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010B1 -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010B1
KR101821010B1 KR1020140155846A KR20140155846A KR101821010B1 KR 101821010 B1 KR101821010 B1 KR 101821010B1 KR 1020140155846 A KR1020140155846 A KR 1020140155846A KR 20140155846 A KR20140155846 A KR 20140155846A KR 101821010 B1 KR101821010 B1 KR 10182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improving
cosmetic composition
clinacanthus nut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014A (ko
Inventor
안성관
최성진
김가람
주다혜
신상훈
이준우
이정주
안인숙
김기쁨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0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안정한 특징이 있고, 항산화 활성을 갖고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생장 촉진 활성 및 인간진피섬유아세포 내의 콜라겐 합성 증가 활성을 통해 피부보습 개선, 피부주름 개선, 피부두께 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장벽 개선, 피부 결 개선 및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linacanthus nutans extract for skin improvement}
본 발명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다양한 인자에 대해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하여 피부는 다양한 층과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표피는 각질형성세포와 멜라닌 형성세포 및 면역세포로 구성되어 피부장벽으로서의 기능을 하며, 진피에는 진피섬유아세포가 존재하여 피부의 탄력과 주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진피층에 존재하는 진피섬유아세포는 섬유상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을 발현시켜 피부의 탄력과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하여 피부 주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콜라겐은 총 14개의 타입이 있으며 이중 피부에는 타입 Ⅰ 콜라겐(type Ⅰ collagen) 이 주로 존재한다. 콜라겐은 두 개의 α1 사슬과 한 개의 α2 사슬이 3중 나선 형태로 꼬여서 생성되며, 이 사슬들은 Col1A1, Col1A2 유전자로부터 발현된다. 세포에서 만들어진 콜라겐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세포 외 기질에서 서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를 이룬다. 이러한 콜라겐의 합성은 자외선과 같은 외부환경이나 피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저하되며 또한 진피섬유아세포가 발현하는 콜라겐 분해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atrix-metalloproteases)의 활성 증가로 콜라겐의 분해를 촉진하여 주름이 생성되고 피부의 탄력과 유연성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표피 및 진피층에 생긴 피부 문제는 보습제와 같은 화장품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며, 각각의 피부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각질형성세포와 진피섬유아세포가 재기능을 할 수 있도록 회복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는 태국에서 자생하는 단년생 약용식물로 쥐꼬리망초과에 속하는 식물로써, 태국에서 뱀독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 항염, 항독소 및 항산화 기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간암, 폐암, 대장암, 신경세포종 등 암세포에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사멸억제에 대한 효과가 보고된 바 있지만 이는 단순히 사멸 억제만을 확인하였으며,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271823A1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제조를 위한 새로운 소재로 천연물질을 모색하던 중,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에 주목하여 그 기능을 실험해 본 결과,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의 추출물이 다양한 피부 개선 효능이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 개선 효능이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 메탄,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은 60% 알코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활성은 활성산소를 분해하는 작용을 통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진피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의 생장 촉진 활성 또는 인간진피섬유아세포 내의 콜라겐 합성 증가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합성 증가는 Col1A1의 발현이 증가 되거나, MMP1의 발현이 감소되는 작용을 통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보습 개선, 피부주름 개선, 피부두께 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장벽 개선, 피부 결 개선 및 색소 침착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안정한 특징이 있고, 항산화 활성을 갖고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생장 촉진 활성 및 인간진피섬유아세포 내의 콜라겐 합성 증가 활성을 통해 피부보습 개선, 피부주름 개선, 피부두께 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장벽 개선, 피부 결 개선 및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활성산소 분해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인간진피섬유아세포(nHDF)의 생장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Col1A1의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MMP1의 발현 감소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 수분 지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 유분지수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두께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색소 증가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연구하던 중,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이러한 기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으며,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의 주요성분으로는 Clinacoside A, Clinacoside B, Clinacoside C, Cycloclinacoside A1, Cycloclinacoside A2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되어 인체에 안정하면서도, 탁월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재를 찾고자 모색하던 중,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주목하였으며 여러가지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나타나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피부 개선'은 피부주름 개선, 피부장벽 개선, 피부두께 개선, 피부 결 개선, 피부탄력 개선 및 피부보습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얼굴 및 전신 피부를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 등을 이용하여 피부의 생리적 기능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아름답게 유지시키고 보호 및 개선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피부미용의 목적은 피부의 생리기능을 회복시켜 건강하고 탄력 있는 피부로 유지시키고, 피부 고유의 특성과 성질을 찾도록 도와주어 정상 피부로의 개선 및 건강한 피부 유지에 있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 개선방법은 피부주름 개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발휘하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용도인 피부주름 개선은 통상적인 피부 보호용도(주름의 예방, 주름의 제거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장벽 개선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각질형성세포가 기저층에서 분화와 이동과정을 거쳐 새로운 각질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각화주기라 하며, 28일 정도가 소요된다. 이 과정 동안 노화된 각질세포는 각질층에서 떨어져 나가, 피부는 계속해서 새로운 각질층으로 교체되며 피부 노화에 따라 각질형성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분화속도가 줄어들게 되면, 새로운 각질층으로의 교체가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가 거칠어지고 장벽으로서의 기능이 약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우수한 피부장벽 개선 효능을 발휘하며,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인간을 대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피부두께 개선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진피층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이 감소하게 되면 진피층 두께가 감소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우수한 피부두께 개선 효능을 발휘하며, 인간의 진피층 두께를 피부 초음파 측정기로 측정하여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두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피부탄력 개선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진피섬유아세포가 생성하는 콜라겐의 증가와 메탈로프로테나제의 감소는 피부 탄력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방법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우수한 피부탄력 개선 효능을 발휘하며, 인간의 피부 탄력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피부보습 개선, 피부주름 개선, 피부두께 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장벽 개선, 피부 결 개선 및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의 잎 또는 줄기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 메탄, 헥산, 에테르, 벤젠,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시클로헥산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저급 알코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 이외에,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과 반응하여 피부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및 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1>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 시료의 제조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열수 추출법과 에탄올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파쇄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잎과 줄기를 멸균수 및 60% 에탄올에 각각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원료를 60℃의 온도에서 48시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250 메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하여 액상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96℃ 의 온도와 5 mTorr의 압력에서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농축물을 획득하였다.
< 제조예 2>
스킨토너의 제조
실험 재료인 스킨토너를 만들기 위한 성분의 구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A상(수상)은 상온에서, B상(알코올상)은 히터를 이용하여 50℃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A상에 B상을 섞어 디스퍼(Disper)로 1000rpm으로 10분간 가용화시켰다. 그 이후, 교반 혼합과정을 거쳐 냉각 및 여과하고 pH 5.2 상태를 유지시켜 스킨토너를 완성하였다. 알로에와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각각 5 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108244514-pat00001
< 제조예 3>
수분크림의 제조
수분크림을 만들기 위한 성분구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제조과정은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고 나서 A상에 투입 2000 rpm, 10분 정도 유화하였다. C상을 고르게 섞은 뒤 80℃에서 A + B상에 투입 2000 rpm, 5분 정도 중화하였다. 그리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30℃로 냉각 pH 6.15를 완성하였다. 알로에와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각각 5 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108244514-pat00002
< 제조예 4>
크림의 제조
크림을 제조하기 위한 성분구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크림의 제조는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고 나서 A상에 투입하여 2000 rpm, 10분 정도 유화하였다. C상을 고르게 섞은 뒤 80℃에서 A + B상에 투입 2000 rpm, 5분 정도 중화하였다. 이어서, 서서히 고르게 혼합 교반하면서 30℃로 냉각하여 pH 6.23을 완성하였다. 알로에와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각각 5 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108244514-pat00003
< 실험예 1>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활성산소 분해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하여 피부 노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종이 제거되는지 확인하였다.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의 활성산소 분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를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방법을 이용하였다. 시험관에 4㎖ 메탄올을 넣고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0, 1, 10, 100 ㎎/ℓ의 농도별로 첨가한 다음 0.15mM DPPH 용액 1㎖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기질과 DPPH가 없는 Initial(Ai)과 blank(Ab)를 측정하였고, RC50(㎎/ℓ)은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값을 50% 감소시키는 추출물의 농도를 나타냈으며,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α-tocopherol 및 BHA를 상호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α-tocopherol과 BHA보다 낮은 RC50을 나타냈다. 따라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해 활성산소의 분해가 촉진되는 것으로 피부 노화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생장촉진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피의 구성성분인 콜라겐을 합성하는 섬유아세포 생장이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해 촉진되는지 확인하였다.
인간진피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nHDF)는 L onza(Switzerland)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액은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USA)에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10% penicillin(100 unit/mL)과 streptomycin(100 g/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양조건은 37℃, 95% 습도,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3-10세대 사이의 세 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인 nHDF 세포에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어느 정도 발생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0, 1, 10, 100 ㎎/ℓ의 농도로 처리 후에 24, 48 및 72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고, 이 후 세포의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 처리 24시간 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8시간 후 부터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생장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고(대조군과 대비하여 각각 101.30 %, 105.61% 및 120.22% 증가), 72시간 후에는 더 큰 차이를 보였다(대조군과 대비하여 각각 103.44, 112.77 및 133.13% 증가). 결과적으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은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 세포독성 띄지 않고 오히려 세포의 생장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난 바,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피부에 대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Col1A1 의 발현 증가 및 MMP1 의 발현 감소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하여 인간진피섬유아세포가 발현하는 대표적인 콜라겐(collagen) 중 하나인 Col1A1 및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collagen 발현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 0, 1, 10, 100 ㎎/ℓ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유전자 발현 변화는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과정중에 증폭되는 DNA 산물에 형광물질을 붙이고 형광물질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방식인 quantitative real time PCR(qRT-PCR)로 측정하였다(Higuchi et al., 1992).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COL1A1 과 MMP1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PCR 산물이 발산하는 형광값을 통하여 결과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SYBR green (Invitrogen)을 사용하였다. PCR tube에 0.2μM primers, 50 mM KCl, 20 mM Tris/HCl pH 8.4, 0.8 mM dNTP, 0.5U Extaq DNA polymerase, 3 mM MgCl2, 1×SYBR green을 혼합 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반응액을 제조 후 Linegene K (BioER, China)를 이용하여 94℃에서 3분 동안 primary denaturation 한 후 denaturation, annealing, polymerization을 각각 94℃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총 40 cycle을 수행하였고, 매 cycle 이 끝난 후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PCR 결과는 각 결과별 melting curve로 검증하였다. 각 유전자의 threshold cycle (Ct)값을 β-actin의 Ct값으로 표준화한 후, Ct값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Ct값은 PCR 산물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의 양(증폭된 PCR 산물의 수)이 기본 값 이상의 일정한 기준 값에 도달했을 때의 cycle 수로서 Ct값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에 사용한 각 유전자의 primer는 하기 표 4 와 같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beat-actin 5-GGATTCCTATGTGGGCGACGA-3 5-CGCTCGGTGAGGATCTTCATG-3
COL1A1 5-AGGGCCAAGACGAAGACATC-3 5-AGATCACGTCATCGCACAACA-3
MMP1 5-TCTGACGTTGATCCCAGAGAGCAG-3 5-CAGGGTGACACCAGTGACTGCAC-3
분석 결과, 도 3에서 나타낸 결과와 같이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Col1A1 mRNA 발현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1.04, 1.76 및 2.43배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해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서 Col1A1의 발현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MMP1 mRNA 발현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4.0%, 26.0% 및 69.0% 각각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4>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피부 유수분 지수 변화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orneometer와 sebumeter를 이용하여 피부 유수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피부 유수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1, 2를 각각 2주, 4주간 사용한 뒤 피부 수분지수를 corneometer(MPA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Corneometer를 이용해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측정부위인 우측 볼부위를 3회 연속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유분지수는 sebumeter(MPA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Sebumeter를 이용해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측정부위인 이마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의 경우, 우측 볼 부위의 수분량이 실험 전 258 A.U.(Arbitrary Unit), 2주 후 269 A.U., 4주 후 282 A.U.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에서는 실험 전 264 A.U., 2주 후 313 A.U., 4주 후 329 A.U.로 실험 전보다 124.62% 증가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는 실험 전 253 A.U., 2주 후 324 A.U., 4주 후 464 A.U.로 실험 전보다 183.40%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의 경우, 이마부위의 유분량이 실험 전 332.81 ㎍/㎠, 2주 후 324.14 ㎍/㎠, 4주 후 357.65 ㎍/㎠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에서는 실험 전 335.75 ㎍/㎠, 2주 후 347.43 ㎍/㎠, 4주 후 365.11 ㎍/㎠로 실험 전보다 108.74% 증가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는 실험 전 344.94 ㎍/㎠, 2주 후 351.20 ㎍/㎠, 4주 후 386.29 ㎍/㎠로 실험 전보다 111.99% 크게 증가하였다.
분석 결과, 수분량에 대해서 실시예 2에서 수분량의 변화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비교예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분량에 대해서도 실시예 2에서 유분량의 변화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비교예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분석기를 이용하여 피부주름을 분석하였다.
먼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피부주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1, 2를 각각 2주, 4주간 사용한 뒤 안면 주름 정도를 PRIMOS Lite (field of view 18×13-simple, flexible 3D measuring, GFMesstechnik GmbH, Germany)을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PRIMOS Lite를 이용해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얼굴을 특수 제작된 PRIMOS 안면고정장비세트에 얼굴을 고정하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해 측정 부위인 눈꼬리 끝부위가 PRIMOS Lite의 포커스 패턴과 맞도록 조정 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의 경우, 눈꼬리 주름이 실험 전 32.49 ㎛, 2주 후 32.55 ㎛, 4주 후 31.24 ㎛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의 눈꼬리에서는 실험 전 31.03 ㎛, 2주 후 30.84 ㎛, 4주 후 29.98 ㎛로 실험 전보다 1.05 ㎛ 감소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의 눈꼬리에서는 실험 전 33.18 ㎛, 2주 후 29.42 ㎛, 4주 후 27.21 ㎛로 실험 전보다 5.97 ㎛ 감소하였다.
분석 결과, 눈꼬리 주름 변화량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 눈꼬리 주름의 변화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비교예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6>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피부 두께 개선 효과
상기 실험예 2 및 3을 통하여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 증가 및 콜라겐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에 따라 생성된 콜라겐에 의해 진피층의 두께가 증가하는지를 분석하여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에 의한 피부 두께 개선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피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1, 2를 각각 2주, 4주간 사용한 뒤 DUB-Skin Scanner (tpm taberna pro medicum, Germany)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DUB-Skin Scanner에 초음파 검사용 젤을 바르고 Probe를 피부와 직각이 되도록 한 후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동일한 압력으로 눌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2주, 4주 후 모두 사용 전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의 피시험자에서는 2주 후 100.14%, 4주 후 100.74%로 실험 전보다 증가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의 피시험자에서는 2주 후 101.26%, 4주 후 104.75%로 실험 전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 실험예 7>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피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1, 2를 각각 2주, 4주간 사용한 뒤 피부 탄력의 변화정도를 DermaLab USB elasticity probe(DermaLab USB elasticity probe)로 측정하였다. DermaLab USB elasticity probe는 측정 부위 흡입과 흡입시간 지속에 따른 피부 변화와 복원력을 수치로 나타내며,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probe를 테이프로 왼쪽 볼부위에 고정 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2주, 4주 후 모두 사용 전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의 피시험자에서는 실험 전 12.03 Mpa, 2주 후 12.57 Mpa, 4주 후 13.02 Mpa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증가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는 실험 전 11.59 Mpa, 2주 후 12.44 Mpa, 4주 후 13.52 Mpa로 실험 전보다 1.93 Mpa 크게 증가하였다.
< 실험예 8>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피부 장벽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1, 2를 각각 2주, 4주간 사용한 뒤 표피수분손실량(TEWL :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수분손실측정기인 DermaLab USB TEWL probe (Cortex Technology, Inc., Denmark)를 이용하여 기기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2주, 4주 후 모두 사용 전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의 피시험자에서는 실험 전 31.03 g/㎡/hr, 2주 후 30.84 g/㎡/hr, 4주 후 29.98 g/㎡/hr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감소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는 실험 전 33.18 g/㎡/hr, 2주 후 29.42 g/㎡/hr, 4주 후 27.21 g/㎡/hr로 실험 전보다 5.97 g/㎡/hr 크게 감소하였다
< 실험예 9>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피부 결 개선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피부결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1, 2를 각각 2주, 4주간 사용한 뒤 피부결 정도를 PRIMOS Lite (field of view 4530-simple, flexible 3D measuring, GFMesstechnik GmbH, Germany)을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PRIMOS Lite를 이용해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이마부위를 3회 연속하여 측정하여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2주, 4주 후 모두 사용 전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의 피시험자에서는 실험 전 16.71 ㎛, 2주 후 15.89 ㎛, 4주 후 15.11 ㎛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감소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는 실험 전 15.98 ㎛, 2주 후 15.02 ㎛, 4주 후 14.16 ㎛로 실험 전보다 1.82 ㎛ 크게 감소하였다.
< 실험예 10>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 Clinacanthus nutans ) 추출물에 의한 피부 색소 침착 개선 효과
본 발명자들은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이 색소침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1, 2를 각각 2주, 4주간 사용한 뒤 ANTERA 3D (Miravex, Ireland)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왼쪽 볼부위를 3회 연속으로 동일부위를 측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2주, 4주 후 모두 사용 전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시예 1(알로에 그룹)의 피시험자에서는 실험 전 221.41 ㎟, 2주 후 212.12 ㎟, 4주 후 208.57 ㎟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감소하였다. 실시예 2(Clinacanthus natans 추출물 그룹)는 실험 전 221.65 ㎟, 2주 후 189.62 ㎟, 4주 후 154.90 ㎟로 실험 전보다 66.75㎟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우수한 피부 미백 화장품의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의 클리나칸투스 누탄스(Clinacanthus nuta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 메탄 및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은 60%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활성은 활성산소를 분해하는 작용을 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통하여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55846A 2014-11-11 2014-11-11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46A KR101821010B1 (ko) 2014-11-11 2014-11-11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46A KR101821010B1 (ko) 2014-11-11 2014-11-11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14A KR20160056014A (ko) 2016-05-19
KR101821010B1 true KR101821010B1 (ko) 2018-01-23

Family

ID=5610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46A KR101821010B1 (ko) 2014-11-11 2014-11-11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0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1133A1 (en) * 2010-12-30 2012-07-05 Avon Products, Inc. Modulation of Dynein in Sk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1133A1 (en) * 2010-12-30 2012-07-05 Avon Products, Inc. Modulation of Dynein in Ski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 2013, Article ID 462751, 8 pages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14A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3105B1 (ko) 골담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용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0658B1 (ko) 마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5708B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함유 화장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한 화장료조성물
KR20130138677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167247B2 (ja) 皮膚外用剤
JP5577347B2 (ja) 沙参、藁本および生薬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40137540A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69919A (ko)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JP2008094792A (ja) オオボウシバナ由来のフラボノイドを含有する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抗老化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1821010B1 (ko) 클리나칸투스 누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1893B1 (ko) 알로에 추출물, 밭벼 추출물 및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30001028A (ko)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