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748B1 -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48B1
KR101821748B1 KR1020170061818A KR20170061818A KR101821748B1 KR 101821748 B1 KR101821748 B1 KR 101821748B1 KR 1020170061818 A KR1020170061818 A KR 1020170061818A KR 20170061818 A KR20170061818 A KR 20170061818A KR 101821748 B1 KR101821748 B1 KR 101821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s
measurement
cell contact
ce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준
박구곤
김승곤
김민진
배병찬
신동원
임성대
박석희
이원용
김창수
양태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6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2Voltage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의 전압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압 측정 보드;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 홀; 및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을 관통하는 각각의 상기 셀 접촉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VOLTAGE MEASUREMENT APPARATUS AND FUEL CELL MODULE COMPRISING THEREOF}
이하의 설명은,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연료 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시킬 때 발생되는 에너지를 전기 형태로 바꿀 수 있다. 연료 전지는 전해물질 주위에 서로 맞붙어 있는 두 개의 전극봉을 포함하고, 공기 중의 산소가 한 전극을 지나고 수소가 다른 전극을 지날 때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와 물, 열을 생성할 수 있다.
1개의 연료 전지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은 매우 낮으므로, 복수 개의 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스택(stack)을 형성함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택이란,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Stack) 또는 셀 스택(Cell Stack)으로도 불리어지며, 여러 개의 셀들이 직렬연결(Series Connection)되어 있고, 수소 원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시켜 직류 전류를 생성하는 발전장치로 휴대형 장치의 구동, 가정용 전원 공급 또는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각 셀의 전압은 셀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각 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확인하여 연료 및 공기의 공급 상태, 플루딩(flooding) 상태 등 스택 전체 전압으로는 알기 어려운 개별 셀의 상태를 관측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스택의 개별 단위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분리판의 측면 일정 위치에 단자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자에 커넥터가 장착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연료 전지 스택 제작 시, 분리판의 정렬 상태에 따라 커넥터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분리판의 단자와 커넥터와의 결합력이 약해 진동 등에 의해 그 체결이 해체되어 전압 측정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연료 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압 측정 보드;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 홀; 및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을 관통하는 각각의 상기 셀 접촉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된 O형 또는 고리모양의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의 구멍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체결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봉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결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들이 이루는 단자 쌍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절연체에는 상기 체결봉이 통과될 수 있는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 보드 및 체결봉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은, 일렬로 적층된 복수 개의 분리판;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막 전극 접합체;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양측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 개의 막 전극 접합체에서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막 전극 접합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판의 외부로 돌출된 셀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배치되는 전압 측정 보드;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 홀 및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을 관통하는 각각의 상기 셀 접촉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분리 판은 2 개의 판상 구조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셀 접촉 단자는 상기 2 개의 판상 구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된 O형 또는 고리모양의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의 구멍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체결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박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의 형상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 모양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은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포트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측정 장치에 의하면, 체결봉 및 접촉 단자들을 통해, 전압 측정 장치를 연료 전지 스택에 간단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측정 장치에 의하면, 전압 측정 장치 및 연료 전지 스택의 접촉 단자들에 형성된 구멍들은 체결봉에 의해 결속되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압 측정 장치 및 연료 전지 스택의 접촉 단자들은 휘어질 수 있는 박판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접촉 모드 및 체결봉 또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연료 전지 스택의 부피변화에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의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3)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모듈(3)은, 연료 전지 스택(1) 및 전압 측정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스택(1)은, 수소와 산소의 결합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으로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장치로서, 셀 유닛(11), 분리판(12) 및 엔드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유닛(11)은, 분리판(12)으로부터 수소 및 공기를 전달 받아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단위 유닛일 수 있다. 셀 유닛(11)은, 보다 많은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분리판(12)과 복수 회 교번적으로 적층 될 수 있다. 셀 유닛(11)은, 막 전극 접합체(111) 및 가스킷 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막 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111)는, 셀 유닛(11)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고, 수소 이온을 이동시켜줄 수 있는 전해질 막 및 수소 이온과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촉매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킷 층(112)은, 분리판(12) 및 막 전극 접합체(111) 사이에 위치하여 막 전극 접합체(111)을 지지할 수 있다. 가스킷 층(112)은, 분리판(12)의 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촉매층에 전달하는 기체 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킷 층(112)은, 기체 확산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체 확산층에 의하면, 외부에 화학반응으로 생긴 유체, 예를 들어 물을 다시 분리판(12)의 유로로 이동하게 하는 유체의 확산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기체 확산 층은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 전자를 분리판(12)에 전달해 줄 수 있다.
분리판(12), 복수회 적층된 셀 유닛(11)의 사이에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및 수소를 인접한 셀 유닛(11), 즉 가스킷 층(112)의 기체 확산 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판(12)은, 인접한 셀 유닛(11)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판과 맞은편에 인접한 셀 유닛(11)으로 수소를 공급하는 판으로 2 개의 판상 구조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잇다.
분리판(12)은, 셀 유닛(11)의 전압 측정을 위한, 셀 접촉 단자(121)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접촉 단자(121)는, 막 전극 접합체(111)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막 전극 접합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분리판(12) 밖으로 돌출 형성된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접촉 단자(121)는, 도 2와 같이, 분리판(12)이 적층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박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셀 접촉 단자(121)는, 분리판(12)의 외면의 중앙 부분에서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121)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접촉 단자(121)는, 도 1 내지 3과 같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O형(도넛) 모양의 단자일 수 있다. 다만, 셀 접촉 단자(121)의 형상은 반드시 이와 같이 폐루프 형상의 구멍만을 갖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루프 형상의 구멍을 갖는 고리 모양의 단자일 수도 있다.
또한, 셀 접촉 단자(121)는, 도 3과 같이, 분리판(12)과 셀 유닛(11)이 맞닿는 부근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분리판(12)이 2개의 판상 구조를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될 경우, 셀 접촉 단자(121)는, 2 개의 판상 구조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3)는, 복수 번 적층된 셀 유닛(11) 및 분리판(12)의 양 측을 지지하여, 복수 개의 셀 유닛(11)이 연료 전지 스택(1) 내에서 균일한 면압으로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전압 측정 장치(2)는, 연료 전지 스택(1)이 생성하는 전기 에너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셀 유닛(11)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 장치(2)는, 연료 전지 스택(1)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측정 장치(2)는, 측정 보드(21), 단자 홀(23), 측정 접촉 단자(22), 체결봉(24), 포트 단자(25), 절연체(241) 및 체결 요소(242)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보드(21)는, 전압 측정 장치(2)의 구성 요소들이 설치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기판일 수 있다. 측정 보드(21)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셀 접촉 단자(121)가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분리판(12)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보드(21)는, 복수 개의 분리판(12)이 적층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보드(21)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분리판(12)의 외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지만, 분리판(12)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측정 보드(21)는, 나사 및/또는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 요소를 통해, 엔드 플레이트(13)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보드(21)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 전지 스택(1)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 또는 수축하는 것에 있어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단자 홀(23)은, 측정 보드(21)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셀 접촉 단자(121)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자 홀(23)은, 연료 전지 스택(1)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분리판(12)의 외부로 일렬로 돌출된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121)를 수용하기 위해서, 분리판(12)이 적층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즉, 분리판(12)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단자 홀(23)은, 분리판(12)의 적층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모양일 수 있고, 단자 홀(23)의 폭은 셀 접촉 단자(121)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 전지의 동작 시 발생되는 연료 전지 스택(1)의 부피 팽창에 따른, 셀 접촉 단자(121)의 위치 및 간격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다.
측정 접촉 단자(22)는, 셀 접촉 단자(121)에 접촉함으로써, 각각의 막 전극 접합체(111)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접촉 단자(22)는, 측정 보드(2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측정 접촉 단자(22)는, 셀 접촉 단자(121) 및 단자 홀(23)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단자 홀(2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접촉 단자(22)는, 도 2와 같이, 셀 접촉 단자(121)가 단자 홀(23)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인 측정 보드(21)의 면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단자 홀(23)을 관통한 셀 접촉 단자(121)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측정 보드(21)가 연료 전지 스택(1)에 설치됨에 따라서,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121)는, 측정 보드(21)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 홀(23)에 나란히 삽입되고, 단자 홀(23)을 관통한 셀 접촉 단자(121)는, 측정 접촉 단자(22)에 면접촉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접촉 단자(22)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O형 모양 또는 고리 모양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셀 접촉 단자(121) 및 측정 접촉 단자(22)가 O형 모양의 박판 단자로 형성될 경우, 셀 접촉 단자(121) 및 측정 접촉 단자(22)는, 서로 O형 모양으로 형성된 얇은 단자의 면이 서로 맞닿도록 겹쳐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O형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121)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22)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같을 수 있고, 가운데 형성된 구멍이 서로 겹쳐지도록 접촉될 수 있으며, 겹쳐진 구멍들의 사이로 후술할 체결봉(24)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접촉 단자(121) 및 측정 접촉 단자(22)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도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셀 접촉 단자(121) 및 측정 접촉 단자(22)는 연료 전지 스택(1)의 부피 팽창 및 체결봉(24)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체결봉(24)은, O형 모양의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121)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22)들이 서로 일대일로 접촉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자 쌍을 체결 및 정렬시킬 수 있다. 체결봉(24)은 절연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단자 쌍들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면서도, 복수 개의 단자 쌍들이 체결봉(24)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봉(24)은, 상기 복수 개의 단자 쌍의 각각에서 중첩되는 구멍에 삽입되는, 원기둥형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봉(24)은, 연료 전지 스택(1)의 부피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서 유연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절연체(241)는, 복수 개의 단자 쌍들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단자 쌍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체(241)에는, 체결봉(24)이 통과될 수 있는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절연체(241)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체결봉(24)의 외면에 배치되는 절연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절연체(241)는, 체결봉(24) 및 체결 요소(242)와 함께 단자 쌍의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체결 요소(242)는, 체결봉(24)의 양단에 배치되는 요소로서, 체결봉(24)에 결합된 절연체(241),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121)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22)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단으로부터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요소(242)는, 너트일수 있고, 체결봉(24)의 양단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전압 측정 장치(2)는, 별도의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 구조 없이도, 연료 전지 스택(1)에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고, 탈부착이 간단하여, 설치 및 교체가 간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봉(24)은 단자 쌍의 전기적 접촉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연료 전지 스택의 부피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거동할 수 있음에 따라, 우수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포트 단자(25)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측정 보드(21)상에 배치되는 외부 연결을 위한 포트로서,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22)들과 회로 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포트로 구성된 단자일 수 있다. 포트 단자(2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각각의 셀 유닛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압 측정 보드;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 홀; 및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을 관통하는 각각의 상기 셀 접촉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된 O형 또는 고리모양의 전극이고,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의 구멍에 삽입하여 각각의 상기 셀 접촉 단자 및 측정 접촉 단자 사이의 접촉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에 대해 상기 전압 측정 보드를 고정하는 하나의 체결봉을 더 포함하는 전압 측정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포트를 더 포함하는 전압 측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 전압 측정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결 요소를 더 포함하는 전압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들이 이루는 단자 쌍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전압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연체에는 상기 체결봉이 통과될 수 있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전압 측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전압 측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 보드 및 체결봉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전압 측정 장치.
  11. 일렬로 적층된 복수 개의 분리판;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막 전극 접합체;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양측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 개의 막 전극 접합체에서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막 전극 접합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판의 외부로 돌출된 셀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배치되는 전압 측정 보드;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각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 홀; 및
    상기 전압 측정 보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을 관통하는 각각의 상기 셀 접촉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된 O형 또는 고리모양의 전극이고,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의 구멍에 삽입하여 각각의 상기 셀 접촉 단자 및 측정 접촉 단자 사이의 접촉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에 대해 상기 전압 측정 보드를 고정하는 하나의 체결봉을 더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분리 판은 2 개의 판상 구조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셀 접촉 단자는 상기 2 개의 판상 구조 사이에 위치하는 연료 전지 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연료 전지 모듈.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 및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박판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모듈.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의 형상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판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 모양인 연료 전지 모듈.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자 홀은 상기 복수 개의 셀 접촉 단자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갖는 연료 전지 모듈.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측정 접촉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포트 단자를 더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KR1020170061818A 2017-05-18 2017-05-18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KR101821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818A KR101821748B1 (ko) 2017-05-18 2017-05-18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818A KR101821748B1 (ko) 2017-05-18 2017-05-18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748B1 true KR101821748B1 (ko) 2018-01-24

Family

ID=6102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818A KR101821748B1 (ko) 2017-05-18 2017-05-18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6566A (ja) * 2017-11-28 2019-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WO2023153983A1 (en) * 2022-02-10 2023-08-17 Powercell Sweden Ab Voltage monitoring device for an electric stack, particularly for a fuel cell stack
KR102668307B1 (ko) 2018-12-07 2024-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 모니터링 커넥터가 탈착 가능한 연료 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32B1 (ko) * 2007-12-31 2010-04-27 (주)퓨얼셀 파워 가스켓 일체형 전류 집전체를 구비한 연료전지 스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32B1 (ko) * 2007-12-31 2010-04-27 (주)퓨얼셀 파워 가스켓 일체형 전류 집전체를 구비한 연료전지 스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6566A (ja) * 2017-11-28 2019-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KR102668307B1 (ko) 2018-12-07 2024-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 모니터링 커넥터가 탈착 가능한 연료 전지
WO2023153983A1 (en) * 2022-02-10 2023-08-17 Powercell Sweden Ab Voltage monitoring device for an electric stack, particularly for a fuel cell st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426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전압 검출 장치
KR101023920B1 (ko)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US20050186462A1 (en) PEM fuel cell stack with floating current collector plates
KR101821748B1 (ko) 전압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모듈
KR20120060819A (ko) 평전지들 및 공급채널을 갖는 프레임 요소들을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US20030048090A1 (en) Cell voltage measuring device for fuel cell
JP4055349B2 (ja) 燃料電池の電圧測定装置
EP1806802A2 (en) Fuel cell assembly
JP2003151613A (ja) 燃料電池スタック用電圧測定端子ユニット及びその接続方法
JP2016062852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組み立て方法
KR20120050132A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KR100931212B1 (ko)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US9190653B2 (en)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JP2009187677A (ja) 燃料電池におけるコネクタ接続方法およびセル電圧測定用コネクタ
JP2004079192A (ja) セル電圧モニターの燃料電池スタックへの取付け構造
JP4087039B2 (ja) 燃料電池
JP2004127778A (ja) 燃料電池
JP3870719B2 (ja) セル電圧モニタ用コネクタのセルへの接続構造を有する燃料電池
US20130202947A1 (en) Accumulator Assembly for a Battery of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Provided with a Connecting Strut
KR100520558B1 (ko)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KR20130016610A (ko)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축전 모듈
JP2006086045A (ja) 平面型燃料電池
KR100534770B1 (ko)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CN111952647B (zh) 一种阵列式模块化膜电极系统、燃料电池及水电解装置
JP2006140166A (ja) 燃料電池セルモニ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