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695B1 - 인쇄 매체,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매체,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695B1
KR101819695B1 KR1020127015071A KR20127015071A KR101819695B1 KR 101819695 B1 KR101819695 B1 KR 101819695B1 KR 1020127015071 A KR1020127015071 A KR 1020127015071A KR 20127015071 A KR20127015071 A KR 20127015071A KR 101819695 B1 KR101819695 B1 KR 101819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grid
predetermined
dots
half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356A (ko
Inventor
켄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12009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7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extracting optical codes from image or text carrying said optical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04N1/32208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involving changing the magnitude of selected pixels, e.g. overlay of information or super-im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04N1/32256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in halfton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30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in colour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1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the composed originals being of different kinds, e.g. low- and high-resolution orig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색 수를 늘리지 않고 선명한 색이 표현 가능하며, 도트 패턴 인쇄의 인쇄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인쇄 매체, 및 인쇄 매체를 사용한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상이한 잉크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종래 불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던 1 색으로 그래픽과 도트 패턴을 중첩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무늬·사진 등이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로서,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인쇄 매체 상의 도트를 검출하여, 그 도트가,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판정되도록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로 했다.

Description

인쇄 매체,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PRINT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망점 (網點) 인쇄에 중첩 인쇄된 도트 패턴으로서,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망점과 판별하여 판독 가능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인쇄 매체, 및 이것을 사용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발명자는, 도트 패턴을 화상과 중첩하여 인쇄한, 그와 같은 매체의 도트 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정보를 출력하는 기술에 관해서 다수 발명을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도트 패턴과 지도를 중첩하여 인쇄하고, 지도 상의 도트 패턴을 판독함으로써, 지도 상의 좌표와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도트 패턴과 퍼스널 컴퓨터용 키보드의 도안을 중첩하여 인쇄하고, 키보드의 키 위의 도트 패턴을 판독함으로써, 당해 키와 대응하는 입력 지시를 퍼스널 컴퓨터에 대하여 실시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화상과 도트 패턴이 중첩하여 인쇄된 영역을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할 때에, 도트 패턴만을 판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 의하면, 도트 패턴만을 판독하기 위해서, 화상을 논카본 잉크로 인쇄하고, 도트 패턴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적외선 흡수 잉크나 카본 블랙으로 인쇄한다. 카본 블랙 (먹색) 은 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적외선을 조사하고, 매체면에서 반사된 적외선만을 촬상하여, 도트 패턴을 판독한다. 따라서, 컬러 인쇄의 경우에는 5 색 인쇄가 된다.
한편, 특허문헌 4 에 의하면, 인쇄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 논카본의 K (먹색) 잉크를 대신하여 논카본의 CMY 잉크에 의해 먹색을 유사적으로 표현 (이른바 콤포지트 블랙) 하여, 종래와 동일한 잉크를 사용해서 컬러 인쇄 4 색 인쇄가 가능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79993호 일본 특허 제4042065호 WO2004/029871호 WO2007/021249호
특허문헌 3 에 의하면, 화상용으로 논카본의 CMYK 잉크, 도트 패턴용으로 보이지 않는 적외선 흡수 잉크 (스텔스 잉크), 즉 5 색의 잉크가 인쇄에 필요해지고, 특히 스텔스 잉크가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4 에 의하면, CMY 잉크로 먹색을 유사적으로 표현한 콤포지트 블랙을 사용하여 화상을 논카본의 CMY 잉크만으로 표현하는데, 콤포지트 블랙은 어디까지나 진한 다크브라운색이기 때문에, 선명한 검정을 표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입각하여, 색 수를 늘리지 않고 선명한 색이 표현 가능하며, 도트 패턴을 인쇄한 인쇄 매체의 인쇄 비용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상이한 잉크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종래 불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던 1 색으로 그래픽과 도트 패턴을 중첩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1) 본 발명의 인쇄 매체는,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소정의 정보로 복호할 수 있는, 그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무늬·사진 등이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로서, 그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인쇄 매체 상의 도트를 검출하여, 그 도트가 그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그 망점인지를, 그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판정되도록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명도 정보란 모든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정이 가장 명도가 낮아, 도트 패턴을 검정으로 인쇄함으로써, 망점으로 표현된 컬러의 명도와 비교함으로써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그 차가 미소한 경우에는, 컬러 부분의 명도를 높여서 인쇄하거나,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판독한 컬러 부분의 명도를 높이도록 보정하여 판별해도 된다. 이로써,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광학 판독 수단이나 사용 잉크에 관계없이 그리드 도트만을 검출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2)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역치에 대하여 그 픽셀 수의 대소에 의해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 것을 판정할 때에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클 때에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하고,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작을 때에 망점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CMY 의 각 망점이 겹쳐친 중첩 부분의 컬러의 명도가 저하되어, 그리드 도트와 망점의 명도에 의한 판별이 어렵게 되는 경우라도, 그 중첩 부분을 구성하는 픽셀 수가 역치 이하가 되도록 인쇄하면 그리드 도트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물론, 컬러 인쇄에 CMYK 를 사용하여, K 의 망점과 그리드 도트의 명도가 동일 정도라도, 양자를 구성하는 픽셀 수에 의해서 판별 가능해진다.
(3) 또한,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동종의 잉크를 사용하여 그리드 도트와 망점을 인쇄한 경우라도, 그리드 도트만을 검출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4) 그리고,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적외선만을 촬상하는 광학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도트 패턴을 인식하는 경우, 통상 인쇄에서 사용하는 CMYK (적외선을 흡수하는 카본 블랙) 로 망점 인쇄하고, K 잉크와 마찬가지로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로 그리드 도트를 인쇄하더라도, 양자를 구성하는 픽셀 수에 의해서 판별 가능해진다.
(5) 또한, 서로 이웃하여 인쇄되는 상기 망점은,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이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 망점끼리 연결되지 않고 개개의 도트로서 검출할 수 있도록, 그 망점이 소정의 망점 농도로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연결한 망점을 구성하는 픽셀 수가 역치를 넘어서 그리드 도트가 판별 불가가 되지 않도록, 인쇄 정밀도를 고려한 뒤에 망점을 소정의 망점 농도로 인쇄하여 그리드 도트를 판별 가능하게 한다. 또, 인쇄의 편차에 의해서 망점의 일부가 연결되어도, 그 연결부는 명도가 약간 높아지기 때문에 연결을 분리시킬 수 있다.
(6) 그리고, 상기 그리드 도트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호이고, 그들의 단변 방향의 길이를 L (인치), 망점의 인쇄 스크린선 수를 D (lpi) 로 하면, 망점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25πL2×D2 미만이고, 그 망점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50L2×D2 미만으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인쇄의 편차가 미소하면, 양자를 구성하는 픽셀 수에 의해서 판별 가능해진다. 단, 인쇄의 편차가 많은 경우에는, 소정의 망점 농도를 10 % 정도 저감시켜 망점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무늬·사진 등이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를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그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그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그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도트를 검출하고, 그 도트가 그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광학 판독 수단의 종류, 판독 방법에 관계없이 그리드 도트만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8)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역치에 대한 그 픽셀 수의 대소에 의해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할 때에,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작을 때에 망점이라고 판정하고,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클 때에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또,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을 구비하여, 상기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도트를 제외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고, 그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그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를 구하여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광학 판독 수단이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매체면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촬영 영역이 넓어져, 그 결과 그리드 도트와 망점이 작아지고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적어져, 미리 설정된 픽셀 수의 역치를 하회하여 망점으로서 판정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명도에 대응하는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구해진 역치를 사용함으로써 그리드 도트를 판정할 수 있다. 이것은, 광학 판독 수단이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매체면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화상 메모리로 전개된 화상 데이터의 중앙의 명도 측정 영역의 명도가 저하된다는 사실에서, 그 때의 명도에 따라서 픽셀 수의 역치를 다이나믹하게 저하시켜, 도트가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하면 된다.
(10)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상기 망점과 상기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기 위한 제 1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과, 적어도 망점을 제외하고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기 위한 제 2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을 구비하여, 어느 하나를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해서 상기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를 구하여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통상적인 그리드 도트 인쇄 매체에 있어서 눈에 띄지 않도록 가능한 작게 인쇄한 그리드 도트의 판별과, 비교적 크게 그리드 도트를 인쇄한 매체에서 망점과의 판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2 개의 상이한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을 구별해서 사용하여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1 개의 구체예로는, 주파수 특성 (광학 특성) 으로 그리드 도트만을 판독하는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통상적인 그리드 도트 인쇄 매체이거나, 그리드 도트와 동일한 잉크로 인쇄된 인쇄 매체라도, 양쪽의 그리드 도트를 판독하여 소정의 정보로 복호할 수 있다.
(11) 그리고, 상기 인쇄 매체는,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또한, 상기 인쇄 매체는,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고, 상기 광학 판독 수단은, 적어도 가시광을 차단하는 필터와, 적어도 그 소정의 파장 영역 내의 적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그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로 인쇄된 상기 인쇄 매체를 그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또,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서로 이웃하여 인쇄되는 상기 망점끼리가 연결되지 않도록 그 망점이 소정의 망점 농도로 인쇄되어 있는 인쇄 매체를 그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 망점끼리가 연결되지 않도록 개개의 도트로서 검출하여,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 또, 상기 그리드 도트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호이고, 그들의 단변 방향의 길이를 L (인치), 망점의 인쇄 스크린선 수를 D (lpi) 로 하면, 그 그리드 도트가 직사각형이고, 망점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25πL2×D2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직사각형이고, 그 망점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50L2×D2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타원호이고, 망점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25π2L2×D2/4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타원호이고, 그 망점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50πL2×D2/4 미만으로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가 소정의 역치 이하인 경우에 그 픽셀을 도트로서 검출하고, 그 도트가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6)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각 행 전체 픽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하는 제 1 픽셀과, 소정의 픽셀 수만큼 떨어진 제 2 픽셀의 각각에 기록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여, 그 양 픽셀치의 차분의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인 경우에 그 픽셀치가 작은 것을 도트로서 검출하여, 그 도트가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하고, 그리드 도트인 경우에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 또한, 상기 소정의 역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중앙의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도트를 제외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고, 그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광학 판독 수단에 성능상의 개체 차가 생겨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명도 정보에 편차가 있더라도, 그것에 대응해서 최적의 역치를 구하여 그리드 도트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학 판독 수단이 매체면에 완전히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나, 광학 판독 수단을 인쇄 매체면에 대하여 기울인 경우 등,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명도는 저하되지만, 그와 같은 경우라도 그것에 대응해서 최적의 역치를 구하여 그리드 도트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18) 그리고, 상기 소정의 역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각 행에 있어서, 각 행의 중앙의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도트를 제외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고, 그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각 행마다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광학 판독 수단을 인쇄 매체면에 대하여 기울인 경우,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명도가 광학 판독 수단을 앞쪽으로 기울인 측에서부터 역 방향을 향하여 저하되지만,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각 행에 있어서 최적의 역치를 구함으로써, 각 행에 위치하는 그리드 도트를 더욱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
(19)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무늬·사진 등이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를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리드 도트에 의해서 구성된 도트 패턴을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그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그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그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도트를 검출하여, 그 도트가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하고, 그리드 도트인 경우에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역치에 대한 그 픽셀 수의 대소에 의해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할 때에,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작을 때에 망점이라고 판정하고,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클 때에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또, 상기 인쇄 매체는,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고, 상기 광학 판독 수단은, 적어도 가시광을 차단하는 필터와, 적어도 그 소정의 파장 영역 내의 적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통상 인쇄에서 사용하는 CMY 는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적외선을 흡수하는 K 잉크에 의해 인쇄된 망점과,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로 인쇄된 그리드 도트만을 광학 판독 수단으로 촬상하여, 명도나 양자를 구성하는 픽셀 수로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즉, K 잉크에 의해 인쇄된 망점과 그리드만의 2 색으로 판별하거나, 또는 그리드의 인쇄에 K 잉크를 사용한 경우에는 1 색만으로 판별하면 된다.
(22) 그리고, 상기 도트 패턴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선상으로 연속하여 복수의 기준 도트를 배치하는 공정과, 그 복수의 기준 도트를 연결하는, 직선, 꺾은 선 및/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가상 기준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기준 도트 및/또는 그 제 1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정의되는,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 이상의 제 2 가상 기준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제 2 가상 기준선 상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가상 기준점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가상 기준점을 시점으로 하여 벡터에 의해 표현한 종점에, 그 가상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에 의해 XY 좌표값 및/또는 코드값이 정의되는 정보 도트를 배치하는 공정에 따라서 배열한, 스트림 도트 패턴을 1 라인 또는 복수 나란히 정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기준점의 간격이 일정한 스트림 도트 패턴이 복수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XY 좌표값이 인쇄 매체에 간극없이 정의되어 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문자나 오선보, 지도, 도형 등이 인쇄 매체에 인쇄되어, 그 선분 위를 스캐너 펜으로 덧그리거나 또는 터치하여 조작하는 경우, 그 선분을 따라서만 스트림 도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도트 패턴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XY 좌표가 정의된 도트 패턴을 2 차원 코드로서 형성할 때 (인덱스로서 사용) 의 직사각형 영역의 형상에 제약받지 않고, 매체 표면 상에 가시적으로 형성된 정보 영역에 맞춘 자유로운 형상에서의 일정 정보의 통합의 반복에 의한 도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3) 그리고, 상기 스트림 도트는, 제 2 가상 기준선을 정의하기 위해서, 및/또는 상기 도트 패턴의 방향과 1 개의 XY 좌표값 및/또는 코드값을 정의하기 위해서, 추가로 기준이 되는 기준 도트를 소정의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새로운 기준점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림 도트 패턴의 방향과 일정 정보의 통합을 정보 도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이하게 정의할 수 있어, 이로써, 불필요한 정보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기준점의 배치에 의해 정보 도트의 시점이 되는 가상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광학 판독 수단이나 사용 잉크에 관계없이 그리드 도트만을 검출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동종의 잉크를 사용하여 그리드 도트와 망점을 인쇄한 경우라도, 그리드 도트만을 검출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모노크롬 인쇄 등 1 색에 의한 인쇄 매체라도 도트 패턴을 그래픽에 중첩 인쇄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주파수 특성이 같은 잉크로 중첩 인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2 는 망점과 그리드 도트가 1 색의 잉크로 중첩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 은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상이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잉크로 인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 는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비트맵 화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 는 망점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다른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망점 또는 그리드 도트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광학 판독 수단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 매체의 촬상 화상의 확대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트 패턴의 일례인 스트림 도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1) 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트 패턴의 일례인 스트림 도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2) 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트 패턴의 일례인 스트림 도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3) 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트 패턴의 일례인 스트림 도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4) 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트 패턴의 일례인 스트림 도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5) 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트 패턴의 일례인 스트림 도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6) 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3 은, 망점과 그리드 도트 (도트 패턴에 사용되는 도트) 를 중첩 인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 은, 망점과 도트 패턴을 중첩 인쇄하는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광학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가시광 영역에서 판독하는 예이다. (a) 는 통상적인 그래픽의 망점 인쇄, (b) 는 도트 패턴, (c) 는 그래픽과 도트 패턴을 중첩 인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통상적인 그래픽 인쇄란, 문자·사진·일러스트 등의 통상적인 망점 인쇄를 의미한다. 도트 패턴이란, 이차원 코드의 일종으로, 다양한 정보나 프로그램을 입출력시키는 자동 인식 기술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3706385호, 일본 특허 3858051호, 일본 특허 3771252호, 일본 특허출원 2009-16516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밖에, 모든 도트 패턴을 사용해도 됨은 물론이다.
통상적인 그래픽 인쇄는, C (시안), M (마젠타), Y (옐로우) 의 3 색 (동 도 (a)) 또는 C, M, Y, K (블랙) 의 4 색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한편, 도트 패턴은, K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된다 (동 도 (b)). 그리고, 동 도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그래픽과 도트 패턴을 중첩 인쇄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도트 패턴을 판독하기 위한 전용 스캐너 (광학 판독 수단) 로 인쇄 매체를 터치하면, 그래픽 인쇄의 내용에 대응한 음성·화상 등의 정보가, 스캐너에 접속된 정보 기기 (퍼스널 컴퓨터, PDA 등) 로부터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그래픽 인쇄 및 도트 패턴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는 가시광 영역에서 망점과 도트 패턴의 명도의 차이를 판별하기 때문에, 광학 판독 수단으로 촬상할 수 있다면, 어떠한 주파수 특성이라도 상관없다. 즉, 도시하지는 않지만, 소정의 명도를 역치로서 설정하고,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여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도트 부분이 당해 역치보다 큰 경우에는 그리드 도트, 당해 역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망점으로서 판정한다. 이로써, 주파수 특성 (광학 특성) 을 이용한 광학 판독 수단이나 사용 잉크에 관계없이 그리드 도트만을 검출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C, M, Y 가 혼합된 콤포지트 블랙이 표현된 위치에서는, 명도의 차이뿐만 아니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여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비교해서, 소정의 픽셀 수 이상이면 그리드 도트라고 판별할 필요도 있다. 물론, 통상적인 그래픽 인쇄에 C, M, Y, K (블랙) 의 4 색을 사용한 경우에서는, K (블랙) 가 인쇄된 위치에서는 소정의 픽셀 수로 판별한다. 또, 본 도면에서는 망점을 정사각형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원형 등 다른 형상을 한 망점 인쇄라도 동일하게,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 는, 망점과 도트 패턴을 1 색의 잉크로 인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 도면에서는, 망점, 그리드 도트 모두 M 잉크로 인쇄를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경우라도,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여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비교해서, 소정의 픽셀 수 이상이면 그리드 도트라고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망점의 크기가 그리드 도트보다 반드시 작아지도록, 망점의 농도 및/또는 망점의 스크린선 수를 한정하여 인쇄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인쇄시의 도트 게인 등, 인쇄의 정밀도나 지질, 잉크의 특성도 고려해서, 인쇄한 결과에 있어서 망점의 크기가 그리드 도트보다 반드시 작아지도록 망점의 크기를 정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 색으로 인쇄한 경우라도, 망점과 그리드 도트의 판별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신문의 1 색 인쇄, 시험 문제, 앙케이트 등, 1 색만으로 인쇄하는 서류, 문장, 그래픽에 대해서도 도트 패턴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1 색으로 인쇄하는 경우의 잉크는, M 잉크에 한정되지 않고, C 잉크, Y 잉크, K 잉크로 인쇄해도 된다.
도 3 은, 그래픽과 도트 패턴을, 상이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잉크로 인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 도면에서는, 그래픽을 C, M, Y, K 의 4 색으로 인쇄하고, 도트 패턴을 K 잉크 1 색으로 인쇄하고 있다. 그리고, C, M, Y 의 인쇄에는, 적외선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잉크를 사용하고, K 의 인쇄에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 또는 카본 블랙을 사용한다. 이 경우, 광학 판독 수단은, 적외선 영역에서 판독하여, K 로 인쇄된 망점 및 그리드 도트만이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되게 되고,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치 (명도) 는 대강 동일 정도가 되기 때문에, 각각의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비교하여, 소정의 픽셀 수 이상이면, 그리드 도트라고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당해 광학 판독 수단은, 적외선을 매체면에 조사하여, 가시광 차단 필터 (적외선 투과 필터) 에 의해 반사광 내의 적외선만을 판독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잉크의 색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상이한 잉크를 사용해도 된다.
도 4(a) 및 (b) 는,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비트맵 화상으로 표현한 도면으로, (a) 가 그리드 도트, (b) 가 망점을 나타낸 것이다.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그래픽이나 도트 패턴은, 화상 메모리 상에서 비트맵 화상으로서 전개된다. 즉, 격자상으로 많은 세밀한 점 (픽셀) 으로 분할하여 표현되어 있다.
화상 메모리 상에서는, 망점이나 그리드 도트는, 그들이 인쇄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 대해서 밝게 촬상되어 있다. 스캐너 내부의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어둡게 촬상되어 있는 지점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들을 구성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고, 픽셀 수의 대소에 의해서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기준으로서, 픽셀 수의 역치가 설정되어 있어, 픽셀 수가 역치보다 클 때에는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하고, 픽셀 수가 역치보다 작을 때에는 망점이라고 판정한다. 또, 밝은지 어두운지로 망점 및/또는 그리드 도트를 검출하는 경우도, 소정 명도의 역치에 의해 판정한다. 또, 역치 이상을 그리드 도트, 역치 미만을 망점으로 해도 되고, 역치 초과를 그리드 도트, 역치 이하를 망점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역치가 12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4(a) 는 15 픽셀이기 때문에,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된다. 동 도 (b) 는 8 픽셀이기 때문에, 망점이라고 판정된다.
여기서, 광학 판독 수단이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매체면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촬영 영역이 넓어져, 그 결과 그리드 도트와 망점이 작아지고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적어져, 미리 설정된 픽셀 수의 역치를 하회하여 망점으로서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광학 판독 수단이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매체면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화상 메모리로 전개된 화상 데이터의 명도가 저하된다는 사실에서, 그 때의 명도에 따라서 픽셀 수의 역치를 다이나믹하게 저하시키면 된다. 화상 데이터의 중앙의 영역을 명도 측정 영역으로 하면, 이 명도 측정 영역에 있어서, 도트를 제외한 픽셀치의 평균치를 구하고,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평균치로부터 산정되는
[수학식 1]
Figure 112012046270781-pct00001
를 픽셀 수의 역치로 하여, 역치 T 미만이면 망점, 역치 이상이면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한다. 이 산정식은, 픽셀치의 평균치가 λ1 이하 및 λ2 이상은 픽셀 수의 역치가 일정치 N1 및 N2 가 되고, λ1 에서 λ2 까지는 픽셀 수의 역치가
[수학식 2]
Figure 112012046270781-pct00002
가 된다. 예를 들어, 인쇄 매체면의 가로세로 4 ㎜ 를 촬영하여 화상 메모리로 전개된 화상 데이터가 144×144 정도의 해상도, 명도 정보가 8 비트 (0 ∼ 255), 그리드 도트의 직경이 0.1 ㎜ 이상, 망점 인쇄 스크린선 수가 175 lpi 상당하고 망점 농도가 20 % 미만이면, λ1=60, N1=8,λ2=180, N2=12 의 값을 설정하면 된다. 이 값은, 인쇄 방법, 잉크의 종류, 도트 게인, 지질, 광학 판독 수단의 성능 등에 의해 상이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통상적인 그리드 도트 인쇄 매체에서는, 그리드 도트만이 인쇄되어 있거나, 그리드 도트의 인쇄와 망점 인쇄에 관해서 각각 상이한 주파수 특성 (광학 특성) 을 갖는 잉크를 사용하여, 그리드 도트만을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에는, 눈에 띄지 않도록 그리드 도트를 가능한 한 작게 하거나, 보이지 않는 잉크를 사용한다. 여기서, 인쇄시의 그리드 도트용 잉크의 비산이나 광학 판독 수단의 촬상 소자의 결락·파손 등의 노이즈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픽셀 수의 역치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화상 데이터가 144×144 정도의 해상도에서는, 당해 노이즈를 구성하는 픽셀 수는 1 ∼ 2 개 (판독한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큰 경우에는 증가한다) 로 아주 작아, 가능한 한 작게 인쇄한 그리드 도트를 판별하기 위한 역치도 작은 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그리드 도트 인쇄 매체와,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로 판별하는 인쇄 매체에서는, 상이한 픽셀 수의 역치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도 4(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그리드 도트 인쇄 매체용의 제 2 역치 산정식
[수학식 3]
Figure 112012046270781-pct00003
을 설정하여, 제 1 역치 산정식 T 또는 제 2 역치 산정식 T' 중 어느 것을 사용해서 그리드 도트를 판독하고 소정의 정보를 복호할 수 없으면, 타방의 역치 산정식을 사용하여 재차,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한다. 해석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그 후, 당해 역치 산정식을 계속해서 사용한다. 그 후, 또한 해석할 수 없으면, 타방의 역치 산정식을 사용하여 재차,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인쇄 매체면의 가로세로 4 ㎜ 를 촬영하여 화상 메모리로 전개된 화상 데이터가 144×144 정도의 해상도, 명도 정보가 8 비트 (0 ∼ 255), 그리드 도트의 직경이 0.1 ㎜ 이상, 망점 인쇄 스크린선 수가 175 lpi 상당이고 망점 농도가 20 % 미만이면, λ1=60, N 1=8,λ2=180, N 2=12,λ1'=80, N1'=2, λ2'=160, N2'=4 의 값을 설정하면 된다. 이 값은, 인쇄 방법, 잉크의 종류, 도트 게인, 지질, 광학 판독 수단의 성능 등에 의해 상이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5 는, 망점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리드 도트의 크기와의 관계에서, 망점의 크기를 결정한다. 그리드 도트는, 동 도 (a) 와 같은 직사각형 또는 (b) 와 같은 타원호이다. 또, 대부분은 정사각형 또는 원형이고 특히, 데이터 작성상의 편리성과 데이터 용량의 저감을 위해 정사각형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하여 원형의 망점은 동 도 (c), 정사각형의 망점은 동 도 (d) 와 같이 배치된다. 점선은, 동 도 (c) 에서 망점의 농도가 70 %, 동 도 (d) 에서 망점의 농도가 50 % 인 경우에 관해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망점의 농도를 70 % 또는 50 % 이상으로 하면, 망점끼리가 데이터 상에서도 접해 버린다. 그 결과, 망점을 구성하는 픽셀 수가 커져,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이 망점을 그리드 도트로 잘못 판정한다. 또한, 통상적인 오프셋이나 윤전기, 각종 프린터에서는, 망점 농도를 원형 망점에서 50 %, 정사각형 망점에서 40 % 로 해도, 동 도 (e) 와 같이 연결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극소의 점을 인쇄한 경우, 잉크가 주변에 침투하여 인쇄 영역이 팽창되는 도트 게인이나 잉크의 종류, 인쇄 방법, 지질 등의 요인에 의해, 망점의 연결이 생긴다. 도시하지 않지만, 원형 망점에서는 40 % 정도 미만, 정사각형 망점에서는 30 % 정도 미만으로 하면, 대략 연결하지 않고 인쇄할 수 있다. 단, 망점 농도를 30 ∼ 40 % 미만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약간, 먹색의 선명치 못한 화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인쇄 방법, 잉크의 종류, 도트 게인, 지질, 광학 판독 수단의 성능 등에 의해 인쇄 정밀도가 상이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서, 인쇄의 정밀도에 따라서는, 망점 농도를 30 ∼ 40 % 미만으로 억제해도 망점의 일부가 연결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결 부분의 명도는, 망점의 중앙부보다 밝기 때문에, 그 비교에 의해 연결을 분리할 수 있다. 또, 인쇄의 편차가 큰 경우, 망점 농도를 2 ∼ 30 % 정도 미만으로 하면, 망점의 연결을 완전히 없애고, 보다 정확하게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리드 도트를 소정의 크기로 한 경우의 최대 인쇄 망점 농도를 결정한다. 직사각형 및 타원호의 그리드 도트의 단변을 L 인치로 한다. 또한, 망점의 인쇄 스크린선 수를 D lpi 로 하면, 망점이 원형인 경우에는, 망점 농도가 X% 인 망점 1 개의 직경 R 인치는, 망점의 반경을 r 인치로 하면,
πr2/(1/D)=X/100 이고,
따라서
[수학식 4]
Figure 112012046270781-pct00004
가 된다.
여기서, L > R 이 되도록 인쇄하기 위해서는, 망점 농도 X 는,
X < 25πL2×D2
가 된다. 여기서, 그리드 도트의 형상은 대개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그리드의 정사각형의 변길이 L 과 원형의 망점의 직경 R 을 비교한 경우, 차이가 없어도 면적은 확실히 정사각형쪽이 크고, 약간의 인쇄의 편차가 있어도,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에는 차이가 생겨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에 그리드 도트의 형상이 원형이면, 망점 농도 X 를 π/4 만큼 저하시킬 필요가 있어,
X < 25π2L2×D2/4
가 된다.
또한, 망점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망점 농도가 X% 인 망점 1 개의 대각선 길이 K 인치는, 망점의 변길이를 k 인치로 하면,
k2/(1/D)=X/100
이고,
따라서
[수학식 5]
Figure 112012046270781-pct00005
가 된다.
여기서, L > K 가 되도록 인쇄하기 위해서는, 망점 농도 X 는,
X < 50L2×D2
가 된다.
여기서, 그리드 도트의 형상은 대개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그리드의 정사각형의 변길이 L 과 정사각형의 망점의 대각선길이 K 를 비교한 경우, 차이가 없어도 면적은 확실히 그리드의 정사각형쪽이 크고, 약간의 인쇄의 편차가 있더라도,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에는, 차이가 생겨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에 그리드 도트의 형상이 원형이면, 망점 농도 X 를 π/4 만큼 저하시킬 필요가 있어,
X < 50πL2×D2/4
가 된다.
이로써, 인쇄의 편차가 미소하면, 양자를 구성하는 픽셀 수에 의해 판별 가능해진다. 단, 인쇄의 편차가 많은 경우는, 인쇄 방법, 잉크의 종류, 도트 게인, 지질, 광학 판독 수단의 성능 등에 의해 인쇄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도 고려하여, 인쇄한 결과에 있어서 망점의 크기가 그리드 도트보다 반드시 작아지도록 망점의 크기를, 여유를 가지고 정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소정의 망점 농도를 10 % 정도 저감시켜 망점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망점의 인쇄 스크린선 수를 높이는 것에 의해, 같은 망점 농도라도 망점의 크기가 작아져, 보다 정확하게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도 6 은, 그리드 도트와 망점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판독 수단으로 촬영된 화상은, 화상 메모리 상에서, 비트맵 화상으로서 픽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동 도 (a) 는, 광학 판독 수단의 화상 메모리로 전개된 화상 데이터이다.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화상 데이터의 중앙의 일정한 영역 내의 픽셀을 일정수 추출한다. 이 일정수는,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와, 화상 데이터의 중앙의 일정한 영역 내의 픽셀 수와의 관계에 의해 정한다.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의 최대수의 4 배 이상의 픽셀 수로, 화상 데이터 중앙의 일정한 영역을 정하고, 그 1/4 이하의 픽셀 수를 일정수로 하면 된다. 또, 추출한 일정수의 중에 그리드 도트 및/또는 망점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이 산정 방법에 구애될 필요는 없다.
동 도 (b) 는, 추출한 영역의 확대도이다.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각 픽셀의 명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명도 측정 영역으로서, 명도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수 (예를 들어 10 개) 의 픽셀 B (1) ∼ B (10) 를 추출하여, 각 명도 측정 영역의 명도의 평균치
[수학식 6]
Figure 112012046270781-pct00006
를 구한다.
동 도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평균치로부터 산정되는
[수학식 7]
Figure 112012046270781-pct00007
를 역치로 하여, 역치 T 이상이면 망점, 역치 미만이면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한다.
또한, 역치를 구하는 경우,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라인마다, 각 라인의 중앙의 영역 (명도 측정 범위) 의 도트 (그리드 도트 및/또는 망점) 가 아닌 픽셀을 일정수 추출해도 된다. 비트맵 화상의 해상도가 m×n 인 경우, 제 1 계산 주사선으로부터 제 m 계산 주사선까지, 중앙 영역의 픽셀을 추출한다. 그리고, 각 라인에 관해서 추출한 픽셀의 명도의 평균치에 의해, 도 6 과 동일한 방법으로 역치를 구한다. 여기서는, 그리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의 최대폭의 4 배 이상의 픽셀 수로, 화상 데이터의 각 라인의 중앙의 영역 (폭) 을 정하여 명도 측정 범위로 하고, 그 1/4 이하의 픽셀 수를 일정수로 하면 된다. 또, 추출한 일정수 중에 그리드 도트 및/또는 망점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이 산정 방법에 구애될 필요는 없다.
스캐너의 경사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는 어둡게 촬상된 영역과 밝게 촬상된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라인마다 역치를 구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판별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의 중앙 영역의 그리드 도트 및/또는 망점이 존재하지 않는 픽셀의 명도의 평균치로부터, 분할 영역마다의 역치를 산정하여 검출하고 판별하면 된다. 또, 라인 상에서 그리드 도트 및/또는 망점을 검출하는 경우, 라인 상의 역치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들 역치가 라인 상에서 연속해서 변화하도록 보간하여 역치를 산정하고 검출하면, 더욱 그리드 도트의 판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 은, 그리드 도트 또는 망점이 인쇄되어 있는 영역과, 어느 쪽도 인쇄되어 있지 않은 영역 (백지 영역) 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화상 데이터의 라인마다, 명도를 산출한다.
동 도 (a) 는 화상 데이터의 구체예이다. 이와 같이, 픽셀에 의해 밝기가 상이하다. 동 도 (b) 는, 픽셀마다의 명도를 막대그래프 형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화상 해석 수단은, 수평 방향의 픽셀 중, 임의의 픽셀 i (제 1 픽셀) 과, i 에서 소정수 n 만큼 떨어진 픽셀 i+n (제 2 픽셀) 의 명도의 차분을 산출하여, 그 차분의 절대값을 구한다. 차분의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인 경우에, 명도가 작은 쪽의 픽셀을, 도트 (그리드 도트 및/또는 망점 중 어느 것) 라고 판정한다. 또, 임의의 픽셀 i (제 1 픽셀) 와, i 에서 소정수 떨어진 픽셀 i+n (제 2 픽셀) 의 명도의 차분의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 이하라도, 그 검출 전에 제 1 픽셀이 도트인 것이 판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당해 픽셀이 도트인 것이 유보되고, 제 2 픽셀도 도트라고 판정된다. 요컨대, 제 1 픽셀과 제 2 픽셀이 같은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인 경우이다. 또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당해 제 2 픽셀을 도트 후보로서 유보하고, 당해 픽셀을 제 1 픽셀로서, 제 2 픽셀과 비교하여, 명도의 차분의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이면, 제 1 픽셀이 도트라고 정식으로 판정하면 된다. 여기서, 재차 명도의 차분의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 이하였던 경우, 이 제 2 픽셀도 도트 후보로서 유보하여, 추가로 판정을 계속하면 된다. 판정을 계속하여 제 1 픽셀이 도트라고 정식으로 판정된 경우, 그때까지의 도트후보를 도트로서 정식으로 판정하면 된다. 픽셀의 명도의 절대값으로, 도트가 인쇄되어 있는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면, 광학 판독 수단을 기울인 경우, 어두운 부분이 발생하여, 모두 도트라고 판정되어 버린다. 또한, 인접하는 픽셀의 차분치에 의해 판정하면, 세밀한 노이즈 (전자적 명암이나 인쇄 환경에 의한 미소한 명암) 등을 인식하여, 도트를 정확히 판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 거리를 두고서의 차분치로 검출하면, 그 양자 사이의 명도에는 상당 정도의 차분이 생겨, 그리드 도트를 판별할 수 있다. 단, 일정 거리 n 은, 인접하는 도트 사이의 픽셀 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는, 스캐너 (광학 판독 수단) 의 구조에 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캐너에는, 매체면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사 수단인 IR-LED 와, 그 반사광의 가시광 장성분을 커트하는 가시광 차단 필터, 및 촬상 소자인 C-MOS 센서, 및 렌즈가 내장된 렌즈 홀더, 및 적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매체면에 조사하는 적외선을 확산시켜, 매체면에서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디퓨저를 구비하고 있다. 스캐너는, 매체에 조사한 조사광의 반사광을 촬영한다. 도트 패턴은 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잉크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C-MOS 센서에 의한 촬상 화상에서는, 그리드 도트의 부분만 검게 촬영되게 된다. 또, 가시광 차단 필터는, C-MOS 센서의 하부 또는 촬영구 부근에 있어도 된다.
스캐너를 이러한 구조로 하여,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에 의해서 그리드 도트를 판정함으로써,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그리드 도트와 망점에 사용한 경우, 적외선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잉크를 사용한 매체면에서의 반사광을 차단하여,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한 망점과 그리드 도트를 비교하는 것만으로, 그리드 도트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망점과 그리드 도트의 인쇄에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적외선 조사 수단인 IR-LED 와, 그 반사광의 가시광 장성분을 커트하는 가시광 차단 필터는 필요 없다.
도 10(a) 및 (b) 는, 본 발명에 관한 인쇄 매체의 촬상 화상의 확대도 (사진) 이다. 광학 판독 수단이 판독한 화상 메모리 상에는, 동 도 (a) 및 (b) 와 같은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화상은, 그리드 도트의 직경이 0.1 ㎜ 이상, 망점 인쇄 스크린선 수가 175 lpi 상당이고 망점 농도 20 % 의 조건으로 인쇄한 인쇄 매체면의 직경 4 ㎜ 영역을 촬영하여, 288×288 의 해상도로 화상 메모리에, 명도 정보가 8 비트 (0 ∼ 255) 인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되어 있다.
동 도 (a) 는, 인쇄 매체면에 광학 판독 수단을 수직으로 세워서 판독한 경우이고, 동 도 (b) 는, 광학 판독 수단을 40 도 정도 기울여 판독한 경우의 화상 데이터이다. 동 도 (b) 의 망점과 그리드 도트의 크기가 어느 것이나, 동 도 (a) 보다 분명히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c) 의 산정식을 사용함으로써, 동 도 (a) 의 일부의 망점의 크기와 동 도 (b) 의 일부의 그리드 도트의 크기에 차이가 없어도, 동 도 (a), (b)에서 상이한 역치를 사용함으로써, 망점과 그리드 도트가 판별 가능해진다.
<도트 패턴의 설명 스트림 도트>
다음으로, 도 11 ∼ 도 16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트 패턴의 일례인, 스트림 도트의 형성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스트림 도트란, 일본 특허출원 2009-165163호에 개시되어 있는 도트 패턴이다.
도 11, 도 12 는, 스트림 도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의 일례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도트 패턴은, 종래의 도트 패턴과는 달리, 먼저 공정 1 로서 매체 표면 상의 가시적인 정보에 대응하여, 정보를 입출력시키고자 하는 지점에 기준 도트 (1) 를 선상으로 연속하여 복수 개 배치한다.
도 11(a) 에서는 기준 도트 (1) 를 곡선상으로 배치하고 있지만, 기준 도트 (1) 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과 곡선을 번갈아 섞거나, 복수의 선분에 의해 구성되는 꺾은 선상으로 하는 등, 정보를 입출력시키는 영역에 맞춘 형상으로 도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또, 매체 표면 상에 가시적으로 형성된 실재선 상에 기준 도트 (1) 를 배치해도 되고, 실재선을 따라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기준 도트 (1) 를 배치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실재선이란 가상선에 대한 개념으로,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선, 파선, 점선, 직선이나 곡선 등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선이 형성되는 매체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나, 선을 구성하는 물질 (예를 들어 잉크) 의 여하를 상관하지 않는다. 또, 도트 패턴은, 인쇄나 디스플레이 표시, 나아가 금속이나 플라스틱 상에서의 구멍이나 홈 등의 요철이어도 된다.
또한, 기준 도트는 판독 정밀도 향상의 관점에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간격을 혼재시켜 도트 패턴의 일정 정보의 통합을 정의하거나, 일정 정보의 통합 내에서의 3 개의 상이한 기준 도트의 배치 간격에 의해 도트 패턴의 일정 정보의 통합과 도트 패턴의 방향의 양쪽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공정 2 로서, 선상으로 배치된 기준 도트 (1) 를 연결하는 제 1 가상 기준선 (2) 을 형성한다. 도 11(b) 에서는 제 1 가상 기준선 (2) 을 곡선에 의해 형성하고 있지만, 제 1 가상 기준선 (2) 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곡선상으로 배치된 기준 도트 (1) 에 대해 직선의 제 1 가상 기준선 (2) 을 형성해도 되고, 직선상으로 배치된 기준 도트 (1) 에 대해 곡선의 제 1 가상 기준선 (2) 을 형성해도 된다. 즉, 후술하는 공정 3 ∼ 공정 5 에 있어서의 제 2 가상 기준선 (3), 가상 기준점 (4), 정보 도트 (5) 를 어느 위치에 배치하는가에 의해서, 기준 도트를 연결하는, 직선, 꺾은 선 및/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가상 기준선 (2) 을 자유롭게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3 에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인 경우의 제 1 가상 기준선 (2) 은, 베지어 곡선에 따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먼저, 제 1 가상 기준선 (2) 상에 있는 기준 도트 (1) 를 P0, P3 으로 하고, P1, P2 를 주어진 제어점으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점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얻어지는 3 개의 선분·P0-P1, P1-P2, P2-P3·을 각각 1 대 1 의 비율로 분할하는 점 P4, P5, P6 을 구한다. 그리고, 이들 점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얻어지는 2 개의 선분·P4-P5, P5-P6·을 각각 1 대 1 의 비율로 분할하는 점 P7, P8 을 구한다.
마지막으로, 이 2 점을 연결한 선분·P7-P8·을 다시 1 대 1 의 비율로 분할하는 점 P9 를 구하여, 이 점이 베지어 곡선 상의 점이 된다.
이 순서를 반복해서 실시함으로써, P0, P1, P2, P3 을 제어점으로 하는 베지어 곡선이 얻어진다.
또, 베지어 곡선에 한정되지 않고, 스플라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스플라인 곡선, n 차 다항식, 타원호 등,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제 1 가상 기준선 (2) 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 2 가상 기준선 (3) 에 있어서도, 제 1 가상 기준선 (2) 과 동일하게 당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공정 3 으로서, 선상으로 배치된 기준 도트 (1) 및/또는 제 1 가상 기준선 (2) 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정의되는 제 2 가상 기준선 (3) 을 형성한다. 도 11(c) 에서는 제 2 가상 기준선 (3) 을, 서로 이웃하는 기준 도트 (1) 의 중간점에 있어서의 제 1 가상 기준선 (2) 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선 상의 소정 위치를 향하여, 서로 이웃하는 기준 도트 (1) 로부터 임의의 각도를 갖고 형성하고 있는데, 제 2 가상 기준선 (3) 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나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패턴에 의해 정보를 입출력시키고자 하는 영역에 맞춰 가상 기준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가상 기준선 (2) 에 대하여 편측에만 제 2 가상 기준선 (3) 을 형성하여 도트 패턴의 방향을 정의해도 되고, 정보량을 늘리기 위해 양측 각각에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공정 4 로서, 제 2 가상 기준선 (3) 상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가상 기준점 (4) 을 형성한다. 도 12(a) 에서는 가상 기준점 (4) 을, 제 2 가상 기준선 (3) 의 교점, 즉 서로 이웃하는 기준 도트 (1) 를 연결한 직선을 저변으로 하고, 제 2 가상 기준선 (3) 을 대변 (對邊) 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형성하고 있는데, 가상 기준점 (4) 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가상 기준선 (3) 의 중점 (中點) 에 형성하거나, 제 2 가상 기준선 (3) 상 대신에 기준 도트 (1) 상에 형성하는 등,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공정 5 로서, 가상 기준점 (4) 을 시점으로 하여 벡터에 의해 표현한 종점에 정보 도트 (5) 를 배치한다. 도 12(b) 에서는 정보 도트 (5) 를, 가상 기준점 (4) 으로부터의 벡터 방향을 8 방향, 가상 기준점 (4) 으로부터의 거리가 등거리가 되도록, 1 개의 가상 기준점 (4) 에 대하여 1 개 배치하고 있는데, 정보 도트 (5) 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상 기준점 (4) 상에 배치하거나, 벡터 방향을 16 방향으로 하여 배치하거나, 1 개의 가상 기준점 (4) 에 대하여 2 개 배치하는 등, 임의의 방향에 임의의 길이로, 복수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 는 도트 패턴의 정보 도트 및 그것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정보 도트 (5) 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인식시키는 도트이다. 이 정보 도트 (5) 는, 가상 기준점 (4) 을 시점으로 하여 벡터에 의해 표현한 종점에 배치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 정보 도트 (5)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가상 기준점 (4) 으로부터 0.1 ㎜ 떨어진 도트는, 벡터로 표현되는 방향과 길이를 갖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45 도씩 회전시켜 8 방향에 배치하여, 3 비트를 표현하고 있다.
또, 도시예에서는 8 방향으로 배치하여 3 비트를 표현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6 방향으로 배치하여 4 비트를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임의의 방향에 임의의 길이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2(b) 에서는 모든 가상 기준점 (4) 에 있어서, 이 가상 기준점 (4) 을 시점으로 하여 그 종점 위치에 정보 도트 (5) 를 배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상 기준점 상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로 정보를 정의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상 기준점 상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으면 「1」,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0」과 같이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도 15 는 정보 도트 및 거기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정보 도트 (5) 에 관해서 기준 도트 (1) 로부터 도출된 가상 기준점 (4) 으로부터 짧고 (도 15 의 상단)·긴 것 (도 15 의 하단) 의 2 종류를 사용하여, 벡터 방향을 8 방향으로 하면, 4 비트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긴 쪽이 인접하는 가상 기준점 (4) 사이의 거리의 25 ∼ 30% 정도, 짧은 쪽은 15 ∼ 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단, 길고·짧음의 정보 도트 (5) 의 중심 간격은, 이들 도트의 직경보다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도트 (3) 는, 그 외관을 고려하여, 1 도트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관을 무시하고 정보량을 많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1 벡터마다 1 비트를 할당하여 정보 도트 (3) 를 복수의 도트로 표현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심원 8 방향의 벡터에서는, 기준 도트 (4) 로부터 정의된 정보 도트 (3) 로 28 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어, 하나의 일정 정보의 통합의 정보 도트 8 개로 264 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스트림 도트 패턴은, 본 발명자가 제창하고 있는 종래의 도트 패턴에서는 2 차원적으로 격자상으로 형성되는 기준 도트와는 달리, 곡선을 포함하는 선상으로 연속해서 배치된 기준 도트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도 16 은, 스트림 도트 패턴을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상태의 일례에 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에서는, 기준 도트, 정보 도트 외에, 키 도트 및 사이드 도트를 배치하고 있다. 키 도트는, 일정 정보의 통합의 양단에 배치된 도트이다. 이 키 도트는, 1 통합의 정보 도트군을 나타내는 1 영역분의 도트 패턴 1 의 대표점이다. 사이드 도트는, 키 도트 (2) 가 이동된 플러스 마이너스 연장선 상에 배치된 도트이다.
동 도 (b) 는, 기준 도트 및 스트림 도트 패턴을 등간격으로 나란히 정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준점의 간격이 일정한 스트림 도트 패턴이 복수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XY 좌표값이 간극없이 정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된 스트림 도트 패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 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패턴끼리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기준 도트끼리의 간격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XY 좌표가 정의된 도트 패턴이 2 차원 코드로서 형성될 때 (인덱스로서 사용) 의 직사각형 영역의 형상에 제약받지 않고, 매체 표면 상에 가시적으로 형성된 정보 영역에 맞춘 자유로운 형상으로의 일정 정보의 통합의 반복에 의한 도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가상 기준선 및 가상 기준점은, 실제로 매체 표면 상에 인쇄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컴퓨터의 화상 메모리 상에, 도트 패턴의 배치시, 또는 도트 패턴의 판독시에 가상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 스트림 도트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지구본을 비롯한 곡면체나, 인체 모형, 입체 지도 등의 3 차원 조형물에도 도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평면 지도나 그림책 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관련된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모든 인쇄물에 이용할 수 있다.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광학 판독 수단이나 사용 잉크에 관계없이 그리드 도트만을 검출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동종의 잉크를 사용하여 그리드 도트와 망점을 인쇄한 경우라도, 그리드 도트만을 검출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모노크롬 인쇄 등 1 색에 의한 인쇄 매체라도 도트 패턴을 그래픽에 중첩 인쇄하여, 도트 패턴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비용을 억제한 인쇄가 가능해진다. 또한, 광학 판독 수단으로서,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web 카메라 등의 소비자 상품으로 촬상한 도트 패턴을 판별하여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기준 도트
2 … 제 1 가상 기준선
3 … 제 2 가상 기준선
4 … 가상 기준점
5 … 정보 도트

Claims (23)

  1.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소정의 정보로 복호할 수 있는, 그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 무늬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 데이터가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로서,
    그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인쇄 매체 상의 도트를 검출하여, 그 도트가 그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그 망점인지를, 그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판정되도록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된 각 도트의 밝기를 비교하고, 명도가 낮은 픽셀을 그리드 도트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2.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소정의 정보로 복호할 수 있는, 그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 무늬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 데이터가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로서,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인쇄 매체 상의 도트를 검출하고, 그 도트가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판정되도록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역치에 대하여 그 픽셀 수의 대소에 의해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 것을 판정할 때에,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클 때에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하고,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작을 때에 망점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인쇄되는 상기 망점은,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이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 망점끼리 연결되지 않고 개개의 도트로서 검출할 수 있도록, 그 망점이 소정의 망점 농도로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도트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호이고, 그들의 단변 방향의 길이를 L (인치), 망점의 인쇄 스크린선 수를 D (lpi) 로 하면,
    그 그리드 도트가 직사각형이고, 망점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25πL2×D2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직사각형이고, 그 망점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50L2×D2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타원호이고, 망점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25π2L2×D2/4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타원호이고, 그 망점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50πL2×D2/4 미만으로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7.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 무늬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 데이터가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를,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그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매체는, 상기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으로 소정의 방법으로 그 인쇄 매체 상의 도트를 검출하고, 그 도트가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으로 판정되도록 인쇄되어 있으며,
    그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각 도트의 명도를 비교하고, 명도가 낮은 픽셀을 그리드 도트로 판정함으로써, 그 도트가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 무늬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 데이터가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를,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그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그 인쇄 매체는, 상기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으로 소정의 방법으로 그 인쇄 매체 상의 도트를 검출하고, 그 도트가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으로 판정되도록 인쇄되어 있으며,
    그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역치에 대한 그 픽셀 수의 대소에 의해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할 때에,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작을 때에 망점이라고 판정하고,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클 때에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을 구비하여, 상기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도트를 제외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고, 그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그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를 구하여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상기 망점과 상기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기 위한 제 1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과, 적어도 망점을 제외하고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기 위한 제 2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을 구비하여, 어느 하나를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해서 상기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를 구하여 그리드 도트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는,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는,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고,
    상기 광학 판독 수단은,
    적어도 가시광을 차단하는 필터와, 적어도 그 소정의 파장 영역 내의 적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그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로 인쇄된 상기 인쇄 매체를 그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서로 이웃하여 인쇄되는 상기 망점끼리가 연결되지 않도록, 그 망점이 소정의 망점 농도로 인쇄되어 있는 인쇄 매체를 그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 망점끼리가 연결되지 않도록 개개의 도트로서 검출하여,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도트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호이고, 그들의 단변 방향의 길이를 L (인치), 망점의 인쇄 스크린선 수를 D (lpi) 로 하면,
    그 그리드 도트가 직사각형이고, 망점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25πL2×D2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직사각형이고, 그 망점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50L2×D2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타원호이고, 망점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25π2L2×D2/4 미만이고,
    그 그리드 도트가 타원호이고, 그 망점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소정의 망점 농도 X (%) 가 50πL2×D2/4 미만으로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가 소정의 역치 이하인 경우에 그 픽셀을 도트로서 검출하고, 그 도트가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각 행 전체 픽셀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하는 제 1 픽셀과, 소정의 픽셀 수만큼 떨어진 제 2 픽셀의 각각에 기록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여, 그 양 픽셀치의 차분의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인 경우에 그 픽셀치가 작은 것을 도트로서 검출하여, 그 도트가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하고, 그리드 도트인 경우에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역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도트를 제외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고, 그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역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각 행에 있어서, 각 행의 중앙의 소정 영역 내의 상기 도트를 제외한 명도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치를 검출하고, 그 픽셀치에 대응하는 역치 테이블 또는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각 행마다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9.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 무늬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 데이터가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를,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리드 도트에 의해서 구성된 도트 패턴을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그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그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기록된 각 도트의 명도를 비교하고, 명도가 낮은 픽셀을 그리드 도트로 판정함으로써, 그 도트가 도트 패턴을 구성하는 그리드 도트인지 망점인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0. 소정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그리드 도트가 배치된 도트 패턴과, 망점을 사용하여 인쇄되는 문자, 무늬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 데이터가 중첩 인쇄된 인쇄 매체를, 광학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리드 도트에 의해서 구성된 도트 패턴을 화상 해석 처리 수단에 의해 그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화상 해석 처리 수단은,
    픽셀로 형성되는 상기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된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를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역치에 대한 그 픽셀 수의 대소에 의해 상기 그리드 도트인지 상기 망점인지를 판정할 때에,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작을 때에 망점이라고 판정하고,
    그 도트를 구성하는 픽셀 수가 그 역치보다 클 때에 그리드 도트라고 판정하여 소정의 정보로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는,
    상기 그리드 도트와 상기 망점이 소정의 파장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되고,
    상기 광학 판독 수단은,
    적어도 가시광을 차단하는 필터와, 적어도 그 소정의 파장 영역 내의 적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2. 도트 패턴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선상으로 연속하여 복수의 기준 도트를 배치하는 공정과,
    그 복수의 기준 도트를 연결하는, 직선, 꺾은 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 1 가상 기준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기준 도트 및 그 제 1 가상 기준선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정의되는,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 이상의 제 2 가상 기준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제 2 가상 기준선 상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가상 기준점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가상 기준점을 시점으로 하여 벡터에 의해 표현한 종점에, 그 가상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에 의해 XY 좌표값 및 코드값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되는 정보 도트를 배치하는 공정에 따라서 배열한, 스트림 도트 패턴을 1 라인 또는 복수 나란히 정렬하여 형성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인쇄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도트는,
    제 2 가상 기준선을 정의하는 것과, 상기 도트 패턴의 방향과 1 개의 XY 좌표값 및 코드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서, 추가로 기준이 되는 기준 도트를 소정의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KR1020127015071A 2009-11-11 2010-11-10 인쇄 매체,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KR101819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8348 2009-11-11
JP2009258348 2009-11-11
JP2010158455A JP5604761B2 (ja) 2009-11-11 2010-07-13 印刷媒体、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JPJP-P-2010-158455 2010-07-13
PCT/JP2010/070026 WO2011059002A1 (ja) 2009-11-11 2010-11-10 印刷媒体、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356A KR20120091356A (ko) 2012-08-17
KR101819695B1 true KR101819695B1 (ko) 2018-02-28

Family

ID=4399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071A KR101819695B1 (ko) 2009-11-11 2010-11-10 인쇄 매체,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0887B2 (ko)
EP (1) EP2501121A4 (ko)
JP (1) JP5604761B2 (ko)
KR (1) KR101819695B1 (ko)
CN (1) CN102598648B (ko)
EA (1) EA201270624A1 (ko)
WO (1) WO2011059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9841B1 (ja) * 2007-08-09 2008-08-06 健治 吉田 情報入力補助シート、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入力補助シートを用いた印刷関連情報出力システム
CN102568020B (zh) * 2012-01-11 2014-02-19 广东壮丽彩印股份有限公司 一种叠印制版方法
CN103390146B (zh) * 2012-05-09 2017-02-15 天津阿波罗电子有限公司 一种可记录多比特信息的点阵模式的生成方法
CN102802006B (zh) * 2012-08-03 2014-08-06 梁智伟 数码照相机、层叠式相片印刷器和立体彩色图像制作系统
KR101836075B1 (ko) * 2013-12-27 2018-03-0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정보 입력 보조 시트
CN105564004B (zh) * 2015-12-24 2018-01-16 上海紫泉标签有限公司 多色网线叠印撞网模拟方法
CN105500894B (zh) * 2015-12-24 2018-02-23 上海紫泉标签有限公司 多色网线叠印撞网模拟工具
US9819828B2 (en) * 2016-03-15 2017-11-14 Xerox Corporation Non-printing dot halftone patterns
CN107835335B (zh) * 2017-10-24 2019-11-12 东莞当纳利印刷有限公司 一种图像印刷方法及终端
CN109572270B (zh) * 2018-12-06 2020-12-01 南京林业大学 一种微结构网点的半色调信息双重防伪方法
WO2020221684A1 (en) * 2019-04-30 2020-11-05 Agfa Nv Digital halftoning with spiral dots
WO2020221788A1 (en) * 2019-04-30 2020-11-05 Agfa Nv Raster image processor
US11611679B2 (en) * 2021-05-14 2023-03-21 Adobe Inc. Precise circular halfton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914A (ja) * 2008-04-25 2008-10-16 Kenji Yoshida 網点を用いた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8725B (en) 1986-11-05 1991-01-16 Alter Sa Use of a series of quaternary ammonium salts as phase-transfer catalysts
US5542031A (en) * 1993-04-30 1996-07-30 Douglass; Clay S. Halftone computer imager
US5715335A (en) * 1993-12-02 1998-02-03 U.S. Philips Corporation Noise reduction
US5691822A (en) * 1995-01-10 1997-11-25 Jones; Peter R. Rapid variable angle electronic halftone screening using unrotated threshold matrices
DE19722697A1 (de) * 1997-05-30 1998-12-03 Heidelberger Druckmasch Ag Verfahren zur digitalen Rasterung von Halbtonbildern mit Rastern beliebiger Rasterweiten und Rasterwinkel
US6044179A (en) * 1997-11-26 2000-03-28 Eastman Kodak Company Document image thresholding using foreground and background clustering
US6104812A (en) * 1998-01-12 2000-08-15 Juratrade, Limited Anti-counterfei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gital screening
JP2001016447A (ja) 1999-06-30 2001-01-19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301775B2 (ja) * 2002-07-18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2次元コード読み取り装置,2次元コード読み取り方法,2次元コード読み取り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US7967217B2 (en) 2002-09-26 2011-06-28 Kenji Yoshida Information reproduction/i/o method using dot pattern,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mobile information i/o device, and electronic toy
US7475824B2 (en) 2003-03-17 2009-01-13 Kenji Yoshida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CN101044026A (zh) 2004-10-15 2007-09-26 吉田健治 印刷形成点图形的媒体面的印刷结构、印刷方法及读取方法
EP1876552B1 (en) 2005-04-28 2012-10-31 YOSHIDA, Kenji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JP3771252B1 (ja) 2005-07-01 2006-04-26 健治 吉田 ドットパターン
KR100966087B1 (ko) 2005-08-03 2010-06-28 그리드 아이피 피티이 엘티디 정보 출력장치, 매체 및 정보 입출력 장치
CN101263445A (zh) 2005-08-03 2008-09-10 格瑞德网络传输私人有限公司 信息输出装置、媒体及信息输入/输出装置
JP3830956B1 (ja) 2005-09-14 2006-10-11 健治 吉田 情報出力装置
US8189237B2 (en) * 2006-12-19 2012-05-29 Xerox Corporation Distributing a SRE codes in halftone pixels pattern in supercell
JP4308311B2 (ja) 2007-10-30 2009-08-05 健治 吉田 コードパターン
JP4930538B2 (ja) 2009-04-09 2012-05-1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RU2568308C2 (ru) 2009-07-13 2015-11-20 Кенджи Йошида Потоковое точечное изображение,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токового точеч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ввода/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токового точеч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точечное изображени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914A (ja) * 2008-04-25 2008-10-16 Kenji Yoshida 網点を用いた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1121A4 (en) 2015-03-04
WO2011059002A1 (ja) 2011-05-19
US9160887B2 (en) 2015-10-13
EP2501121A1 (en) 2012-09-19
EA201270624A1 (ru) 2013-03-29
CN102598648B (zh) 2016-04-06
JP2011123867A (ja) 2011-06-23
CN102598648A (zh) 2012-07-18
US20120224229A1 (en) 2012-09-06
JP5604761B2 (ja) 2014-10-15
KR20120091356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695B1 (ko) 인쇄 매체,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KR101837016B1 (ko) 스트림 도트 패턴, 스트림 도트 패턴의 형성 방법, 스트림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및 도트 패턴
US9111161B2 (en) Four dimensional (4D) color barcode for high capacity data encoding and decoding
US7938330B2 (en) Methods and execution programs for reading and displaying a two-dimensional code
KR20010053109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기록한 매체
EP0953932A2 (en) Image status detecting apparatus and document image correcting apparatus
US20080056588A1 (en) Compressing and restoring method of image data
CN107563966A (zh) 一种二维码与图像融合方法及二维码
US2008001895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287362A (ja) 電子筆記具、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プログラム
EP129651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1417636B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osition determination
JP589873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印刷媒体
US9883064B2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ing direction of document to be read
JP505456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読取方法、画像形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JP5967000B2 (ja) 情報コード読取システム、情報コード読取装置、情報コード
JP2011022947A (ja) 図柄認識装置
JP455275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78116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6025803B2 (ja) 画像処理装置
JP436980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80041056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2011103023A (ja) 色彩配列コードの読み取り方法及び読み取り装置
CA2499286C (en) Compressing and restoring method of image data
JPH08202876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