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295B1 -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 Google Patents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295B1
KR101823295B1 KR1020170064205A KR20170064205A KR101823295B1 KR 101823295 B1 KR101823295 B1 KR 101823295B1 KR 1020170064205 A KR1020170064205 A KR 1020170064205A KR 20170064205 A KR20170064205 A KR 20170064205A KR 101823295 B1 KR101823295 B1 KR 10182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icide
spraying
carbon dioxide
bu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미란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주미란
이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란, 이은영 filed Critical 주미란
Priority to KR102017006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8Holders or dispensers for pressurized insecticide, e.g. pressurized vessels, cans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 도포시 도포된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충(蟲)을 급속하게 동결되도록 하여 제거되게 하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이산환탄소, 휘발성 유기용매 및 천연살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살충제는 살충제 총량에 대하여, 액체이산화탄소 83~87중량%, 휘발성 유기용매 11~13중량% 및 제충국 2~4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Eco-friendly rapid freezing insecticide for spraying}
본 발명은 분무 도포시 도포된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충(蟲)을 급속하게 동결되도록 하여 제거되게 하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살충제는 해당목적 해충을 퇴치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제조되어 가공된 화학적 케미컬 소재에 의한 살충제가 유일하였다.
물론 화학적 케미칼 소재의 적절한 사용은 크게 문제시 되어지지 않으나, 화학적 케미컬 소재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히 존재하며 근래 들어 화학적 케미컬 소재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이 발견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성분만이 아닌 환경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모든 화학적 케미컬 소재의 종류가 지속적으로 많은 양을 사용하여 인체에 누적되어질 경우 그 누적된 화학적 케미컬 소재의 독성이 발현되어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은 현재까지 여러가지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이다.
물론, 현재의 살충방제에 사용되는 화학적 케미컬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은 것은 아니나. 현시대의 사용자들은 보다 안전한 소재의 살충제를 요구하는 추세이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0333호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5958호 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9789호 4.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7706호
본 발명에서는 해충박멸에 사용되는 살충제를 액체이산환탄소, 휘발성 유기용매 및 천연살충제를 혼합한 조성으로, 상기 살충제를 분무살포가 가능한 조성물로 분무용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분무 살포시 액체이산화탄소의 특성에 따라 살포된 후, 급속동결작용이 일어나 해충을 급속하게 냉동 동결시켜 1차 방제가 이루어지고, 함께 분무되게 되는 천연살충제에 의해 2차 방제가 이루어지는 방제작용 효과를 가지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공되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가 충진된 살충용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은 액체이산환탄소, 유기용매 및 천연살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살충제는 액체이산화탄소 83~87중량%, 휘발성 유기용매 11~13중량% 및 제충국 2~4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휘발성 유기용매는 에틸알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재된 살충제가 투입된 살충용 분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는 액체이산화탄소, 유기용매 및 천연살충제를 혼합한 조성으로, 상기 살충제를 분무살포가 가능한 조성물로써 분무용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분무 살포시 액체이산화탄소의 특성에 따라 살포된 후, 급속동결작용이 일어나 해충을 급속하게 냉동 동결시켜 1차 방제가 이루어지고, 함게 분무되게 되는 천연살충제에 의해 2차 방제가 이루어지는 방제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급속 동결 살충제의 도포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분무 도포시 도포된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해충(害蟲)을 급속하게 동결되도록 하여 제거시키고, 포함되는 천연살충제에 의해 2차 방제가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지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는 액체이산화탄소, 유기용매 및 천연살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충제는 살충제 총량에 대하여, 액체이산화탄소 83~87중량%, 휘발성 유기용매 11~13중량% 및 제충국 2~4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액체이산화탄소는 기체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액화시킨것으로 공기중에 노출시 바로 기화되는 성질때문에 물건이 젖거나 2차적인 오염을 피할 수 있으며, 기화되는 과정에 -75~-80℃ 정도로 급속 냉동이 되어지기 때문에 액체이산화탄소에 노출되는 해충들이 급속히 냉동동결되어 1차 방제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 살충제는 분무용용기에 충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액체이산화탄소의 급속한 기화작용으로 그 분출압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관계로 그에 따른 특수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액체이산화탄소의 혼합량이 83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급속 동결에 의한 살충효과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87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액체이산화탄소의 함량이 과도하여 살충제 분무시 노즐이 쉽게 동결되어 살충제의 분사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알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충국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5~6월에 만개한 제충국을 예취하여 적당한 길이로 잘라 건조시킨 다음, 그 건조된 제충국을 에틸알콜에 1:1의 중량비로 24±2시간 동안 담금처리한다. 담금시간이 최대 26시간이 초과한다 하더라도 제충국에 함유된 살충성분이 더이상 용출되지 않기때문에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최대 26시간 이내에 담금처리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충국에는 살충성분으로 피레트린 I, 피레트린 II, 시네린 I, 시네린 II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만개시에 최고 함량에 달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담금처리가 완료된 후, 여과시켜 진한 녹색의 여과액을 취득하고, 취득된 여과액은 불투명 용기에 옮겨 담아 보관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여과액을 편의상 제충국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휘발성 유기용매는 화장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제충국과 잘 혼합되어 용매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휘발성 유기용매는 제충국과 혼합되어 구성되게 되며, 분무시 이산화탄소의 압력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동시에 분무되게 된다. 이때, 이산화탄소에 의해 1차 살충방제가 이루어지고, 휘발성 유기용매와 함께 분무되는 제충국에 의해 2차 방제가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휘발성 유기용매는 11~13중량%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만일 1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높아져 살충제가 노즐을 통한 분사시 과도하게 동결되어 살충제의 분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1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낮아지게 되어 급속 동결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충국은 2~4중량%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만일, 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와 혼합된 후 살충제 내에서의 성분비율이 미미하여 살충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4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이산화탄소의 급속 동결효율을 낮추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의 기화현상으로 해충의 급속동결이 이루어지면서 공기중으로 기화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이산화탄소가 기화된후, 잔존하여 2차 살충방제 작용시 휘발성 유기용매 또한 상온에서 기화되어 건조가 이루어져 휘발성 유기용매에 의한 젖음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와 휘발성 유기용매는 공기중으로 기화되어 잔존하지 않게 되고, 천연살충제만이 잔존하게 되어 2차 살충방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충제는 액체이산화탄소 85중량%, 휘발성 유기용매 12중량% 및 제충국 3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는 분무용 용기에 충전되어 사용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하기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기술구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액체이산화탄소 85중량%, 에틸알콜 12중량% 및 제충국 3중량%를 포함하도록 혼합된 살충제를 제조하고, 제조된 살충제를 분무용 용기에 충진하여 준비하였다. 또한, 상기 액체이산화탄소는 별도의 용기에 충진하여 준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분무용 용기와 별도의 용기는 액체이산화탄소의 취급 규정에 따라 제작된 용기를 사용하여 저장하였으며, 분무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액체이산화탄소 용기(1)에 호스(2)와 노즐(3)을 결합하고, 상기 호스(2)에 에틸알콜과 제충국이 혼합된 분무용 용기(4)를 연통시키기 위한 호스(5)가 상기 액체이산화탄소의 호스(2)와 연통되도록 하여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가로×세로×높이=1m×1m×1m인 투명 용기를 준비하고, 상기 투명용기의 일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연결캡을 장착한 다음, 상기 연결캡을 통해 개체수 상기 용기에 모기를 투입시켜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의 연결캡에 분무용용기를 연결하여 준비된 살충제를 5초간 분무한 다음, 24시간 방치하였다.
24시간 방치한 후, 용기 내의 살아있는 모기 개체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본 결과, 모두 방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살충제와 살충효과를 비교하여 보기 위하여 실시예에서 준비된 동일한 용기에 모기개체수를 동일하게 유지한 후, 준비된 액체이산화탄소만을 분부하여 보았으며, 동일하게 24시간 방치한 후, 그 살충효과를 육안 검사하여본 결과, 모기가 완전히 방제되지 않고, 몇마리의 개체가 살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액체이산화탄소만으로 방제하게 될 경우, 살충효과를 100% 만족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는 1차 액체인산화탄소에 의해 1차 방제가 이루어지고, 함께 분무되어 살포되는 제충국에 의해 2차 방제가 이루어져 100%의 살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 이산화탄소 용기 2, 5: 호스
3: 노즐 4: 분무용 용기

Claims (4)

  1. 삭제
  2. 분무용 동결 살충제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는 살충제 총량에 대하여, 액체이산화탄소 83~87중량%, 휘발성 유기용매 11~13중량% 및 제충국 2~4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체이산화탄소에 의해 해충의 급속냉동동결로 1차 방제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충국에 의해 2차 방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충국은 5~6월에 만개한 제충국을 예취하여 적당한 길이로 잘라 건조시킨 다음, 그 건조된 제충국을 에틸알콜에 1:1의 중량비로 24±2시간 동안 담금처리하여 얻어진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유기용매는 에틸알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4. 삭제
KR1020170064205A 2017-05-24 2017-05-24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KR101823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05A KR101823295B1 (ko) 2017-05-24 2017-05-24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05A KR101823295B1 (ko) 2017-05-24 2017-05-24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295B1 true KR101823295B1 (ko) 2018-03-14

Family

ID=6166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05A KR101823295B1 (ko) 2017-05-24 2017-05-24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2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9623B2 (ja) * 1994-03-25 2004-02-2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9623B2 (ja) * 1994-03-25 2004-02-2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剤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0477B2 (ja) アリ防除剤
JP6490847B2 (ja) 害虫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JP7026270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KR20160079259A (ko) 식물성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JP2020186271A (ja) 害虫防除用エアゾール剤
JP2023033588A (ja) 除草剤
JP2012116774A (ja) コバエ防除用エアゾール製品
JP6132703B2 (ja) ハチの営巣防除用エアゾール剤、及びこれを用いたハチの営巣防除方法
JP2009120608A (ja) 有害生物用忌避材
KR101806937B1 (ko) 액상의 조류 퇴치 조성물을 이용한 조류퇴치제 제조방법
WO201006019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s
KR101823295B1 (ko) 분무용 친환경 급속 동결 살충제
JP5903300B2 (ja) エアゾール型殺虫剤
MXPA04006372A (es) Insecticida/funguicida bioracional y metodo de aplicacion.
KR102098858B1 (ko) 조협 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살비제 조성물
CA3007706A1 (en) Animal repellant
KR102387295B1 (ko) 수목의 보호 및 상처 치료를 위한 황토 스프레이
CN109874809B (zh) 一种园林绿化树干驱虫用药包
US6139857A (en) Method of repelling rodents and vermin
JP2006117623A (ja) 屋外用一液性水性エアゾール剤
JP6824016B2 (ja) 屋外で用いる飛翔害虫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屋外で用いる飛翔害虫防除用エアゾールの防除効力増強方法
JP7433404B2 (ja) コバエ防除用スプレー製品、及びコバエの発生を予防する方法
JP7492343B2 (ja) 一液型水性エアゾール組成物
CN107873342B (zh) 一种油樟驻杆害虫的防治方法
JP7437131B2 (ja) ヒアリ用忌避組成物、及び、ヒアリの忌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