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164B1 -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164B1
KR101821164B1 KR1020160049101A KR20160049101A KR101821164B1 KR 101821164 B1 KR101821164 B1 KR 101821164B1 KR 1020160049101 A KR1020160049101 A KR 1020160049101A KR 20160049101 A KR20160049101 A KR 20160049101A KR 101821164 B1 KR101821164 B1 KR 10182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girder
composite girder
steel composite
cas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1354A (en
Inventor
김충언
양인욱
하태열
Original Assignee
(주)삼현피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피에프 filed Critical (주)삼현피에프
Priority to KR102016004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164B1/en
Publication of KR20170121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3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제1강재 거더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 합성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을 포함하여 배치된 제1강합성거더와;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로부터 연결된 연결재와, 상기 연결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제1강재 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재와 상기 상현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연결 강재를 포함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강재와 상기 제1강재거더가 결합되어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제2강합성거더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측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속 지점부에 작용하는 큰 부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내하 능력이 큰 장경간 교량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강재의 사용량을 보다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지는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structure of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shaped first steel girder comprising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ncluding a first casing concrete which is composed of a first prestressed concrete and a second prestressing concrete which is composed of a first prestressed concrete, A second casing concret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asing girder,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Wow; A bottom plate concrete synthesized o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The upp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which can realize long-span bridges having a high load-bearing capacity by effectively supporting the large parent moments acting on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nd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us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Description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structure of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2가지 형식의 거더가 결합된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연속 지점부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된 트러스 거더가 배치되고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영역에 I자형 강재 거더가 상호 결합된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structure of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in which two types of girder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uss girder in which a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And an I-shaped steel girder are bonded to each other in a region where the moment is appli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upper structure.

일반적으로 교량은 강이나 바다 또는 계곡을 차량 등이 보다 편리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시공되는 것으로서, 교량에 작용하는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견디기 위해 제작된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측에 차량 등이 통행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Generally, bridges are constructed so that a vehicle or the like can pass through a river, a sea, or a valley more conveniently. The bridge is composed of a girder made to withstand a fixed load and live load acting on the bridge, and a vehicle And a bottom plate concrete formed into a plate shape so as to be able to be used.

강이나 계곡의 폭이 작아 건너고자 하는 길이가 짧거나, 차량의 통과 중량이 적어 큰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교각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거더를 거치한 후, 그 위에 바닥판을 설치하여 단순 교량을 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순교량은 거더의 중앙부에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해 정모멘트만 받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width of the river or valley is small and the length to cross is short, or when it is not necessary to support a large load because the passing weight of the vehicle is small, the girder is mount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bridge pier, Install a simple bridge. In the simple bridge constructed in this way, only the moment is received by the fixed load and the live load at the center of the girder.

이와 유사하게, 강이나 계곡의 폭이 긴 경우라면, 거더를 신축 이음부를 사이에 두고 교각에 연속적으로 거치하여 교량의 길이를 길게 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공된 교량은 상부구조의 외력에 대한 저항능력의 한계와 시공성 및 경제성 등의 사유로 인하여 경간의 길이에 제한을 받게 되고 통수능이나 형하공간의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상부구조가 접속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은 통행차량의 승차감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Similarly, if the width of the river or valley is long, the length of the bridge can be made longer by continuously mounting the girder to the bridge pier with the expansion / contraction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However, the bridges constructed in this way are limited in the length of the span due to limitations on the ability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of the upper structure, construction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The expansion joint provided at the position to which the vehicle is connected may also cause a riding comfort of the passing vehicle.

이를 개선한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축 방향으로 인접한 거더(30)가 서로 연결되어 연속이 되도록 한 연속 교량(1)이 있다. 연속 교량(1)은 교축 방향으로 인접한 거더(30)가 외력에 대하여 일체로 거동함에 따라 교각(20)과 교각(20)의 사이에서 거더(30)의 휨 변형량이 단순교 형식과 비교하여 보다 더 작아지게 되며, 신축이음을 두지 않음에 따라 차량이 교각(20) 위치를 통과할 때에도 덜컹거리지 않으므로 이용자가 편안하게 교량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re is a continuous bridge 1 in which adjacent girders 30 in the throttling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continuous. The continuous bridge 1 is designed such that the amount of flexure of the girder 30 between the bridge pier 20 and the bridge pier 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imple bridge as the girder 30 adjacent in the direction of the pivot axis moves integrally with the external force. And it is not rattling when the vehicle passes the position of the pier 20 as the stretch joint is not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pass comfortably through the bridge.

그러나 연속 교량(1)은 교각(20)과 교각(20)의 사이인 경간부에 작용하는 정모멘트(M2, M2')가 크게 줄어드는 잇점이 있지만, 연속화된 교각(20)의 상부인 연속 지점부에서 부모멘트(M1)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따라, 연속교는 교각(20)이 위치하는 연속 지점부의 부모멘트(M1)에 대하여 보다 안전하게 저항하기 위하여, 상부구조의 저항단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모멘트(M2, M2')가 작용하는 영역에서의 높이(H)보다 부모멘트(M1)가 작용하는 영역에서 훨씬 큰 높이(H')를 갖도록 형성하는 등 휨 저항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안이 필요하다.However, the continuous bridge 1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reducing the moment moments (M2, M2 ') acting on the span between the bridge bridge 20 and the bridge bridge 20, (M1) increases greatly at the end. Accordingly, in order to more reliably resist the moment M 1 of the consecutive point where the pier 20 is located, the resistance cross section of the upper structure is adjusted to the same value as the moment M 2, M 2 'as shown in FI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ethod for increasing the flexural strength, such as forming a height H 'that is much larger than the height H in the region where the moment M1 acts.

특히 높은 지지 능력과 비틀림에 대한 우수한 저항능력으로 긴 경간의 교량에서는 강상자 거더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도1에 도시된 교량(1)의 연속 지점부에서의 높이(H')를 경간부에서의 높이(H)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지간이 긴 교량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점부 위치에서의 강상자 거더의 높이(H')가 약 3.2m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공장에서 제작한 강상자 거더를 차량에 세우거나 눕혀 탑재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강상자 거더는 운반이 가능하도록 복부판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해하여 이동한 후에 현장에서 분리된 복부판을 교축방향으로 길게 연결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공장에서 상,하 분리제작하여 현장으로 나누어 운반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복부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데 있어서 품질관리가 어렵고 오랜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성과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Especially in the case of long span bridges, a strong box girder is frequently used due to its high supporting ability and excellent resistance to twisting. In this case, the height H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of the bridge 1 shown in Fig.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H) in the transversal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 bridge having a long bridge. However, if the height (H ') of the steel box girder at the fulcrum position is increased to about 3.2 m or more, it is not allowed to carry the steel box girder manufactured in the factory to the site in a state where the steel box girder is mounted on the vehicle or laid down. After the steel box girder was disassembled up / down with the center of the bamboo plate to be able to be transported, it was forced to connect the separated bamboo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As a result, it is not only troublesome to carry ou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factory, but also the problem that the quality control is difficult and the long working time is required in order to connect the abdomen plate in the field,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4603호에 따르면,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에 강박스 거더가 배치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에 트러스 거더가 배치되는 복합 형식의 연속교량의 상부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영역에 트러스 거더에 의하여 지지됨에 따라 높은 지지 능력을 구현하는 이점이 있지만, 과도한 강재 사용량에 의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4603 filed and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steel box girder is disposed in a section in which a moment is exerted by a fixed load, Discloses an upper structure of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in which a truss girder is disposed in a section where a moment acts. However, this structure has an advantage of implementing a high supporting ability by being supported by the truss girder in the region where the moment is appli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deteriorated due to the excessive amount of steel material used.

따라서, 복합 형식의 연속교를 시공함에 있어서 보다 경제적이면서 장경간 교량을 시공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great demand for a more economical and long-term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tinuous bridge of a complex typ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 지점부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하연에 합성된 트러스 거더 형식을 배치하여 연속 지점부에 작용하는 큰 부모멘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내하 능력이 큰 장경간 교량을 구현할 수 있는 복합 형식의 교량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uss girder type in which a casing concrete is combined with a lower edge at a continuous point portion is more effectively supported by a large pendulum acting on a continuous point por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type bridge capable of implementing a bridge and a structure thereof.

즉, 본 발명은 연속 지점부에 작용하는 큰 부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내하 능력이 큰 장경간 교량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강재의 사용량을 보다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연속 교량의 복합형식 상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type superstructure of a continuous bridge capable of realizing economical construction by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material while realizing long-span bridges having a large load-bearing capacity by effectively supporting large parent moments acting on successive point portions The purpose of that is to do.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연속 지점부에 트러스 강합성거더가 배치되되 인장 응력은 상현재가 부담하고 압축 응력은 제2케이싱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영역에 I자형 강합성거더가 배치되되 압축 응력은 바닥판이 합성된 강재 거더가 부담하고 인장 응력은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가 부담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면서도 보다 장경간의 교량을 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uss steel composite girder is disposed at a continuous point portion where a moment is exerted, the tensile stress is burdened by the present moment, the compressive stress is burdened by the second casing concrete, The composite girder is placed, but the compressive stress is imposed on the steel girder combined with the bottom plate, and the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the first casing concrete in which the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to be used, The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은 정모멘트에 의하여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로 지지하면서도,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영역에서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저렴한 콘크리트로 지지하는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tensile stress from acting on the first casing concrete in the region where the tensile stress acts, while supporting the region where the tensile stress acts due to the longitudinal stress with the first casing concrete into which the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It is aim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upporting with inexpensive concrete.

그 밖에,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제2케이싱 콘크리트와 폐합 콘크리트에 의하여 통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시공과 유지 관리 시에 통행하는 통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부모멘트가 작용할 때의 압축 응력을 함께 지지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pass through the second casing concrete and the closure concrete, thereby forming a passageway for passage during saf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also supporting the compressive stress when the momentum acts And to increase rigidit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제1강재 거더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 합성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을 포함하여 배치된 제1강합성거더와;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로부터 연결된 연결재와, 상기 연결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제1강재 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재와 상기 상현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연결 강재를 포함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강재와 상기 제1강재거더가 결합되어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제2강합성거더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측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shaped first steel girder comprising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ncluding a first casing concrete introduced therei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ncluding a section having a moment of inertia applied by a fixed load; A second casing concret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asing girder,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Wow; A bottom plate concrete synthesized o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The upp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ructure is constituted by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이는, 상대적으로 큰 부모멘트가 연속 지점부에 작용하는 것을 트러스 형상의 제2강합성거더에 의하여 지지하되,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상연은 강재인 상현재와 연결재에 의하여 지지하고, 압축 응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은 압축 강도가 높은 제2케이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연속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큰 부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supported by the truss-shaped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that the relatively large momentum acts on the continuous fulcrum, the neutral stiffness acting on the tensile stress is supported by the steel material phase current and the connecting material, Is supported by the second casing concrete having a high compressive strength so as to effectively support the large negative moment acting on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이와 동시에, 트러스 하현재를 종래의 고가의 강재 단면으로 압축력을 지지하는 대신에 저렴한 콘크리트 단면으로 저항하여 사용 강재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작은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연속 교량의 경간부는 종래의 과도한 강박스 거더 단면으로 지지하는 대신에, I자 단면의 제1강합성거더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에 비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보다 줄여 보다 적은 비용으로 높은 지지 능력을 갖는 연속 교량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steel used by restricting the truss-less current to an inexpensive concrete section instead of supporting the compressive force with a conventional expensive steel section, and the span of the continuous bridge, By supporting by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I-shaped section instead of supporting by the conventional excessive steel box girder cross section, the amount of steel used can be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continuous bridges It becomes possible to construct.

그리고, 정모멘트 구간에 배치되는 제1강합성거더의 하부 플랜지에 합성되는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는 긴장재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긴장된 상태로 정착됨에 따라,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정모멘트 구간에서 제1강합성거더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 미리 도입된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강재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높은 지지 능력을 구현하여 경제성이 있는 장경간 연속 교량을 구현할 수 있다. The first casing concrete, which is synthesiz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section, is fixed in a tensioned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ing concrete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neutral axis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can be supported by the compression prestress introduced in advance in the first casing concre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ng-span continuous bridge having a high supporting performance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used, which is economical.

또한,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하는 단부에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의 연결 강재를 미리 제2강합성 거더에 설치하여, 연결 강재가 제2강합성 거더의 트러스 강재(상현재, 연결재, 하현재)와 결합해둠으로써, 교량 현장에서 제1강합성 거더와 제2강합성거더를 일체 거더로 연결 시 연결이 어려운 트러스 구조의 연결을 배제하고 비교적 연결이 용이한 I자형 강재 거더 단면에서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시공이 간편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 connecting steel material having a section continuous with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previously installed 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t an end connecting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with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By combining the truss material of the composite girder (present, present, and presen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onnection of the truss structure which is difficult to connect whe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re connected by the integral girder at the bridge sit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connection work on the cross section of the I-shaped steel girder which is relatively easy to connect, and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ified.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압축 응력에는 높은 저항 능력을 갖지만 인장 응력에 취약한 콘크리트로 연속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에서의 높은 저항능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강합성거더의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는 상기 정모멘트 구간의 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의 정착구는 상기 부모멘트 구간에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강합성거더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가 부모멘트 구간에 치우쳐(L) 배치함으로써, 인장 응력에 취약하고 압축 응력에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케이싱 콘크리트로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에서 인장 응력(정모멘트 구간)을 빠짐없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el girder which has high resistance to compressive stress but is weak to tensile stress and which, in order to realize high moment resistance and high resistance in a section of the continuous bridge, 1 casing concrete is disposed in all of the above-mentioned moment frames and the fixing port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is arranged in the above-mentioned moment section. 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first casing concrete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be biased (L) in the section of the momentum, the casing concrete which is vulnerable to tensile stress and has high resistance to compressive str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being able to firmly support the tensile stress (the section of the momentum) in the bridge.

그리고, 정모멘트 구간의 전체에 배치되는 제1강합성거더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와, 부모멘트 구간의 양끝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배치되는 제2강합성거더의 제2케이싱 콘크리트의 사이에는 연결 콘크리트가 합성되어 제1케이싱 콘크리트와 제2케이싱 콘크리트가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한다. 이에 의하여, 고정 하중과 활하중에 대한 저항 단면이 연속한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casing concrete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disposed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moment frames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disposed in the remaining sections excluding the ends of both ends of the section of the momentum, So that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are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the cross section of the resistance against the fixed load and the live load can be made continuous.

이 때, 상기 제1강합성거더의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는 종방향으로 제1연결철근이 노출되고,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에도 종방향으로 제2연결철근이 노출되며, 상기 제1연결철근과 제2연결철근을 루프 철근으로 이음으로써, 제1연결철근과 제2연결철근의 돌출 방향이 다소 틀어져있더라도, 루프 철근에 의하여 연결철근을 현장에서 무리없이 연결하는 공정이 쉬워진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longitudinally in the first casing concrete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connection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longitudinally also in the second casing concrete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 And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 to the loop reinforcing bar so tha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by the loop reinforcing bar even if the protruding directions of 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 are slightly different It gets easier.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의 끝단은 상기 연결재들 중에 제1연결재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2강합성거더의 연결 강재와 제2강합성 거더의 트러스 형태의 강재가 서로 연결된다. 즉, 연결 강재의 복부 끝단이 제2강합성거더의 트러스 강재의 연결재에 결합됨으로써, 연결 거더의 연결 복부의 끝단 경계가 연결재와 일치하여 연결재의 바깥으로 복부가 돌출되지 않게 되어, 축방향력이 작용하는 연결 복부에는 좌굴이 생기지 않고 하중의 전달 경로가 명확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end of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mong the connecting members, and the connecting steel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truss type steel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since the end of the abutment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truss member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the end edge of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girder coincides with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abdomen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buckling does not occur in the connecting abdomen,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load becomes clear.

그리고, 상기 연결 복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상기 제1연결재는 강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복부와 상기 제1연결재가 일부 이상 중첩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재가 연결 복부의 끝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단면 계수가 작은 복부가 제1연결재에 의하여 보강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저항 능력이 보강되면서 좌굴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to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abdomen is coupled is formed of a steel pipe, and the connection abdomen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re partially overlapped.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abdomen. As a result, the abdomen having a relatively small section modulus is reinforc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buckling while reinforcing the resistance by the external force.

이 때, 상기 제1연결재는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종방향 끝단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제1연결재는 제2강합성거더의 종방향 끝단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에는,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가 제1연결재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가 다수의 연결재와 연결 또는 중첩하는 형태로 연장되어, 연결 강재와 트러스 강재의 연결부에서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고 일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may be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may not be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n other words, 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is extend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is extended to connect or overlap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so that sufficient stiffn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degree of integra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상기 상현재는 제1상부플랜지와, 제1하부플랜지와, 이들을 잇는 제1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현재의 제1상부 플랜지가 교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상현재의 상기 제1하부 플랜지는 상기 연결 강재의 상기 연결 복부의 일부분에 중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복부와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ase current is formed by an I-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a first upper flange, a first lower flange, and a first abdomen connecting them, The connecting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and the first upper flange of the upper phase are connected in a continuous manner in the throttling direction; The upper current first lower flange may be extended to overlap a portion of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to engage the connecting abdomen.

이와 같이, 제2강합성거더의 상현재가 I자 단면으로 형성되어, I자 단면의 상현재의 제1상부플랜지와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를 연속하게 배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구조 형식(I형과 트러스형) 간의 하중의 전달과 분산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현재의 제1하부플랜지에 미리 요홈을 형성하여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와 중복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현재의 제1하부플랜지와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가 종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결합시킴으로써 제2강합성거더의 I형 구조와 트러스 구조 간의 일체성을 보다 견고하게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hase current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formed to have an I-shaped cross section, and the upper current flange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and the connecting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truss type) can be smoothly transmitted and dispersed. The first lower flange and the connecting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secure the integrity between the I-shaped structure and the truss structure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이 때, 상기 제1하부플랜지의 끝단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와 연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하부 플랜지의 끝단에서 종방향으로의 단면이 변동함에 따른 하중 전달 경로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하중의 전달과 분산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rst lower flange may be formed to be upwardly ben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As a result, the deviation of the load transmission path due to the variation of the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lower flange is minimized, and the effect of the transmission and dispersion of the load can be more smoothly achieved.

한편, 상기 상현재는 제1상부플랜지와, 제1하부플랜지와, 이들을 잇는 제1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현재의 제1하부 플랜지가 교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상현재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1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연결 강재의 상기 연결 상부 플랜지의 일부분과 중첩되게 연장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ase current is formed by an I-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a first upper flange, a first lower flange, and a first abdomen connecting them, The connection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and the first lower flange of the phase current are connected in a continuous manner in the throttle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first abdomen may be extended to overlap with a portion of the connection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그리고,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는 교축 직각 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 사이 공간을 폐합하는 폐합 콘크리트가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에 합성되어, 작업자가 제2케이싱 콘크리트와 폐합 콘크리트 상측을 통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시공과 유지 관리 시에 편리하게 통행하는 통로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부모멘트가 작용할 때의 압축 응력을 함께 지지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ing axis; The closed concrete that closes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asing concrete is combined with the second casing concrete so that the operator can pass the second casing concrete and the upper side of the closed concrete to pass through the passage for saf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igidity by supporting the compressive stress at the time when the momentum acts.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제1강재 거더를 준비하고, 상기 I자형 강재거더의 상기 하부 플랜지에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되, 상기 제2강합성거더와 연결되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고,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는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강합성거더를 제작하는 제1강합성거더 제작단계와;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로부터 연결된 연결재와, 상기 제1강재 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재와 상기 상현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연결 강재와, 상기 연결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제2케이싱 콘크리트를 상기 연결재에 합성하되,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강재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제2강합성거더를 제작하는 제2강합성거더 제작단계와;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제1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되, 상기 제1강합성거더는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의 전부와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기 제1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는 제1강합성거더 거치단계와;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되, 상기 제2강합성거더는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는 제2강합성거더 거치단계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교축 방향으로 하나의 거더가 되도록 연결하는 거더 이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n I-shaped first steel girder made up of a lower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Synthesizing the first casing concrete to synthesize the first casing concrete with the lower flange of the I-shaped steel girder, synthesizing the first casing concrete so that the end of the lower flange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exposed,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n which a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casing concrete; And a connecting steel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current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casing concrete is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material so that the second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so that the end of the low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exposed, A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ing step;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structed such that all of the section of the upper section subjected to the moment load by the fixed load of the bridge and the momentum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mounting step for mounting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occupy a part of the secti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occupy a part of the momentum section in which the moment is exerted by the fixed load of the bridge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mounting step; A girder joint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be one girder in the throttle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type bridge of a composite type.

그리고, 상기 거더 이음 단계는,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된 제1연결철근과,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결철근을 루프 철근으로 잇는 단계와; 상기 제1케이싱콘크리트와 제2케이싱콘크리트의 사이 공간에 연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irder connecting step includes connecting a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 projecting longitudinally from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a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 projecting longitudinally from the second casing concrete to the roof reinforcing bars; Placing a connecting concrete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to connect and synthesize; .

이 때, 상기 제2강합성거더 제작단계는, 상기 제1강재거더의 끝단과 동일한 단면의 연결 강재의 상기 연결 복부가 트러스 구조의 연결재와 중첩되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공용 시 서로 다른 구조(I형 구조와 트러스 구조)의 응력 전달 및 응력 분산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ing step,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at of the end of the first steel girder is overlapped with the connecting material of the truss structure, An I-shaped structure and a truss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advantageously.

본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정모멘트 구간'은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볼록한 휨 변위를 유도하는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부모멘트 구간'은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상방으로 볼록한 휨 변위를 유도하는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또는, 연속 지점부)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 term "moment section" as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a section in which a bending moment that induces convex deflection displacement downward due to a fixed load of a bridge acts. The 'momentum sec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a section (or continuous point portion) in which a bending moment that induces upwardly convex bending displacement acts by a fixed load of the bridge.

본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교량의 '하부 구조'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거더 및 바닥판 등의 교량의 상부구조를 거치하기 위한 교각, 교대를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term " undercarriage " and similar terms of the bridge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a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ridges, alternations for mounting upper structures of bridges such as girders and decks.

본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연결 강재가 '제1강재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제1강재거더의 단면과 맞닿아 계속하여 이어나갈 수 있는 단면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강재거더의 복부와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는 서로 맞닿아 계속하여 이어나갈 수 있으면 충분하며, 제1강재 거더의 복부와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의 두께가 동일한 것으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강재거더의 상부 플랜지, 복부, 하부 플랜지가 모두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 연결 복부, 연결 하부 플랜지와 맞닿는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중 복부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만 맞닿더라도 '제1강재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fact that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formed as a 'continuous section with the first steel girder' means that the s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teel girder section and can continue to be continued. That is, it is sufficient that the abdomen of the first steel girder and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continue to contact each other and continue, and the thickness of the abdomen of the first steel girder and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are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of the first steel girder are both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upper flange, the connecting abdomen, and the connecting low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However, Steel girder and continuous section '.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제2강합성 거더(200)의 '중앙부'는 제2강합성 거더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강재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트러스 구조의 제2강재거더가 배치된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by the portion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having the truss structure excluding the portion occupied by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Quo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큰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연속 지점부에 중앙부가 트러스 형태인 제2강재거더와 제2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된 제2강합성 거더로 지지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정모멘트가 작용되는 경간부에 I자 형태의 제1강재거더와 제1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된 제1강합성거더로 지지하며, 연속 지점부에 작용하는 큰 부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내하 능력이 큰 장경간 교량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강재의 사용량을 보다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having a truss-shaped second steel girder and a second casing concrete at the center thereof is supported at a continuous point portion where a relatively large moment is applied, It is supported by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which is composed of the first steel girder and the first casing concrete with the I-shape at the part where the moment is applied and effectively supports the large moment acting on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ng span bridge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to be used, thereby achieving an economical construction.

즉, 본 발명은, 정모멘트 구간에서 거더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제1강합성거더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태로 합성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하고, 부모멘트 구간에서 거더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제2강합성거더의 하연에 합성되어 압축 강도가 우수한 제2케이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강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내하 능력이 우수한 장경간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of the girder is supported by the first casing concrete synthesized with the compressive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supported on the lower casing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by the second casing concrete having excellent compressive strength so that the long span bridge having excellent load carrying capacity can be constructed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used .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상기 제1강합성거더가 상기 정모멘트 구간의 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의 정착구가 상기 부모멘트 구간에 배치됨에 따라,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에서는, 제1강합성거더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이 긴장재에 의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데, 정모멘트 구간 전체에 걸쳐 제1케이싱 콘크리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모멘트 구간에서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빈틈없이 지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disposed on the entire section of the moment section and the fixing port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is arranged in the section of the momentum,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supported by the first casing concrete into which the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by the tensile member. Since the first casing concrete is disposed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moment frame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in the moment-moment sec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정모멘트 구간에 배치되는 제1강합성거더와, 부모멘트 구간에 배치되는 제2강합성거더의 경계를 부모멘트 구간에 치우쳐(L) 배치함으로써, 인장 응력에 취약하고 압축 응력에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케이싱 콘크리트로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에서 인장 응력(정모멘트 구간)과 압축 응력(부모멘트 구간)을 높은 저항 능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disposed in the moment section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dispos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moment moments is shifted to the moment section (L) And the concrete structure with high resistance to compressive stress can realize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ensile stress (compressive moment section) and compressive stress (strong section) with a high resistance ability in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제2강합성거더의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가 트러스 형식의 연결재까지 연장되고,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의 끝단 경계가 연결재와 일치되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형식의 구조(I형 구조와 트러스 구조)가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좌굴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하중의 분산을 원활히 유도하여 연결부에서도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extends to the truss type connecting material and the end boundary of the connecting abd of the connecting steel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onnecting material, The stress is not locally concentra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structure and the truss structure are connected, and the occurrence of buckling is suppressed, and the dispersion of the load is smoothly induced, so tha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withstand the high load at the connection por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제1강합성거더와 제2강합성거더를 서로 같은 형식의 연결 강재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교량현장에서 가설시 연결 작업이 어려운 트러스 구조부의 연결 작업을 미연에 배제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same type of connecting steel,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truss structure, So that an advantageous effect of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can be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은, 제1강합성거더와 제2강합성거더 사이의 연결부에 상기 강합성거더의 케이싱 콘크리트의 단부로부터 각각 노출된 제1연결 철근과 제2연결철근을 루프 철근으로 이음 후에, 케이싱 콘크리트 사이의 종방향 간격을 연결 콘크리트로 채워 합성함으로써, 연결 철근의 연장 방향의 편차가 있더라도 루프 철근에 의하여 원활히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 콘크리트에 의하여 연결부에서의 하중 분산 및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which are respectively exposed from the ends of the casing concret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to the connecting portions betwee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nect by the loop reinforcement even if there is a deviation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composing the longitudinal spacing between the casing concrete by filling with the connecting concrete,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tribute and transfer the load at the connecting portion by the connecting concrete .

부수적으로, 본 발명은 연속 지점부의 제2강합성거더의 제2케이싱 콘크리트 사이의 간격을 폐합 콘크리트로 폐합시킴에 따라, 시공 및 유지 관리 시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통행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부모멘트가 작용할 때의 압축 응력을 함께 지지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얻어진다. Incidentally,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casing concrete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n the continuous focal point portion is closed with the closed concrete, the passage for the operator to pass safely during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s provided, But the compressive stress at the time of the action of the momentum is also supported, thereby obtaining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igidity.

도1은 종래의 3경간 연속 교량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의 절단선 X-X에 따른 단면도,
도4a는 도2의 절단선 Y-Y에 따른 단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2의 절단선 Y-Y에 따른 단면도,
도5a는 도2의 연결부의 'A'부분의 결합 이전의 확대도,
도5b는 도2의 연결부의 'A'부분의 강재 결합 상태의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2의 'A'부분의 강재 결합 상태의 확대도,
도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2의 'A'부분의 결합 이전의 확대도,
도7b는 도7a의 강재 결합 상태의 확대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2의 'A'부분의 결합 상태의 확대도,
도9는 도5b 및 도7b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
도10a 내지 도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1)의 시공 순서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hree-span continuous bridge,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inuous type of composite type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2,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in Fig. 2,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YY in FIG. 2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eel material joined state of the 'A'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FIG. 2,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eel material joined state of portion "A" of Fig. 2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2 before bonding,
Fig. 7B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eel-bonded state of Fig. 7A,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coupled state of portion 'A' of FIG. 2 as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IX-IX in Figs. 5B and 7B,
Figs. 10A to 10E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rder of the upper structure 1 of the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형식의 교량의 상부구조체(1)는 2경간 연속 교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일단이 양 끝의 제1교각(10) 상부의 교좌장치(10a)에 각각 거치되는 제1강합성거더(100)와, 연속 지점부를 형성하는 제2교각(20) 상부의 교좌장치(20a)에 중앙부가 거치되고 상기 제1강합성거더(100)에 양단이 교축 방향으로 연결된 제2강합성거더(200)와, 강합성거더(100, 200)의 상부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structure 1 of a composite type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a two-span continuous bridge,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re mounted on the apparatus 10a and the coordinate system 20a above the second pier 20,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throttle direction and a bottom plate concrete 300 synthesized on the steel composite girders 100 and 200.

상기 제1강합성거더(100)는 I자형 단면의 제1강재 거더(110)와, 제1강재 거더(110)의 중립축 하연에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합성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로 이루어지며, 고정 하중에 의해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영역(Ⅲ)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고 일부 길이(L)에 대해서는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영역(Ⅰ)에 배치되어, 연속 교량(1)의 정모멘트 구간에서의 정모멘트를 지지한다.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ncludes a first steel girder 110 having an I-shaped section and a first casing concrete 120 synthesiz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of the first steel girder 110, And is arranged in the entire region III where the momentum is generated by the fixed load and is arranged in the region I where the momentum is generated for a part of the length L, Supports the moment in the moment section.

제1강합성 거더(100)는 교축 직각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로 배열된다.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may be arranged in one row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es, but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s shown in the figure.

여기서, 제1강합성거더(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와,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를 잇는 복부(113)로 이루어진 I자형 단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I자형 제1강재 거더(110)의 하부 플랜지(112)에는 감싸는 형태로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어 형성된다.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는 보강 철근이 배근되며, 제2강합성 거더(200)의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를 향하는 끝단에는 연결 철근(108)이 C자 형태로 노출된다. 3,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ncludes an upper flange 111, a lower flange 112, a belly portion 113 connecting the upper flange 111 and the lower flange 112, Like cross-sectio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formed by combining the lower flange 112 of the I-shaped first steel girder 110. A reinforcing steel bar is laid o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an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08 is exposed in a C shape at the end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facing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그리고 상부플랜지(111) 상부에는 상방으로 뻗은 스터드 형태의 전단 연결재(100x)를 구비하여, 바닥판 콘크리트(300)와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한다.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는 종방향을 관통하는 긴장재(125)가 내설되며, 긴장재(125)에 긴장력(Px)을 도입한 상태로 정착함으로써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는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In addition, a stud-shaped shear connection member 100x extending upwardly is provided on the upper flange 111 to make the connection with the bottom plate concrete 300 stronger.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provided with a tensile member 125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tensile member 125 by introducing a tensile force Px, (120) is introduced with a compression prestress.

여기서,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I자형 제1강재 거더(110)에 합성될 때에 쉬스관(미도시) 내에 긴장재(125)를 내설하고,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I자형 제1강재 거더(110)에 합성된 상태에서 긴장재(125)에 긴장력(Px)을 도입한 상태로 정착하여,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또는,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I자형 제1강재 거더(110)에 합성될 때에 긴장재(125)를 긴장시킨 상태로 함께 합성하여,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 프리텐션 방식으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강합성거더(100)을 제작할 때에 프리플렉스 공법을 이용하여 긴장재없이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combined with the first I-shaped girder 110, a tensile member 125 is installed in the sheath pipe (not shown), and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placed in the I- The compression prestress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n a post-tensioned manner by fixing the tension member 125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force Px is introduced into the steel girder 110.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synthesized in the I-shaped first steel girder 110, the tensile members 125 are tensed and synthesized together, and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pre- May be introduced. Whe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manufactured, a compressive prestress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without a tension member by using a pre-flex method.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는 제2강합성거더(200)를 향하는 단부에서 제1강재거더(110)가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강재거더(110)는 제2강합성거더(200)의 연결 강재(110x)와 결합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의 바깥에 노출된다.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steel girder 110 is exposed at an end portion facing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That is, the first steel girder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so that the first steel girder 110 can be engaged with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연속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에서 작용하는 정모멘트의 크기는 단순교량에서 작용하는 정모멘트의 크기에 비하여 작으므로, 상기와 같이 I자형 제1강재 거더(110)에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를 하부 플랜지(112)에 합성하고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지지 능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과도한 강재 사용량이 수반되는 강박스 거더로 지지하였던 종래 구성에 비하여 강재 사용량을 줄여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충분한 내하 능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Since the size of the longitudinal moment acting in the moment section of the continuous bridg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ongitudinal moment acting in the simple bridge,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attached to the I-shaped first steel girder 11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box is supported by the steel box girder, which is accompanied by an excess amount of steel material, the amount of steel used can be reduced, An advantage that the load carrying capacity can be realized can be obtained.

상기 제2강합성거더(200, 200')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제2강재 거더(210, 210')와, 제2강재 거더(210, 210')의 중립축 하연에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합성된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로 이루어지며, 고정 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영역(Ⅰ) 중 양끝단부로부터 L로 표시된 거리만큼 이격된 사잇 영역에 배치되어, 연속 교량(1)의 연속 지점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지지한다.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s 200 and 200 'are composed of second steel girders 210 and 210' having a shape similar to a truss and second and third steel girders 210 and 210 ' And is disposed in a sidewall spaced apart by a distance L from both ends of the region I in which the momentum is generated by the fixed load, so that the continuous bridge 1 is formed of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Which i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consecutive points.

제2강합성 거더(200, 200')는 교축 직각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로 배열된다.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s 200, 200 'may be arranged in one row at right angles to the throttles, but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s shown in the figure.

여기서, 제2강재 거더(210, 210')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211, 211')가 종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현재(211, 211')로부터 연결재(212)가 경사진 형태이거나 수직 형태(미도시)로 하방 연장되며, 하현재(213)가 종방향을 따라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연결재(212)의 하단을 연결한다. 즉, 제2강재 거더(210, 210')는 트러스 거더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A, the second steel girders 210 and 210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s 211 and 211' and extend from the upper ends 211 and 211 ' (Not shown) and the lower ends 2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lower ends of the adjacent connecting members 212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steel girders 210 and 210 'ar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truss girder.

이 때, 제2강재 거더(210)의 상현재(211)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플랜지(211a)와, 제2하부플랜지(211b)와, 이들(211a, 211b)을 잇는 제1복부(211c)로 이루어진 I자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강재 거더(210')의 상현재(211')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현재(211, 211')의 단면이 I자형 단면이거나 U자형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높은 단면 계수를 갖게되어 부모멘트 구간에서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따른 인장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urrent 211 of the second steel girde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flange 211a, the second lower flange 211b and the upper flange 211b, An I-shaped cross section made up of the first abdomen 211c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phase current 211 'of the second steel girder 210' may form a U-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4B. As the cross section of the phase currents 211 and 211 'is an I-shaped cross section or a U-shaped cross section, it has a higher section modulus and can effectively support the tensile stress according to the momentum acting on the momentum section.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강재 거더(210, 210')의 상현재(211, 211')와 2개의 연결재(212)가 접하는 연결 지점과, 하현재(213)와 2개의 연결재(212)가 접하는 연결 지점에는 거셋(gausset)이 설치되어, 연결 지점에서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nnecting point at which the upper ends 211 and 211 'of the second steel girders 210 and 210' are in contact with the two connecting members 212, A gausset may be installed at the connecting point to which the connecting point is connected to reinforce the stiffness at the connecting point.

그리고,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는 제2강합성 거더(200)의 길이에 걸쳐 종방향으로 연속한 형태로 연장되도록 제2강재 거더(210, 210')에 합성되어, 종방향을 따라 이격된 하현재(21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에는 보강 철근이 배근되며, 제1강합성 거더(100)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를 향하는 단부에는 연결 철근(208)이 C자 형태로 노출된다.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는 부모멘트 구간(I)에서 압축 응력을 저항하므로, 긴장재가 내설되지 아니한다.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is combined with the second steel girders 210 and 210 'so as to exten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 the length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And connects the lower current 213 to the lower current 213. A reinforcing steel bar is laid on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08 is exposed in a C shape at an end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facing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resists compressive stress in the moment section (I), so that no tension is applied.

그리고 상현재(211, 211')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뻗은 스터드 형태의 전단 연결재(미도시)를 구비하여, 바닥판 콘크리트(300)와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한다. In addition, a stud-shaped shear connection member (not shown) extending upwardl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hase currents 211 and 211 'to make the connection with the bottom plate concrete 300 more robust.

제2강합성거더(200)의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는 제1강합성거더(100)를 향하는 단부에서 연결 강재(110x)가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강합성거더(200)의 연결강재(110x)는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강재거더(1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의 바깥에 노출된다.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is exposed at the end portion facing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so that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steel girder 110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Lt; / RTI >

연속 교량의 부모멘트 구간(I)에서 작용하는 부모멘트의 크기는 정모멘트 구간(Ⅲ)에 비하여 훨씬 크게 작용하므로, 트러스 구조의 제2강재 거더(210, 210')에 의하여 부모멘트 구간(I)에서의 인장 응력을 저항한다. 그리고, 인장 응력에 상응하여 부모멘트 구간(I)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콘크리트는 소재 자체로 우수한 압축 저항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강재의 사용량을 줄이더라도 부모멘트 구간(I)에 작용하는 높은 압축 응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Since the magnitude of the momentum acting on the momentum section I of the continuous bridge is much larger than the momentum section III of the continuous bridge, the moment of inertia I Lt; RTI ID = 0.0 > tensile < / RTI >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lower neutral axis of the momentum section (I) corresponding to the tensile stress is supported by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Since the concrete itself has excellent compression resistance ability, i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high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moment section (I) even if the amount of steel used is reduced.

한편,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강합성 거더(200, 200')에 합성된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의 교축 직각 방향의 사잇 공간은, 교대(10)나 교각(20) 등의 하부 구조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의 사이 공간을 폐합하는 폐합 콘크리트(230)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에 합성되어, 작업자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와 폐합 콘크리트(230) 상측에 마련된 공간을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작업자가 시공 과정에서 머무를 수 있는 작업 공간이 안전하게 마련되며, 교량의 유지 관리 시에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통행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폐합 콘크리트(230)에 의하여 부모멘트 구간(I)에서의 중립축 하연의 콘크리트 단면적이 커져 강성이 증대되므로, 공용 시 부모멘트에 따른 압축 응력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A and 4B,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synthesized 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s 200 and 200 'has a rectangular spa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ing axis, The closed concrete 230 that closes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is combined with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so that the operator can move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And the space provided above the closed concrete 230 can be easily passed through. Accordingly, the work space in which the worker can stay in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be safely provided, and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the operator to conveniently pass through during maintenance of the bridge. Also, since the concret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neutral axis of the neutral axis in the momentum section (I) is increased by the closed concrete 230, the rigidity is increased, so that the compression stress according to the common moment can be more reliably supported.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I)에서는,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상연은 높은 단면 계수를 갖는 U자 또는 I자 형태의 상현재(211)가 포함되는 트러스 형상의 제2강재 거더(210)에 의해 지지되고, 압축 응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은 높은 압축 저항 능력을 갖는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연속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큰 부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 종래에 비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보다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ment moment section (I) in which a relatively large moment occurs, the neutral axis in which the tensile stress acts acts as a truss shape including a U-shaped or I-shaped phase current (211) And the neutral axis lower edge to which compression stress is applied is supported by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having a high compressive resistance capability so that the large negative moment acting on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can be effectively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steel to be used and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연속 교량의 경간부는 종래의 과도한 강박스 거더 단면으로 지지하는 대신에, I자 단면의 제1강합성거더(10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태로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어,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 미리 도입된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지지하여, 종래에 비하여 강재 사용량을 줄이면서 보다 높은 저항 능력을 구현한 장경간 연속 교량을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supporting the span of the continuous bridge in which the relatively small moment is applied by the conventional excessive box girder section, the first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100 having the I- The casing concrete 120 is synthesized so that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shaft of the neutral axis is supported by the compressive prestress introduced in advance i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to achieve a higher resistance capability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us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realizing a long span continuous bridge.

한편, 지상에서 제1강합성거더(100)에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고, 제2강합성거더(200)에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가 합성되는 데,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종방향 단부에는 긴장재(125)를 긴장 정착하는 정착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교량 하부 구조에 제1강합성거더(100)와 제2강합성거더(200)를 거치시킨 상태(시공 과정 중)에서는,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와 제2강합성거더(200)의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 사이에 간격(CC)이 생기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synthesized o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on the ground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is synthesized 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Since the fixing port for tensioning and fixing the tension member 125 is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of the first composite concrete girder 100, (CC)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

이와 관련하여, 압축 응력에 높은 저항 능력을 갖지만 인장 응력에 취약한 콘크리트로 연속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Ⅲ)과 부모멘트 구간(I)에서의 높은 저항능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강합성거더(100)는 정모멘트 구간(Ⅲ)의 전부에 배치되고,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정착구는 정모멘트 구간(Ⅲ)의 경계로부터 L만큼 이격된 부모멘트 구간(I)에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In this connection, in order to realize the high resistance capability in the moment section (Ⅲ) and the moment section (I) of the continuous bridge with high resistance to compressive stress but weak to tensile stress,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re arranged in all of the moment frames section III and the fastening ports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are arranged in the moment section I spaced by L from the boundary of the moment frame section III.

이에 따라,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Ⅲ)에서는, 제1강합성거더(100)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이 긴장재(120)에 의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데, 정모멘트 구간 전체에 걸쳐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모멘트 구간에서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빈틈없이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applied to the first prestressed first prestressed section Since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disposed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moment section,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section of the neutral axis in the section of the upper section can be supported without tightly supporting the casing concrete 120.

그리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I)에서는, 제2강합성거더(200)의 중립축 상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은 강재로 형성된 상현재(211)와 연결재(2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2강합성거더(200)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은 연결재(212)에 합성된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에 의하여 지지된다.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neutral axis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n the moment moment section I in which the moment is exerted by the fixed load acts on the phase current 211 formed by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necting material 212 And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supported by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synthesized in the connecting material 212.

이를 통해,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는 정모멘트의 전 구간에 걸쳐 빠짐없이 배치되어, 인장 응력에 취약한 소재이지만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태로 정모멘트 구간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는 부모멘트 구간의 종방향 양끝단부에 형성되지 아니하지만, 압축 응력에 높은 저항 능력을 가지므로, 별도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고서도, 연속 지점부(부모멘트 구간)의 중립축 하연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가 부모멘트 구간(I)의 종방향 양끝단부에는 형성되지 아니함으로써,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일부가 부모멘트 구간(I)에 L만큼 치우친 위치까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Accordingly, although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dispos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longitudinal grooves and is a material that is weak to tensile stress, it supports a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neu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grooves in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 Since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is not form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tion of the moment, but has a high resistance to compressive stress,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can have a continuous focal length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lower neutral axis of the neutral axis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is not form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momentum section I, a part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located at a position offset by L in the momentum section I A space that can be disposed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정모멘트 구간(Ⅲ)에 배치되는 제1강합성거더(100)와, 부모멘트 구간(I)에 배치되는 제2강합성거더(200)의 경계를 부모멘트 구간에 치우쳐(L) 배치함으로써, 인장 응력에 취약하고 압축 응력에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케이싱 콘크리트로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에서 인장 응력(정모멘트 구간)과 압축 응력(부모멘트 구간)을 높은 저항 능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section III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arranged in the moment section I is shifted to the moment section (L (Tensile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tensile stress) in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with high resistance to compressive str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 favorable effect of being able to realize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light emitting diode.

한편, 서로 다른 형식(I자형 구조와 트러스 구조)의 강합성 거더(100, 200)가 하나의 연속 교량(1)에 설치되므로, 제1강합성 거더(100)와 제2강합성 거더(200)의 연결부(Ⅱ)는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Ⅱ)는 연결 강재(110x)와 제2강재거더(210)가 중첩되는 구간이 형성되고, 서로 같은 형식의 I자형 단면으로 제1강합성 거더(100)와 제2강합성 거더(200)의 연결구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 콘크리트(120, 220)로부터의 연결 철근(108, 208)이 루프 철근(90)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연결 콘크리트(90)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eel composite girders 100, 200 of different types (I-shaped structure and truss structure) are provided in one continuous bridge 1,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I) of the connecting member (2) should be more firmly and easily connected. To this end, the connecting portion II is formed with a s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and the second steel girder 21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A connection section of the girder 200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08 and 208 from the casing concrete 120 and 220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onnecting concrete 90 while being firmly connected by the loop reinforcing bars 90. [

강재 거더(110, 210)의 연결 구조는 현장에서 I자 단면의 제1강재거더(110)와 트러스 형식의 제2강재거더(210)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제1강재 거더(110)와 연속하는 단면(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강재거더(110)와 동일한 단면)의 연결 강재(110x)를 트러스 구조의 제2강재 거더(210)에 중첩하거나 연결시키는 형태로 제2강합성거더(200)에 미리 설치해둠으로써, 교량의 시공 현장에서는 연속하는 제1강재거더(110)와 연결 강재(110x)를 잇는 것(55)에 의하여 서로 다른 형식의 강합성 거더(100, 200)의 강재 거더(110, 210)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teel girders 110 and 210 may connect the first steel girder 110 of the I-shaped section and the second steel girder 210 of the truss type in the fiel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having a cross section (more preferably, the same section as the first steel girder 110) is overlapped or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girder 210 having the truss structure. The steel composite girders 100 and 200 of the different types of steel girders 100 and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55 between the first steel girder 110 and the connecting steel 110x which are continuous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bridge 110, and 210 can be more firmly connected,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강재거더(110)와 연속하는 단면(동일한 단면을 포함한다)의 연결 강재(100x)의 연결 복부(113x)는 트러스 구조의 연결재(212)까지 연장 형성되고, 연결 복부(113x)의 끝단(113e)은 연결재(212)들 중 제1연결재(2121)에 결합되는 형태로, 서로 다른 형식의 강재 거더(I형 구조와 트러스 구조)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 강재(100x, 도5b에서 빗금친 부분)의 복부 끝단(113e)은 제1연결재(21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끝단 경계가 형성되어, 연결 강재(100x)의 복부 끝단(113e)이 제1연결재(2121)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복부(113x)는 끝단(113e)이 독립적으로 드러난 부분이 없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connection steel member 100x having a section (including the same section) continuous with the first steel girder 110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The connecting abdomen 113x extends to the connecting member 212 of the truss structure and the end 113e of the connecting abdomen 113x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of the connecting members 212, Of the steel girder (I-shaped structure and truss structure). The abdomen end 113e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00x (hatched portion in FIG. 5B) has an end boundar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so that the abdomen end 113e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00x The connecting abdomen 113x does not have a portion where the end 113e is exposed independently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

예를 들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212)는 사각 강관 또는 원형 강관 형태로 형성되고, 복부(113)의 끝단(113e)이 제1연결재(21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연결재(2121)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용접(88)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연결 복부(113x)의 끝단(113e)이 제1연결재(2121)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 9, the connecting member 21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steel pipe or a round steel pipe, and an end 113e of the abdomen 113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Can be welded (88) in a wrapped state by the coupling member (2121). Alternatively, the end 113e of the connecting abdomen 113x may be 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이와 같이, 연결 복부(113x)의 끝단(113e)이 제1연결재(2121)에 결합되고, 제1강합성거더(100)와 연속되는 연결 강재(100x)의 끝단이 연결 복부(113x)만으로 지지하는 부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공용 중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연결 복부(113x)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단면계수를 갖는 연결 복부(113x)가 높은 단면 계수를 갖는 연결재(212)에 의하여 저항 능력이 보강되어 외력에 의한 저항 능력이 보강되면서 하중의 전달 경로가 연결재(2121)를 통해 전달되므로 하중 전달 경로가 보다 명확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end 113e of the connecting abdomen 113x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and the end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00x continuous with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supported only by the connecting abdomen 113x It is possible to prevent buckling of the connecting abdomen 113x by a load acting on the common body and to prevent the connecting abdomen 113x having a relatively low section modulus by the connecting material 212 having a high section modulus The resistance force is reinforced and the resistance force by the external force is strengthened, so that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load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121, so that the load transmission path becomes clearer.

한편, 도5a 내지 도7b에는 연결 복부(113x, 빗금친 부분)의 끝단(113e)이 제2강합성 거더(200)의 종방향 끝단 연결재(2121)에 결합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강재(110x)의 복부(113x)는 제2강합성 거더(200)의 종방향 끝단에 배치된 연결재(2120x)를 가로질러 보다 중앙부에 위치한 트러스 구조의 연결재(2121)까지 연장됨으로써, 제1강합성거더(100)의 복부(113)와 다수의 연결재(2120, 2121)가 중첩되게 배치되어, 서로 다른 형식의 강재 거더(110, 110x, 210)가 연결부(Ⅱ)에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연결 강재(110x)의 연결 복부(113x)의 끝단(113e)은 제2강합성 거더(200)의 종방향 끝단 연결재(2120x)가 아닌 제1연결재(2121)와 연결될 수 있다. 5A to 7B illustrat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d 113e of the connecting abdomen 113x (hatched portion) is coupled to the longitudinal end connecting member 2121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The abdomen portion 113x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121 of the truss structure located at the more central portion across the connecting member 2120x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So that the girder 110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120 and 2121 are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eel girders 1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end 113e of the connecting abdomen 113x of the connecting steel 110x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other than the longitudinal end connecting member 2120x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이를 통해, 연결 강재(100x)의 복부(113)가 다수의 연결재(212)와 중첩되면서 제1연결재(2121)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서로 다른 형식의 강재 거더(I형 구조와 트러스형 구조)의 연결부(Ⅱ)에서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고 일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abdomen portion 113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00x is extend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21 while being overlapped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12, the steel girders of different types (I-shaped structure and truss-like structure) A sufficient rigidity can be ensured in the connecting portion II and an advantage that the integrity can be further improved can be obtained.

한편,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강합성거더(200)의 상현재(211)가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결 강재(110x)의 연결 상부 플랜지(111x)의 종방향 끝단(111e)과 트러스 구조의 상현재(211)의 제1상부플랜지(211a)의 종방향 끝단(211e)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교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예를 들어, 용접이나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연결 결합되고, 상현재(211)의 제1하부 플랜지(211b)는 연결 강재(110x)의 연결 복부(113x)의 양측면과 접촉하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 강재(110x)의 연결 복부(113x)와 결합된다.5A and 5B, when the phase current 211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formed into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upper flange 111x of the connecting steel 110x The longitudinal end 111e of the truss structure and the longitudinal end 211e of the first upper flange 211a of the truss structure 21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continuous manner in the throttling direction And the first lower flange 211b of the phase current 21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abdomen 113x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to connect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And is coupled with abdomen 113x.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형식의 강재 거더(I형 구조와 트러스형 구조)의 연결부(Ⅱ)에서 하중 전달과 하중 분산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현재(211)의 제1하부플랜지(211b)에 미리 요홈(211ax)을 형성하여 연결 강재(110x)의 연결 복부(113x)와 중복되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현재(211)의 제1하부플랜지(211b)와 연결 강재(110x)의 연결 복부(113x)가 종방향으로 결합 길이만큼 I형 강재 단면과 트러스 강재 단면의 결합 일체성을 보다 견고하게 확보할 수 있다. Through this, load transfer and load distribu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at the connection part (II) of different types of steel girders (I-shaped structure and truss-like structure). The groove 211ax is previously formed on the first lower flange 211b of the phase coil 211 so as to overlap with the connecting abdomen 113x of the connecting steel 110x, It is possible to firmly secure the integral integrity of the I-section steel cross-section and the truss s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onnecting abdomen 113x of the first lower flange 211b and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이 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현재(211)의 제1하부플랜지(211b)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Dx)되어 연결 강재(110x)의 연결 복부(113x)에 결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현재(211)의 제1하부플랜지(211b)의 끝단(211be)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연결 강재(110x)의 연결 상부 플랜지(111x)와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하부 플랜지(211b)의 끝단에서 종방향으로의 단면이 변동함에 따른 하중 전달 경로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하중의 전달과 분산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wer flange 211b of the phase current 211 is extended (Dx)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steel 110x The upper end 211be of the first lower flange 211b of the upper curtain 211 may be bent upward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steel 110x And can be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11x. Thereby, the deviation of the load transmission path due to the variation of the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lower flange 211b can be minimized, and the effect of smooth transfer and dispersion of the load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강합성거더(200)의 상현재(211)가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형 강재 구조의 연결 강재(110x)의 연결 상부 플랜지(111x)의 종방향 끝단(111e)과 트러스 구조의 상현재(211)의 제1하부플랜지(211b)의 종방향 끝단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교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연결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현재(211)의 제1복부(211c) 높이는 연결 강재(110x)로 접근할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현재(211)의 제1상부 플랜지(211a) 및 제1복부(211c)는 바닥판 콘크리트(300)에 매설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ase current 211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formed into an I-shaped section,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I- The longitudinal end 111e of the connecting upper flange 111x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of the truss structure and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lower flange 211b of the upper end 211 of the truss structure contact each other, Or may be connected and coupled in a form.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first abdomen 211c of the phase current 211 may be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connection steel member 110x. In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upper flange 211a and the first abdomen 211c of the phase current 211 are buried in the bottom plate concrete 300 in a state in which construction is completed.

그리고, 연결 강재(110x)와 상현재(211)의 결합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현재(211)의 제1상부 플랜지(211a)와 제1복부(211c)는 연결 강재(110x)의 연결 상부 플랜지(111x) 단부를 지나 일정 구간 중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upper flange 211a and the first abdomen 211c of the upper case 211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upper flange 211c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and the phase current 211. [ (111x) end portion.

상기와 같이, 제2강합성 거더(200)에는 트러스 구조의 상현재(211,..) 및 연결재(212,...)에 중첩되게 결합되는 I자형 단면의 연결 강재(110x)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I자형 강재 단면과 트러스 구조의 강재를 서로 결합하는 공정을 지상에서 제2강합성 거더(200)를 제작할 때에 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해지며, 서로 다른 단면의 강재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to be overlapped with the upper portion 211 of the truss structure and the connecting members 212, . As a result, the process of joining the I-shaped steel section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and the steel material having the truss structure to each other can be performed at the time of fabricating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on the ground,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connect more firmly.

그리고 나서, 제1강합성 거더(100)와 제2강합성 거더(200)를 연결 플레이트(70)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서로 다른 단면의 강재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are connected by using the connecting plate 70 or the like, steel members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can be connected easily and firmly.

여기서, 연결 강재(110x)의 단면이 제1강재거더(110)의 단면과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정도의 형상이어도 충분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결 강재(110x)의 단면을 제1강합성 거더(100)의 I자형 강재 거더(110)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 강재(110x)와 제1강재거더(110)의 연결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제1강합성거더(100)와 제2강합성거더(200)의 연결 지점에서 단면이 동일하므로 국부적으로 하중이 집중되지 아니하고 원활히 하중의 분산과 전달을 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is in contact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steel girder 110. Howe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ped steel girder 110 of the one-steel composite girder 100, not only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and the first steel girder 110 is facilitated, but als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10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moothly distribute and transfer the load can be obtained without locally concentrating the loads.

한편, 교량의 하부 구조(10, 20)에 제1강합성 거더(100)와 제2강합성거더(200)가 거치된 상태에서는,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부모멘트 구간(I)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지만,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정착구 등이 위치하여야 하고 강합성 거더(100, 2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강합성거더(100)의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와 제2강합성 거더(200)의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의 사이에는 간격(CC)이 생기게 된다. In a state where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are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10 and 20,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s 100 and 200,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 gap C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이 때,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는 교각(20)을 향하여 제1연결철근(108)이 단부에 노출되어 있고,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에는 교대(10)를 향하여 제2연결철근(208)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먼저 서로 연결시켜 철근에 의한 지지력이 상호 연관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a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 108 is exposed to the end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toward the pier 20 and a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 108 is attached to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toward the alternating- 208 are exposed, they are first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ing force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이를 위하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철근(98)을 이용하여 케이싱 콘크리트(120, 220)로부터 노출된 연결 철근(108, 208)을 상호 연결시킨다. 이 때, 연결 철근(108, 208)이 서로 정확히 정렬된 상태가 아니고 위치 편차가 있거나 국부적으로 틀어져 있더라도, 루프 철근(98)에 의하여 연결 철근(108, 208) 사이의 정렬 오차에도 이들(108, 208)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시공이 용이하다.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8, the loop reinforcing bars 98 and 208 exposed from the casing concrete 120 and 220 are interconnected using the loop reinforcing bars 98. At this time, even if the connection reinforcing bars 108 and 208 are not accurately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re is a positional deviation or locally deformed, the alignment error between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08 and 208 by the loop reinforcing bars 98, 208 are easily interconnected.

루프 철근(98)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케이싱 콘크리트(120, 220)로부터의 연결 철근(108, 208)을 연결하면, 케이싱 콘크리트(120, 220)의 사잇 간격(CC)을 메우고 케이싱 콘크리트(120, 220)를 연결하는 연결 콘크리트(90)를 합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현장 타설용 거푸집이 설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reinforcing bars 108 and 208 from the casing concrete 120 and 220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loop reinforcing bars 9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ill the gap CC of the casing concrete 120 and 220, 120, and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this purpo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asting for on-site casting may be provided.

이에 의하여, 정모멘트 구간(Ⅲ)의 전체에 배치되는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와, 부모멘트 구간(I)의 종방향으로의 양끝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배치되는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의 사이의 간격(CC)에는, 루프 철근(98)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콘크리트(90)가 합성되어,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가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한 저항 단면이 연결부(Ⅱ)에서 연속한 형태가 된다. Thereby,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disposed on the entirety of the longitudinal section III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disposed in the other section except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s of the longitudinal section I, The first concrete casing 120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loop reinforcing member 98 and a connecting concrete 90 is synthesized in the interval CC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do. As a result, the cross section of the resistance due to the external force becomes continuous in the connection part (II).

이하, 첨부된 도10a 내지 도10e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의 상부 구조체(1)의 시공 방법을 상술한다. 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1 of the continuous type bridge of the composite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E.

단계 1: 먼저,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와, 이들 플랜지(111, 112)를 연결하는 복부(113)로 이루어진 I자형 강재 거더(110)를 준비한다. 그리고, 강재 거더(110)의 하부 플랜지(112)의 둘레에 철근을 배근하고, 쉬스관을 종방향으로 설치한 후, 설치된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하부 플랜지(112)에 합성시킨다. Step 1 : First, an I-shaped steel girder 110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111, a lower flange 112, and an abdomen 113 connecting these flanges 111 and 112 is prepared. The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around the lower flange 112 of the steel girder 110 and the sheath pipe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the unhardene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installed mold, (112).

그리고, 쉬스관에 긴장재(125)를 내설하고 긴장력(Px)을 도입한 상태로 정착하여,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1강합성 거더(100)를 제작한다.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manufactured by introducing a compressive prestress into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by fixing a tension member 125 in a sheath pipe and introducing a tension force Px.

그 다음,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모멘트 구간(I)의 양단부에 임시 교각(66)을 가설하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제1강합성 거더(100)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대(10)와 임시 교각(66)상에 거치시킨다. 이 때, 제1강합성거더(100)는 정모멘트 구간(Ⅲ)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고 동시에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의 끝단은 부모멘트 구간(I)의 정해진 길이(L)만큼 침투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Then, as shown in FIG. 10A, temporary bridges 66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omentum section I,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lifted up by a crane, ) And the temporary pier 66 (Fig. At this time,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disposed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section III and the end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s infiltr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L of the moment section I .

단계 2: U자형 단면이나 I자형 단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면의 상현재(211, 211')와, 상현재(211, 211')로부터 수직으로 또는 경사지게 연결된 연결재(212)와, 연결재(212)가 모이는 위치에만 연결재(212)를 결합하는 형태로 종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하현재(213)로 이루어진 제2강재 거더(210)를 제작한다. 이 때, 연결재(212)는 강관 등 폐단면 형태의 강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H단면이나 'ㄱ'자 단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Step 2 : The top surface 211 and the bottom surface 211 'of the cross section including one of the U-shaped section and the I-shaped section, the connecting material 212 vertically or inclined from the top ends 211 and 211' The second steel girder 210 made of the lower current 213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members 212 are coupled to only the positions where the connecting members 212 are gathere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aterial 212 may be formed of a steel material in the form of a closed end surface such as a steel pipe, o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H-section or a " -shaped section ".

그리고, 트러스 구조의 제2강재거더(210)의 중립축 하연과 제2강재거더(210)에 결합된 연결 강재(110x)의 중립축 하연에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를 합성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재(212)의 하단부(연결재(212)와 하현재(213)가 연결된 부분)는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에 의하여 변위가 구속된 일체 상태로 된다.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neutral axis of the second steel girder 210 of the truss structure and the lower neutral axis of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coupled to the second steel girder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ynthesized. Thu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12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212 and the lower case 213) is in a unified state in which the displacement is constrained by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이 때,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강합성거더(200)에는 제1강합성거더(100)와 연결하기 위한 I형 단면의 연결 강재(110x)가 미리 트러스 구조의 강재(210)에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연결 강재(110x)의 끝단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의 바깥에 노출되어, 제2강합성 거더(200)의 연결 강재(110x)와 제1강합성 거더(100)의 제1강재거더(110)를 상호 결합하기 용이하게 한다. 10B, the connecting steel member 110x having an I-shaped cross-section for connecting with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previously joined to the steel member 210 having the truss structure i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At this time, Respectively. The end of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so that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and the first steel material 110x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Thereby facilitating coupling of the girders 110 to each other.

그 다음,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20)과 임시 교각(66)에 지지되도록 제2강합성 거더(200)를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교각(20)과 임시 교각(66)상에 거치시킨다. 이 때, 제2강합성거더(200)는 부모멘트 구간(I)의 양단부를 제외한 영역에 걸쳐 배치된다. 10B,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lifted by a cran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ier 20 and the temporary pier 66, and is then mounted on the pier 20 and the temporary pier 66, . At this time,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disposed over a region excluding the both ends of the moment section I.

단계 1과 단계 2는 서로 순서가 뒤바뀐 상태로 행해질 수 있다. Steps 1 and 2 may be performed in a reversed ord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단계 3: 그리고 나서,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하부 구조(10, 20)에 거치된 제1강합성 거더(100)와 제2강합성 거더(200)를 연결 플레이트(70)를 매개로 결합하거나 용접 등의 접합으로 일체화한다. Step 3 : Then, as shown in Fig. 10C,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which are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10, 20, Or by welding or the like.

이 때, 제2강합성 거더(200)에는 연결 강재(110x)의 연결 복부(113x) 및 연결 상부 플랜지(111x)가 제2강합성 거더(200)의 트러스 구조인 상현재(211) 및 연결재(212)에 미리 중첩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부(Ⅱ)에서의 강재 거더(110, 210)의 연결 구성은 미리 제2강합성 거더(200)에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공중에서는 '거치된 상태의 제1강합성 거더(100)'와 '거치된 상태의 제2강합성 거더(200, 연결부(Ⅱ)의 일부를 포함한다)'를 연결 플레이트(70)나 용접 등으로 결합하면, 제1강합성 거더(100)와 제2강합성 거더(200)의 강재 거더(110, 210)의 연결 공정이 짧은 시간 내에 모두 완료된다. At this time, i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the connecting abdomen 113x and the connecting upper flange 111x of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110x are connected to the phase current 211, which is the truss structure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teel girders 110 and 210 at the connecting portion II is previously formed i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 Therefore, in the air,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ncluding a part of the connection part II)' in a stationary state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te 70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teel girders 110 and 210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s completed in a short time.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제1연결철근(108)과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의 제2연결철근(208)을 루프 철근(98)으로 연결시킨 후,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 사이 간격(CC)에 연결 콘크리트(90)를 합성한다. Step 4 : Then, as shown in Fig. 8, 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08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and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208 of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are connected to the loop reinforcing bars 98 The connecting concrete 90 is formed at the interval CC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220.

이에 의하여, 도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1)의 거더 구조의 시공이 완료된다. Thus, as shown in Fig. 10D, the construction of the gird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1 is completed.

단계 5: 그리고 나서, 도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합성 거더(100, 200)의 상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 콘크리트(300)를 합성한다. 그 다음, 합성된 바닥판(300) 상에 도로면을 포장하고 난간을 설치하여 교량(1)의 시공을 완료한다. Step 5 : Then, as shown in FIG. 10E, a mol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s 100 and 200, and a non-hardened concrete is placed to synthesize the bottom plate concrete 300. Then, the road surface is packed on the composite bottom plate 300, and a rail is provid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1. [

제1강합성거더(100)와 제2강합성거더(200)의 연결은 임시 교각(66)의 설치 없이 교량 하부 구조(10, 20) 상에 거치 전 지상에서 연결 플레이트(70)를 매개로 결합하거나 용접 등의 접합으로 일체화한 후 교량 하부 구조(10, 20) 상에 거치할 수도 있다.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ing plate 70 on the bridge substructure 10 and 20 without the provision of the temporary bridge 66 Or they may be integra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10, 20 after being integrated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의 상부 구조체(1)는, 상대적으로 큰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I)에 트러스 형태의 제2강재 거더(210)와 제2케이싱 콘크리트(220)가 합성된 제2강합성 거더(200)로 지지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정모멘트가 작용되는 정모멘트 구간(I)에는 I자형 단면의 제1강재거더(110)와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된 제1강합성거더(100)로 지지하여, 연속 지점부에 작용하는 큰 부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 경간부에 작용하는 정모멘트를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로 지지하여 내하 능력이 큰 장경간 교량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강재의 사용량을 보다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upper structure 1 of the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second steel girder 210 in the form of a truss and the second steel girder 210 in the second moment in the moment section I, The first concrete girder 110 having an I-shaped section and the first casing concrete 110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are supported by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in which the concrete 220 is combined, (120) is combined with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so as to effectively support the large pendulum acting on the continuous fulcrum portion, while the first moment concrete acting on the span por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ng-span bridge having a large load-carrying capacity,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used, thereby achieving an economical construction.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정모멘트 구간(Ⅲ)에 배치되는 제1강합성거더(100)와, 부모멘트 구간(I)에 배치되는 제2강합성거더(200)의 경계를 부모멘트 구간으로 소정 거리(L)만큼 치우쳐 배치함으로써, 정모멘트 구간(Ⅲ)에서는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의하여 정모멘트 구간(Ⅲ) 전체에 걸쳐 빈틈없이 지지할 수 있으며, 부모멘트 구간(I)에서는 단면계수가 높은 U자형이나 I자형 단면의 상현재(211)와 연결재(212)에 의하여 크게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복합 형식의 연속 교량에서 인장 응력(정모멘트 구간)과 압축 응력(부모멘트 구간)을 높은 저항 능력으로 지지함에 따라, 경제성이 보다 향상된 장경간 교량을 구현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 disposed in the moment frame section III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00 disposed in the momentum section I is defined as a moment section The first casing concrete 120 in which the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can be seamlessly supported over the entire momentum section III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L. In the third momentum section III, (I),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tensile stress largely influenced by the phase current (211) and the connecting material (212) of the U-shaped or I-shaped cross section having a high section modulus, By supporting the tensile stress and the compressive stress with high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ng - span bridge with improved economic efficienc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경간 연속화된 복합 형식의 교량(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위 실시 예를 참조하여 이를 3경간 이상의 연속 교량에 적용하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너무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3경간 이상의 연속 교량에 적용하는 것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other words,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the composite type bridge 100 continuous over two span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ntinuous bridge having three spans or more, And it is of cours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inuous bridges of three spans or mo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 부모멘트 구간 Ⅲ: 정모멘트 구간
Ⅱ: 연결부 1: 연속 교량의 상부 구조체
10, 20: 교각 90: 연결 콘크리트
98: 루프 철근 100: 제1강합성거더
100x: 연결강재 110: 제1강재거더
111: 상부 플랜지 113: 복부
111x: 연결 상부 플랜지 112x: 연결 하부 플랜지
113x: 연결 복부 113e: 연결복부의 끝단
120: 제1케이싱 콘크리트 125: 긴장재
200: 제2강합성거더 210: 제2강재거더
211: 상현재 212: 연결재
220: 제2케이싱 콘크리트 300: 바닥판 콘크리트
I: The parenting interval Ⅲ: The moming interval
Ⅱ: Connection part 1: Upper structure of continuous bridge
10, 20: Pier 90: Connection concrete
98: loop reinforcement 100: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100x: connecting steel 110: first steel girder
111: upper flange 113: abdomen
111x: Connection flange 112x: Connection flange
113x: connecting abdomen 113e: connecting abdomen end
120: first casing concrete 125:
200: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210: second steel girder
211: image present 212: connector
220: second casing concrete 300: bottom plate concrete

Claims (16)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제1강재 거더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 합성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을 포함하여 배치된 제1강합성거더와;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로부터 연결된 연결재와, 상기 연결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연결재와 상기 상현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연결 강재를 포함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강재와 상기 제1강재거더가 결합되어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제2강합성거더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측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강합성거더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강재는 상기 제1강재 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의 끝단은 상기 연결재들 중에 제1연결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복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연결재는 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재가 상기 복부의 끝단을 감싸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An I-shaped first steel girder made up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a first casing concrete which is combined with the lower flange and into which a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rranged to include a moment section to which a moment is exerted by a load;
A second casing concret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s, and a connecting steel member coupled wit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disposed at least a part of a momentum section in which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 bottom plate concrete synthesized o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Wherein the connecting steel member forms a continuous section with the first steel girder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mong the connection members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abdomen is formed of a steel pipe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abdomen. Superstructure of bridges.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제1강재 거더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 합성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을 포함하여 배치된 제1강합성거더와;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로부터 연결된 연결재와, 상기 연결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연결재와 상기 상현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연결 강재를 포함하고,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강재와 상기 제1강재거더가 결합되어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제2강합성거더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측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강합성거더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강재는 상기 제1강재 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의 끝단은 상기 연결재들 중에 제1연결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복부는 상기 연결재와 2개 이상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An I-shaped first steel girder made up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a first casing concrete which is combined with the lower flange and into which a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rranged to include a moment section to which a moment is exerted by a load;
A second casing concret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s, and a connecting steel member coupled wit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disposed at least a part of a momentum section in which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 bottom plate concrete synthesized o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Wherein the connecting steel member forms a continuous section with the first steel girder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out of the connecting members, and the connecting abdomen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connecting member in two or more.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는 긴장재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긴장된 상태로 정착되어,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tensile material is longitudinally disposed in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is fixed in a tense state so that a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ing concre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합성거더의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는 상기 정모멘트 구간의 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의 정착구는 상기 부모멘트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asing concrete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disposed on the entir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section and the fixing port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is located in the section of the momentum.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합성거더의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의 사이에 연결 콘크리트가 합성되어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가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ng concrete is synthesized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so that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are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upper structure of the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is formed to form a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inuous type bridg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합성거더의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의 단부에는 종방향으로 제1연결철근이 노출되고,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의 단부에도 종방향으로 제2연결철근이 노출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철근과 상기 제2연결철근이 루프 철근에 의하여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longitudinally at the ends of the first casing concrete of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to the ends of the second casing concrete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 to each other by a loop reinforcement.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강합성거더의 상현재는 제1상부플랜지와, 제1하부플랜지와, 이들을 잇는 제1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현재의 제1상부 플랜지가 교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상현재의 상기 제1하부 플랜지는 상기 연결 강재의 상기 연결 복부의 일부분에 중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복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pper current of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formed into an I-shaped cross-section composed of a first upper flange, a first lower flange, and a first abdomen connecting them;
The connecting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and the first upper flange of the upper phase are connected in a continuous manner in the throttling direction;
Wherein the upper current flange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abdomen so as to extend over a portion of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 RTI ID = 0.0 > 18. < / RTI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플랜지의 끝단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upper end of the first lower flange is bent upward and coupled with a connection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현재는 제1상부플랜지와, 제1하부플랜지와, 이들을 잇는 제1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현재의 제1하부 플랜지가 교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상현재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1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연결 강재의 상기 연결 상부 플랜지의 일부분과 중첩되게 연장 형성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hase current is formed in an I-shaped cross section comprising a first upper flange, a first lower flange, and a first abdomen connecting them;
The connection upp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and the first lower flange of the phase current are connected in a continuous manner in the throttle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said first upper flange and said first abdomen is extended and joined to a portion of said connecting upper flange of said connecting steel.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는 교축 직각 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 사이를 폐합하는 폐합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ing axis;
And a closed concrete for closing between the second casing concrete is formed on the upper structure.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현재는 U자형 단면과 I자형 단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hase current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including one of a U-shaped section and an I-shaped section.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제1강재 거더를 준비하고, 상기 제1강재거더의 상기 하부 플랜지에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되, 제2강합성거더와 연결되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고,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는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강합성거더를 제작하는 제1강합성거더 제작단계와;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로부터 연결된 연결재와, 상기 연결재와 상기 상현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연결 강재와, 상기 연결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제2케이싱 콘크리트를 상기 연결재에 합성하되,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강재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제작하되, 상기 제2강합성거더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강재는 상기 제1강재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을 형성하게 상기 제2강합성 거더를 제작하는 제2강합성거더 제작단계와;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제1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되, 상기 제1강합성거더는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의 전부와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기 제1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는 제1강합성거더 거치단계와;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되, 상기 제2강합성거더는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는 제2강합성거더 거치단계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교축 방향으로 하나의 거더가 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의 끝단은 상기 연결재들 중에 제1연결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복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연결재는 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재가 상기 복부의 끝단을 감싸도록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거더 이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Preparing an I-shaped first steel girder made up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synthesizing a first casing concrete on the lower flange of the first steel girder, Synthesizing the first casing concrete so as to expose an end of the lower flange connected to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fabricating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n which a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ing concrete; ;
And a second casing concret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aterial to form a second casing concrete on the connecting material, wherein the second casing concrete is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material, the connecting material being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aterial,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anufactured by synthesizing the second casing concrete so as to expose the end of the low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fabricating step of fabricating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so that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forms a continuous section with the first steel girder;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structed such that all of the section of the upper section subjected to the moment load by the fixed load of the bridge and the momentum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mounting step for mounting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occupy a part of the secti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occupy a part of the momentum section in which the moment is exerted by the fixed load of the bridge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mounting step;
Wherei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re connected so as to be one girder in the throttle direction, the end of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aterial among the connecting materials,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f a steel pip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the abdomen to be coupled;
Wherein the composite bridging structure is construc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ridges.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 I자형 제1강재 거더를 준비하고, 상기 제1강재거더의 상기 하부 플랜지에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되, 제2강합성거더와 연결되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고,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에는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제1강합성거더를 제작하는 제1강합성거더 제작단계와;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로부터 연결된 연결재와, 상기 연결재와 상기 상현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연결 강재와, 상기 연결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제2케이싱 콘크리트를 상기 연결재에 합성하되,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강재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가 드러나도록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제작하되, 상기 제2강합성거더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강재는 상기 제1강재거더와 연속하는 단면을 형성하게 상기 제2강합성 거더를 제작하는 제2강합성거더 제작단계와;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제1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되, 상기 제1강합성거더는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정모멘트 구간의 전부와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기 제1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는 제1강합성거더 거치단계와;
교량 하부 구조 상에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되, 상기 제2강합성거더는 교량의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모멘트 구간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거치시키는 제2강합성거더 거치단계와;
상기 제1강합성거더와 상기 제2강합성거더를 교축 방향으로 하나의 거더가 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의 끝단은 상기 연결재들 중에 제1연결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복부는 상기 연결재와 2개 이상 중첩되게 배치되게 연결하는 거더 이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mposite type continuous bridge,
Preparing an I-shaped first steel girder made up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synthesizing a first casing concrete on the lower flange of the first steel girder, Synthesizing the first casing concrete so as to expose an end of the lower flange connected to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fabricating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n which a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asing concrete; ;
And a second casing concret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aterial to form a second casing concrete on the connecting material, wherein the second casing concrete is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material, the connecting material being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aterial,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anufactured by synthesizing the second casing concrete so as to expose the end of the lower flange of the connecting steel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fabricating step of fabricating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so that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forms a continuous section with the first steel girder;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is constructed such that all of the section of the upper section subjected to the moment load by the fixed load of the bridge and the momentum A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mounting step for mounting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occupy a part of the secti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occupy a part of the momentum section in which the moment is exerted by the fixed load of the bridge A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mounting step;
Wherein the first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second steel composite girder are connected so as to be one girder in the throttle direction, the end of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aterial among the connecting materials, A girder joining step connecting two or more overlappingly arranged joists;
Wherein the composite bridging structure is construc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ridges.
제 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이음 단계는,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된 제1연결철근과,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결철근을 루프 철근으로 잇는 단계와;
상기 제1케이싱콘크리트와 제2케이싱콘크리트의 사이 공간에 연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 합성하여, 상기 제1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제2케이싱 콘크리트가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 방법.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Connecting a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 projecting longitudinally from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a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 projecting longitudinally from the second casing concrete to a loop reinforcement;
Forming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ouring the connecting concrete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ing concrete and the second casing concret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강합성거더 제작단계는,
상기 제1강재거더의 끝단과 동일한 단면의 연결 강재의 연결 복부가 상기 연결부에 중첩되게 결합되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시공 방법.
15.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el girder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necting abdomen of the connecting steel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end of the first steel girder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in a superimposed manner.
삭제delete
KR1020160049101A 2016-04-22 2016-04-22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 KR101821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01A KR101821164B1 (en) 2016-04-22 2016-04-22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01A KR101821164B1 (en) 2016-04-22 2016-04-22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354A KR20170121354A (en) 2017-11-02
KR101821164B1 true KR101821164B1 (en) 2018-01-24

Family

ID=6038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101A KR101821164B1 (en) 2016-04-22 2016-04-22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1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223A (en) * 2018-10-29 2019-01-1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A kind of Novel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974B1 (en) * 2009-12-21 2010-09-17 (주)아이브릿지코리아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pan continuous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KR101264577B1 (en) * 2012-12-13 2013-05-14 주식회사 홍지 Steel frame concre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974B1 (en) * 2009-12-21 2010-09-17 (주)아이브릿지코리아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pan continuous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KR101264577B1 (en) * 2012-12-13 2013-05-14 주식회사 홍지 Steel frame concre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354A (en)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32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Members without Prestressing Bed
JP4059909B2 (en) Composite panel structure and panel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composite girder bridge
KR100947306B1 (en) Composite bridge structure with concrete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125917B1 (en)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1064731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366903B1 (en) Girder having truss 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and pedestrian overpass using it
KR101270733B1 (en)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Integrated with Steel De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Such Girder
KR101448161B1 (en) Truss type hybrid beam structure
KR102153007B1 (en) Precast slab under groove and shear truss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68677B1 (en) Connection unit for coupling main steel girder and ancillary steel girder and, connection methods using the same
KR100823448B1 (en) The improved seismic resistant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640933B1 (en) Prefabricated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42046B1 (en) Composite gir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582599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KR101205761B1 (en) Upper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bridge having low-weighed and high resistance cap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21164B1 (en) Upper structure of complex typ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sturction method thereof
KR101688517B1 (en)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KR101347555B1 (en) Method for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KR10113296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plate girder bridge stiffened its negative moment area by concrete and structure thereof
KR101631096B1 (en) Multiple composite girder for bridge
KR100931318B1 (en) Temporary bridges with branches of trus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583401B1 (en) The continuous hybrid girder consist of concrete block and steel block which is can add prestress by gap difference between top and bottom of connection face of blocks
KR101878762B1 (en)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KR2013009070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