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726B1 -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726B1
KR102472726B1 KR1020210099702A KR20210099702A KR102472726B1 KR 102472726 B1 KR102472726 B1 KR 102472726B1 KR 1020210099702 A KR1020210099702 A KR 1020210099702A KR 20210099702 A KR20210099702 A KR 20210099702A KR 102472726 B1 KR102472726 B1 KR 10247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te
instrument
plates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8952A (ko
Inventor
이광림
Original Assignee
이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림 filed Critical 이광림
Priority to KR102021009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7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6Resonating means, e.g. soundboards or resonant strings; Fastenings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4Brid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9/00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의 구조설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기의 넓은 홀에서의 연주를 위한 음량증대와 아름답고 우아한 연주와 폭넓은 음악적 표현을 위한 음향효과의 극대화 및 악기의 수명연장을 위한 악기의 구조설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악기의 음향판을 복수로 형성하여 음량을 크게 증대시키고 소리개성의 다양화와 소리의 색체감 증대 및 소리의 입체화등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실현케하며,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악기 설계요소인 복수의 뒷판, 복수의 옆판, 경사 음향판, 축소 음향판, 소리증폭기, 입체브릿지, 브릿지 심,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 I형 연결브릿지,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 소리이동 구멍,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 나팔형 공명파이프, 소리이동 차단벽, 공명구획 날개판, 음향판의 홈, 입체음향판, 횡 방향의 베이스 바 등의 여러 요소를 취사선택 또는 조합하여 악기의 공명공간 내부와 음향판 및 뒷판 또는 옆판에 형성하여 악기를 설계 제작하므로써, 악기 연주시 명기가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요소인 큰 음량, 음의 색체감, 음의 입체화, 배음의 풍부함, 음의 경쾌함, 연주의 용이성, 풍부한 공명, 음의 깊이감, 음의 유연성, 음의 지속성, 음의 원달성, 음의 분리도, 음정의 정확성, 음질의 중후함, 개성적 음색, 다양한 음색 구사등의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와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히며 또한, 악기 내부의 구조가 짜임새 있게 구성되므로써 악기의 구조적 견고성이 증대되어 악기수명의 연장을 가능케 한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 Musical instruments build with multiple soundboards }
본 발명은 음향판(목재, 금속, 합성소재 또는 가죽등)을 사용하여 소리를 발현하는 악기류(현악기, 찰현악기, guitar, guitar족 악기, violin, violin족 악기, 피아노, 호궁류 악기, 각종 민속악기류등)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2개 이상의 복수의 음향판을 사용하여 악기를 설계 제작하므로써 악기소리의 음량을 풍부하게 키우며 또한, 그 외 본 발명의 여러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인, 복수의 뒷판, 복수의 옆판, 경사 음향판, 축소 음향판, 소리증폭기, 입체브릿지,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 브릿지 심, I형 연결브릿지,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 소리이동 구멍,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 나팔형 공명파이프, 소리이동 차단벽, 공명구획 날개판, 음향판의 홈, 입체음향판, 횡 방향의 베이스 바 등의 여러요소들을 취사선택 또는 조합하여 형성하므로써 악기연주시 음향효과를 극대화 하여 아름답고 화려한 연주를 할수 있게 하여 악기의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히며, 또한 악기 내부의 구조가 위의 요소들에 의해 짜임새 있게 구성되므로써 악기의 구조적 견고성이 증가되어 악기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악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향판(목재, 금속, 합성소재 또는 가죽등)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서는, 하나의 음향판 만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악기 연주시 큰 음량을 내는 데에 한계가 있어 넓은 홀에서의 연주시나 오케스트라등과의 협연시에 음량이 작아 무대에서 먼 청중들에게 소리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거나 다른 악기들의 소리에 묻혀 독주 악기로서의 선율이 이어지지 않는 등 음악의 흐름에 있어 단절성이 발생하여 음악적 표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음향판과 하나의 공명공간(공명통)에 의해 한가지 음질의 소리만을 낼 수밖에 없으므로 해서 좋은 악기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음향효과 즉 풍부한 음량, 음의 입체감, 색체감이 있는 미려한 음색, 배음의 풍부함, 풍부한 공명, 음의 유연성, 음의 지속성, 음의 원달성, 음의 분리도, 음정의 정확성, 음의 중후함, 음색의 예리함(경쾌함), 음의 깊이감, 연주의 용이성, 개성적인 음색 표현, 다양한 음색 구사등이 부족하여 풍부한 음향효과를 낼 수 없으므로 연주가 비교적 단순하여 보다 더 아름답고 화려한 연주를 할 수 없어 폭넓은 음악적 표현을 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악기의 내부구조가 단순하여 짜임새가 없으므로 해서 견고성이 부족하여 악기수명이 비교적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Acoustic Guitar , Hal Leonard Coporation Teja Gerken, Michale Simmons, Frank Ford, Richard Johnston ISBN 978-0-634-07920-7, 154~155쪽 Cross or X-Bracing Violin-making , Alpha Editions Edward Heron-Allen ISBN 978-93-89465-13-6,147~154쪽 The Interior Of The Violin
본 발명은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2개 이상의 복수의 음향판을 형성하여 악기를 설계 제작하므로써 악기소리의 음량을 풍부하게 키우며 또한, 그 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인 복수의 뒷판(5,6), 복수의 옆판(7,8), 경사 음향판(3), 축소 음향판(4), 소리증폭기(38), 입체브릿지(10),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 브릿지 심(27), I형 연결브릿지(44),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 소리이동 구멍(25),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 나팔형 공명파이프(40), 소리이동 차단벽(42), 공명구획 날개판(41), 음향판의 홈(47), 입체음향판(54),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 등의 여러요소들을 취사선택 또는 조합하여 형성하여 악기를 설계 제작하므로써 악기 연주시 좋은 악기가 갖춰야 할 음향효과인 풍부한 음량, 음의 입체감, 색체감이 있는 아름다운 음색, 배음의 풍부함, 풍부한 공명, 음의 유연성, 음의 지속성, 음의 원달성, 음의 분리도, 음정의 정확성, 음의 중후함, 음색의 예리함(경쾌함), 음의 깊이감, 연주의 용이성, 개성적인 음색, 다양한 음색구사등의 음향효과를 극대화 하므로써 악기 연주시 보다 더 폭넓은 음악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악기내부의 구조가 짜임새 있게 구성됨으로써 악기의 물리적 견고성이 증가되어 악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악기를 설계 제작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서, 악기의 연주시에 음량의 증대와, 폭넓은 음악적 표현을 위한 음향효과의 극대화와 또한, 악기의 수명을 연장 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음향판(1,2,53,39), 복수의 뒷판(5,6), 복수의 옆판(7,8), 경사 음향판(3), 축소 음향판(4), 소리증폭기(38), 입체브릿지(10),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 브릿지 심(27), I형 연결브릿지(44),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 소리이동 구멍(25),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 나팔형 공명파이프(40), 소리이동 차단벽(42), 공명구획 날개판(41), 음향판의 홈(47), 입체음향판(54),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 등의 여러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을 취사선택 또는 조합하여 형성하여 악기를 설계 및 제작하도록 한데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을 형성하여 악기를 설계 제작하므로써 악기 연주시에 악기의 음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여러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인 복수의 뒷판(5,6), 복수의 옆판(7,8), 경사 음향판(3), 축소 음향판(4), 소리증폭기(38), 입체브릿지(10),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 브릿지 심(27), I형 연결브릿지(44),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 소리이동 구멍(25),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 나팔형 공명파이프(40), 소리이동 차단벽(42), 공명구획 날개판(41), 음향판의 홈(47), 입체음향판(54),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 등의 여러 요소들을 취사선택 또는 조합하여 악기를 설계 제작하므로써 악기 연주시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와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악기내부의 구조가 짜임새있게 구성되므로써 물리적 견고성이 증가되어 악기수명이 연장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multiple soundboards)(1,2,3,4,53,39)및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을 조합해 설계한 악기(guitar)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2는 기존의 악기인 하나의 음향판(1)과 하나의 공명공간(단일 공명통(26))으로 만들어진 기타(guitar)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1,2,3,4,53,39)과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을 조합해 설계한 악기(guitar)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의 확대 단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소리증폭기(38)의 여러 가지 기하학적 형태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소리가 현으로부터 발현되어 사운드 홀(13)로 빠져 나갈 때 까지의 소리의 공명, 반사, 증폭, 중첩, 이동, 굴절, 회절 등의 과정을 거쳐 음량이 증대되고 입체화 되며 아름답고 감미로운 음색으로 되는 음향효과의 극대화 과정을 본 발명에 의한 악기(그림a)와 기존악기(그림b)를 비교 도시한 음향원리 비교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악기의 입체화된 음파파형(B)을 기존악기의 음파파형(A)과 비교해 도시한 소리파형 비교도.
도 8 (a)~(y)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1,2,3,4,53,39)과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와 "소리 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와 나팔형 공명파이프(40)와 공명구획 날개판(41)과 입체음향판(54)등의 요소를 여러가지 방법과 순서로 다양하게 조합한 형태를 예시한 구조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1 음향판(1)의 뒷면에 형성한 살대(29)의 한 예 및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2 음향판(2)의 뒷면에 형성한 살대(29)의 한 예 및 소리이동 구멍(25)과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의 위치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경사 음향판(3)에 형성한 살대(29)의 한 예의 평면도(그림a) 및 경사 음향판(3)이 악기(guitar) 몸체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됨으로 해서 음향판의 면적이 증가됨을 나타내는 그림(b).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축소 음향판(4)에 형성한 살대(29)의 한 예 및 소리이동 구멍(25)과 입체브릿지(10)와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의 위치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그림a)이며, 그림(b)는 축소 음향판(4)의 여러 가지 형태의 예를 도시한 그림.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악기의 코일형의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의 여러 가지 형태도(그림a)와, 코일형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그림b)와 판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그림c)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입체 브릿지(10)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2 옆판(8)의 소리이동 구멍(25)의 위치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2 뒷판(6)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음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판 음향판의 홈(furrow)(47)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나팔형 공명파이프(40)를 형성한 악기(guitar)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판과 뒷판 사이의 공명공간을 높이가 파형을 이룬(wave) 여러개의 공명구획 날개판(41)에 의해 구획한 구조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공명구획 날개판(41)의 배치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악기의 음향판과 음향판 사이에 설치된 사운드 홀(13) 쪽으로의 소리이동을 차단하는 소리이동 차단벽(42)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을 격자 살대(37)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서로 접합하여 일체화시킨 입체음향판(54)을 사용한 X-bracing 형태 기타(guitar)의 구조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음향판으로 설계한 X-bracing 형태의 기타(guitar)의 구조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 및 그 외 여러 가지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악기 설계요소로 설계된 바이올린(또는 비올라, 첼로, 베이스등의 바이올린족 악기)의 구조 해체도.
도 25는 기존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구조 해체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음향판으로 설계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그림a)과 기존악기(그림b)의 구조 비교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제1 음향판(1)의 뒷면의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소리 증폭기(38)의 여러 가지 형태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제2 음향판(2)의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축소 음향판(4)의 평면도.
도 31은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브릿지(9)(그림a)및 본 발명에 의한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 브릿지"(52)(그림b)와 I형 연결브릿지(44)(그림c)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제2 뒷판(6)의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제2 옆판(8)의 평면도와, 소리이동 구멍(25)의 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4는 기존의 그랜드 피아노의 음향판의 윗면(그림a)과 아랫면(그림b)을 도시한 평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음향판을 사용한 그랜드 피아노의 제1 음향판(1)의 윗면(그림a)과 아랫면(그림b)의 평면도 및 제2 음향판(2)의 윗면의 평면도 및 단면도(그림c)와 아랫면(그림d)의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랜드 피아노의 제1 음향판(1)의 아랫면에 형성된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를 상세히 그린 구조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음향판을 사용한 그랜드 피아노의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을 서로 격자 살대(lattice)(37)에 의해 접합하여 일체화시킨 형태로된 입체음향판(54)의 평면도 및 구조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3까지는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중 하나인 기타(guitar)에 관한 것이며,
도 24~ 도 33까지는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중 하나인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에 관한 것이고,
도 34~ 도 37까지는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중 하나인 그랜드 피아노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37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으로 악기를 설계하여 각각의 음향판에 소리개성을 부여하며 악기의 음량이 증대되고, 각각의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가 본 발명에 의한 여러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에 의해 많은 공명공간을 거치면서 풍부하게 공명되어 음향효과가 극대화되는 과정과 또한, 악기수명이 연장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을 형성하고 또한,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을 조합 형성한 기타(guitar)로서,
제1음향판 아래에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를 형성한다. 이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의 역할은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에 있어 앞쪽의 음향판에서 한번의 탄현으로 생성된 소리의 진동이 그 다음의 여러개의 음향판에 전달되어 각각의 음향판이 모두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하나의 음향판으로 만들어진 악기에 비해 많은 진동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소리진동의 증폭이 필요하며 또한 증폭된 소리의 진동을 그 다음의 음향판에 진동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능을 위해 고안된 것이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이며 이 2가지를 하나로 일체화 하여 더욱 그 효율을 높인 것이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이다.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에 있어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의 사용은 필수적이며 그 생명이라 할 수 있다.
이 소리 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에 있어서,
소리증폭기(38)는 도4와 같이 브릿지(9)를 중심으로 원형의 공간 안에 격자살대(37)의 구조로 형성하며 그 위를 덮개판을 덮어 공간을 밀폐시킨 구조로서,
현에서 만들어진 소리의 진동에너지를 증폭시켜 제1음향판(1)을 울리게 함과 동시에 다음의 제2음향판(2)으로 입체브릿지(10)를 통하여 진동에너지를 전달시킨다.
소리증폭기(38)의 원리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격자살대(37)와 덮개판에 의해 형성된 4각형의 밀폐된 여러개의 입체공간이 각각 공명통의 역할을 하여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의 진동을 증폭시킴으로써 음량의 증대를 가져오며, 격자살대(37)에 의해 제1음향판(1) 전체의 강성도 커져서 제1음향판(1)의 소리 자체도 크게 발현된다.
이렇게 증폭된 소리진동은 다음의 음향판인 제2음향판(2)이 소리를 발현할 수 있도록 입체브릿지(10)를 통하여 진동이 전달된다.
입체브릿지(10)는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를 다음의 음향판에 전달하는 데 있어 진동에너지의 감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얇고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고 진동에너지 전달에 효율적인 속이 비어있는 4각형의 상자모양의 입체형태로 형성한다.
여러개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에 있어서는 한번의 탄현에너지로 많은 수의 음향판들을 울리게 하여야 하므로 가장 현과 가까운 음향판인 제1음향판(1)의 배면에 형성하여 발현된 소리를 소리증폭기(38)에 의해 일차적으로 크게 증폭시킨 다음 아래쪽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음향판들에 입체브릿지(10)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소리가 전달 되도록 한다.
소리증폭기(38)의 형태는 도5의 예와 같이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를 일체화 하여 소리를 증폭하고 전달하는데에 시너지효과를 내도록 한 것이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이다.
제1음향판(1)의 뒷면에는 도9의 예처럼 제1음향판(1)만의 독자적인 형태의 살대(29)를 형성하여 발현하는 소리에 개성을 부여한다.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는 제1음향판(1) 뿐만 아니라 모든 음향판에 형성 가능하다.
상기 입체브릿지(10)는 소리진동 전달에 있어 효율적인 형태이면서 또한, 입체브릿지(10) 자체의 무게를 줄여 진동에너지의 감소를 최소화하여 소리진동이 다음 음향판에 전달 될 수 있도록 도 14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입체의 형태로 된것이 특징이며 단단하고 가벼우며 소리진동의 전달이 용이한 재질의 나무(로즈우드,메이플등)를 사용하여 얇게 형성하고 또한 브릿지심(27)을 도 14와 같이 위쪽 브릿지의 현이 걸리는 부분 바로 아래의 위치에 형성하여 현으로부터 발생된 소리의 진동을 바로 전달 받아 다음 음향판까지 소리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하여 브릿지의 역활인 소리진동의 전달의 역할이 더욱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브릿지 심(27)의 재질 또한 가볍고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여 입체 브릿지(10)의 전체무게를 줄여 진동 에너지의 감소를 최소화한다. 여러개의 음향판에 설치된 각각의 입체 브릿지(10)는 바로 아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위치시킨다. 입체 브릿지(10)의 역할은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에 있어서 여러개의 음향판이 진동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시에 소리를 낼수 있어야 하므로 앞쪽 음향판의 진동 에너지가 그 다음의 음향판에 잘 전달 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고안된 것이다.
또한 이 입체브릿지(10)와 소리증폭기(38)를 하나로 일체화하여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를 형성하여 소리의 증폭 및 전달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소리증폭기(38) 또는 입체브릿지(10)와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는 도 8(a~y)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호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음향판에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예시한 것 외에도 무한히 있을 수 있다. 형성한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 및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는 그 형태와 크기 또는 갯수에 따라 음질의 변화 및 음량의 차이와 음향효과의 차이가 생기며, 그 크기가 크거나 갯수가 많을수록 음량증대에는 유리하나 자체의 중량도 증가하여 소리발현에 불리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크기 및 갯수의 조화가 필요하다.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의 사이에는 사운드 홀(13)을 중심으로 도 21과 같이 소리이동 차단벽(42)을 형성하여, 제1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가 사운드 홀(13)로 바로 빠져 나가지 않고 제2 음향판(2)으로 소리이동 구멍(25)을 통하여 이동한후 여러개의 공명공간(a~g)을 거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여러가지 요소들과 만나면서 소리의 공명, 간섭, 반사, 증폭, 굴절, 회절, 중첩 등 풍부한 음향효과를 일으킨 후 사운드 홀(13)을 통해 나가게 된다.
다음 음향판은 경사음향판(3)으로서, 앞쪽의 음향판인 제2음향판(2) 으로부터 입체브릿지(10)를 통하여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발현하게 되는데 이 음향판은 악기 내의 다른 음향판들과 그 면이 평형치 않고 악기의 공명공간 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 되어 있다.
이 경사음향판(3)은 소리의 진동파를 다른 음향판 들과 약간 다른 각도에서 받아들이고 발현된 소리 또한 다른 각도로 내보냄으로써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들과 똑같지 않은 독창적인 음의 개성이 생기며 ,
또한, 발현된 소리가 사운드홀(13)쪽으로 빠져 나가기 위해 앞쪽으로 음파가 진행될때도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들과 틀린 각도의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다른 음향판들에서 나온 음들과 만나 충분히 섞이면서 소리의 공명, 간섭, 회절, 굴절, 반사, 중첩등의 음향효과를 일으키며,
또한, 경사음향판(3)에서 나오는 소리음파가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 들에서 나오는 소리음파들과 음파의 진행방향이 틀려 음파끼리 서로 시차를 두고 진행하게 되므로, 도7의 소리파형 원리와 같이 음의 입체화가 이루어 지게 된다.
또한, 경사음향판은 현과의 각도가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들보다 커서 소리진동의 각도가 용이하므로 악기 연주시 음의 발현이 더 쉽게 이루어지므로 음량의 증대 및 악기 연주의 용이성이 증대된다.
또한, 음향판이 악기의 공명공간 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들보다 음향판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음향판의 고유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다른 음향판에서 나오는 소리보다 음량이 커지고 중후한 음질을 갖게 된다.
다음 음향판인 축소음향판(4) 또한 앞쪽의 음향판으로 부터 입체브릿지(10)를 통하여 진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발현하게 되는데 도12에서와 같이 그 면적을 다른 음향판들과 달리 축소하여 형성한다.
악기의 연주시 발현된 소리가 일부는 축소음향판(4)에 의해 직접 공명하고 나머지는 다른 음향판쪽으로 바로 통과하여 음파의 흐름이 다양화되어 다른 음향판의 음파와 섞여 공명되어 공명성이 증가되어 음향효과가 증대되며,
또한, 음향판의 면적이 적은 관계로 중량이 가벼워져 작은 진동에너지에도 쉽게 반응하여 소리를 낼 수 있으므로 소리의 즉답성과 연주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으며 다른 음향판에 비해 경쾌하고 예리한 개성의 음색을 낼 수 있다.
축소음향판(4)의 형태는 그 모양에 있어 연주가가 원하는 소리를 용이하게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도12(그림b)에 예시한 것과 같이 그 형태를 다양하 형성할 수 있는데 그 형태에 따라 발현되는 소리의 음질이 달라지므로 악기 제작가 또는 연주가의 개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특정한 음을 강조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들어, 저음부의 음을 쉽게 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저음부 쪽의 면적이 좀 더 큰 모양의 음향판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음부의 강조를 위해서 고음부 쪽의 면적이 더 큰 형태의 음향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소음향판(4)의 뒷면에는 축소음향판(4) 만의 개성적인 형태의 살대(29)를 형성하여 축소음향판(4) 만의 소리의 개성을 갖도록 한다.
다음 음향판인 축소 음향판(4) 또한 경사 음향판(3)에 형성된 입체브릿지(10)를 통하여 진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발현하게 되는데 도 12에서와 같이 그 면적을 다른 음향판들과 달리 축소하여 형성한다. 면적이 적은 관계로 중량이 가벼워 작은 진동에너지에도 쉽게 진동하여 소리를 낼 수 있으므로 소리의 즉답성과 연주의 용이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으며 다른 음향판에 비해 경쾌하고 예리한 개성의 음색을 낼 수 있다. 축소 음향판(4)의 형태는 그 모양에 있어 연주가가 원하는 소리를 용이하게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도 12(그림b)에 예시한 것과 같이 그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그 형태에 따라 발현되는 소리의 음질이 달라지므로 악기 제작가 또는 연주가의 개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특정한 음을 강조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저음부의 음을 쉽게 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저음부 쪽의 면적이 좀 더 큰 모양의 음향판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음부의 강조를 위해서 고음부 쪽의 면적이 더 큰 형태의 음향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소 음향판(4)의 부착에 있어 다른 음향판 들과 같은 방법으로 제2 옆판(8)에 부착한다. 축소 음향판(4)의 뒷면에는 축소 음향판(4) 만의 독자적인 살대(29)를 형성하여 축소 음향판(4) 만의 소리의 개성을 갖도록 한다.
그 다음의 제5 음향판(53)에 있어서, 나팔형 공명파이프(40)를 음향판상에 원형의 구멍을 뚫고 위 아래로 삿갓과 같은 형태로 형성한다. 악기에서 발현된 소리는 나팔형 공명파이프(40)를 통과하여 이동할 때 응원용 맨손 마이크와 같은 원리처럼 소리의 크기가 음파의 회절 현상에 의해 크게 증폭되며 또한, 여러가지 서로 다른 크기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음의 분리도가 향상된다. 이 음의 분리도는 좋은 악기 이른바 명기의 구분에 있어 필수적인 평가사항중 하나이다. 나팔형 공명파이프(40)에 사용하는 재질은 가볍고 단단한 나무로 하는 것이 좋으며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음향판의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 한다. 나팔형 공명파이프(40)에 있어 소리가 통과하는 구멍의 크기는 여러 가지의 크기로 하여 도 18과 같이 음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한다. 제5 음향판(53)의 뒷면에 형성하는 살대(29)의 모양은 제5 음향판(53)만의 독자적인 모양으로 형성하여 발현하는 소리에 개성을 부여한다. 제5 음향판(53)을 제2 옆판(8)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른 음향판들과 같다.
제6 음향판(39)에 있어서도 위의 음향판들과 똑같은 과정으로 진동을 전달받아 발현하여 소리를 내게 되며 제 2뒷판(6) 쪽으로 소리를 전달하여 공명하게 한다. 제6 음향판(39)의 뒷면에도 역시 제6 음향판 만의 독자적인 살대(29)를 형성하여 개성적인 소리를 발현토록 한다. 제6 음향판(39)을 제2 옆판(8)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른 음향판들과 같다.
이러한 여러개의 복수의 음향판들로 부터 발현하는 소리의 총 음량은 기존의 악기에 있어서의 하나의 음향판에 의해 발현되는 소리의 음량에 비해 매우 큰 음량을 갖게 되며, 여러 음향판들에 의해서 분리된 공명공간들에 의해 다중 공명공간(공명공간a~g)이 형성되므로써 음향효과가 극대화 되며, 그 각각의 음향판의 소리는 각각의 뒷면에 형성한 살대(29)의 모양의 차이 또는 음향판의 두께 및 재질의 차이 등에 의해 각각 다른 개성의 소리를 발현하므로 연주자가 그 소리의 개성을 이끌어 내어 연주 함으로써 다양한 음색 구사가 가능하며 악기의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모든 물체는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 악기가 소리를 내는데 있어서 그 악기의 음향판이 가진 고유진동수와 가까운 음은 매우 공명성이 강해 크고 아름답고 음향이 좋은 소리를 쉽게 낼 수 있으나 그 고유진동수에서 먼 음은 공명이 약해 음향이 좋지 않은 소리를 내게 되는데 이는 악기가 강제진동에 의해서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악기 제작에 있어 악기 제작가들이 이점을 고려하여 그 악기의 음역대의 중간음 정도로 음향판의 강성을 조절하여 고유 진동수를 맞추어 놓게 되는데 모든 음역에서 공명이 좋은 소리가 나게 하는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모든 음역대에서 음향이 좋은 소리를 발현할 수 있는 악기가 소위 명기라고 불리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에 있어서, 여러개의 음향판에 각각 고유진동수를 폭 넓게 배분해 놓으므로써 모든 음역의 소리가 자연 스럽게 공명되어 크고 아름답고 음향이 좋은 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개의 음향판에서 발현된 각각의 소리는 브릿지의 진동전달 순서 및 공명공간(a~g)의 위치의 차이에 따라 미세한 시차를 두고 발현되게 되는데 이때 도 7과 같은 원리로 음의 입체화가 이루어 진다. 즉 같은 음의 파장이 서로 미세한 시차를 두고 서로 앞뒤로 진행하면서 음이 중첩되어 입체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입체화된 소리가 사운드 홀(13)로 빠져나갈 때 까지 서로 공명되어 화려하고 볼륨감이 있으며 색체감이 있는 음질을 갖게 되는 등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의 입체화의 효과는 여러대의 같은 종류의 악기로 연주하는 합주에 있어 같은 음을 다같이 연주하는 대목을 들어보면 느낄 수 있는데 이러한 음의 입체화의 음향효과가 한대의 악기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음향판은 반드시 6개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2~5개를 사용할 수도 있고 6개 이상 더 많은 갯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주할 악기의 음악적 개성과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의 특성에 따라 그 숫자를 정할 수 있으며 또한 악기 제작자 또는 연주가가 지향하는 악기의 이상적인 음악적 특성에 따라 그 숫자를 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개의 음향판에서 형성된 소리는 복수의 뒷판(5,6)과 복수의 옆판(7,8)에 의해 "ㄷ" 자 형태로 이중으로 감싸고 받쳐주어 풍부한 울림이 악기 내부에 전체적으로 생성되며 그 소리의 음파는 도 6과 같이 소리이동 구멍(25)을 통하여 여러개의 공명공간(a~g)으로 이동하면서 풍부한 공명, 풍부한 배음, 음의 깊이감, 은은하고 우아한 음질, 색체감 있는 음색, 음의 분리도와 지속성 및 원달성 등의 음향효과가 극대화되어 사운드 홀(13) 쪽으로 나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소위 명기의 조건을 더욱 갖추게 되는 것이다.
복수의 뒷판에 있어서, 제2 뒷판(6)은 제1 뒷판(5)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형하게 형성하여 소리의 공명을 도우며 그 재질은 제1 뒷판(5)과 동일한 단단하고 가벼운 재질로 얇게 형성하여 소리를 잘 반사시키고 음향효과를 증대시켜 사운드 홀(13)로 내보낸다. 제2 뒷판(6)에는 제1 뒷판(5) 쪽으로 소리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소리이동 구멍(25)을 가장자리를 따라 여러개 형성한다.
복수의 옆판에 있어서, 제2 옆판(8)은 제1 옆판(7)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형하게 형성하여 소리의 공명을 도우며 그 재질 또한 제1 옆판(7)과 같은 단단하고 가벼운 재질로 얇게 형성하여 소리를 잘 반사시키며 음향효과를 증대시켜 사운드 홀(13)로 내보낸다. 제2 옆판(8)에는 제1 옆판(7) 쪽으로 소리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소리이동 구멍(25)을 각 음향판과 음향판 사이 사이와 악기 좌우에 대칭적으로 여러개를 형성한다.
상기 소리이동 구멍(25)에 있어서, 여러개의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가 다른 공명공간(a~g)으로 구멍을 통과하여 원활히 이동하여 공명되도록 음향판 상에 도 10, 도 11, 도 12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며 또한 제2 옆판(8)에는 도 15와 같이 각 음향판과 음향판 사이에 좌우 대칭으로 여러개를 형성하고 제2 뒷판(6)에는 도 16과 같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여 이 구멍을 통하여 소리의 파동이 이동하여 악기 전체가 하나로 공명하게 되어 여러개의 공명공간을 가진 하나의 공명통으로서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이루게 된다. 구멍의 크기는 고음부 쪽은 비교적 작게 저음부 쪽은 비교적 크게 형성한다.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에 있어서, 원형의 막대나무를 제1 음향판(1)으로부터 제1 뒷판(5)까지 브릿지 바로 옆 위치에서 부터 일직선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마지막 입체브릿지(10)의 바로 아래로 부터 제1 뒷판(5)까지 형성하는데 각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진동이 제1 뒷판(5)까지 고르게 전달되어 악기의 공명공간 전체가 하나로 울림으로써 공명이 잘 이루어지고 소리의 음량이 커지며, 중간에 탄성이 있는 원형 또는 판상의 스프링을 형성하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음의 유연성 및 지속성, 원달성 등이 증대된다. 스프링의 형태는 도 13에 예시한 것과 같이 대표적으로 여러 가지의 형태가 가능하며 그 외에도 무수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 형태 및 탄성의 강도는 악기소리의 개성에 따라 다르게 정할 수 있다. 원형의 코일 스프링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철로 된 스프링을 사용하고 스프링 지지판(36)을 도 13(b)와 같이 스프링 위와 아래에 형성하고 스프링이 고정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판의 중앙부분에 홈을 파서 고정한후 강력하게 접착한다. 판 스프링은 탄성이 좋은 금속재질이나 탄력성이 있는 종류의 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도 13(c)와 같이 위 아래가 볼록한 2장의 판을 맞댄 형태로 형성하여 소리진동에 대해 탄력성을 갖게한다.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악기 제작시에 처음부터 악기자체에 부착하는 고정식으로 하거나 악기 제작이 완성된 후에 연주자가 탈착하는 방식인 탈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고정식의 방식은 악기 제작시에 미리 원하는 음색의 개성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 및 막대나무의 굵기 또는 부착 위치등을 정하여 제작되므로 편리한 반면 다시 음색을 조정할 수가 없으며, 탈착식은 소리 음색에 따른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의 위치 조정이 언제나 가능하고 또한 다른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연주후에 그 위치의 이동이 발생 했을 때마다 바로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악기에 있어서는 그 개체에 따라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를 고정하는 위치가 다르므로 고정식에 있어서는 악기 제작시에 그 위치를 찾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악기 제작가의 숙련된 솜씨가 요구된다.
나팔형 공명파이프(40)에 있어서, 음향판 상에 원형의 구멍을 뚫고 위 아래로 삿갓을 씌운 형태로 형성한다. 삿갓의 크기는 도 18과 같이 음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이어지는 형태로 저음부 쪽으로 갈수록 비교적 크고 고음부 쪽으로 갈수록 비교적 작게 띠형상으로 형성한다. 앞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가 이동하여 나팔형 공명파이프(40)를 통과하면서 응원용 맨손 마이크와 같은 원리로 음량이 증폭되고 또한, 여러 가지 크기의 나팔형 공명파이프(40)를 지나면서 소리의 분리도가 향상되어 음향효과를 증대 시킨다. 위 아래로 형성한 삿갓의 재료는 가볍고 단단한 나무 재질을 사용하여 음향판의 무게를 줄여 음향판이 소리진동에 쉽게 반응하도록 한다. 이 나팔형 공명파이프(40)는 제2 뒷판(6)에 형성할 수도 있다.
공명구획 날개판(41)에 있어서, 제2 뒷판(6)상에 도 19와 같이 얇은 판 형태의 날개판을 높이가 물결형상(wave)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도 20과 같은 형태로 배열한다.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의 음파가 이 날개판에 부딪히면서 날개판의 간격과 높이에 따라 분리되어 공명되므로써 음의 분리도와 음의 깊이감이 향상된다. 공명구획 날개판(41) 역시 가볍고 단단한 재질의 나무 또는 합성소재가 좋다. 공명구획 날개판(41)은 제1 뒷판(5)및 옆판에 형성할수도 있다.
소리이동 차단벽(42)에 있어서,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가 사운드 홀(13)로 바로 나가버리지 않고 소리이동 구멍(25)을 통하여 다른 공명공간으로 이동한 후 음의 공명, 중첩, 증폭, 회절, 굴절, 반사, 분리 등의 다양한 음향효과를 생성한후 사운드 홀(13)로 빠져 나가도록 도 21과 같이 음향판과 음향판 사이에 사운드 홀(13)을 감싸서 원형의 벽을 형성하여 소리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 소리이동 차단벽(42)은 모든 음향판에 동시 또는 선별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으며 적용한 음향판의 종류와 개수 및 그 순서에 따라 음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악기 제작가 또는 연주가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악기소리(음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입체음향판(54)에 있어서는 도22와 같이 음향판과 음향판을 서로 격자살대에 의해 일체화 시켜 하나의 음향판이 되게 하여 두 음향판에서 나오는 음이 하나로 합쳐져 입체음이 발현된다.
두 음향판 사이에는 격자살대에 의해 형성된 여러개의 4각형의 밀폐된 입체공명공간들이 각각 울림통역활을 하여 음량이 매우 커지고 중후해지며
또한, 격자살대에 의해서 형성되어진 밀폐된 입체공명공간의 진공효과에 의해 똘망똘망하고 또렷한 음색및 개성있는 음색의 발현이 가능해 진다.
입체음향판은 도8(o)와 도8(w)에 예시한 것과 같이 제1음향판(1)과 제2음향판(2)에 대해서 뿐만아니라 다른 음향판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입체음향판(54)에 있어서는, 도 22와 같이 음향판과 음향판을 서로 격자 살대(37)에 의해 일체화시켜 하나의 음향판이 되게 한다. 두 음향판 사이에 격자 살대(37)에 의해 형성되는 여러개의 사각형의 공간들이 각각 울림통 역할을 하여 악기의 음량이 매우 커지고 중후해지며 또한, 격자 살대(37)의 짜임새로 인해 음향판의 강성이 증가되어 역시 큰 음량과 또렷한 음색 및 개성있는 소리의 발현이 가능해진다. 입체음향판(54)은 도 8(o,w)에 예시한 것과 같이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에 대해서 뿐만아니라 음향판들 모두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에 있어서, 도 26(그림a) 및 도 31(그림b)와 같이 제1 음향판(1)의 아래에 소리증폭기(38)와 I형 연결브릿지(44)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를 형성하여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진동을 증폭시키며, 그 다음의 제2 음향판(2)에 전달케 한다.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는 마지막 음향판을 제외한 모든 음향판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증폭 및 전달에 매우 효율적이다. "소리 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는 제1 음향판(1)에 주로 사용하며 4개 이상의 음향판으로 설계된 악기에 있어서도 마지막 음향판을 제외한 모든 음향판에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를 사용하는 것이 음량의 증대에 유리하나 앞서 설명한데로 그 음향판 자체의 무게가 증가하는 불리한 요소가 있으며 음질과도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악기 제작시에 적절한 갯수와 가벼운 소재 및 형태로 제작하여야 한다.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의 형태는 도 28과 같이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형태가 가능하며 예시한 것 외에도 무수한 형태가 가능 하다.
I형 연결브릿지(44)에 있어서, 도 26(그림a)와 같이 제2 음향판(2)에서 그 다음의 음향판인 축소 음향판(4)을 연결하는 고정식의 I형 연결브릿지(44)를 형성하여 소리의 진동이 잘 전달 되도록 한다. 3개 보다 더 많은 갯수의 음향판으로 설계된 악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음향판에 연결 브릿지를 I형으로 형성하여 소리진동을 다음 음향판에 전달하는데 도 31(그림c)과 같이 양쪽 폭이 아랫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위쪽 브릿지의 연장선상에 형성하며 가운데가 파인 모양의 I형으로 설계하여 소리진동 전달의 효율성을 높이고 I형 연결브릿지(44) 자체의 무게도 줄인다. I형 연결브릿지(44)는 탈착이 가능한 브릿지(9)와는 달리 양쪽의 음향판에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탈하지 않게 부착한다.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과 같은 악기에 있어서는 음향판에 악기의 길이 방향으로 베이스 바(55)를 형성하여 악기소리의 개성을 만들어 내는데, 다음의 음향판인 축소 음향판(4)에는 위의 베이스 바(55)들과 달리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 바(55) 즉,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를 형성하여 다른 베이스 바(55)에서 나오는 소리와 진동파형을 서로 달리하여 독창적인 음색과 강한 울림을 가져오게 한다. 이 축소 음향판(4)은 그 면적이 작아 음향판 자체의 무게가 가벼우므로 경쾌하고 예리한 음색을 낼 수 있으며 악기 연주시 즉답성과 연주의 용이성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여러개의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는 그 음량이 웅장하며 또한, 도 7의 원리와 같이 각 음향판에서 약간의 미세한 시차를 두고 발현된 소리의 파장이 서로 만나 음의 중첩효과에 의해 음의 입체화가 이루어져 풍부한 소리와 우아하고 색체감있는 음질을 갖게되며 여러개의 공명공간을 거치면서 악기의 소리가 원활하게 공명되어 음향효과의 극대화가 이루어 진다.
각 음향판과 제2 뒷판(6) 및 제2 옆판(8)에는 소리이동 구멍(25)을 여러개 형성하여 소리 음파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여러개의 공명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소리의 공명 및 음향효과가 풍부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다.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제1 음향판(1)의 브릿지(9) 발 근처 밑에서 부터 제2 음향판(2)과 축소 음향판(4) 및 제2 뒷판(6)을 거쳐 제1 뒷판(5)까지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악기 전체의 소리의 공명을 유도한다.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 음의 유연성과 지속성 및 원달성이 향상되는 음향효과를 가져온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과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여러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을 적용하여 제작한 악기(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에 있어서 그 음량은 매우 크며 음향효과에 있어 명기의 조건을 두루 갖춘 화려하고 아름다운 소리의 악기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악기의 내부구조가 짜임새 있게 구성 되므로써 악기의 견고성이 증대되어 악기 수명의 연장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피아노에 있어서, 도 35, 도 36과 같이 제1 음향판(1)의 뒷면에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를 형성하여 제1 음향판(1)에서 발현된 소리를 크게 증폭시키며 제2 음향판(2)으로 진동을 전달한다. 제2 음향판(2)에서는 이 소리의 진동을 전달받아 소리를 발현하게 되는데 각 음향판의 뒷면에는 살대(bracing)(29)를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개성적인 소리를 발현하게 한다. 연주가는 이러한 다양한 음질을 이끌어 내어 연주하므로써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힌다. 또한, 2개의 음향판에서 나오는 소리가 도 7의 원리와 같이 중첩되어 입체음을 내므로써 풍부하고 웅장하며 색체감있는 음질을 구사하여 악기의 음향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제 1음향판(1)에는 도 36과 같이 소리이동 구멍(25)을 형성하여 제2 음향판(2)에서 발현된 소리가 피아노의 앞쪽으로 나와 청중들에게 들릴 수 있도록 한다. 도 36과 같이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를 일체화시킨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는 소리의 전달의 효율성을 더욱 높인 것이며 피아노의 구조적 특성상 운형으로 입체브릿지(10)를 감싼 형태로 윗쪽의 브릿지(9)를 따라 바로 아래에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에 의해 음량이 증대되며 음향판의 구조적 견고성이 증대되어 음향판의 습도의 변화에 따른 갈라짐을 방비하는등 악기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하나의 피아노에 있어, 도 37과 같이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을 격자 살대(37)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시킨 입체음향판(54)을 형성한 것으로서, 격자 살대(37)에 의해 생성되는 여러개의 사각형의 공간이 공명공간의 역할을 하여 웅장한 소리를 내게 되므로 음량이 크게 증대되며, 그 격자 살대(37)의 짜임새로 인해 음향판의 내구성도 매우 향상된다. 제1 음향판(1)의 윗면에는 브릿지(9)를 형성하고, 제2 음향판(2)의 아랫면에는 살대bracing)(29)를 형성하여 소리의 개성을 갖게 한다. 이렇게 하여 소리의 음량은 매우 크고 그 음향은 매우 화려하며 악기의 수명 또한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과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을 취사선택 또는 조합하여 악기를 설계 제작하므로써 악기의 음량이 증대되며, 음향효과가 극대화되어 개성적이며 풍부하고 아름다운 음색이 만들어지게 되어 악기 연주시 음악적 표현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악기설계 요소에 의해 악기내부의 공간구성이 짜임새 있게 형성됨으로써 악기의 물리적 견고성이 증가되어 악기의 수명연장을 가져온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여러요소를 적용한 악기의 설계 및 제작은 모든 음향판에 의해서 발현하는 악기류 즉 현악기, 찰현악기, 기타(guitar), 기타(guitar)족 악기, 바이올린, 바이올린족 악기, 피아노, 호궁류 악기, 각종 민속악기류 등에 다 같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지 각 악기의 구조의 차이에 따라 약간의 형태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2는 기존의 악기인 하나의 음향판과 하나의 공명통으로 만들어진 악기(guitar)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악기인 도 1의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guitar)와 구조를 비교해보면 기존의 악기(guitar)는 소리의 발현에 있어 하나의 음향판에 의해 단순하게 이루어지며 공명 또한 단일 공명통에 의해 단순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도 1의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guitar)의 단면도로서 소리이동 구멍(25)이 각 음향판과 제2 뒷판(6) 및 제2 옆판(8)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공명공간(a~g))(17~23))들이 소리이동 구멍(25)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악기의 공명이 잘 이루어 진다.
도 4에 있어서,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가 일체화된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의 확대도이다. 소리증폭기(38)는 살대(29)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인 격자 살대(37)로 bracing하며, 이 격자 살대(37)에 의해 생성되는 여러개의 사각형의 공간들이 각각 공명통의 역할을 하여 소리의 음량이 매우 커지며 또한, 격자 살대(37)에 의해 음향판의 강성이 커져 음향판이 소리의 발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음량의 증대를 가져온다. 발현된 소리의 진동은 입체브릿지(10)에 의해 효율적으로 다음 음향판으로 전달된다.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는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를 일체화 시킨 것으로서 소리진동의 전달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소리증폭기(38)의 크기는 그 지름이 브릿지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조금 더 짧거나 길게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한다. 소리증폭기(38)에 사용하는 재질에 있어서는 격자 살대(37)부분과 외곽형태 부분은 음향판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가볍고 공명이 잘되는 스프르스나 시더를 사용하며 아래쪽의 덮개부분은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강한 로즈우드 또는 메이플을 판상으로 얇게 형성하여 접착제로 견고히 부착 시킨다. 이 덥개판은 소리증폭기(38)의 소리증폭의 효율성을 더욱 높인다.
도 5에 있어서,
소리증폭기(38)의 여러가지 형태를 예시한 그림이며 그 외 수많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 발현되는 소리의 음질은 소리증폭기(38)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소리증폭기(38)의 자체 중량에 따라서도 음질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제작가 또는 연주가의 요구에 따라 취사선택 또는 고안하여 사용한다.
도 6에 있어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과 또한,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요소들로 설계된 악기(guitar)(그림a)에 있어 소리가 악기 연주자에 의해 최초 발현된 후 사운드 홀(13)로 빠져 나가기 까지의 소리의 공명, 증폭, 반사, 중첩, 회절, 이동, 분리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음향효과의 극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기존의 단일 음향판과 단일 공명통을 가진 악기(그림b)와 비교하여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악기소리의 음량이 크게 증대됨과 음향효과의 극대화에 의해 음질이 화려하게 변화됨을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악기 소리의 파형(B)과 기존악기의 소리 파형(A)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음향판에서 그 위치 및 공간의 차이에 의해 미세한 시차를 두고 발현된 소리가 서로 합해지면서 소리의 중첩효과에 의해 입체화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이 소리의 입체화는 합주형태의 음악에 있어 여러개의 같은 악기들이 동시에 하나의 음계를 연주할 때 느낄 수 있는 효과로서, 풍부한 울림과 웅장하며 색체감있는 소리가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악기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8(a~x)에 있어서,
여러개의 복수의 음향판들이 소리증폭기(38)와 입체브릿지(10)와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및 입체음향판(5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여러 가지 예시한 것으로서, 그 형태와 조합에 따라 음량 및 소리의 개성이 달라지며 음향효과가 달라지는데 그 조합의 경우의 수는 무한하며 악기 제작가 또는 연주자가 원하는 음질의 개성에 따라 설계한다.
도 9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1 음향판(1)의 뒷면에 형성한 살대(29)의 한 예를 보여주며, 또한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의 위치는 브릿지의 현이 걸리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살대(29)에 있어서는 그 형태에 따라 소리의 특성이 달라지므로 다른 음향판들과 형태를 다르게 하여 소리의 음질에 다양한 개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악기 제작자 또는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살대(29)의 모양을 결정한다.
도 10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2음향판(2)에 형성한 살대의 한 예를 보여주며 제1 음향판(1)과 살대(29)의 모양을 달리하여 소리의 개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소리이동 구멍(25) 및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의 위치를 설명한 것으로 소리이동 구멍(25)은 음향판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하며 그 위치나 크기 및 갯수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므로 제작가가 원하는 음질에 따라 정한다.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입체브릿지(1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여 소리의 진동을 잘 전달 받을 수 있게 하는데 입체브릿지(10)에 있는 브릿지 심(27) 바로 밑의 위치에 형성할 수 도 있다.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경우는 베이스 바(55)의 반대편 쪽으로 입체브릿지(10)에 가깝거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도 1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경사 음향판(3)에 형성한 살대의 한 예(그림a)이며 이 음향판 역시 다른 음향판과 살대(bracing)(29)의 형태를 다르게 하여 소리의 개성을 갖도록 한다. 경사 음향판(3)은 악기의 몸체와 평형하지 않고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아래쪽의 그림(b)과 같이 음향판의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소리의 음량이 증대되어 경사 음향판(3)만의 웅장하고 개성적인 소리를 갖게 된다. 경사 음향판(4)의 기울어진 각도는 공명 공간이 허용하는 범위안에서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그 기울어진 각도의 차이에 따라 음색이 변화된다. 기울어진 방향도 다양하게 악기의 종 방향이나 횡 방향 또는 복합 방향으로도 가능하고 음질의 차이가 발생한다. 경사 음향판(3)을 축소하여 경사 및 축소 음향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두 종류의 음향판의 장점을 다 갖게 된다.
도 1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축소 음향판(4)의 뒷면에 형성한 살대의 한 예를 보여주며(그림(a)) 이 음향판 역시 다른 음향판과 살대(bracing)(29)의 모양을 다르게 형성하여 소리의 개성을 갖게 한다. 축소 음향판(4)은 음향판의 중량이 가벼워서 경쾌한 소리와 예리한 음색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악기 연주시 즉답성 및 연주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그림(b)는 축소 음향판(4)의 여러가지 형태의 예로서 축소 음향판(4)의 형태는 예시한 것 외에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그 수는 무한하다 할 수 있고 그 형태에 따라서 소리의 특성이 달라지므로 제작가가 형태를 고안하여 제작한다. 예를 들면, 악기 몸통의 윗쪽(지판이 있는 쪽)으로 음향판을 더 크게 형성하면 고음부가 강조되고 반대로 아랫쪽으로 더 크게 형성하면 저음이 강조되는 등 소리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음향판의 끝부분이 공명공간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상목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인다. 축소 음향판(4)을 경사지게 설계하여 경사 및 축소 음향판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두 종류의 음향판의 장점을 다 갖게 된다.
도 1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의 여러가지 형태의 예를 보여주는 그림(a)으로, 코일형 스프링에 있어 다양한 스프링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모양과 탄성의 세기에 따라 악기음질의 차이가 생기므로 악기 제작가가 원하는 바에 따라 음질을 선택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한 스프링의 형태 외에도 탄성만 갖출 수 있으면 어떤 형태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탈착식에 있어서는, 코일형은 그림(b)와 같이 형성하고 판 스프링형은 그림(c)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악기 제작 완료후 악기내부에 마지막 음향판과 뒷판을 연결하여 끼워 넣어서 연주하며 언제든지 다른 종류의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의 재질은 탄성이 풍부한 철재질을 사용하고, 판 스프링의 경우는 철편 또는 합성수지 또는 탄성이 풍부한 나무를 사용하여 아래위로 2중으로 접합하여 스프링의 기능을 갖게하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진동을 뒷판에 탄력성있게 전달하여 공명하게 하므로써 소리의 유연성과 소리의 지속성의 증가를 가져오며 소리의 원달성도 증대된다.
코일형 스프링은 스프링 지지판(36)에 의해 아래위로 고정되는데 그림(b)와 같이 스프링 지지판(36)의 중앙부에 스프링 직경 크기의 홈을 파고 스프링을 끼워 고정한후 접착제에 의해 견고히 부착한다. 스프링 지지판(36)과 사운드 포스트(50)는 라이닝을 대어 역시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견고히 부착한다. 스프링 지지판(36)의 재질은 가볍고 단단한 나무인 로즈우드나 메이플 또는 합성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판 스프링의 고정에 있어서는 그림(c)와 같이, 판상형태의 판 스프링 중앙부분에 원형의 구멍을 뚫고 사운드 포스트(50)를 끼워 넣은후 접착제에 의해 견고히 접착한다.
도 14에 있어서,
입체브릿지(10)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그린 확대도로서, 입체브릿지(10)는 중간이 비어있는 입체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소리진동의 전달에 효율적이며 브릿지 심(27)을 브릿지(9)의 현이 걸리는 바로 아래부분에 형성하여 소리진동을 직접적으로 다음 음향판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데에 그 특징이 있다. 입체브릿지(10)의 크기는 위쪽의 브릿지(9)의 폭과 길이가 같게 하며 입체브릿지(10)의 재질은 살대(bracing)(29)에 사용하는 가벼운 재질인 스프르스나 시더등을 사용하며 접착제에 의해 서로 강하게 접착한다. 브릿지 심(27) 의 재질은 단단하고 가벼운 재질로서 로즈우드나 메이플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소리의 진동에너지가 잘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도 15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1 옆판(7)의 안쪽에 형성한 제2 옆판(8)에 대한 설명으로서, 제2 옆판(8)은 제1 옆판(7)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형하게 형성하여 서로 공명하게 하며 제2 옆판(8)에는 소리이동 구멍(25)을 각 음향판 사이사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여 소리의 음파가 공명공간-g(23)로 자유로이 이동하며 다양한 음향효과를 일으키게 한다. 3개의 음향판으로 설계된 악기의 경우, 측면도와 같이 음향판과 음향판 사이에 3열로 형성하여 각각의 공명공간에서 소리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소리이동 구멍(25)의 크기는 저음부 쪽으로 갈수록 좀 더 크게 형성하며 그 크기의 수치와 갯수는 추구하는 음질에 따라 적절히 정한다.
도 16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악기(guitar)의 제1 뒷판(5)의 앞에 형성한 제2 뒷판(6)의 모습으로, 상목(30)과 소리이동 구멍(25)및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의 위치등을 설명하며 소리이동 구멍(25)은 좌우대칭으로 하여 저음부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하고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중앙과 가까운 위치인 입체브릿지(10)의 연장선상 근처에 있으며, 소리의 균형을 잡기 위해 상목(30)의 위치도 악기의 형상에 맞게 적절히 배분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 제1 뒷판(5)과 제2 뒷판(6)의 사이 및 제1 옆판(7)과 제2 옆판(8)의 사이에는 공명공간-g(23)가 형성되어 악기 형태를 따라 ㄷ자형태로 감싸고 있어 악기소리가 잘 공명되도록 되어 있다.
도 17에 있어서,
음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을 설명한 것으로서, 홈의 형태는 반원형으로 하여 소리진동에 잘 반응하도록 하며 음향판의 내구성도 높인다. 이 음향판의 홈(47)의 효과는 음향판의 중앙부분의 진동이 잘 일어날 수 있으므로 악기 소리의 음량이 증대되며, 소리가 쉽게 발현되어 연주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음향판의 중량이 약간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도 18에 있어서,
음향판에 형성한 나팔형 공명파이프(40)의 크기가 고음부 쪽은 작게 시작하여 저음부로 갈수록 크지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고음과 저음이 서로 소리파장의 길이가 다른 것을 반영한 것이며 소리가 원활히 이동하며 회절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회절 현상에 의해 음의 분리도가 증대되어 악기 음정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또한, 나팔형 공명 파이프(40)의 모양을 상세히 그린 확대도에서 처럼 윗쪽의 나팔의 직경은 작고 길이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쪽의 나팔의 직경은 크고 길게 형성되어 있어 윗쪽의 소리가 아랫쪽으로 이동할 때 응원용 맨손 마이크에서 처럼 음량의 증대를 가져온다. 이는 소리의 파장이 작은 구멍을 통과하여 반대쪽으로 이동할 때 그 파장이 확대되는 현상인 회절현상에 의한 것이다. 나팔형 공명파이프(40)는 제2 뒷판(6)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9에 있어서,
공명구획 날개판(41)이 제2 뒷판(6)에 파도형(wave)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며, 소리의 파장이 날개와 날개사이의 공간에서 공명될때 공진효과에 의해 각각의 음정이 분리되어 음의 분리도 및 음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많은 날개판들에 의해 여러개의 깊이가 깊은 공간들이 형성되어 음이 깊고 은은한 소리(echo효과)가 생성된다. 공명구획 날개판(41)은 제2 뒷판(6) 뿐만 아니라 제1 뒷판(5)과 옆판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도 20에 있어서,
공명구획 날개판(41)의 배치를 보여주는 그림으로 날개판의 길이가 원형의 곡선을 따라 형성되고 옆판과의 여백부분이 있어 소리의 흐름이 원활히 되도록 하며 그 간극에 변화를 주어 자연스럽게 소리의 공명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21에 있어서,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의 사이에 사운드 홀(13) 주변에 원형으로 형성된 소리이동 차단벽(42)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제1 음향판(1)에서 발현된 소리의 음파가 바로 사운드 홀(13)로 빠져 나가지 않고 제2 음향판(2)의 소리이동 구멍(25)을 통하여 아래쪽 공명 공간으로 진행하여 다른 음향판과 공명 공간 및 뒷판, 옆판 등에 의하여 소리의 공명이 충분히 이루어진 다음에 사운드 홀(13)로 나가도록 유도한다. 소리이동 차단벽(42)은 가볍고 단단한 재질의 나무 또는 합성소재를 사용하여 얇게 형성한다.
도 2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여러요소를 적용한 X-bracing 형태의 기타(guitar)로서,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이 격자 살대(37)에 의하여 결합되어 입체음향판(54)이 된 것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별도의 소리증폭기(38)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입체화된 음향판에서 오는 큰 강성에 의해 음향판에 강력한 떨림을 만들어 내어 큰 소리를 발현하게 되며 또한, 격자 살대(37)에 의해 생성된 여러개의 4각형의 공간들이 각각 공명통의 역할을 하여 소리가 매우 커지므로 앰프나 마이크등의 도움없이 넓은 홀 또는 야외에서 인공음이 아닌 자연음으로서의 연주를 생생하게 들려줄 수 있다.
제2 음향판(2)의 뒷면에 형성한 X-bracing에 의해 소리의 개성이 만들어진다. 입체브릿지(10)를 브릿지(9) 바로 아래에 형성하여 현의 진동이 제2 음향판(2)에 직접적으로 잘 전달 되도록 하며,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가 입체음향판(54)에서 부터 제 1뒷판(5)까지 연결되어 있어 원활한 공명이 이루어져 음의 지속성, 음의 유연성, 음의 원달성, 소리의 깊이감 등이 증대된다.
이 입체음향판(54)은 두 개의 음향판이 격자 살대(37)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맞물려 있어서 음향판의 기후변화 등에 따른 갈라짐 등의 변형으로부터 안전하여 악기 수명이 연장된다.
도 2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여러요소를 적용한 3개의 음향판으로된 X-bracing 형태의 기타(guitar)의 그림이며, 제1 음향판(1)에는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를 형성하였으며 제2 음향판(2)에는 X-bracing을 적용하고 세 번째 음향판인 축소 음향판(4)에는 또 다른 형태의 살대(29)를 형성하여 다양한 소리개성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며, 3개의 음향판들과 제1 뒷판(5) 및 제2 뒷판(6)이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에 의해 다같이 연결되어 있어 소리진동의 전달 및 공명이 잘 이루어져 음량의 증대, 음의 지속성, 음의 유연성, 음의 원달성 및 소리의 깊이감 등이 증대된다.
축소 음향판(4)에도 소리이동 구멍(25)을 형성하여 악기의 공명공간 전체로 소리의 이동 및 공명이 잘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악기(guitar) 역시 큰 음량의 연주가 가능하여 넓은 홀이나 야외에서 앰프나 마이크를 사용치 않고 자연음의 생생한 연주를 청중에게 들려줄 수 있으며 다양한 음색 및 음향효과에 의해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악기의 내부구조가 짜임새있게 구성되므로써 악기 수명의 연장을 가져온다.
도 24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축소 음향판(4)을 포함한 3개의 음향판과 2개의 뒷판 및 2개의 옆판으로 설계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해체도로서 그 외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 I형 연결브릿지(44), 소리이동 구멍(25),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 등의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요소를 사용하여 설계되어 있다.
도 25에 있어서,
기존의 악기인 하나의 음향판 만을 사용한 악기(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해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의 도 24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6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음향판으로 설계된 바이올린(또는 바이올린족 악기)(그림a)의 구조를 기존악기(그림b)와 비교해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제1 음향판의 아랫면에는 소리증폭기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를 형성하여 제1 음향판(1)에서 발현된 소리를 증폭하여 제2 음향판(2)으로 전달한다. 제2 음향판(2)에서는 제1 음향판(1)으로부터 전달 받은 소리진동에 의해 소리를 발현하며 다시 I형 연결 브릿지(44)에 의해 다음의 축소 음향판(4)으로 소리를 전달한다. 이렇게 하여 여러개의 음향판이 같이 하나의 음을 발현하므로써 음량의 증대 및 소리의 입체화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제2 음향판(2)과 축소 음향판(4)의 사운드 홀(13)인 f홀은 제1 음향판(1)의 f홀과 평행하게 수직의 위치에 같은 모양과 크기로 형성하여 소리의 이동이 원활히 되도록 하며, 제2 음향판(2)의 위 아래에도 도 29와 같이 원형으로 따로 소리이동 구멍(25)를 형성하며, 축소 음향판(4)에는 도 30과 같이 아랫 쪽으로만 형성하여도 소리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져 악기의 공명이 잘 될 수 있다. 제2 옆판(8)에 있어서는 소리이동 구멍(25)을 각 음향판과 음향판의 사이 중앙부분과 축소 음향판(4)과 제2 뒷판(6)의 중앙부분에 형성시킨다. 제2 뒷판(6)에 있어서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리이동 구멍(25)을 위치시킨다.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제1 음향판(1)의 베이스 바(55) 반대편 쪽에 브릿지(9)의 발 아래 가까이에서 부터 시작하여 제2 음향판(2)과 축소 음향판(4)및 제2 뒷판(6)을 모두 거쳐 제1 뒷판(5)까지 연결시켜 악기 전체의 공간이 함께 공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형 연결브릿지(44)는 사다리 꼴 형태로 브릿지(9)의 연장선상에 아랫쪽으로 내려 올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취해 자체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소리진동이 다음 음향판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음향판(2)에 있어서도 제1 음향판(1)과 같이 베이스 바(55)를 같은 위치에 나란히 형성하여 제2 음향판(2)에서 나오는 소리의 개성을 부여하는데 제1 음향판(1)과 베이스 바(55)의 형상을 달리하여 제2 음향판(2)만의 소리 개성을 살린다. 세 번째 음향판인 축소 음향판(4)은 아랫면에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를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의 베이스 바(55)와는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하여 색다른 파형의 음파의 발생을 가져와 개성적인 소리의 발현을 가져온다.
이렇게 3개의 음향판에서 나오는 소리의 음량은 하나의 음향판을 사용한 악기에 비교할 수 없는 크기의 음량을 지니게 되며 각각의 음향판이 각각 개성적인 음을 낼 수 있으므로 음질의 다양성을 갖추게 된다.
또한 , 여러개의 음향판에서 나온 소리의 파장이 도 7의 원리와 같이 음이 서로 중첩되어 음의 입체화가 이루어져 풍부하고 색체감 있는 소리를 발현하게 된다. 음향판의 수에 있어서는 그 숫자가 많을수록 큰 음량과 다양한 음향효과를 낼 수 있으나 악기의 무게와 크기를 고려하여 연주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정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다.
다시한번 요약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음향판과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악기설계 요소를 적용해 만든 악기(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에 있어, 악기 소리의 음량은 기존의 악기와 비교하여 웅장하고, 음향효과의 극대화에 의해 악기 연주시 음악적 표현의 폭이 넓어지며, 악기의 내부 구조가 짜임새 있게 형성되므로써 악기의 견고성이 증가되어 악기 수명의 연장을 가져온다.
도 27에 있어서,
제1 음향판(1)의 뒷면에 형성한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의 위치 및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를 설명한다.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I형 연결브릿지(44)와 가까운 위치에 소리증폭기(38)의 원주내에서 베이스 바(55)의 반대쪽에 위치시켜 제1 음향판(1)로부터 제1 뒷판(5)까지 연결하여 악기전체가 하나로 공명하게 한다.
도 28에 있어서,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에 있어서는 소리 증폭기(38)가 위치하는 좌, 우측의 사운드 홀(13)과 사운드 홀(13) 사이의 폭이 좁으므로 소리증폭에 효율적인 기하학적인 모양이 소리증폭기(38)에 필요하다. 그 형태의 예를 예시한 것으로 이 외 무수하게 많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며 좌우 대칭이거나 위 아래가 대칭인 형태로 하여 소리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사용하는 재질은 가볍고 공명이 좋은 스프르스나 시더의 나무가 좋으며 덮개는 가볍고 단단한 재질의 나무인 로즈우드나 메이플 등으로 얇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29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에 있어, 제2 음향판(2)을 설명한다. 사운드 홀(13)인 f홀은 제1 음향판(1)과 같은 크기로 같은 위치선상에 평형하게 형성하여 소리의 이동이 잘 이루어 지게 하며 I형 연결브릿지(44)는 제1 음향판(1)의 I형 연결브릿지(44)의 바로 아래의 연장선상에 위치시킨다.
f홀과는 별도로 소리이동 구멍(25)을 악기 몸체의 위 아래와 좌우에 대칭으로 형성시켜 소리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소리의 공명이 잘 되도록 한다.
아랫쪽의 구멍은 좀 더 크게하여 큰 공명공간으로 부터 나오는 저음의 소리를 주로 통과시키며 윗쪽의 구멍은 작게 하여 작은 공명공간 으로부터 나오는 고음부 쪽의 음을 주로 통과시킨다.
도 30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 족 악기에 있어서 마지막 음향판인 축소 음향판(4)의 뒷면에 형성한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와 소리이동 구멍(25) 및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를 설명한다.
횡 방향의 베이스 바(56)는 베이스 바(55)처럼 악기소리의 음질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그 형성된 방향이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의 베이스 바(55)와 직각이므로 음파의 중첩효과에 의해 악기가 커다란 음량을 내게 되며 보통의 베이스 바(55)와는 다른 독특한 개성의 소리를 만들어 낸다.
소리이동 구멍(12)은 아래쪽에만 형성하여도 무방한데 윗쪽 부분은 넓은 공명공간 쪽으로 틔여있으며 f홀이 있어 소리의 이동이 원활하므로 굳이 필요하지 않다. f홀의 크기 및 위치는 윗쪽의 음향판들과 동일한 연장선상으로 형성한다.
도 31에 있어서,
브릿지(9)(그림a)와 "소리 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그림b) 및 I형 연결브릿지(44)(그림c)의 상세도이다. 소리증폭기(38)와 I형 연결 브릿지(44)가 하나로 일체화 된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11)는 소리진동의 전달에 있어 더욱 효율적이다. 브릿지(9)와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52) 및 I형 연결브릿지(44)는 각각의 음향판을 사이에 두고 그 연장선상으로 아래 위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음향판에서 생성된 소리를 증폭 또는 전달한다.
I형 연결 브릿지(44)는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아랫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며 소리전달을 효율적으로 하기위해 가운데가 파여있는 I자 형태로 되어있다.
도 3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족 악기에 있어, 제2 뒷판(6)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소리이동 구멍(25)은 제2 음향판(2)의 소리이동 구멍(25)과 같은 위치선상에 같은 구멍의 크기로 형성하며,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12)는 하나의 봉에 의해 제1 음향판(1)으로 부터 모든 음향판 및 제2 뒷판(6)을 거쳐 제1 뒷판(5)까지 일직선으로 연결된다.
도 3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 족 악기에 있어, 제2 옆판(8)을 설명한다. 제2 옆판(8)은 제1 옆판(7)과 균일한 간격을 두고 평형하게 형성하여 소리의 공명이 잘 이루어 지게 하며 소리이동 구멍(25)을 위 아랫쪽에 각각의 음향판을 사이에 두고 일렬로 형성하여 소리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공명하도록 한다. 여러개의 음향판에서 발현된 소리는 제1 옆판(7)과 제2 옆판(8) 및 제1 뒷판(5)과 제2 뒷판(6)에 의해 ㄷ자 형태로 감싸서 공명되어 음향효과가 극대화 되어 사운드 홀(13)인 f홀로 나가게 된다.
도 34에 있어서,
기존의 악기인 그랜드 피아노의 음향판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한 브릿지(9) 및 살대(bracing)(29)의 모양을 보여준다.
도 35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음향판을 가진 피아노의 제1 음향판(1)의 뒷면에 형성한 살대(29)와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그림(b)) 및 제2 음향판(2)의 뒷면에 형성한 살대(29)(그림(d))의 형태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그 단면의 형상은 (그림(c))와 같다.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은 그림(c)와같이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36에 있어서,
제1 음향판(1)의 뒷면에 형성한 "소리 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의 상세 사시도 이다. 입체브릿지(10)는 윗쪽의 브릿지(9)와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다.
입체 브릿지(10)는 속이 비어 있는 입체적인 형태이며 소리증폭기(38)가 입체브릿지(10)의 모양을 따라 운형으로 입체브릿지(10)를 감싸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일체화된 "소리 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에 의해 제1 음향판(1)에서 발현된 소리가 증폭되고 아래의 제2 음향판(2)으로 전달되는데 소리증폭기(38)의 내부에는 격자 살대(37)로 bracing이 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소리의 진동을 증폭하여 음량의 증대를 가져오며 입체브릿지(10)에 의해 제2 음향판(2)으로 소리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제1 음향판(1)상에는 소리이동 구멍(25)을 여러개 형성하여 제1 음향판(1)에서 발현된 소리가 제2 음향판(2)쪽으로 잘 이동하여 서로 공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7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또 하나의 그랜드 피아노로서, 제1 음향판(1)과 제2 음향판(2)이 격자 살대(37)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 입체음향판(54)을 형성한 것으로서, 격자 살대(37)에 의해 생성된 여러개의 사각형의 공간이 각각 공명통의 역할을 하여 음량이 크게 증대되며 또한, 격자 살대(37)에 의해 음향판 자체의 강성이 커져서 큰 소리의 발현이 가능해 지고, 격자 살대(37)에 의해 음향판들이 짜임새 있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음향판의 내구성이 강해져 악기의 수명이 연장된다. 제2 음향판(2)의 뒷면에는 살대(29)를 형성하여 소리의 개성이 생성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음향판과 그 외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새로운 악기설계 요소들의 선택 및 조합에 의해 악기가 설계 제작되므로써 악기 연주시 음량이 크게 증대되고, 음향효과가 극대화되어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악기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1. 제1 음향판 (first soundboard)
2. 제2 음향판 (second soundboard)
3. 경사 음향판 (slanted soundboard)
4. 축소 음향판 (reduced soundboard)
5. 제1 뒷판 (first backboard)
6. 제2 뒷판 (second backboard)
7. 제1 옆판 (first sideboard)
8. 제2 옆판 (second sideboard)
9. 브릿지 (bridge)
10. 입체브릿지 (3-dimensional hollow bridge)
11.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
12. 스프링 사운드 포스트 (spring soundpost)
13. 사운드 홀 (sound hole)
14. 지판 (finger board)
15. 힐 (hill)
16. 헤드 (head)
17. 공명공간-a (resonance space-a)
18. 공명공간-b (resonance space-b)
19. 공명공간-c (resonance space-c)
20. 공명공간-d (resonance space-d)
21. 공명공간-e (resonance space-e)
22. 공명공간-f (resonance space-f)
23. 공명공간-g (resonance space-g)
24. 줄감개
25. 소리이동 구멍
26. 단일 공명통(단일 공명공간)
27. 브릿지 심
28. 브릿지 보강 살대
29. 살대 (bracing)
30. 상목
31. 스프링(일반형)
32. 스프링(진동 감쇠형)
33. 스프링(진동 증폭형)
34. 원뿔형 스프링(진동 증폭형)
35. 원뿔형 스프링(진동 감쇠형)
36. 스프링 지지판
37. 격자 살대 (lattice)
38. 소리증폭기
39. 제6 음향판 (6th soundboard)
40. 나팔형 공명파이프
41. 공명구획 날개판
42. 소리이동 차단벽 (sound block wall)
43. 넥 (neck)
44. I형 연결브릿지 (I shape link bridge)
45. 횡 살대
46. 종 살대
47. 음향판의 홈 (furrow)
48. 종 상목
49. 볼록형 스프링
50. 사운드 포스트 (soundpost)
51. 지지목
52. 소리증폭기가 달린 I형 연결브릿지
53. 제5 음향판 (5th soundboard)
54. 입체음향판 (3-dimensional soundboard)
55. 베이스 바
56. 횡 방향의 베이스 바

Claims (6)

  1. 삭제
  2.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서,
    연주시 발현된 음파가 서로 잘 섞여 공명되도록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들과 평형하지 않고 공명공간내에서 경사지게 음향판을 형성한 것과,
    경사음향판(3)에서 나오는 음파가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에서 나오는 음파들과 서로 만나 하나로 합쳐질 때 음파의 진행방향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 음파의 시차에 의해 입체음이 만들어지며,
    또한, 경사음향판(3)은 악기내의 다른음향판들과 달리 현과의 각도가 더 크므로 발현에 의한 음향판의 진동이 유리해 음량이 크지며 악기연주의 용이성이 증대되며,
    또한, 악기내의 공명공간을 가로 질러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음향판의 면적이 악기내의 다른 음향판들의 면적보다 크짐에 따라 음향판의 주파수대의 변화에 따른 음역의 확대에 의해 중후한 음색의 연주와 음량증대가 이루어 지도록 한 경사음향판(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3. 삭제
  4.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서,
    두 개의 음향판을 그 사이에 격자살대(37)를 사용하여 하나로 결합시켜 두 음향판에서 나오는 소리가 하나로 합쳐지며 입체음이 발생토록 한 것과,
    두 음향판 사이에 격자살대(37)에 의해 형성된 밀폐된 입체공명공간의 진공효과에 의해 똘망똘망하고 또렷한 음색과 큰 음량의 발현이 가능토록 한 입체음향판(5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5.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서,
    현이 연결된 음향판의 배면에는 음향판의 브릿지를 중심으로 한 원형의 형태이며 발현된 소리가 크게 증폭되도록 내부의 격자살대에 의해 4각형의 수 많은 작은 공명공간을 형성하고 그 위를 덮개판으로 덮어 밀폐시킨 입체공명공간의 집합체의 형태로 된 소리증폭기(38)와 증폭된 소리를 다른 음향판들에 전달하는데 효과적인 속이 비어있고 4각형의 상자모양으로 된 입체적인 형태의 입체브릿지(10)를 하나로 결합하여 일체화시킨 소리증폭기가 달린 입체브릿지(11)를 음향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6. 음향판을 사용하여 발현하는 악기류에 있어서,
    각 음향판들을 연결하여 속이 비어있고 4각형 상자모양의 입체형태로 된 입체브릿지(10)를 각 음향판의 배면에 형성하고,
    각 음향판들을 연결하여 바로아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입체브릿지(10)를 형성하며,
    위쪽 브릿지의 현이 걸리는 바로 아래의 위치에 브릿지심(2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KR1020210099702A 2020-06-01 2021-07-29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KR102472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702A KR102472726B1 (ko) 2020-06-01 2021-07-29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40 2020-06-01
KR1020210099702A KR102472726B1 (ko) 2020-06-01 2021-07-29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40 Division 2020-06-01 2020-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952A KR20210148952A (ko) 2021-12-08
KR102472726B1 true KR102472726B1 (ko) 2022-11-29

Family

ID=7883156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702A KR102472726B1 (ko) 2020-06-01 2021-07-29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KR1020210112313A KR102439324B1 (ko) 2020-06-01 2021-08-25 나팔형 공명파이프를 가진 악기
KR1020210112316A KR102439317B1 (ko) 2020-06-01 2021-08-25 음향판에 홈을 가진 악기
KR1020210121454A KR102456718B1 (ko) 2020-06-01 2021-09-13 공명구획 날개판이 내장된 악기
KR1020220132193A KR102536021B1 (ko) 2020-06-01 2022-10-14 공명구획 날개판이 내장된 악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313A KR102439324B1 (ko) 2020-06-01 2021-08-25 나팔형 공명파이프를 가진 악기
KR1020210112316A KR102439317B1 (ko) 2020-06-01 2021-08-25 음향판에 홈을 가진 악기
KR1020210121454A KR102456718B1 (ko) 2020-06-01 2021-09-13 공명구획 날개판이 내장된 악기
KR1020220132193A KR102536021B1 (ko) 2020-06-01 2022-10-14 공명구획 날개판이 내장된 악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15404A1 (ko)
EP (1) EP4160590A1 (ko)
JP (1) JP2023529111A (ko)
KR (5) KR102472726B1 (ko)
CN (1) CN115699159A (ko)
AU (1) AU2021282835A1 (ko)
MX (1) MX2022014819A (ko)
WO (1) WO2021246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810A (en) 2022-09-28 2024-04-03 Soothill James A device for conducting vibrations in string instru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038A (ja) * 2001-07-26 2003-02-14 Joji Nagaoka 音響孔を有する弦楽器
US20030154843A1 (en) * 2001-12-12 2003-08-21 Mcpherson Mathew A. Bracing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40A (ko) * 2002-07-03 2004-01-13 이관영 해금용 공명통
US7151210B2 (en) * 2002-09-26 2006-12-19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Solid body acoustic guitar
KR200463616Y1 (ko) * 2010-07-06 2012-11-14 이광범 통기타용 증폭장치
KR101194134B1 (ko) * 2011-08-11 2012-10-25 이관영 개량 해금
KR101402225B1 (ko) * 2012-11-14 2014-06-03 주식회사데임 기타 울림통
US9171528B2 (en) * 2012-11-27 2015-10-27 Mcp Ip, Llc Carbon fiber guitar
CN203480820U (zh) * 2013-09-29 2014-03-12 成都川雅木业有限公司 多层复合吉它音板
KR101543653B1 (ko) * 2014-03-03 2015-09-16 주식회사 새안 전자 기타
JP6485131B2 (ja) * 2015-03-10 2019-03-20 ヤマハ株式会社 楽器
KR20170087615A (ko) * 2016-01-21 2017-07-31 김일열 휴대용 소리 증폭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038A (ja) * 2001-07-26 2003-02-14 Joji Nagaoka 音響孔を有する弦楽器
US20030154843A1 (en) * 2001-12-12 2003-08-21 Mcpherson Mathew A. Bracing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324B1 (ko) 2022-08-31
WO2021246738A1 (ko) 2021-12-09
KR102439317B1 (ko) 2022-08-31
KR20210148955A (ko) 2021-12-08
EP4160590A1 (en) 2023-04-05
KR102536021B1 (ko) 2023-05-26
KR20220146378A (ko) 2022-11-01
CN115699159A (zh) 2023-02-03
KR102456718B1 (ko) 2022-10-18
AU2021282835A1 (en) 2023-02-09
KR20210148952A (ko) 2021-12-08
MX2022014819A (es) 2023-01-18
JP2023529111A (ja) 2023-07-07
US20230215404A1 (en) 2023-07-06
KR20210148953A (ko) 2021-12-08
KR20210148954A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ätynen et al. Directivities of symphony orchestra instruments
US8378191B2 (en) Soundboard bracing structure system for musical stringed instruments
US9165539B2 (en) Multiple contiguous closed-chambered monolithic structure guitar body
US7301085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harmonic bridge
US5918299A (en) Stringed instrument
US20080134859A1 (en) Bassime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Bassimer
US7288706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multiple bridge-soundboard units
KR102472726B1 (ko) 복수의 음향판을 가진 악기
Fletcher Materials and musical instruments.
US20050150346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Richardson The acoustical development of the guitar
KR101402225B1 (ko) 기타 울림통
US8912415B2 (en) Acoustic structure fidd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512440A (ja) 音色を変更可能な金管楽器
US5814744A (en) Enhancement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Rindel Acoustical aspects of the transverse flute from 1700 to present
US11217213B2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partial taper soundboard recurve
CN213635331U (zh) 一种模仿沙桶和军鼓声音的新型鼓
WO2003094146A1 (en) String instrument with sound enhancing channel extending in the neck
CN101105933A (zh) 一种扬琴
Harper THESE 10 Best 12 String Acoustic Guitars Are Amazing!
WO2010150240A1 (en) Vibrating bracing system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1367144B1 (ko) 저음공명부를 구비한 현악기
US20170092237A1 (en) White oak banjo
Fletcher et al. Harpsichord and clavicho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