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316B1 -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1316B1 KR101821316B1 KR1020170025959A KR20170025959A KR101821316B1 KR 101821316 B1 KR101821316 B1 KR 101821316B1 KR 1020170025959 A KR1020170025959 A KR 1020170025959A KR 20170025959 A KR20170025959 A KR 20170025959A KR 101821316 B1 KR101821316 B1 KR 1018213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supporting
- wall
- wall body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는, 자리홈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 기둥(bottom column); 및 보(beam)와 연결되는 보 연결부와, 상기 보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의 외벽에 접면 지지되는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에서 상기 하부 기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 기둥의 자리홈부에 안착되는 안착돌기부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기둥과 보를 연결시킬 수 있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기둥과 보를 연결시킬 수 있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기둥과 보를 연결시킬 수 있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 시 많은 기둥(column)과 보(beam)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기둥과 보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예컨대, 기둥은 내부가 빈 사각의 금속 파이프 형태일 수 있고, 보는 H형 형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과 보를 서로 연결시켜 건축물의 뼈대를 만든 후, 이를 통해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이처럼 건축물의 시공 시 많은 기둥과 보가 사용되며, 이들이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기구(연결구조물, 연결구조체)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51808호 등에 널리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 다소 복잡한 구조를 적용해서 기둥과 보를 연결시켜 왔기 때문에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지연되고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기둥과 보를 연결시킬 수 있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는, 자리홈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 기둥(bottom column); 및 보(beam)와 연결되는 보 연결부와, 상기 보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의 외벽에 접면 지지되는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에서 상기 하부 기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 기둥의 자리홈부에 안착되는 안착돌기부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리홈부는 상기 하부 기둥의 상단부에서 V형 형상으로 함몰되되 상기 하부 기둥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자리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그 돌출길이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안착돌기부의 부피보다 더 작게 더미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보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기둥의 내벽에 접면 지지되되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나란하게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되는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에는 상기 안착돌기부가 형상맞춤되게 삽입되는 돌기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 기둥에 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부 기둥(upper colum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둥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를 가체결시키는 가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의 내벽에 접면 지지되어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을 지지하는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
상기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의 반대편에서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의 외벽에 접면 지지되어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을 지지하는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 및 상기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와 상기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를 체결시키는 다수의 원웨이볼트(one way bol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는 H형 형강일 수 있으며, 상기 보 연결부는,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연결되고 상기 보의 상판부를 지지하는 상판부 지지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연결되고 상기 보의 하판부를 지지하는 하판부 지지대; 및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연결되되 상기 상판부 지지대 및 상기 하판부 지지대와는 분리되고 상기 보의 측판부를 지지하는 측판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에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기둥과 보를 연결시킬 수 있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에서 원웨이볼트의 일부를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 기둥과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하부 기둥, 연결 유닛 및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하부 기둥과 연결 유닛을 조립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를 조립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에서 가체결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9b는 원웨이볼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설치절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원웨이볼트의 일부를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 기둥과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하부 기둥, 연결 유닛 및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하부 기둥과 연결 유닛을 조립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를 조립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에서 가체결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9b는 원웨이볼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설치절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의 이미지, 도 2는 도 1에서 원웨이볼트의 일부를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하부 기둥과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연결 유닛의 측면도, 도 6은 하부 기둥, 연결 유닛 및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하부 기둥과 연결 유닛을 조립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를 조립한 도면, 도 9a는 도 8에서 가체결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이미지, 그리고 도 9b는 원웨이볼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는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기둥(110,150)과 보(120, beam)를 연결시킬 수 있어 기둥(110,150)과 보(120)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연결 유닛(130)을 비롯해서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 및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172)를 이용해서 기둥(110,150)과 보(120)를 연결시켜 도 1의 구조로 만드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 유닛(130),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 및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172) 정도의 구성만으로도 도 1의 연결구조체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종전에 비해 간소화된 구성을 제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둥(110,150)과 보(120)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참고로, 위의 구성들이 상호 연결되기 위해 다수의 일반 볼트 혹은 원웨이볼트(180, one way bolt)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의 체결을 위해 각 구조들에는 볼트홀(H)이 형성된다.
각 구성들을 살펴보면, 우선 하부 기둥(110, bottom column)과 상부 기둥(150, upper column)은 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무로서, 내부가 빈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는 하부 기둥(110)이 하부 기둥(110)보다 짧게 도시되었으나 이와 같은 길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기둥(110)의 상단부에는 자리홈부(111)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자리홈부(111)는 하부 기둥(110)의 상단부에서 V형 형상으로 함몰되되 하부 기둥(11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자리홈부(111)가 위치된 쪽에 연결 유닛(130)을 통해 보(120)가 연결된다.
보(120)는 H형 형강으로 적용된다. 즉 보(120)는 상판부(120a), 하판부(120b) 및 측판부(120c)를 구비하는 H형 형강이며, 자리홈부(111)가 위치되는 하부 기둥(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연결 유닛(130)을 통해 하부 기둥(110)과 연결된다.
한편, 연결 유닛(130)은 1차적으로 하부 기둥(110)과 보(12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 유닛(130)은 보 연결부(131)와, 보 연결부(131)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부 기둥(110)의 외벽에 접면 지지되는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에서 하부 기둥(11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되 하부 기둥(110)의 자리홈부(11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부(135)를 포함한다.
보 연결부(131)는 보(12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전술한 것처럼 보(120)의 형상이 H형이기 때문에 보 연결부(131) 역시,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보 연결부(131)는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연결되고 보(120)의 상판부(120a)를 지지하는 상판부 지지대(131a)와,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연결되고 보(120)의 하판부(120b)를 지지하는 하판부 지지대(131b)와,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연결되되 상판부 지지대(131a) 및 하판부 지지대(131b)와는 분리되고 보(120)의 측판부(120c)를 지지하는 측판부 지지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 연결부(131)의 측판부 지지대(131c)가 상판부 지지대(131a) 및 하판부 지지대(131b)와는 분리된 형태이기 때문에 보 연결부(131)에 H형 형강으로서의 보(120)가 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보 연결부(131)와 보(120)는 해당 볼트홀(H)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마무리된다.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는 보 연결부(131)의 일측에 형성되는 판상형 구조체로서 하부 기둥(110)의 외벽에 접면 지지된다.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가 하부 기둥(110)의 외벽에 접면 지지될 때, 하부 기둥(110)의 외벽보다 높게 배치됨으로써 상부 기둥(150)을 함께 지지할 수 있게끔 한다.
이와 같은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의 내벽에 안착돌기부(13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돌기부(135)는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한 몸체를 이룬다. 즉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안착돌기부(135)는 일체형 구조물이다.
하부 기둥(110)에 형성되는 자리홈부(111)가 V형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안착돌기부(135) 역시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때, 안착돌기부(135)는 자리홈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도 7의 확대 그림처럼 그 돌출길이가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자리홈부(111)에 안착돌기부(135)가 안착될 때 안착돌기부(135)가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부분에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가 걸릴 수 있다.
안착돌기부(135)의 선단부에는 안착돌기부(135)의 부피보다 더 작게 더미돌기부(135a)가 형성된다. 더미돌기부(135a)는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이에, 도 7처럼 연결 유닛(130)의 보 연결부(131)에 보(1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 유닛(130)의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에 형성되는 안착돌기부(135)가 하부 기둥(110)의 자리홈부(111)에 안착되면서 끼워지도록 한 후, 해당 위치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1차적으로 하부 기둥(110)과 보(1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 기둥(110)의 축 방향으로 상부 기둥(150, upper column)을 연결하기 위해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가 사용된다.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는 도 8처럼 연결 유닛(130)에 의해 하부 기둥(110)과 보(1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 기둥(110)의 내벽에 접면 지지되되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나란하게 연결 유닛(130)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이다.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의 설치를 위해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에는 안착돌기부(135)가 형상맞춤되게 삽입되는 돌기삽입홀(141)이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자리홈부(111)에 안착돌기부(135)가 안착될 때 안착돌기부(135)가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의 돌기삽입홀(141)이 끼워지면서 걸릴 수 있다.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를 설치하고 나면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와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간극(G)을 통해 상부 기둥(150)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상부 기둥(150)을 설치하기 전에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가 분리되면 곤란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체결부재(160)가 사용된다.
가체결부재(160)는 상부 기둥(150)을 설치하기 전에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도 9a의 이미지처럼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를 가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제, 상부 기둥(150)이 설치될 때는 가체결부재(160)를 풀어내고 상부 기둥(150)을 설치할 수 잇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를 세우고 상부 기둥(150)을 하부 기둥(110)에 축 방향으로 설치하고 난 이후에는 상부 기둥(150)과 하부 기둥(11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172) 및 원웨이볼트(180, one way bolt)가 사용된다.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는 보(120)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부 기둥(150)과 하부 기둥(110)의 내벽에 접면 지지되어 상부 기둥(150)과 하부 기둥(110)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172)는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의 반대편에서 상부 기둥(150)과 하부 기둥(110)의 외벽에 접면 지지되어 상부 기둥(150)과 하부 기둥(110)을 지지한다.
이처럼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와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172)를 설치한 이후에는 이들을 해당 위치에 고정시켜야 하는데, 상부 기둥(150)과 하부 기둥(110) 내에서의 작업이 곤란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수의 원웨이볼트(180)가 사용된다. 원웨이볼트(180)는 바깥쪽에서 한 방향(one way)으로 조이더라도 동등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볼트이다.
참고로, 원웨이볼트(180)의 구조와 관련해서 원웨이볼트(180)는 도 9b에 이미지로 첨부된 것처럼 바깥쪽에서 한 방향(one way)으로 조여 부재를 결합시키는 볼트이다. 물론, 원웨이볼트(180)가 사용되려면 도 9b처럼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나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 등의 구조물 내측에 원웨이볼트용 너트(180a)가 미리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실질적인 구조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를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8의 경우에는 편의상 원웨이볼트용 너트(180a)를 생략했다.
이하, 도 1과 같은 구조의 연결구조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연결 유닛(130)을 이용하여 하부 기둥(110)과 보(120)를 연결시킨다. 즉 연결 유닛(130)의 보 연결부(130)가 보(120)의 각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 후, 해당 위치의 볼트홀(H)에 볼트를 체결하여 연결 유닛(130)과 보(12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는 연결 유닛(130)의 안착돌기부(135)가 하부 기둥(110)의 자리홈부(111)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연결 유닛(130)의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0)를 하부 기둥(110)의 외벽에 접면시킨 후, 볼트를 이용해서 연결 유닛(130)과 하부 기둥(110)을 연결시킨다. 이로써, 연결 유닛(130)에 의해 하부 기둥(110)과 보(120)가 연결된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다음,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의 돌기삽입홀(141)이 연결 유닛(130)의 안착돌기부(135)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도 8처럼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를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0)에 마주보게 설치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는 상부 기둥(150)의 내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부 기둥(150)을 설치하기 전에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도 9a의 이미지처럼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를 가체결부재(160)로 가체결시킨다.
다음, 가체결부재(160)를 풀고 도 8의 확대 그럼처럼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 사이의 간극(G) 사이로 상부 기둥(150)을 삽입시키면서 상부 기둥(150)을 하부 기둥(110) 상부에 조립한다. 이어 원웨이볼트(180)를 이용해서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133)와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140)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도 2처럼 하부 기둥(110)과 상부 기둥(150)의 내외벽에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171)와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172)를 배치하여 원웨이볼트(180)로 고정시킴으로써, 도 1과 같은 연결구조체가 완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기둥(110,150)과 보(120)를 연결시킬 수 있어 기둥(110,150)과 보(120)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 유닛(230)에 적용되는 안착돌기부(235)는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233)에 볼트(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와 같이 안착돌기부(235)가 조립형으로 적용되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안착돌기부(235)가 조립형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접합부에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 유닛(330)의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333)에도 안착돌기부(335)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때, 안착돌기부(335)의 단부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선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절두삼각뿔부(335a)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절두삼각뿔부(335a)를 지지하는 베이스부(335b)의 돌출 두께가 제1 실시예와 달리 좁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안착돌기부(335)가 적용되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설치절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는 도 12 및 도 13처럼 설치되어 시공될 수 있다. 즉 동서남북 방향으로 보(120)가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120)의 연결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예컨대, ① 내지 ③의 순서대로 한 쪽의 보(120)를 하부 및 상부 기둥(110,150)과 연결하고, 이의 방법 그대로 나머지 3면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도 12와 같은 설치물을 얻을 수 있다. ① 내지 ③의 순서에 따른 세부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하부 기둥 111 : 자리홈부
120 : 보 130 : 연결 유닛
131 : 보 연결부 131a : 상판부 지지대
131b : 하판부 지지대 131c : 측판부 지지대
133 :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 135 : 안착돌기부
135a : 더미돌기부 140 :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
141 : 돌기삽입홀 150 : 상부 기둥
160 : 가체결부재 171 :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
172 :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 180 : 원웨이볼트
120 : 보 130 : 연결 유닛
131 : 보 연결부 131a : 상판부 지지대
131b : 하판부 지지대 131c : 측판부 지지대
133 :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 135 : 안착돌기부
135a : 더미돌기부 140 :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
141 : 돌기삽입홀 150 : 상부 기둥
160 : 가체결부재 171 :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
172 :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 180 : 원웨이볼트
Claims (11)
- 자리홈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 기둥(bottom column); 및
보(beam)와 연결되는 보 연결부와, 상기 보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의 외벽에 접면 지지되는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에서 상기 하부 기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 기둥의 자리홈부에 안착되는 안착돌기부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자리홈부는 상기 하부 기둥의 상단부에서 V형 형상으로 함몰되되 상기 하부 기둥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자리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그 돌출길이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안착돌기부의 부피보다 더 작게 더미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보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기둥의 내벽에 접면 지지되되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나란하게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되는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 기둥에 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부 기둥(upper column)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기둥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를 가체결시키는 가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의 내벽에 접면 지지되어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을 지지하는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
상기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의 반대편에서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의 외벽에 접면 지지되어 상기 상부 기둥과 상기 하부 기둥을 지지하는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 및
상기 제2 기둥 지지용 내벽체와 상기 제2 기둥 지지용 외벽체를 체결시키는 다수의 원웨이볼트(one way bolt)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는 H형 형강이며,
상기 보 연결부는,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연결되고 상기 보의 상판부를 지지하는 상판부 지지대;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연결되고 상기 보의 하판부를 지지하는 하판부 지지대; 및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와 연결되되 상기 상판부 지지대 및 상기 하판부 지지대와는 분리되고 상기 보의 측판부를 지지하는 측판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에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외벽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 지지용 내벽체에는 상기 안착돌기부가 형상맞춤되게 삽입되는 돌기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161277 | 2016-11-30 | ||
KR1020160161277 | 2016-11-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1316B1 true KR101821316B1 (ko) | 2018-01-26 |
Family
ID=6102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5959A KR101821316B1 (ko) | 2016-11-30 | 2017-02-28 |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131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29543A (zh) * | 2018-07-31 | 2018-11-02 | 巩俊贤 | 一种建筑用的安装组件及其建筑物 |
WO2021251664A1 (ko) * | 2020-06-12 | 2021-12-16 | 주식회사 가우리안 |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
KR20230000729A (ko) * | 2021-06-25 | 2023-01-03 |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 조립형 cft 기둥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5018A (ja) * | 1998-07-16 | 2000-02-02 | Arutesu:Kk | 鉄骨柱と鉄骨梁の接合金具およびワンサイドボルト |
JP2007182731A (ja) * | 2006-01-10 | 2007-07-19 | Kajima Corp | 鋼管柱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用冶具 |
-
2017
- 2017-02-28 KR KR1020170025959A patent/KR1018213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5018A (ja) * | 1998-07-16 | 2000-02-02 | Arutesu:Kk | 鉄骨柱と鉄骨梁の接合金具およびワンサイドボルト |
JP2007182731A (ja) * | 2006-01-10 | 2007-07-19 | Kajima Corp | 鋼管柱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用冶具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29543A (zh) * | 2018-07-31 | 2018-11-02 | 巩俊贤 | 一种建筑用的安装组件及其建筑物 |
WO2021251664A1 (ko) * | 2020-06-12 | 2021-12-16 | 주식회사 가우리안 |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
KR20210154595A (ko) * | 2020-06-12 | 2021-12-21 | 주식회사 가우리안 |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
KR102453459B1 (ko) * | 2020-06-12 | 2022-10-12 | 주식회사 가우리안 |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
KR20230000729A (ko) * | 2021-06-25 | 2023-01-03 |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 조립형 cft 기둥 |
KR102569266B1 (ko) * | 2021-06-25 | 2023-08-23 |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 조립형 cft 기둥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1316B1 (ko) |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체 | |
WO2015034099A1 (ja) | 耐力壁及び耐力壁用の壁面材 | |
US11035114B2 (en) | Pillar fixing metal fitting | |
JP2010101099A (ja) | 柱脚金物 | |
JP2012067519A (ja) |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 |
KR102459395B1 (ko) |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 |
JP2009174188A (ja) | 間仕切壁、間仕切壁の構築方法、壁ブロック | |
KR102276565B1 (ko) | 강관 기둥 연결구조 | |
KR101746489B1 (ko) | 조립식 기둥 | |
JPH10231561A (ja) | 木質構造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具 | |
JP6998756B2 (ja) |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 |
JP7352477B2 (ja) |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 |
JP7079623B2 (ja) |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 |
JP5586926B2 (ja) | 建物の構築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柱部材 | |
JP2019065668A (ja) |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3244887U (ja) | 制振構造 | |
JP2024014112A (ja) | 建物の外壁構造 | |
KR20130005638A (ko) | 조립식 프레임 구성물 | |
JP2008255713A (ja) | 木造建築物及び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方法 | |
JP6657006B2 (ja) | 内面材取付用骨格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管の内層構造 | |
JP2009197441A (ja) | 梁・梁接合構造及び柱・梁接合構造 | |
JP6228645B2 (ja) |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ユニット建物の製造方法 | |
JP2002356915A (ja) | 木造建築物の免震構造 | |
JP2017066659A (ja) | 勾配対応ブレース接合金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物躯体構造 | |
JP2005127030A (ja) | 制震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