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953B1 -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953B1
KR101820953B1 KR1020150078866A KR20150078866A KR101820953B1 KR 101820953 B1 KR101820953 B1 KR 101820953B1 KR 1020150078866 A KR1020150078866 A KR 1020150078866A KR 20150078866 A KR20150078866 A KR 20150078866A KR 101820953 B1 KR101820953 B1 KR 10182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edge
frame part
horizontal fram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958A (ko
Inventor
정경우
구현모
Original Assignee
(주)에스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컴텍 filed Critical (주)에스컴텍
Priority to KR102015007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9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는: 가장자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수평골조부와, 단차부에 조립되는 조립부를 구비하여 수평골조부와 직각되게 배치되는 제1수직골조부와, 단차부와 조립부에 조립되는 결속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제1수직골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수직골조부와, 결속프레임부와 조립부를 관통하여 수평골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ASSEMBLY TYPE MODULAR HOUSE}
본 발명은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패널부재나 프레임부재를 조립하여 제작가능한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에 고정되어 영구 혹은 반영구적으로 건축되는 건축물과 비교해, 이동이 가능하거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건축물을 가설건축물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가설건축물로는 컨테이너 하우스, 조립식 주택, 포터블 하우스 등이 있다.
컨테이너 하우스는 건축의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주택 건축 현장의 사무실, 경비실, 창고, 일반사무실, 대기실, 숙소, 간이 휴게실 등 다양한 용도로 제작,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주택, 별장, 캠핑장, 지자체 및 국제행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전시실, 다용도실 등의 용도로도 적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컨테이너 하우스 등의 가설건축물을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로 통칭한다.
통상적으로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는 빔, 브라켓 등과 같은 별도의 강성 골조부재를 연결부재로서 적용하여 복수개의 패널부재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조립 구조에 의하면 복수개의 패널부재나 프레임부재 각각에 강성 골재를 조립, 결합하는데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크고, 결합 위치마다 다른 구조와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를 적용함으로써 그 연결부재의 제작, 관리 및 조립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57423호(2006.02.24. 등록, 발명의 명칭: 모듈러 하우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패널부재나 프레임부재 상호간을 암수 조립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는: 가장자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수평골조부; 상기 단차부에 조립되는 조립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골조부와 직각되게 배치되는 제1수직골조부; 상기 단차부와 상기 조립부에 조립되는 결속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수직골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수직골조부; 및 상기 결속프레임부와 상기 조립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골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수평골조부의 제1변부 상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 상기 제1변부와 이웃하는 제2변부 상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2단차부; 상기 수평골조부의 모서리부 상에 상기 제1단차부, 상기 제2단차부보다 더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3단차부; 및 상기 모서리부 중 상기 제2수직골조부와 대향되는 일측부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4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1수직골조부의 제1-1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변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와, 상기 제1단차부에 끼워지는 제1조립턱부가 형성되는 제1조립부; 상기 제1-1변부와 직교하는 제1-2변부 상에 상기 제2단차부와 동일한 깊이로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와, 상기 제3단차부에 끼워지는 제2조립턱부가 형성되는 제2조립부; 및 상기 제1-2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4단차부에 끼워지는 제3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프레임부는, 상기 제2단차부와 상기 제2조립턱부가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턱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속프레임부, 상기 제1-2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삽입홈부에 삽입된 상기 모서리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골조부는, 설치홈부; 상기 설치홈부 상에 고정되는 고정체결부; 상기 고정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리프터와 연결되는 리프터연결구; 및 상기 설치홈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을 이루는 상기 수평골조부에 형성되는 제1설치홈부와, 바닥을 이루는 상기 수평골조부에 형성되는 제2설치홈부가 연통되게 형성하는 적층연결홈부; 및 상기 적층연결홈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적층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에 의하면, 수평골조부의 단차부, 제1수직골조부의 조립부, 제2수직골조부의 결속프레임부를 암수 조립하는 것에 의해 수평골조부, 제1수직골조부, 제2수직골조부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셋팅할 수 있고, 수평골조부, 제1수직골조부, 제2수직골조부의 겹침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쳐 수평골조부, 제1수직골조부, 제2수직골조부 모두를 한꺼번에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C,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E부분과, 도 3의 F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의 수평골조부와 제수직골조부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다른 사용 상태 설명하고자 도시한 도 1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의 적층연결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C,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E부분과, 도 3의 F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의 수평골조부와 제수직골조부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며, 도 8은 도 1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H-H'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와 다른 사용 상태 설명하고자 도시한 도 1의 H-H'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의 적층연결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는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 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
수평골조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하우스(1)의 천장과 바닥을 이루는 부분이다. 수평골조부(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속된 평면을 이루는 패널부재 또는 프레임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골조부(10)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lnforced Plastics)으로 이루어지는 외판부와, 보강 및 단열 기능을 하는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고 외판부에 결합되는 단열보강부를 포함하는 패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골조부(1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가장자리부가 제1변부(10a), 제2변부(10b), 모서리부(10c)를 포함한다.
제1변부(10a)는 수평골조부(10)의 전방 가장자리부와 후방 가장자리부 각각에 해당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제2변부(10b)는 수평골조부(10)의 좌측 가장자리부와 우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해당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모서리부(10c)는 제1변부(10a)와 제2변부(10b)가 교차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수평골조부(10)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제1변부(10a)와 제2변부(10b), 모서리부(10c)상에는 단차부(11)가 형성된다(도 4 참조).
제1수직골조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의 측벽을 이루는 부분으로, 수평골조부(10)와 직각되게 배치된다. 제1수직골조부(20)는 수직 방향으로 연속된 평면을 이루는 패널부재 또는 프레임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수평골조부(10)와 동일한 패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수직골조부(2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가장자리부가 제1-1변부(20a)와 제1-2변부(20b)를 포함한다.
제1-1변부(20a)는 제1수직골조부(20)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하부 가장자리부 각각에 해당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제1-2변부(20b)는 제1수직골조부(20)의 전방 가장자리부와 후방 가장자리부 각각에 해당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제1수직골조부(20)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제1-1변부(20a)와 제1-2변부(20b)상에는 제1변부(10a) 및 모서리부(10c)와 암수 조립되는 조립부(21)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제2수직골조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의 전방부와 방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수평골조부(10) 및 제1수직골조부(20)와 직각되게 배치된다. 제2수직골조부(30)는 제1수직골조부(20)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연속된 평면을 이루는 패널부재 또는 프레임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수직골조부(3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가장자리부가 제2-1변부(30a)와 제2-2변부(30b)를 포함한다.
제2-1변부(30a)는 제2수직골조부(30)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하부 가장자리부 각각에 해당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제2-2변부(30b)는 제2수직골조부(30)의 좌측 가장자리부와 우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해당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제2수직골조부(30)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제2-1변부(30a)와 제2-2변부(30b)상에는 제2변부(10b), 조립부(21)와 암수 조립되는 결속프레임부(31)가 형성된다(도 6 참조).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를 상호 암수 조립한 상태에서 수평골조부(10)의 모서리부(10c), 제1수직골조부(20)의 조립부(21), 제2수직골조부(30)의 결속프레임부(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선상 또는 수직선상에 서로 겹쳐져 위치하게 된다.
체결부재(40)는 제2수직골조부(30)의 결속프레임부(31)와 제1수직골조부(20)의 조립부(2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수평골조부(10)의 모서리부(10c)에 체결된다. 체결부재(40)로는 볼트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모서리부(10c)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를 모서리부(10c), 조립부(21), 결속프레임부(31)끼리 겹쳐지도록 가조립한 상태에서, 모서리부(10c)에 대응되는 지점에 체결부재(40)를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쳐,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 모두를 한꺼번에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차부(11)는 제1단차부(12), 제2단차부(13), 제3단차부(14), 제4단차부(15)를 포함한다.
제1단차부(12)는 수평골조부(10)의 제1변부(10a) 상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제1단차부(12)는 수평골조부(10) 중 제1변부(10a), 제2변부(10b), 모서리부(10c)를 제외한 부분, 즉 수평골조부(10) 중 단차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제1높이차를 가지고 제1변부(10a)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단차부(13)는 제2변부(10b) 상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제2단차부(13)는 제1단차부(12)와 마찬가지로, 수평골조부(10) 중 단차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제1높이차를 가지고 제2변부(10b)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3단차부(14)는 모서리부(10c) 상에 제1단차부(12), 제2단차부(13)보다 더 단턱지게 형성된다. 제3단차부(14)는 수평골조부(10) 중 단차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제1높이차보다 더 큰 제2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4단차부(15)는 모서리부(10c) 중 제2수직골조부(30)와 대향되는 일측부에, 즉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제1단차부(12), 제2단차부(13), 제3단차부(14)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부(21)는 제1조립부(22), 제2조립부(25), 제3조립부(28)를 포함한다.
제1조립부(22)는 수평골조부(10)의 제1변부(10a)와 암수 조립되는 부분으로, 제1수직골조부(20)의 제1-1변부(20a)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조립부(22)는 제1변부(10a)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23)와, 제1단차부(12)에 끼워지는 제1조립턱부(24)를 포함한다.
제2조립부(25)는 수평골조부(10)의 모서리부(10c)와 암수 조립됨과 동시에 제2수직골조부(30)의 제2-2변부(30b)상에 형성된 결속프레임부(31)가 조립되는 부분으로, 제1수직골조부(20)의 제1-2변부(20b)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조립부(25)는 제1수직골조부(20)의 다른 부분과 제1높이차를 가지도록, 즉 제2단차부(13)와 동일한 깊이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제2조립부(25)는 모서리부(10c)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26)와, 제3단차부(14)에 끼워지는 제2조립턱부(27)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2조립부(25)의 측면부를 이루는 부분을 측면연장부(25a), 전면부 또는 후면부를 이루는 부분을 연장단부(25b)로 구분한다.
제1조립턱부(24)와 제2조립턱부(27)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평골조부(10)의 수직 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3조립부(28)는 제4단차부(15)에 조립되는 부분으로, 모서리부(10c)와 접하는 제1-2변부(20b)의 상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단부(25b)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평골조부(10)의 수평 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수평골조부(10)와 제1수직골조부(2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수평골조부(10)의 제2변부(10b)와 제1수직골조부(20)의 제1-2변부(20b)는 연속된 사각형 프레임 형상(이하 '프레임부'라 한다)을 이룬다. 이때, 제2변부(10b)를 따라 연장되는 제2단차부(13)와 제1-2변부(20b) 상에 형성된 제2조립턱부(27)는 연속된 수평면을 이룬다.
즉, 제2단차부(13)와 제2조립턱부(27)는 동일한 깊이로 연속되는 단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2단차부(13)와 제2조립턱부(27), 측면연장부(25a)는 수평골조부(10)의 제2변부(10b)와 제1수직골조부(20)의 제1-2변부(20b)가 이루는 사각형 프레임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깊이로, 제1높이차로 연속되는 단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2변부(10b)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제3조립부(28), 연장단부(25b)는 연속된 수직면을 이루게 된다.
제2수직골조부(30)의 결속프레임부(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조립된 수평골조부(10)와 제1수직골조부(20)의 조립체에 제2수직골조부(30)를 결속시킴과 동시에 수평골조부(10)와 제1수직골조부(20)의 유동 및 분리를 구속하는 부분이다. 도 2, 도 3, 도 6을 참조하면, 결속프레임부(31)는 제2수직골조부(3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속프레임부(31)는 수평골조부(10)의 제2변부(10b)와 제1수직골조부(20)의 제1-2변부(20b)가 연속하여 형성하는 사각형 프레임부의 둘레에 끼워진다. 이때, 결속프레임부(31)는 제2단차부(13)와 제2조립턱부(27), 측면연장부(25a)가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턱과 면접촉되고, 제2수직골조부(30)의 수직면은 제2변부(10b)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제3조립부(28), 연장단부(25b)가 연속하여 형성하는 수직면과 면접촉된다.
또한, 결속프레임부(31)는 제1높이차에 해당되는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와 같이 제2단차부(13)와 제2조립턱부(27), 측면연장부(25a)에 그 내면부가 접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결속프레임부(31)의 외면부는 수평골조부(10)와 연속된 수평면을 이룸과 동시에 제1수직골조부(20)와 연속된 수직면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수직골조부(30)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제2-1수직골조부(30A)와,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제2-2수직골조부(30B)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적용한 구조를 가진다. 제2-1수직골조부(30A)은 폐쇄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기본 형태로 하고, 제2-2수직골조부(30B)는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기본 형태로 한다.
제2-1수직골조부(30A)상에 창이나 문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제2-1수직골조부(30A)의 일부에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창이나 문을 설치할 수 있다. 제2-2수직골조부(30B)상에 창이나 문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개방부를 시공하는 과정을 별도로 거칠 필요 없이 제2-2수직골조부(30B)의 전체에 해당되는 너비의 창이나 문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2수직골조부(30B)는 베란다나 테라스 공간을 조성하기에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를 모서리부(10c), 조립부(21), 결속프레임부(31)끼리 겹쳐지도록 가조립한 상태에서, 체결부재(40)의 단부가 모서리부(10c)에 체결되도록 측방향, 수직 방향, 전후 방향 중 적어도 일측에서 체결부재(40)를 체결함으로써,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 모두를 한꺼번에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측방향에서 체결부재(40)를 체결하는 경우, 체결부재(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직골조부(30)의 제2-2변부(30b)를 따라 연장되는 결속프레임부(31), 제2조립부(25)의 측면연장부(25a)의 상부 또는 하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모서리부(10c)에 체결된다.
또한, 수직 방향에서 체결부재(40)를 체결하는 경우, 체결부재(40)는 제2수직골조부(30)의 제2-1변부(30a)를 따라 연장되는 결속프레임부(31), 제2조립부(25)의 제2조립턱부(27)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모서리부(10c)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서 체결부재(40)를 체결하는 경우, 체결부재(40)는 제2수직골조부(30), 제3조립부(28)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모서리부(10c)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골조부(10)상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를 리프터와 연결하기 위한 리프터연결부(17)가 형성된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연결부(17)는 설치홈부(171), 고정체결부(174), 리프터연결구(175), 덮개(176)를 포함한다.
설치홈부(171)는 고정체결부(174)와 리프터연결구(175)를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의 공간부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수평골조부(10)상의 설정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고정체결부(174)는 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설치홈부(171) 상에 고정설치된다.
리프터연결구(175)는 리프터와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을 가지고 고정체결부(174)에 조립된다. 리프터연결구(175)에는 고정체결부(174)에 나사체결할 수 있는 수나사부가 구비되어, 고정체결부(174)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리프터연결구(175)를 고정체결부(174)에 체결한 상태에서 리프터연결구(175)는 설치홈부(17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주변과 간섭되지 않는다. 체인, 와이어 등과 같은 리프터의 연결부재를 리프터연결구(175)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리프터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 전체를 목적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덮개(176)는 설치홈부(171)를 커버할 수 있는 너비를 가지고 설치홈부(171)의 개방부측에 설치된다. 덮개(176)는 고정체결부(174)에 나사체결할 수 있는 수나사부를 구비하여, 리프터연결구(175)를 고정체결부(174)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고정체결부(174)에 나사체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연결구(175)를 고정체결부(174)에 체결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 전체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고정체결부(174)로부터 리프터연결구(175)를 분리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76)를 고정체결부(174)에 체결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우수(雨水) 등이 설치홈부(17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홈부(171)는 체결부수용부(172)와 덮개수용부(173)를 포함한다.
체결부수용부(172)는 고정체결부(174)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부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덮개수용부(173)는 덮개(176)가 안착, 수용될 수 있는 설치공간부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체결부수용부(172)의 개방부에 체결부수용부(172)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덮개수용부(173)는 덮개수용부(173)상에 위치되는 덮개(176)의 상부가 정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덮개(176)의 하부를 고정체결부(174)에 체결한 상태에서, 덮개(176)의 상부는 체결부수용부(172) 상에 위치되고, 체결부수용부(172)와 덮개수용부(173)의 경계부에 안착, 밀착된다. 이때, 덮개(176)의 상면부는 수평골조부(10)의 상면부와 연속된 수평면을 이루게 되어, 설치홈부(171), 고정체결부(174)가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한 외관 저해를 방지하고 수평골조부(10)와 함께 깔끔한 외관을 이루게 된다. 체결부수용부(172)는 덮개(176)에 의해 그 개방부가 폐쇄되어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인한 내부 오염이 방지된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는 다층으로 적층된 수평골조부(10)를 상호 연결하는 적층연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연결부(50)는 수평골조부(10)에 형성되는 설치홈부(171)를 이용하여, 천장을 이루는 수평골조부(10)와, 그 상측에 적층된 바닥을 이루는 수평골조부(10)를 상호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연결부(50)는 적층연결홈부(51)와 적층지지구(52)를 포함한다.
적층연결홈부(51)는 천장을 이루는 수평골조부(10)에 형성된 제1설치홈부(171a)와, 바닥을 이루는 수평골조부(10)에 형성된 제2설치홈부(171b)가 서로 마주하여 형성하는 공간부이이다. 제1설치홈부(171a)와 제2설치홈부(171b)는 함께, 다층으로 적층된 수평골조부(10)의 경계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연통된 공간부를 형성한다. 즉, 리프터연결부(17) 또는 설치홈부(171)가 형성된 수평골조부(10)를 천장과 바닥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적층연결홈부(51)를 형성할 수 있다.
적층지지구(52)는 적층연결홈부(51)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적층지지구(52)는 체결부수용부(172)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예를 들어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적층지지구(52)의 하부는 천장을 이루는 수평골조부(10)에 형성된 제1설치홈부(171a)에 끼워져 고정되고, 적층지지구(52)의 상부는 바닥을 이루는 수평골조부(10)에 형성된 제2설치홈부(171b)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1설치홈부(171a)에 적층지지구(52)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1설치홈부(171a)의 상측으로 돌출된 적층지지구(52)의 상부에 제2설치홈부(171b)를 끼워맞추는 과정을 거쳐, 복수개의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되게 조립, 연결할 수 있다. 다층으로 적층된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는 적층지지구(5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이 구속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1)에 의하면, 수평골조부(10)의 단차부(11), 제1수직골조부(20)의 조립부(21), 제2수직골조부(30)의 결속프레임부(31)를 암수 조립하는 것에 의해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셋팅할 수 있고,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의 겹침부에 체결부재(40)를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쳐 수평골조부(10), 제1수직골조부(20), 제2수직골조부(30) 모두를 한꺼번에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모듈러 하우스 10 : 수평골조부
10a : 제1변부 10b : 제2변부
10c : 모서리부 11 : 단차부
12 : 제1단차부 13 : 제2단차부
14 : 제3단차부 15 : 제4단차부
17 : 리프터연결부 20 : 제1수직골조부
20a : 제1-1변부 20b : 제1-2변부
21 : 조립부 22 : 제1조립부
23 : 제1삽입홈부 24 : 제1조립턱부
25 : 제2조립부 25a : 측면연장부
25b: 연장단부 26 : 제2삽입홈부
27 : 제2조립턱부 28 : 제3조립부
30 : 제2수직골조부 30A : 제2-1수직골조부
30B : 제2-2수직골조부 30a: 제2-1변부
30b : 제2-2변부 31 : 결속프레임부
40 : 체결부재 50 : 적층연결부
51 : 적층연결홈부 52 : 적층지지구
171 : 설치홈부 171a : 제1설치홈부
171b : 제2설치홈부 172 : 체결부수용부
173 : 덮개수용부 174 : 고정체결부
175 : 리프터연결구 176 : 덮개

Claims (5)

  1. 가장자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수평골조부;
    상기 단차부에 조립되는 조립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골조부와 직각되게 배치되는 제1수직골조부;
    상기 단차부와 상기 조립부가 끼워지는 결속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수직골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수직골조부; 및
    상기 결속프레임부와 상기 조립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골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수평골조부의 제1변부 상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
    상기 제1변부와 이웃하는 제2변부 상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2단차부;
    상기 수평골조부의 모서리부 상에 상기 제1단차부, 상기 제2단차부보다 더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3단차부; 및
    상기 모서리부 중 상기 제2수직골조부와 대향되는 일측부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4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1수직골조부의 제1-1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변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와, 상기 제1단차부에 끼워지는 제1조립턱부가 형성되는 제1조립부;
    상기 제1-1변부와 직교하는 제1-2변부 상에 상기 제2단차부와 동일한 깊이로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와, 상기 제3단차부에 끼워지는 제2조립턱부가 형성되는 제2조립부; 및
    상기 제1-2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4단차부에 끼워지는 제3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프레임부는,
    상기 제2단차부와 상기 제2조립턱부가 연속하여 형성하는 단턱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속프레임부, 상기 제1-2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삽입홈부에 삽입된 상기 모서리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골조부는,
    설치홈부;
    상기 설치홈부 상에 고정되는 고정체결부;
    상기 고정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리프터와 연결되는 리프터연결구; 및
    상기 설치홈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천장을 이루는 상기 수평골조부에 형성되는 제1설치홈부와, 바닥을 이루는 상기 수평골조부에 형성되는 제2설치홈부가 연통되게 형성하는 적층연결홈부; 및
    상기 적층연결홈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적층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KR1020150078866A 2015-06-03 2015-06-03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KR10182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866A KR101820953B1 (ko) 2015-06-03 2015-06-03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866A KR101820953B1 (ko) 2015-06-03 2015-06-03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58A KR20160142958A (ko) 2016-12-14
KR101820953B1 true KR101820953B1 (ko) 2018-01-23

Family

ID=5757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866A KR101820953B1 (ko) 2015-06-03 2015-06-03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9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96B1 (ko) * 2009-04-28 2010-01-20 (주)이에스연구소 경량패널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JP4425145B2 (ja) * 2002-12-03 2010-03-03 ヘンリー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建築モジュールを互いに固定する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5145B2 (ja) * 2002-12-03 2010-03-03 ヘンリー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建築モジュールを互いに固定する機構
KR100937196B1 (ko) * 2009-04-28 2010-01-20 (주)이에스연구소 경량패널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58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353B2 (en) Building envelope memb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US6418672B1 (en) Resin building
EP2689700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hower cubicles
US6823639B2 (en) Resin building
CN111155636B (zh) 建筑物组件
RU2008123058A (ru) Переносная панель пола
WO1993012699A1 (en) Versatile modular office partitions
US20130061388A1 (en) Shower base for a space-limited room
KR101820953B1 (ko)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KR101152912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및 연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벽판넬 설치 구조
KR100659729B1 (ko) 건축물의 블록 조립식 내부벽체
EP3636842B1 (en) Prefabricated house
KR200319279Y1 (ko) 조립식 건축물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WO2012029297A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KR20110011773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건축 구조체
KR20180040184A (ko) 조립식 미니온실
KR101784574B1 (ko) 이중창을 결합하기 위해 내구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컨테이너 하우스 제작방법
JP6915026B2 (ja) 仕切り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3902486B2 (ja) 玄関パン
JP6255040B2 (ja) ユニットハウス用の壁面パネルおよび壁面構造
AU2018201790A1 (en) Panel
KR20230082846A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의 조립방법
KR20110107935A (ko) 칸막이 시스템용 윈도우 구조
FR2721637A1 (fr) Bâtiment d'habitation modulaire économ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