンパー及びこれを使用した壁体 |
JP2015135175A (ja) * | 2014-01-17 | 2015-07-27 | ツァイトアンファーレンクオチアシーイエンイエンチョウユアン | レバー式粘弾性振動吸収装置 |
KR101589735B1 (ko) * | 2015-09-21 | 2016-01-28 | 박상태 | 변위증폭 지렛대가 구비된 지진하중 감쇠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75948B2 (ja) | 制震装置 | |
SA121420471B1 (ar) | مفصل مقوى مخمد من أجل وصلة التقاء عارضة- عمود | |
KR101844983B1 (ko)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199684B1 (ko) | 점성댐퍼와 이력댐퍼의 복합감쇠기 | |
US6840017B1 (en) | Vibration control structure | |
KR102138606B1 (ko) | 좌굴방지 기능을 구비한 제진 장치 | |
KR101427240B1 (ko) |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 |
JP2008057121A (ja) | 建物の防振構造 | |
JP2012021303A (ja) | 連結金具 | |
KR101823497B1 (ko) | 내진 구조물 | |
KR101995248B1 (ko) |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 |
JP6807657B2 (ja) |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 |
JP4460466B2 (ja) | 制震架構体 | |
KR102124584B1 (ko) | 구조물용 진동 저감장치 | |
JP2007146437A (ja) | 建築物の制振装置 | |
JP2009270388A (ja) | 建物用制振装置および建築物の制振構造 | |
KR101210175B1 (ko) | 횡방향으로 병렬배치된 복수개의 점성댐퍼와 이력댐퍼로 이루어진 복합감쇠기 | |
KR20190098410A (ko) | 방진가대용 스토퍼 | |
KR102316597B1 (ko) | 벽체형 와이어 제진 장치 | |
CN109736429B (zh) | 一种建筑抗震防倒塌结构 | |
KR101844986B1 (ko) |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 |
JP2007284867A (ja) | 建物の補強構造 | |
KR101995470B1 (ko) |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 |
KR101209959B1 (ko) | 직렬연결 점성댐퍼와 이력댐퍼의 복합감쇠기 | |
JP2020143502A (ja) | 耐力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