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960B1 - 개량 아쟁 - Google Patents

개량 아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960B1
KR101819960B1 KR1020170015959A KR20170015959A KR101819960B1 KR 101819960 B1 KR101819960 B1 KR 101819960B1 KR 1020170015959 A KR1020170015959 A KR 1020170015959A KR 20170015959 A KR20170015959 A KR 20170015959A KR 101819960 B1 KR101819960 B1 KR 10181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ring
resonance hole
width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17001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0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명홀의 위치를 종래의 아쟁과 달리하여 소리가 크고 멀리 울려 퍼질 수 있는 아쟁을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는 형성된 상판(110)과,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테두리를 잇는 측판(130)으로 이루어지고 카본소재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폐쇄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현(116)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현홀(114)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카본 소재의 좌단(112); 및 상기 몸체(100)의 타단에 형성되며, 현(116)을 걸어 끼움하도록 현홀(114)측 방향으로 파여진 복수 개의 현홈(115)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카본 소재의 미단(113);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110)은 세로(a1) 대 가로(b1)의 비율이 1 : 1.5~1.8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안족(150)과 나란한 대각선 상에 S자 형태로 좌단(112)측에 형성되는 좌측 공명홀(111a)과, S자 형태의 단부 방향이 좌측 공명홀(111a)과 반대 방향을 향해 형성되며 세로(a2) 대 가로(b2)의 비율이 1 : 2.0~2.4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안족(150)과 나란한 대각선 상에 상기 좌측 공명홀(111a) 보다 큰 S자 형태로 미단(113)측에 형성되는 미측 공명홀(111b)로 이루어진 공명홀(111)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130)의 높이(h)는 55mm~65mm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110)의 볼록한 높이(f1)는 상기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48mm~52mm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120)의 볼록한 높이(f2)는 상기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13mm~17mm로 형성되고, 상기 현홈(115)의 폭(w1)은 현(116)의 굵기에 대하여 1 ~ 1.1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의하면 상판에 하나 이상의 공명홀을 형성하여 소리가 크고 멀리 울려 퍼질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카본 재질이어서 내구성 및 경량화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개량 아쟁{IMPROVED AJENG}
본 발명은 구성요소를 줄이고 소재를 변경한 개량된 아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의 설치가 편리하고 몸체가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한 개량된 아쟁에 관한 것이다.
아쟁은 중국에서 유입된 악기로 고려시대부터 연주되어 조선 성종 이후로는 당악 뿐 아니라 향악에도 편성되었다. 아쟁은 활로 현을 마찰시켜서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이다.
국악기 중에서 유일한 저음 현악기로 소리를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관악합주에 편성되는 중요한 악기이다. 가아쟁은 원래 7현이었으나 다양한 음악이 연주됨에 따라서 악기개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오늘날 아쟁은 크게 대아쟁과 소아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아쟁은 정악아쟁과 창작음악에 쓰이는 10현, 12현 대아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아쟁은 8현으로 된 산조아쟁과 창작곡 연주에 용이한 10현, 12현 소아쟁으로 나뉜다.
그런데 이 중에서 대아쟁은 가로 약 45cm, 세로 약 175cm, 무게는 10~13Kg으로 다른 국악기들과 비교해서 크기가 크고 휴대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른 국악기들과 마찬가지로 재질이 나무이기 때문에 습기와 온도 등 외부환경에 취약하였으며 상부에 구비된 공명판이 현을 켤 때 발생되는 음을 공명하도록 하고 있으나, 공명판의 양측면이 개구되어 공명음이 제대로 내부에서 오래 머물지 못하고 빠져나가 은은하고 풍성한 음을 울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을 설치할 때 좌단과 미단에 형성된 홀에 끼워 설치해야 하므로 상당히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0701023호의 "개량 산조 아쟁"에서는 상판, 중간판, 하판으로 구성되고 상판 및 하판에 각각 개구홈을 형성한 아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가 복잡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없고, 현의 양쪽 모두를 다수의 구멍에 끼워넣어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특히 연주 중 현이 끊어지는 경우 교체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판, 중간판, 하판을 포함하므로 재질이 나무인 경우 그 무게가 상당하여 휴대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하판이 평평하게 구성되어 음향이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은은한 잔향이 오래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081호의 "전자 아쟁"에서는 나무재질의 아쟁을 사용하는 대신에 현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청중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래 아쟁의 음이 공명을 통해 울리는 악기임에 비추어 원음을 제대로 구현하는데에 한계가 있었고, 나아가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는 곳에서는 무용지물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01023호의 "개량 산조 아쟁"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081호의 "전자 아쟁"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명홀의 위치를 종래의 아쟁과 달리하여 소리가 크고 멀리 울려 퍼질 수 있는 아쟁을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화를 실현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주변환경에도 변형되지 않으면서 종래의 아쟁과 같은 소리를 구현할 수 있는 아쟁을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반이 용이한 아쟁을 얻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의 교체가 용이한 아쟁을 얻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에 의해 발생한 음향이 오랫동안 내부에 잔잔하게 남아 은은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아쟁을 얻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는 형성된 상판(110)과,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테두리를 잇는 측판(130)으로 이루어지고 카본소재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폐쇄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현(116)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현홀(114)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카본 소재의 좌단(112); 및 상기 몸체(100)의 타단에 형성되며, 현(116)을 걸어 끼움하도록 현홀(114)측 방향으로 파여진 복수 개의 현홈(115)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카본 소재의 미단(113);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110)은 세로(a1) 대 가로(b1)의 비율이 1 : 1.5~1.8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안족(150)과 나란한 대각선 상에 S자 형태로 좌단(112)측에 형성되는 좌측 공명홀(111a)과, S자 형태의 단부 방향이 좌측 공명홀(111a)과 반대 방향을 향해 형성되며 세로(a2) 대 가로(b2)의 비율이 1 : 2.0~2.4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안족(150)과 나란한 대각선 상에 상기 좌측 공명홀(111a) 보다 큰 S자 형태로 미단(113)측에 형성되는 미측 공명홀(111b)로 이루어진 공명홀(111)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130)의 높이(h)는 55mm~65mm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110)의 볼록한 높이(f1)는 상기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48mm~52mm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120)의 볼록한 높이(f2)는 상기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13mm~17mm로 형성되고, 상기 현홈(115)의 폭(w1)은 현(116)의 굵기에 대하여 1 ~ 1.1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현홀(114)에 삽입된 현(116)은 조율나사(131)로 텐션이 조절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홈(115)에 끼워진 현(116)의 말단은 실패(118)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홈(115)의 깊이(d)는 45mm~5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 좌단(112) 및 미단(113)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130) 또는 하판(12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는 손잡이(191)가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10)의 양단에 구비되는 현침(117a, 117b)과 상기 하판(120)의 미단에 구비되는 운족(121)은 몸체(100)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공명홀(111)은 안족(150)과 간섭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좌측 공명홀(111a)의 직사각형은 세로(a1)가 158mm이고 가로(b1)가 265mm이며, 상기 미측 공명홀(111b)의 직사각형은 세로(a2)가 188m이고 가로(b2)가 436mm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좌단(112)은 힌지(112a)에 의하여 결합된 보호캡(112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의하면 상판에 하나 이상의 공명홀을 형성하여 소리가 크고 멀리 울려 퍼질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최적화된 크기, 형태 및 개수로 좌측 공명홀 및 미측 공명홀을 형성하여 안족의 간섭과 안족배열의 편의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전방에 방사되는 음향량을 증가시켜서 청취자가 전방에서 충분히 연주음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의하면, 특히 카본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경량화를 실현하였고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수명을 대폭 연장하였으며, 나아가 관리가 편하며 습도, 온도에 의한 균열 염려가 없어 내구성을 제고할 수 있고, 음색의 균일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방수 효과로 인하여 야외 공연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현저히 상승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의하면 손잡이를 구비하여 휴대와 운반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의하면, 현홈을 구비하여, 상기 현홈에 상기 말단이 걸쳐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추후 현을 느슨하게 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의하면, 하판을 하방으로 볼록하게 구성하여 몸체 내의 잔향이 오랫동안 머물러 은은한 소리를 들려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있어서 현이 현홀을 통과하여 조율나사에 묶여 있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상판에 형성되는 좌측 공명홀 및 미측 공명홀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있어서 공명홀의 가로 길이 및 공명홀의 개수에 따른 음향학적 크기 변화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미단에 형성된 현홈의 평면도와 현홈에 현이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종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있어서 하판이 평평한 경우와 볼록한 경우의 잔향을 비교한 음향 테스트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저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의 아쟁과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을 비교한 방사 패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평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은 내부가 비어 있고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는 형성된 상판(110)과,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테두리를 잇는 측판(130)으로 이루어진 폐쇄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현(116)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현홀(114)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좌단(112); 및, 상기 몸체(100)의 타단에 형성되며, 현(116)을 걸어 끼움하도록 현홀(114)측 방향으로 파여진 복수 개의 현홈(115)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카본 소재의 미단(113);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10)에는 두 개의 공명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 좌단(112) 및 미단(113)은 카본 소재로 제작된다.
즉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은 상판(110), 하판(120), 측판(130)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단순하고, 특히 미단(113)에는 단부에서 형홈(114)측 방향으로 다수의 현홈(115)이 파여져 있다. 상기 현홈(115)에는 끝이 줄보다 두껍게 만든 현(116)을 간단히 걸어 끼움으로써 탈착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현홀(114)에는 현(116)이 삽입되어 조율나사(13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판(110)에는 안족(150)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두 개의 공명홀(111)을 형성하여 소리가 크고 멀리 울려 퍼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하나의 공명홀(111)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활을 켜는 좌단 측에 위치하는 것이 공명하는데 좋고, 두 개의 공명홀(111)을 형성한 경우에는 안족(150)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안족(150)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조율을 하기 때문에 상기 공명홀(111)은 안족(150)과 중첩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몸체(100), 좌단(112) 및 미단(113)을 카본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10~13kg의 무게의 대아쟁의 경우 최소 50%에서 최대 70%까지 경량화를 실현하였고,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수명을 대폭 연장하였다. 나아가 관리가 편하며 습도, 온도에 의한 균열 염려가 없고, 음색의 균일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방수 효과로 인하여 야외 공연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소리의 전달성이 매우 우수한 카본 소재로 인하여 단단하면서 얇은 나무를 제작할 필요 없이 밀도가 높고 단단하며 얇은 아쟁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얇을수록 소리가 크기 때문에 나무 악기보다 더 큰 발성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카본의 뛰어난 강도는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저학년의 어린 연주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나무 악기는 제작과정에서 변수가 많아 의도하지 않는 결과물이 될 수 있으나 카본으로 제작된 경우 균일한 품질의 아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명홀(111)을 상판(110)에 형성하였는데, 이 경우 잦고 계속적인 연주로 인하여 상판(110)에 지속적인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판(110)이 나무인 경우 쉽게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카본 소재를 이용하면 상판(110)에 공명홀(111)이 하나 이상 형성되더라도 내구성이 강해서 균열을 전혀 야기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측판(130) 또는 하판(120)에는 휴대와 운반에 편리하도록 손잡이(1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측판(130)의 중심에 손잡이(191)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판(120)의 중심에 손잡이(191)가 구비될 수도 있다(도 1b 참조). 또한 상기 중심은 운반이 편리하도록 무게중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0), 미단(113), 좌단(112)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제작의 편의성과 품질의 균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은 상판(110)의 양단에 구비되는 현침(117a, 117b)이나 하판(120)의 좌단에 구비되는 받침대(181), 하판(120)의 미단에 구비되는 운족(121) 등이 별도로 부착될 수 있으나 카본 소재로 한꺼번에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현침(117a, 117b)만을 추가하거나 운족(121)만을 추가하여 몸체(100)와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측면도이다.
몸체(100)는 소리가 공명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양 단에 좌단(112) 및 미단(113)이 연장되어 있다. 좌단(112)의 상면에 형성된 폭(w) 방향의 다수의 현홀(114)에 현(116)이 삽입되어 조율나사(131)에 고정되고, 상기 조율나사(131)를 돌리면서 텐션을 조절한다. 상기 현(116)과 조율나사(131)는 본 발명의 몸체(100), 좌단(112) 및 미단(113)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있어서 현(116)이 현홀(114)을 통과하여 조율나사(131)에 묶인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상기 조율나사(131)는 현홀(114)의 개수에 맞게 구비되는 것이 좋고, 현홀(114)에 나란히 측판(130)에 구비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현침(117a, 117b)이 상판(110)에 구비되어 현(116)이 상판(11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조율나사(131)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캡(112b)이 힌지(112a) 결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상판(110)에 형성되는 좌측 공명홀(111a) 및 미측 공명홀(111b)을 나타낸 그림이다.
상기 공명홀(111)은 상기 상판(110)에 사선 방향으로 부착(결합)되는 안족(150)을 기준으로 양 쪽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공명홀(111)은 상기 상판(11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L) 상에 좌단(112)에 가깝게 형성된 좌측 공명홀(111a)과 미단(113)에 가깝게 형성된 미측 공명홀(111b)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공명홀(111a)은, 세로(a1) 대 가로(b1) 비율이 1:1.5~1.8의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상기 안족(150)과 나란히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측 공명홀(111b)은, 세로(a2) 대 가로(b2) 비율이 1:2.0~2.4의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상기 안족(150)과 나란히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좌측 공명홀(111a)은, 세로(a1) 대 상기 중심축(L) 방향의 가로(b1)의 비율이 긴 직사각형 영역 내의 대각선 상에 S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미측 공명홀(111b)은, 세로(a2) 대 상기 중심축(L) 방향의 가로(b2)의 비율이 긴 직사각형 영역 내의 대각선 상에 S자 형태로 형성되되 S자 형태의 단부 방향은 좌측 공명홀(111a)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도 1a 참조)되며, 상기 미측 공명홀(111b)이 좌측 공명홀(111a)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2a 및 도 2b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좌측 공명홀(111a)은 세로(a1) 158mm, 가로(b1) 265mm의 직사각형 영역 안에서 대각선으로 S자 형태로 형성되고, 미측 공명홀(111b)은 세로(a2) 188m, 가로(b2) 436mm의 직사각형 영역 안에서 대각선으로 S자 형태로 형성한 모습이다. 상기 공명홀(111)들의 형상은 소리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S자 형태로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좋다.
S자 형태는 미관과 함께 소리가 음원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다방면으로 퍼지는 현상을 고려하여 최대한 효율적으로 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고안된 형태이다.
도 1a와 함께 참조하면, 특히 대아쟁에 있어서 바람직한 사이즈는 상기 미단(113)의 끝과 좌단(112)의 끝까지의 길이(T)가 1500mm~1700mm이고, 상기 몸체(100)의 폭(w)은 360mm~380mm이며, 상기 현홈(115)의 깊이(d)는 45mm~55mm이고, 상기 현홈(115)의 말단으로부터 내측으로 65mm~75mm 떨어진 곳에 상기 미측 공명홀(111b)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상기 좌단(112)의 끝으로부터 95mm~100mm 떨어진 곳에 상기 현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현홀(114)로부터 내측으로 170mm~175mm 떨어진 곳에 상기 좌측 공명홀(111a)이 형성되기 시작하되, 상기 좌측 공명홀(111a)은 세로(a1)길이가 155mm~160mm이고 가로(b1)길이가 232.5mm~288mm의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미측 공명홀(111b)은 세로(a2)길이가 185mm~190mm이고 가로(b2)길이가 370mm~456mm의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미단(113)의 끝과 좌단(112)의 끝까지의 길이, 몸체(100)의 폭은 대아쟁의 크기와 유사하게 선택된 것이고, 현홈(115)의 깊이(d)는 현(116)이 이탈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로 선택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있어서 공명홀(111)의 가로 길이 및 공명홀(111)의 개수에 따른 음향학적 크기 변화 그래프이다. 모두 동일한 스튜디오에서 종래의 대아쟁 사이즈의 상판(110)에 공명홀(111)을 형성한 후 동일한 현을 켜서 실험한 결과그래프이다.
도 3a에서와 같이, 공명홀(111)의 가로 길이가 25mm이상이 되면 급격히 소리가 커지다가 450mm 이상이 되면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몸체(100)의 가로 길이와 안족(150)과의 간섭, 안족(150) 배열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크기 및 형태로 좌측 공명홀(111a) 및 미측 공명홀(111b)을 구성하였다.
나아가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공명홀(111)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소리가 비례하여 지수적으로 계속 커지는 것이 아니라 3개 이상이 되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작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위해 좌측과 미측의 공명홀(111) 2개를 선택하였다. 본 실험예는 공명홀(111)은 상판(110)에 형성되고 세로길이가 157mmm이고 가로길이가 245mm인 직사각형 영역 내의 대각선 상에서 갯수를 달리하여 실험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미단(113)에 형성된 현홈(115)의 평면도와 현홈(115)에 현(116)이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홈(115)의 폭(w1)은 대아쟁에 쓰이는 현(116)의 굵기에 맞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판(110)이 정면을 향하고 미단(113)이 최하단으로 향하도록 할 경우, 좌측으로부터 차례대로 4.3mm~4.7mm, 4.3mm~4.7mm, 3.8mm~4.2mm, 3.8mm~4.2mm, 3.8mm~4.2mm, 3.8mm~4.2mm, 3.8mm~4.2mm, 3.3mm~3.7mm, 3.3mm~3.7mm, 3.3mm~3.7mm의 폭으로 10개가 형성된 것이 좋다. 특히 4.5mm, 4.5mm, 4mm, 4mm, 4mm, 4mm, 4mm, 3.5mm, 3.5mm, 3.5mm의 폭으로 순서대로 제작하여 대아쟁에 쓰이는 일반적인 현(116)의 굵기에 일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현의 굵기에 대해 1~1.1배의 폭(w1)으로 현홈(115)을 형성할 수 있다. 1배 이하의 경우는 현을 끼우기가 어려우며 1.1배 이상의 경우에는 현을 켤 때 현홈(115)의 폭(w1) 사이에서 현이 움직여 불안정한 미세한 잡음을 야기한다.
도 4b에서 보듯이, 현홈(115)에 끼워진 현(116)의 말단은 현(116)이 감긴 실패(118)에 결합되거나 현(116) 자체에 매듭을 형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현홈(115)에 상기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현이 걸쳐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추후 현(116)을 느슨하게 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상판(110)은 폭(w) 방향으로 위로 볼록하고 상기 하판(120)은 폭 방향으로 아래로 볼록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판(130)의 높이(h)는 55mm~65mm일 때, 상기 상판(110)은 상기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높이(f1) 48mm~52mm까지 볼록하고, 상기 하판(120)은 상기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높이(f2) 13mm~17mm까지 볼록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높이(h)와 높이(f1)은 종래의 아쟁과 유사하게 선택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아쟁은 하판(120)이 평평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아쟁은 하판(120)도 하방으로 볼록하다. 따라서 몸체(100) 내의 잔향이 오랫동안 머물러 은은한 소리를 들려준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개량 아쟁에 있어서 하판(120)이 평평한 경우와 볼록한 경우의 잔향을 비교한 음향 테스트 결과 그래프이다. 모두 동일한 스튜디오에서 동일한 현(116)을 켜서 테스트한 결과이다.
도 6a에서 알 수 있듯이 하판(120)이 평평한 경우에는 잔향이 1.7초까지 남아 있었으나,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하판(120)이 볼록한 경우에는 잔향이 2초가 훨씬 넘도록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굴곡진 하판(120)의 형태로 인하여 음향이 내부에서 다방면으로 굴절되어 풍성한 소리를 오랫동안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시중에 나와 있는 악기 받침대(181)와의 호환성을 고려할 때 상기 하판(120)은 13mm~17mm의 높이(f2)로 아래로 볼록한 것이 좋다. 13mm보다 낮으면 곡면형태로 인한 울림과 잔향이 충분하지 못해 실효성이 떨어지고, 17mm보다 높으면 받침대(181) 위에 몸체(100)를 올려놓았을 때 흔들림이 발생하여 불안정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의 저면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종래의 아쟁과는 달리 공명홀(111)이 하판(120)에 구비되어 있지 않다. 미단(113)에는 다수의 현홈(115)이, 좌단(112)에는 다수의 현홀(114)이 형성되어 있고, 현홀(114)의 가까이에는 조율나사(131)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의 아쟁과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을 비교한 방사 패턴이다. 동일 스튜디오에서 동일한 현으로 각각 테스트되었으며, 앰프는 MG250 및 MV210을 사용하고, 마이크는 GRAS Type 40AE와 Type 26CA를 사용하였다.
연주자의 위치(P)를 기준으로 전방이 0도라고 할 때, 하판(120)에 공명홀이 형성된 종래의 아쟁은 오히려 후방에 음향이 방사되고 전방은 방사량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방에 청취자가 있음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은 상판(110)에 공명홀(111)이 형성되고 카본으로 제작됨으로써 전방에 방사되는 음량이 현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취자가 전방에서 충분히 연주음을 감상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사형태를 보여준다.
특히 공명홀(111)을 상판(110)에 형성하고, 하판(120)을 볼록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카본소재로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을 제작하여 시연한 결과, 풍성한 울림의 저음부를 담당하는 유일한 현악기로서의 아쟁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 아쟁을 10명의 전문 연주자에게 시연시킨 결과, 10명 모두 기존 악기와 음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현(116)을 교체할 수 있다는 평을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몸체 110: 상판
111: 공명홀
111a: 좌측 공명홀 111b: 미측 공명홀
112: 좌단 112a: 힌지
112b: 보호캡
113: 미단 114: 현홀
115: 현홈
120: 하판 130: 측판
150: 안족 181: 받침대
191: 손잡이

Claims (10)

  1.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위로 볼록하게는 형성된 상판(110)과,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폭(w) 방향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선(L)이 정점이 되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테두리를 잇는 측판(130)으로 이루어지고 카본소재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폐쇄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현(116)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현홀(114)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카본 소재의 좌단(112); 및
    상기 몸체(100)의 타단에 형성되며, 현(116)을 걸어 끼움하도록 현홀(114)측 방향으로 파여진 복수 개의 현홈(115)이 폭(w) 방향으로 형성된 카본 소재의 미단(113);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110)은 세로(a1) 대 가로(b1)의 비율이 1 : 1.5~1.8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안족(150)과 나란한 대각선 상에 S자 형태로 좌단(112)측에 형성되는 좌측 공명홀(111a)과, S자 형태의 단부 방향이 좌측 공명홀(111a)과 반대 방향을 향해 형성되며 세로(a2) 대 가로(b2)의 비율이 1 : 2.0~2.4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안족(150)과 나란한 대각선 상에 상기 좌측 공명홀(111a) 보다 큰 S자 형태로 미단(113)측에 형성되는 미측 공명홀(111b)로 이루어진 공명홀(111)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130)의 높이(h)는 55mm~65mm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110)의 볼록한 높이(f1)는 상기 측판(130)의 상단으로부터 48mm~52mm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120)의 볼록한 높이(f2)는 상기 측판(130)의 하단으로부터 13mm~17mm로 형성되고,
    상기 현홈(115)의 폭(w1)은 현(116)의 굵기에 대하여 1 ~ 1.1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홀(114)에 삽입된 현(116)은 조율나사(131)로 텐션이 조절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홈(115)에 끼워진 현(116)의 말단은 실패(118)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홈(115)의 깊이(d)는 45mm~5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 좌단(112) 및 미단(113)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130) 또는 하판(12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는 손잡이(19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양단에 구비되는 현침(117a, 117b)과 상기 하판(120)의 미단에 구비되는 운족(121)은 몸체(100)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명홀(111)은 안족(150)과 간섭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공명홀(111a)의 직사각형은 세로(a1)가 158mm이고 가로(b1)가 265mm이며, 상기 미측 공명홀(111b)의 직사각형은 세로(a2)가 188m이고 가로(b2)가 43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단(112)은 힌지(112a)에 의하여 결합된 보호캡(112b)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아쟁.
KR1020170015959A 2017-02-06 2017-02-06 개량 아쟁 KR10181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59A KR101819960B1 (ko) 2017-02-06 2017-02-06 개량 아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59A KR101819960B1 (ko) 2017-02-06 2017-02-06 개량 아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960B1 true KR101819960B1 (ko) 2018-01-18

Family

ID=6102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959A KR101819960B1 (ko) 2017-02-06 2017-02-06 개량 아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9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708A (ko) 2019-06-19 2020-12-30 최인범 패브릭보강시트 구비한 기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12468A1 (ko) * 2019-12-03 2021-06-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23B1 (ko) * 2006-12-20 2007-03-29 조준석 개량 산조 아쟁
CN102097087A (zh) * 2010-07-08 2011-06-15 赵振伟 一种古筝音板
KR101537219B1 (ko) * 2013-05-07 2015-07-17 김동현 전기 가야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23B1 (ko) * 2006-12-20 2007-03-29 조준석 개량 산조 아쟁
CN102097087A (zh) * 2010-07-08 2011-06-15 赵振伟 一种古筝音板
KR101537219B1 (ko) * 2013-05-07 2015-07-17 김동현 전기 가야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708A (ko) 2019-06-19 2020-12-30 최인범 패브릭보강시트 구비한 기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12468A1 (ko) * 2019-12-03 2021-06-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KR20210069766A (ko) * 2019-12-03 2021-06-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KR102272701B1 (ko) * 2019-12-03 2021-07-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2672B2 (ja) 打楽器用ピックアップ、電気打楽器
US8294013B2 (en) Percussion resonance system
US9990909B1 (en) Cymbal
US2725778A (en) Sound pick-up device for the amplification of banjo music
KR101819960B1 (ko) 개량 아쟁
US20190035369A1 (en) Reduced volume drums and components thereof
US20210304719A1 (en) Electric Bowed String Instrument
KR20050040119A (ko) 교환 가능한 구성부를 가지는 악기
US9583081B2 (en) Percussion device
US2953052A (en) Electronic acoustical stringed instrument
JP2023138805A (ja) 楽器
US20020092406A1 (en)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US5883318A (en) Device for changing the timbre of a stringed instrument
KR102472726B1 (ko)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US8759650B2 (en) Banjo bridge base plate
US20070204741A1 (en) Variable Timbre Acoustic Instruments
KR200303192Y1 (ko) 해금
JPH09190176A (ja) 音響孔を有する弦楽器
KR200391693Y1 (ko) 상자형 타악기
US20070234873A1 (en) Drum Design with Acoustic Advantages and for minimal Travel from Drum to Drum
KR102229642B1 (ko) 탄소섬유 복합재 공명통으로 형성된 가야금
KR930005483Y1 (ko) 가야금
KR20190032011A (ko) 해금
US20220310041A1 (en) Musical instrument and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JP3711886B2 (ja) 大正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