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778B1 -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78B1
KR101821778B1 KR1020160060978A KR20160060978A KR101821778B1 KR 101821778 B1 KR101821778 B1 KR 101821778B1 KR 1020160060978 A KR1020160060978 A KR 1020160060978A KR 20160060978 A KR20160060978 A KR 20160060978A KR 101821778 B1 KR101821778 B1 KR 101821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xyethylene
weight
parts
ether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200A (ko
Inventor
오상택
전호균
박현주
권기섭
김효섭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주)보광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광,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주)보광
Priority to KR102016006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7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08L7/02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고무 라텍스, 물, 동결방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및 기타 다양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타이어 펑크 보수 시, 실런트 조성물 주입장치의 주입구 막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과 도포성 등도 우수하도록 하는,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A eco―friendly sealant composition for repairing tire having excellent High or low Temperature Stability and coating property}
본 발명은 천연고무 라텍스, 물, 동결방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및 기타 다양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타이어 펑크 보수 시, 실런트 조성물 주입장치의 주입구 막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과 도포성 등도 우수하도록 하는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 타이어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그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펑크는 70,000km이상 혹은 6 ~ 7년 정도에 단 1번의 펑크가 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지만 불의의 사고 및 노면 상태, 노화 정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긴급하게 타이어의 펑크를 봉합하고자 하는 자동차 펑크 긴급 보수용 실런트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자동차의 평크 실런트로 사용되는 베이스 폴리머는 우수한 밀봉기능 및 물성을 나타내는 천연고무 라텍스(NR latex)이다. 천연고무 라텍스는 원산지 및 당해 연도의 작황에 따라 가격 등의 차이가 나며 종류에 따른 특성 차이도 커서 자동차 등의 타이어 펑크 실런트로 사용되는 천연고무 라텍스는 극히 일부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에 의한 코드의 부식 및 단백질의 부패로 인한 피막형성 및 실런트 주입장치의 주입구 막힘 등의 문제로 타이어 보수용 실런트 관련 분야에서는 주로 단백질을 제거한 천연고무 라텍스를 선호하고 있으나, 가격적으로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쉽게 상용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1에서는 밀봉제 20 내지 60 중량부, 동결방지제 20 내지 40 중량부, 점착제 0.5 내지 8 중량부, 고형분 10 내지 30 중량부 및 탈 이온수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봉제는 수성라텍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동결방지제는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형분은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칼륨장석 및 나트륨장석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타이어용 실런트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런트 조성물은 피막형성과 실런트 주입장치에 적용할 경우 주입구가 막히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1368호 "자동차 타이어용 실란트 조성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고무 라텍스, 물, 동결방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및 기타 다양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타이어 펑크 보수 시, 실런트 조성물 주입장치의 주입구 막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과 도포성 등도 우수하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0.1 ~ 20 중량부, 동결방지제 1 ~ 5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 5 중량부, 소포제 0.1 ~ 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0.1 ~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천연고무 라텍스는, 고형분이 50 ~ 7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동결방지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폴리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모노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네오펜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 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스 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패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 틸렌올레일아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소듐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암모니움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디설페이트, 소듐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셀페이트, 암모니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트,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릴 포스페이트 혼합물,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페티아민 아세테이트, 올레일 이미다 졸리님움 메토설페이트, 페티 암모니움 설페이트, 탈로 이미다지움 메토설페이트, 올레일 이미다지움, 올레일 이미다지움 메토셀페이트, 메틸 트리에탄올 암모니움메틸설페이트 디알킬에스테르,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 알킬베타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 등의 물성과 보관안정성 등의 사용 편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실런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타이어 펑크를 보수하는 경우 실런트 조성물 주입장치의 주입구 막힘이 없어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은,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0.1 ~ 20 중량부, 동결방지제 1 ~ 5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 5 중량부, 소포제 0.1 ~ 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0.1 ~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고무 라텍스는 일반적으로 고형분이 50 ~ 70중량부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천연고무 라텍스는 어떠한 종류를 선택하여도 무방하며, 희석 및 농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천연고무 라텍스는 단백질 제거 및 미제거 상태의 천연고무 라텍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단백질을 제거한 천연고무 라텍스는 단백질에 의한 부패 및 피막 형성이 없고 암모니아에 의한 타이어 코드 손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으나 가격적으로 고가이고, 일반 천연고무 라텍스는 단백질에 의한 부패로 주입구 막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어질 필터링 공정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의 천연고무 라텍스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조성물의 씰링성 및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은 상기 천연고무 라텍스를 희석시키는 동시에 전체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사용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씰링 효과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동결방지제는 동결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글리콜 계열의 물질로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 ~ 50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저온에서 동결 방지 효과가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이 급격히 감소하며 씰링 효과도 결핍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와 소포제는, 실런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첨가제로써, 산화방지제는 실런트와의 상용성(침전, 응집, migration 문제 방지)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수용액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액상의 산화방지제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고상의 산화방지제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등을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수성실란트와의 상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액상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포제로는 소포제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변성폴리메틸실록산계, 비실리콘계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화방지제와 소포제는 각각 0.1 ~ 5 중량부 및 0.1 ~ 5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함량을 이 범위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산화방지제와 소포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타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저장안정성 및 피막형성 방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비이온계, 음이온계, 양이온계, 양성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폴리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모노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네오펜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 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스 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패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 틸렌올레일아민과 등이 있으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소듐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암모니움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디설페이트, 소듐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셀페이트, 암모니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트,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릴 포스페이트 혼합물 등이 있고,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페티아민 아세테이트, 올레일 이미다 졸리님움 메토설페이트, 페티 암모니움 설페이트, 탈로 이미다지움 메토설페이트, 올레일 이미다지움, 올레일 이미다지움 메토셀페이트, 메틸 트리에탄올 암모니움메틸설페이트 디알킬에스테르 등이 있고,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알킬베타인 등이 있다. 한편, 상기 계면활성제는 0.1 ~ 10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피막형성 방지효과가 없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은 기타 다양한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에멀젼 타입의 점착부여 수지 또는 아크릴 에멀젼, 부식방지제, 피막형성방지제, 분산제, 침강방지제, 유동성개량제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에멀젼 타입의 점착부여 수지는 방향족으로 개질된 테르펜 수지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로진 수지, 로진 에스터 수지, 테르펜 수지, 테르펜 페놀 수지 등 에멀젼 타입의 점착 부여 수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일반적인 유화중합의 방법으로 합성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예로서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며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닐계 단량체,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또는 말레인산 무수물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알킬기가 장쇄 형태로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응집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소수 1∼12인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벤질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 에멀젼의 응집력 강화를 목적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의 응집력이 충분하다면 하기의 가교가능한 아크릴 단량체는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단량체와 이타콘산, 말레인산, 또는 말레인산 무수물 등의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부여 수지 또는 아크릴 에멀젼은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를 사용하며,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점착력의 부여 효과가 없으며, 20중량부를 초과 하면 조성물의 점도상승 및 씰링 특성 저하와 조성물과 점착 부여수지의 상용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조성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인산염류, 규산염류, 복합염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식방지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과 도포성 등의 향사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피막형성방지제는 수계도료 표면의 피막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비이온성인 우레탄 변성폴리에테르계 계면활성제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피막형성 방지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산제는, 천연고무 라텍스의 분산 안정성 및 점도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폴리카르복실산계 분산제, 폴리카르복실산소다염, 폴리카르복실산 암모니아염, 폴리카르본산 암모늄염, 폴리카르복실산 아민염, 폴리술폰산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분산 안정성 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침강방지제는, 조성물에 대한 침강방지력 및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고급 지방산 아미드계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저장 안정성 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성개량제는, 조성물에 대한 레벨링성 및 우수한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폴리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변성폴리아크릴산 에멀젼, 우레탄변성 폴리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동성 향상 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타 다양한 첨가제는 상기 종류 및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런트 조성물의 사용환경, 조건 및 종류 등에 따라 일반적으로 실런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첨가제의 선택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천연고무 라텍스(UNIMAX RUBER, Selatex 38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0.1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폴리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0.1 중량부, 인계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계 소포제 0.1 중량부, 에멀젼 타입의 점착부여 수지로써 로진 수지 1 중량부, 부식방지제인 인산염 1 중량부, 피막형성방지제인 우레탄 변성폴리에테르계 계면활성제(SN-89, 산노프코) 1 중량부, 분산제인 폴리카르복실산소다염 1 중량부, 침강방지제인 고급 지방산 아미드계 고분자 화합물(TH-4000, 산노프코) 1 중량부, 유동성개량제인 변성폴리아크릴산 에멀젼 1 중량부를 혼합 및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천연고무 라텍스(UNIMAX RUBER, Selatex 38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0 중량부, 양성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베타인 10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5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계 소포제 5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으로써 메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부식방지제인 규산염 20 중량부, 피막형성방지제인 우레탄 변성폴리에테르계 계면활성제(SN-89, 산노프코) 20 중량부, 분산제인 폴리카르복실산 암모니아염 20 중량부, 침강방지제인 고급 지방산 아미드계 고분자 화합물(TH-4000, 산노프코) 20 중량부, 유동성개량제인 변성폴리아크릴산 에멀젼 20 중량부를 혼합 및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지 않았다.
2.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의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실런트 조성물의 물성을 비교해보기 위해 다음의 물성측정 평가 방법으로 각 조성물의 물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1) 점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KSM-3708의 시험 방법으로 25℃에서 5시간 이상 방치 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DV-II+)를 사용하였으며, 4번 스핀들을 이용, 10rpm의 회전속도로 평가하였다.
(2) 저온안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40℃가 유지 가능한 저온 유지 장치(Ueshim, 모델890454)에 넣고 24시간동안 방치 후 표면 및 조성물 전체의 결빙 상태를 평가하였다.
(3) 고온 안정성 확인
80℃ 조건의 heating oven에 시료 40g을 vial에 칭량 후, 8주간 보관하여, 상부 피막 발생 여부 및 색상 변화, 하부 침강현상 및 층분리 등을 관찰하였다.
(4) Injection 후, 응집체 발생량 확인
실런트의 도포성은 타이어 실런트 분사용기에 샘플을 칭량 후, 40℃의 오븐에서 ㅂ시간 이상 보관하여 안정화 시킨 후, 압력을 가하여 분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 및 분사 후, 노즐에 발생한 응집체 함량 등을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점도(cps) 40 44 42 48
저온안정성(-40℃) 결빙
없음
결빙
없음
결빙
없음
결빙
없음
고온안정성
(피막형성여부)
X X O O
Injection 후
응집체 발생량
없음 없음 발생 발생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은 그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예에 비하여 천연고무 라텍스 및 최종 조성물이 응집되는 것을 방지 및 해소하고 이로 인해 타이어 펑크 보수 시, 주입구의 막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타이어 펑크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고무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0.1 ~ 20 중량부, 동결방지제 1 ~ 5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 5 중량부, 소포제 0.1 ~ 5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 10 중량부, 에멀젼 타입의 점착부여 수지 또는 아크릴 에멀젼 1 ~ 20 중량부, 부식방지제 1 ~ 20 중량부, 피막형성방지제 1 ~ 20 중량부, 분산제 1 ~ 20 중량부 및 침강방지제 1 ~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천연고무 라텍스는 고형분이 50 ~ 70중량부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동결방지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또는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하고,
    상기 소포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변성폴리메틸실록산계 또는 비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폴리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모노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네오펜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 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스 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패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 틸렌올레일아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소듐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암모니움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디설페이트, 소듐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셀페이트, 암모니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트,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릴 포스페이트 혼합물,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페티아민 아세테이트, 올레일 이미다 졸리님움 메토설페이트, 페티 암모니움 설페이트, 탈로 이미다지움 메토설페이트, 올레일 이미다지움, 올레일 이미다지움 메토셀페이트, 메틸 트리에탄올 암모니움메틸설페이트 디알킬에스테르,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 알킬베타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에멀젼 타입의 점착부여 수지는 로진 수지, 로진 에스터 수지, 테르펜 수지 또는 테르펜 페놀 수지를 사용하며,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또는 말레인산 무수물을 사용하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인산염류, 규산염류 또는 복합염류를 사용하며,
    상기 피막형성방지제는 비이온성인 우레탄 변성폴리에테르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상기 분산제는 폴리카르복실산소다염, 폴리카르복실산 암모니아염, 폴리카르본산 암모늄염, 폴리카르복실산 아민염 또는 폴리술폰산 암모늄염을 사용하며,
    상기 침강방지제는 고급 지방산 아미드계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60978A 2016-05-18 2016-05-18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KR10182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978A KR101821778B1 (ko) 2016-05-18 2016-05-18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978A KR101821778B1 (ko) 2016-05-18 2016-05-18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00A KR20170130200A (ko) 2017-11-28
KR101821778B1 true KR101821778B1 (ko) 2018-01-24

Family

ID=6081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978A KR101821778B1 (ko) 2016-05-18 2016-05-18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8822B (zh) * 2020-11-25 2022-10-04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凝胶封窜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00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369B2 (en) Tire puncture sealant
US8470909B2 (en) Tire puncture sealant
TWI669362B (zh) 壓敏性黏著劑
JP4640494B2 (ja) タイヤパンク補修材
KR101303136B1 (ko) 친환경 아크릴계 균열 주입제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272553B1 (ko) 타이어 펑크 긴급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
CN105189686A (zh) 轮胎穿孔密封材料和使用它的补胎套件
US9334427B2 (en) Puncture sealing agent
JP2011162681A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101821778B1 (ko)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및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펑크 보수용 친환경 실런트 조성물
KR101507315B1 (ko) 동해안정성을 지닌 아크릴 에멀젼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07417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JP2014055207A (ja) パンクシーリング剤
KR101805992B1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이용한 속건형 크랙 보수재 도료 조성물
KR101272554B1 (ko) 도포성이 우수한 타이어 보수용 실런트 조성물
KR100521992B1 (ko) 스티렌 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이용한 종이포장 미끄럼방지용 아크릴계 라텍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아크릴계미끄럼방지제
KR101940279B1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무계 점착제
CN106133098A (zh) 粘着剂组合物和包含该粘着剂组合物的偏光板
KR101598759B1 (ko) 자동차 타이어용 실란트 조성물
KR20160020588A (ko) 타이어 펑크 실제
CN109790441B (zh) 轮胎补胎材料及轮胎刺孔修理套件
KR100933729B1 (ko) 아스팔트 전용 미끄럼방지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JP2016155943A (ja) クロロプレンラテックス及びその製造法
KR101151921B1 (ko) 물리적 흡착력을 이용한 수용성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15851188A (zh) 一种溶剂型免钉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