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011A - 해금 - Google Patents

해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011A
KR20190032011A KR1020170120407A KR20170120407A KR20190032011A KR 20190032011 A KR20190032011 A KR 20190032011A KR 1020170120407 A KR1020170120407 A KR 1020170120407A KR 20170120407 A KR20170120407 A KR 20170120407A KR 20190032011 A KR20190032011 A KR 2019003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ource
tuner
wood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박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기 filed Critical 박성기
Priority to KR102017012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2011A/ko
Publication of KR2019003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구성을 높이고 진동을 울림판으로 손실없이 전달하여 음량이 풍부하며 음량의 기복이 작고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해금이 개시된다. 해금은 현에서 발생하는 음을 발산시키는 공명통과, 상기 공명통에 고정되는 줏대와, 상기 줏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을 권취하는 주아와, 상기 주아에 권취되는 두 줄의 현을 포함하는 해금에 있어서, 공명통의 복판 위에 구비되어 상기 공명통과 주아 사이에 연결된 현을 잡아주는 원산을 구비하며, 상기 원산은, 하나의 현을 잡아주는 제1 원산과, 상기 제1 원산으로부터 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현을 잡아주는 제2 원산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해금{HAEGEUM}
본 발명은 해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말총으로 만든 활로 현을 마찰해서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에 속하며 동양 문화권의 현악기의 일종인 해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금은 활로 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인 찰현악기에 속하며, 말총으로 만든 활을 사용한다. 해금은 울림통이 작아 코가 막힌 듯한 음색이 나며 지역에 따라서는 앵금이라고도 불린다.
동양 문화권의 현악기 대부분이 줄을 뜯어 연주하는 발현악기인 관계로 소리의 장시간 지속이 어려운데 반하여, 해금은 그 소리를 길게 끌어 연주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악기와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해금은 호흡의 한계를 지니는 관악기들의 연주에 함께 섞여, 숨쉬는 부분의 음향적 공백을 메울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관악합주에 반드시 편성된다.
아울러, 해금은 넓은 음역을 가지며, 여러 가지 음악적 효과를 낼 수 있는 풍부한 표현력을 갖고 있다. 이런 장점 덕분에, 해금은 민속악에 매우 폭넓게 쓰이며, 현대에 들어서도 다른 악기들에 비해 퓨전 음악이나 창작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4789호(2017.04.03)에는 악기용 울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개량해금이 개시된바 있다. 해금은 몸통, 입죽, 줄 및 활로 이루어진다. 몸통은 공명통과 복판, 감잡이와 주철, 원산으로 구성된다. 입죽 상단의 주아에 두개의 줄(중현, 유현)을 수직으로 걸어 몸통 하단의 감잡이에 고정시킨다. 활의 활총 부분을 두 줄 사이에 끼워 연주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해금의 구성물인 원산이 내구성의 한계가 있고 그 위치에 따라 음량의 기복이 커지며 분실의 위험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4789호(2017.04.03)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구성을 높이고 진동을 울림판으로 손실없이 전달하여 음량이 풍부하며 음량의 기복이 작고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해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은 현에서 발생하는 음을 발산시키는 공명통과, 상기 공명통에 고정되는 줏대와, 상기 줏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을 권취하는 주아와, 상기 주아에 권취되는 두 줄의 현을 포함하는 해금에 있어서, 공명통의 복판 위에 구비되어 상기 공명통과 주아 사이에 연결된 현을 잡아주는 원산을 구비하며, 상기 원산은, 하나의 현을 잡아주는 제1 원산과, 상기 제1 원산으로부터 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현을 잡아주는 제2 원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은 두 줄의 울림영역을 다르게 구현하는 전술한 효과는 충분히 달성하면서도 두 줄의 고정 위치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여 음량과 음색을 연주시마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2개의 원산을 연결시켜 분실의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세팅시 조율 작업을 1/2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원산의 나무 부분이 복판과 접촉하여 그 울림 전달은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표면을 코팅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무로 이루어진 복판의 표면에 칠을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의 원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의 원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해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의 원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의 원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금(10)은 공명통(100)과, 줏대(200)와, 주아(300)와, 두 줄의 현(400) 및 원산(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명통(100)은 화리, 산유자, 대나무 등의 나무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으로, 일정 길이로 잘라 모양을 다듬고 그 상면에 오동 나무 등의 소재로 복판(110)을 만들어 결합하여 만들 수 있다. 공명통(100)은 중공의 통 형상의 부재의 일단부(상단부)에 복판(110)이 결합되고 타단부(하단부)는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공명통(100)은 현(400)에서 발생하는 음을 발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공명통(100)은 음량 및 음색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공명통(100)은 직경 8㎝ 내지 12㎝의 대나무의 뿌리나 대통부분을 마디를 중심으로 일정 비율로 자른다. 복판(110)은 중앙이 가장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게 깍아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줏대(200)는 공명통(10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입죽이라고도 불리며 해금(10)의 몸통 역할을 한다. 줏대(200)는 길이가 약 55㎝, 지름이 약 2㎝ 안팎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줏대(200)는 대나무 등의 나무를 세우고 그 속에 쇠기둥을 박아 공명통(100)에 고정된다. 공명통(100)과 결합된 줏대(200)의 타단부는 단부로 갈수록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주아(300)는 줏대(2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현(400)을 권취한다. 주아(300)는 현(400)을 감아 고정하며 줏대(200)의 상부에 꽃아진다. 주아(300)는 나무 등으로 만들 수 있다.
현(400)은 두 줄로 이루어지며 주아(300)에 권취된다. 주아(300)에 감겨지는 두 가닥의 줄은 명주실을 꼬아 만들 수 있다. 현(400)은 한쪽 끝을 주아(300)에 감아 놓고 다른 한쪽 끝은 공명통(100)에 설치된 감잡이(120)에 고정시킨 후, 공명통(100)의 복판(110) 상면에 원산(500)을 세워 현(400)을 잡아주게 된다. 현(400)은 중현과 유현이라고도 불리는 내줄과 외줄로 이루어진다.
두 줄 중 굶은 쪽은 중현이며, 가는 쪽은 유현이다. 현(400)은 감잡이(120)에서 시작해 복판(110) 위에 올려져 있는 원산(500)을 지나 줏대(200) 끝의 주아(300)로 연결된다. 연주 시 하나의 줄은 고음을 내며 다른 하나의 줄은 저음을 내게 된다. 내줄과 외줄 사이에 활(600)을 넣고 문질러 소리를 낸다.
원산(500)은 공명통(100)의 복판(110) 위에 구비되어, 공명통(100)과 주아(300) 사이에 연결된 현(400)을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원산(500)은 하나의 현(400)을 잡아주는 제1 원산(510)과, 제1 원산(510)으로부터 현(4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현(400)을 잡아주는 제2 원산(5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원산(500)을 제1 원산(510)과 제2 원산(520)으로 2개로 구성하고 두개를 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시켜 각각 고음과 저음에 대한 울림을 풍부하게 구현할 수 있다. 원산(500)은 복판(110)의 중심부로 갈수록 울림이 커져 풍부한 음량을 얻게 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울림이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고음을 담당하는 줄과 저음을 담당하는 줄은 각각 그 울림 영역에 다르므로 그 고정 위치를 다르게 하여 복판에서의 울림 영역을 최적화할 수 있다.
특히, 해금(10)은 제1 원산(510)과 제2 원산(520)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30)를 구비한다. 연결부재(530)는 제1 원산(510)과 제2 원산(520)을 연결하는 기능과 더불어 제1 원산(510)과 제2 원산(520) 간의 이격거리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두 줄의 울림영역을 다르게 구현하는 전술한 효과는 충분히 달성하면서도 두 줄의 고정 위치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여 음량과 음색을 연주시마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2개의 원산을 연결시켜 분실의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세팅시 조율 작업을 1/2로 줄일 수 있다.
나무로 이루어진 복판(110)에는 나무로 이루어진 원산(500)이 접촉된다. 원산(500)은 은박과 같은 금속 등의 강질 소재의 강성부재(540)를 구비한다. 강성부재(540)는 복판(110)과 비접촉하는 원산(500)의 표면에 형성된다. 강성부재(540)의 상단면에는 현(400)을 지지하는 요홈(541)이 형성된다. 제1 원산(510)의 강성부재(540)와 제2 원산(520)의 강성부재(540)는 연결부재(5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원산의 나무 부분이 복판(110)과 접촉하여 그 울림 전달은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표면을 코팅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판(110)의 표면에 칠을 하여 형성되는 도장층(115)을 구비한다. 나무로 이루어진 복판(110)의 표면에 칠을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다.
즉, 복판(110)은 가급적 오래된 나무를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20년 내지 30년된 비교적 오래된 나무를 소재로 사용하게 된다. 복판(110)의 나무 소재는 오래될수록 음량과 음색이 풍부해져 그 소리가 좋아지게 되는데, 반대로 나무가 오래될수록 내구성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따라서, 오래된 나무를 사용하는 복판(110)의 표면에 칠을 하여 도장층(115)을 코팅함으로써, 오래된 나무를 보호하여 내구성은 향상시키면서도 좋은 소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복판(110)의 표면에는 숫자, 문자,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볼부(77)가 구비된다. 심볼부(77)는 숫자, 문자, 형상 또는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판(110)에 심볼부(77)를 형성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와 더불어 광교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유니크함을 제공하여 그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해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해금
100: 공명통 110: 복판
120: 감잡이 200: 줏대
300: 주아 400: 현
500: 원산 510: 제1 원산
520: 제2 원산 530: 연결부재
540: 강성부재 541: 요홈
600: 활

Claims (7)

  1. 현(400)에서 발생하는 음을 발산시키는 공명통(100)과, 상기 공명통(100)에 고정되는 줏대(200)와, 상기 줏대(2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400)을 권취하는 주아(300)와, 상기 주아(300)에 권취되는 두 줄의 현(400)을 포함하는 해금에 있어서,
    공명통(100)의 복판(110) 위에 구비되어 상기 공명통(100)과 주아(300) 사이에 연결된 현(400)을 잡아주는 원산(500)을 구비하며,
    상기 원산(500)은,
    하나의 현(400)을 잡아주는 제1 원산(510)과, 상기 제1 원산(510)으로부터 현(4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현(400)을 잡아주는 제2 원산(520)으로 이루어지는 해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산(510)과 제2 원산(520)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30)를 구비하는 해금.
  3. 제2 항에 있어서,
    나무로 이루어진 상기 복판(110)에 나무로 이루어진 상기 원산(500)이 접촉되고,
    상기 복판(110)과 비접촉하는 원산(500)의 표면에 강질 소재의 강성부재(540)가 구비되는 해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540)의 상단면에 현(400)을 지지하는 요홈(541)이 형성되는 해금.
  5. 제3 항에 있어서,
    제1 원산(510)의 강성부재(540)와 제2 원산(520)의 강성부재(540)는 상기 연결부재(530)와 일체로 형성되는 해금.
  6. 현(400)에서 발생하는 음을 발산시키는 공명통(100)과, 상기 공명통(100)에 고정되는 줏대(200)와, 상기 줏대(2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400)을 권취하는 주아(300)와, 상기 주아(300)에 권취되는 두 줄의 현(400)을 포함하는 해금에 있어서,
    공명통(100)의 복판(110)은 나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판(110)의 표면에 칠을 하여 형성되는 도장층(115)을 구비하는 해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판(110)의 표면에는 숫자, 문자,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볼부(77)가 구비되는 해금.
KR1020170120407A 2017-09-19 2017-09-19 해금 KR20190032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07A KR20190032011A (ko) 2017-09-19 2017-09-19 해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07A KR20190032011A (ko) 2017-09-19 2017-09-19 해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11A true KR20190032011A (ko) 2019-03-27

Family

ID=6590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407A KR20190032011A (ko) 2017-09-19 2017-09-19 해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20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789B1 (ko) 2013-08-02 2017-04-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용 울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개량해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789B1 (ko) 2013-08-02 2017-04-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용 울림통 및 이를 구비하는 개량해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2979A (en) Stringed instrument
US5918299A (en) Stringed instrument
JP2007513359A (ja) 楽器用のアクセサリー部分または操作部分、または、楽器の構成部分
US8841529B2 (en) Clarinet mouthpiece and barrel system
US10008185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lead crystal fingerboard or fretboard and bridge
US4213368A (en) Sounding banjo and head therefor
US9564109B2 (en) Bass guitar to enhance the musical performance of a user
KR20190032011A (ko) 해금
KR101819960B1 (ko) 개량 아쟁
US6759581B2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relief cut
US8759650B2 (en) Banjo bridge base plate
US8895828B1 (en) Clix stixs
US2456299A (en) Perforated reed for wind instruments
US20210090529A1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partial taper soundboard recurve
KR200303192Y1 (ko) 해금
Siminoff The Luthier's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Great Tone i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KR101057277B1 (ko)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TW202105360A (zh) 弓弦樂器
JP3210676U (ja) 二胡
US8227678B2 (en) Tail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JP2005173515A (ja) 三駒型一弦楽器
US5831191A (en) Bassbar for stringed instruments
KR102052342B1 (ko) 셸락을 주성분으로 하는 리드용 음질 개선제 및 이것이 도포된 관악기용 리드
US2689499A (en) Mute
CN209471739U (zh) 基于三弦琴的筒形弦支撑马以及三弦琴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