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654B1 -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654B1
KR101822654B1 KR1020110049670A KR20110049670A KR101822654B1 KR 101822654 B1 KR101822654 B1 KR 101822654B1 KR 1020110049670 A KR1020110049670 A KR 1020110049670A KR 20110049670 A KR20110049670 A KR 20110049670A KR 101822654 B1 KR101822654 B1 KR 10182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ue
induction motor
sliding mode
phase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477A (ko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6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motor fa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가 개시되며, 이 장치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사용하여, 3상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3상 전류 값을 변환하여 전류 추정치를 계산하는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 전류 제어를 위해 전류 기준 값과 상기 전류 추정치를 입력받아 비례 적분하여 전압 값을 출력하는 전류 제어기; 및 상기 전압 값을 처리하여 상기 3상 인버터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DUCTION MOTO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FOR VEHICLE WITH SLIDING MODE OBSERVER}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EPS; Electronic Power Steering)의 유도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다 안정된 제어 응답을 피드백하기 위해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적용한 차량용 EPS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조향 장치(EPS; Electronic Power Steering)가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 경향에 있어, EPS의 제어 방법 또는 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댐핑 성능이 양호하고 전류 소모가 낮으며, 안정성이 보장되는 EPS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댐핑 성능이 양호하고 전류 소모가 낮으며, 안정성이 보장되는 EPS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가 개시되며, 이 장치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사용하여, 3상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3상 전류 값을 변환하여 전류 추정치를 계산하는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 전류 제어를 위해 전류 기준 값과 상기 전류 추정치를 입력받아 비례 적분하여 전압 값을 출력하는 전류 제어기; 및 상기 전압 값을 처리하여 상기 3상 인버터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는 상기 전류 기준 값과 상기 전류 추정치의 차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전류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는 슬라이딩 모드 표면에 도달하도록 상기 전류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변환기는 상기 전압 값을 변환하여 3상 전압 값을 생성하고, 상기 3상 전압을 펄스 진폭 변조하여 상기 3상 인버터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3상 인버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유도 전동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3상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3상 인버터로부터 유도 전동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는 유도 전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속도 제어를 위해 상기 유도 전동기로부터의 실제 속도 값과 기준 속도 값을 입력받아 비례 적분하여 상기 전류 기준 값을 생성하는 속도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따라, 기준 속도 값에 따라 추종 시 정상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가 감소하여 보다 안정된 제어 응답을 기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소모되는 전류 값을 줄여 효율성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제어 응답 특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전류 소모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조향 장치(EPS; Electronic Power Steering)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는 3상 인버터(160)로부터 출력되는 3상의 유도 전동기 구동 신호(iu, iv, iw)를 처리하여 피드백 신호로 전류 제어기(12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에는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190)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190)는 유도 전동기 구동 신호(iu, iv, iw) 중 2개의 상에 해당하는 전류 신호(ia, ib)를 이용하여 전류 추정치(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1
,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2
)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190)는 전류 신호로부터 자속(flux)을 획득하여, 자속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전류 추정치(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3
,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4
)는 S-R(stationary to rotating) 변환기(180)에 의해 q축 전류 및 d축 전류 추정치(iq, id)로 변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3상 고정 좌표계에서 회전 좌표계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전류 추정치(iq, id)는 전류 기준 값(iqref, idref)과 함께 전류 제어기(120)로 입력될 수 있다.
전류 제어기(120)는 입력된 전류 기준 값(iqref, idref)과 전류 추정치(iq, id)를 입력받아 비례 적분(PI; Proportional Integral) 제어를 통해 전압 값(uq, ua)를 계산할 수 있다. R-S(rotating to stationary) 변환기(130)는 직류인 전류 추정치를 3상 교류 신호 중 2개의 상에 해당하는 교류 전압 값(ua, ub)을 획득할 수 있다. 2-3상 변환기(140)는 3상 교류 신호 중 2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나머지 하나의 1개의 신호를 계산하여 총 3개의 3상 교류 신호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펄스 진폭 변조기(150)는 3상 교류 신호를 입력받아 3상 인버터(16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3상 인버터(160)는 구동되어 유도 전동기(195)를 구동시킬 수 있다.
3상 인버터(160)는 유도 전동기(195)의 구동을 위한 신호(iu, iv, iw)를 생성하여 유도 전동기 측으로 출력하며, 또한 유도 전동기 구동 신호(iu, iv, iw)는 피드백 신호로 3-2상 변환기(170)로 제공될 수 있다. 3-2상 변환기(170)는 3상 중 2개의 상에 해당하는 전류 값(ia, ib)을 출력하며, 이 전류 값(ia, ib)은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190)로 입력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190)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하여 전류 추정치(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5
,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6
)를 계산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드 기법은 미지의 변수를 추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자속 오차 및 전류 오차를 0으로 수렴하도록 변수를 추정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드 기법은 슬라이딩 모드 면(sliding mode surface)을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7
추정치가 위의 s(x;t)=0(즉, s=0)이 되도록 그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모드 면은 추정치들로 이루어진 함수로 가정할 수 있다. s(x;t)가 0이 되려면,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8
가 0이 되도록 제어해야 하고,
Figure 112011039242073-pat00009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39242073-pat00010
x(t)는 유도 전동기의 구동 신호를 3-2상 변환한 신호(ia, ib)로 볼 수 있으므로,
Figure 112011039242073-pat00011
가 0이라는 것은 추정치 xd(t)가 유도 전동기의 구동 신호와 동일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PI 제어, R-S 변환, S-R 변환, 2-3상 변환 및 3-2상 변환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본 발명의 핵심 사항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200)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사용하여, 3상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3상 전류 값을 변환하여 전류 추정치를 계산하는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210); 전류 제어를 위해 전류 기준 값과 상기 전류 추정치를 입력받아 비례 적분하여 전압 값을 출력하는 전류 제어기(220); 상기 전압 값을 처리하여 상기 3상 인버터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기(230);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유도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3상 인버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210)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하여 자속 추정치 또는 전류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드 기법은 미지의 변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자속 오차 또는 전류 오차를 0으로 수렴하도록 제어하여 전류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210)는 슬라이딩 모드 표면에 도달하도록 상기 전류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전류 제어기(220)는 비례 적분 제어기로서, 기준 전류 값을 입력받아 3상 인버터(240)에 입력될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전류 제어기(220)의 출력인 전압 값이 직접 3상 인버터(240)에 입력되는 것은 아니다. 전류 제어기(220)로부터 출력된 전압 값은 변환기(230)로 입력되어, 변환기(230)는 이 출력 전압 값을 처리하여 3상 인버터의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기(230)는 R-S 변환, 2-3상 변환 및 펄스 진폭 변조(PWM)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변환기(230)가 R-S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210)에 의해 계산된 전류 추정치(
Figure 112011039242073-pat00012
,
Figure 112011039242073-pat00013
)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장치(200)는 상기 3상 인버터(240)로부터 유도 전동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는 유도 전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제어를 위해 상기 유도 전동기로부터의 실제 속도 값과 기준 속도 값을 입력받아 비례 적분하여 상기 전류 기준 값을 생성하는 속도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제어 응답 특성을 도시한다. 도 3의 (a) 내지 (c)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응답 특성이고, 도 3의 (d) 내지 (f)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한 경우의 응답 특성이다.
도 3의 (a)는 EPS의 속도에 따른 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a)에 표시된 A 및 B 구역을 상세히 확대한 그래프가 각각 도 3의 (b) 및 (c)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그래프는 마치 하나의 선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론 사용자에 의한 속도 입력, 즉 속도 지령에 따른 직선과, 그를 추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에 따른 응답 특성의 직선이 도시되어있다.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3의 (b) 및 (c)는 도 3의 (a)의 A, B 구역을 확대한 것이다. 실제 속도 출력 값(W)이 속도 지령(Wref)을 추종해야 하는 것이 이러한 제어의 목표이나, 도 3의 (b)에서 약 1.20초 내지 1.25초 구간에서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것이 관측되며, 오버슈팅의 피크 값은 17rpm정도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에서 약 3.40초 내지 3.48초 구간에서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것이 관측되며, 오버 슈팅의 피크 값은 16rpm정도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d)는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한 경우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d)의 그래프도 마치 하나의 직선으로 도시된 것으로 보이나, 실제론 2개의 직선(속도 지령, 그에 따른 출력 속도 값)으로 도시된 것이다. 도 3의 (d)에 표시된 A' 및 B' 구역을 확대한 그래프가 각각 도 3의 (e) 및 (f)이다. 도 3의 (e) 및 (f)는 속도 지령(Wref)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어에 따른 출력 값(W)을 도시한다. 도 3의 (e) 및 (f)에서는 응답 특성이 오버슈팅이 발생하지 않으며, 미미하지만 도 3의 (b) 및 (c)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더 짧은 시간 내에 출력이 안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전류 소모를 도시한다. 도 4의 (a) 및 (b)는 슬라이딩 모드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전류 값(iq, id)을 도시하며, 도 4의 (c) 및 (d)는 슬라이딩 모드를 이용한 경우의 전류 값(iq, id)를 도시한다. 슬라이딩 모드 기법의 효과를, 도 4의 (b) 및 (d)를 비교하면 명확해진다.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도 4의 (b))엔 전류가 약 8.15A가 소모되지만,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도 4의 (a))엔 전류가 약 6.19A가 소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도 3 및 4를 통해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시에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오버슈팅이 발생하지 않으며, 빠른 안정 속도 그리고 전류 소모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실시예들은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인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수정 등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200: 차량의 EPS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210: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 220: 전류 제어기
230: 변환기 240: 3상 인버터

Claims (7)

  1. 차량의 전동 조향 장치(EPS; electronic power steering) 용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로서,
    3상 인버터로부터 유도 전동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는 유도 전동기;
    전류 제어를 위해 전류 기준 값과 전류 추정치를 입력받아 비례 적분하여 전압 값을 출력하는 전류 제어기;
    상기 전압 값을 처리하여 상기 3상 인버터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기;
    상기 3상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3상의 유도 전동기 구동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전류 제어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신호의 전달경로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모드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3상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3상 전류 값을 변환하여 상기 전류 추정치를 계산하는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 및
    속도 제어를 위해 상기 유도 전동기로부터의 실제 속도 값과 기준 속도 값을 입력받아 비례 적분하여 상기 전류 기준 값을 생성하는 속도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 제어기는 상기 실제 속도 값과 상기 기준 속도 값을 입력받아 1차적으로 비례 적분하고, 상기 전류 제어기는 상기 전류 기준 값과 상기 전류 추정치를 입력받아 2차적으로 비례 적분하는 유도전동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는,
    상기 전류 기준 값과 상기 전류 추정치의 차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전류 추정치를 계산하는, 유도전동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는 슬라이딩 모드 면(surface)을 정의하고, 상기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는 전류 추정치가 상기 슬라이딩 모드 면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유도전동기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상기 전압 값을 변환하여 3상 전압 값을 생성하고, 상기 3상 전압을 펄스 진폭 변조하여 상기 3상 인버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유도전동기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인버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유도 전동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3상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10049670A 2011-05-25 2011-05-25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KR10182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670A KR101822654B1 (ko) 2011-05-25 2011-05-25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670A KR101822654B1 (ko) 2011-05-25 2011-05-25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77A KR20120131477A (ko) 2012-12-05
KR101822654B1 true KR101822654B1 (ko) 2018-01-26

Family

ID=4751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670A KR101822654B1 (ko) 2011-05-25 2011-05-25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1814B (zh) * 2021-04-25 2022-11-18 中南大学 用于低精度编码器场合的异步电机负载转矩观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4034A (ja) * 2006-02-02 2007-08-16 Zf Lenksysteme Gmbh 重畳角操作部の操作角及び出力トルク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制御構造
JP4413098B2 (ja) * 2004-07-15 2010-02-10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3098B2 (ja) * 2004-07-15 2010-02-10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204034A (ja) * 2006-02-02 2007-08-16 Zf Lenksysteme Gmbh 重畳角操作部の操作角及び出力トルク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制御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77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058B2 (en) Control apparatus for AC motor
CN109874401B (zh) 交流电动机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以及交流电动机驱动系统
JP2007202365A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駆動装置
US9166513B2 (en) Inverter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verter apparatus, and electric motor drive system
CN109546913B (zh) 一种电容小型化电机驱动装置
US10389289B2 (en) Generating motor control reference signal with control voltage budget
JP2010119245A (ja)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JP2016063559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14128052A5 (ko)
CN111418146B (zh) 电动机的控制方法以及电动机的控制装置
WO2014132731A1 (ja) インバータ装置、建設機械、電動機制御方法
JP5354036B2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US11601080B2 (en) Motor control device
JP7158573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車両システム
JP2005229717A (ja) 同期電動機の電流センサレ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822654B1 (ko)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유도 전동기 제어 장치
JP2006211894A (ja) V/f制御法則に従って動作する速度制御機による電流出力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6217762A (ja) 交流電動機駆動装置
JP2013074674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方法
JP6690956B2 (ja) 過変調pwmインバータ装置
JP7111026B2 (ja) 電動機駆動システムおよび電動機駆動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バータ制御方法
JP4842179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5005016A1 (ja)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及び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WO2017122490A1 (ja) モ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2235556A (ja) 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