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056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056A
KR20080041056A KR1020060109149A KR20060109149A KR20080041056A KR 20080041056 A KR20080041056 A KR 20080041056A KR 1020060109149 A KR1020060109149 A KR 1020060109149A KR 20060109149 A KR20060109149 A KR 20060109149A KR 20080041056 A KR20080041056 A KR 2008004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forming
pixel
data
pixe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은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056A/ko
Publication of KR2008004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5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conversion to intermediate or common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은,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특정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상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상기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및 상기 화상 데이터의 배경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배경에 색상을 갖는 원고의 배경색을 제거되어 문자 인식률이 향상되고, 더불어 배경색 제거로 인하여 토너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 검출 및 이진화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처리시의 주사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가진 화소가 오브젝트의 화소인지를 검사하기 위한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조작패널부 112 : 사용자입력부
114 : 디스플레이부 120 : 저장부
122 : ROM 124 : RAM
130 : 복수의 모듈부 132 : 프린터모듈
134 : 팩시밀리모듈 136 : 스캐너모듈
140 : 인터페이스부 150 : 제어부
151 : 배경화소 결정부 152 : 경계선 검출부
153 : 데이터 변환부 154 : 영역 판별부
155 : 마스킹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고의 배경색을 제거하여 오브젝트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스캐너,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이들의 기능을 모듈화한 복합기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스캐너는 스캐닝 대상인 원고의 화상을 읽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프린터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매체에 인쇄한다.
그러나 신문 또는 배경영역에 색상을 갖는 원고에 대해 스캐너로 스캐닝을 수행하고,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하면 배경영역의 색상을 인쇄매체에 그대로 인쇄된다. 즉, 배경영역이 회색인 신문을 스캐닝하고 인쇄하면, 배경색인 회색이 전체적으로 복사되어 문자에 대한 인식률을 저하시키고, 또한 토너의 손실을 초래한다.
한편, 원고의 배경영역의 색상을 제거하는 스캐너가 있으나, 특정레벨 이하 또는 이상을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화상 데이터에 임의의 값이 특정 레벨을 가질 경우 다른 값으로 대체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배경영역의 색상뿐만 아니라 텍스트, 그래픽, 사진 및 그림 등의 오브젝트에도 화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고의 배경색을 제거하여 오브젝트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특정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상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상기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배경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화소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전체 스캐닝된 원본 이미지의 화상에서 화소값의 레벨을 누적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경계선이 폐곡선(closed loop) 형태인지를 조사하여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4방향으로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하는 배경화소 결정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특정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을 검출하는 경계선 검출부와, 상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으로 변경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상기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영역 판별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배경영역을 마스킹하는 마스킹부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하나로 스캐너를 구비한 복합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컴퓨터 등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복합기(100)는 조작패널부(110), 저장부(120), 복수의 모듈부(130), 인터페이스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조작패널부(110)는 사용자가 복합기(100)에 적절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12) 및 디스플레이부(114)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2)는 복합기(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설정 및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며, 이들 기능키 조작에 따른 키 입력신호는 제어부(150)로 입력된다.
디스플레이부(114)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복합기(100)의 동작상태 및 기능을 표시하며, 일반적으로 LCD로 구현된다.
저장부(120)는 ROM(122) 및 RAM(124)를 포함한다. ROM(122)에는 복합기(100)에서 지원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124)에는 복수의 모듈부(130)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복수의 모듈부(130)는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프린터모듈(132), 팩시밀리모듈(134), 및 스캐너모듈(136)을 포함한다.
프린터모듈(132)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인쇄대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여기서, 인쇄대상 데이터는 스캐너모듈(136)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수신한 메일 데이터를 인쇄한다.
팩시밀리모듈(134)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외부 팩시밀리(미도시)로 전송할 팩스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외부 팩시밀리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팩스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의 팩스 데이터로 복조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스캐너모듈(136)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프리 스캐닝을 수행하여 화상데이터를 샘플링하거나 스캐닝 대상 문서를 스캐닝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스캐너모듈(136)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RAM(124)에 임시 저장되거나 프린터모듈(132)에 의해 인쇄된다.
인터페이스부(140)는 네트워크 서버(120)와 네트워크(110)를 통해 통신을 수 행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복합기(100)의 제어부(150)는, 배경화소 결정부(151), 경계선 검출부(152), 데이터 변환부(153), 영역 판별부(154) 및 마스킹부(155)를 포함한다.
배경화소 결정부(151)는, 스캐너모듈(136)에 의해 스캐닝되어 RAM(12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한다.
경계선 검출부(152)는, 화상 데이터에서 특정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데이터 변환부(153)는, 이 경계선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으로 변경한다.
영역 판별부(154)는, 화상 데이터에서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즉, 영역 판별부(154)는 경계선이 폐곡선(closed loop) 형태인지를 조사하여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며,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마스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킹부(155)는 화상 데이터의 배경영역을 마스킹한다. 즉, 프린터모듈(132)에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0 또는 1로 변경하여 인쇄매체에 인쇄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복합기(100)는 스캐너모듈(136)을 이용하여 신문 등의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는 A/D 컨버터(미도시)에 의해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사용한다. 제어부(320)의 동작에 의해, 화상 데이터는 RAM(124)에 저장된다(S302).
제어부(150)는 RAM(12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하고 이 화소값을 갖는 영역을 판별한다(S304). 배경영역의 화소값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다음 방법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스캐닝하는 원본 화상의 최외곽 영역의 화소값을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원본 문서는 최외곽 영역의 화소값이 배경영역의 화소값일 가능성이 아주 높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들의 최외곽 영역을 참조하여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스캔된 원본 화상의 화소값의 레벨을 누적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원본 문서에서 가장 많은 화소값이 배경영역의 색상일 가능성이 아주 높다. 또한, 이들 2가지 방법을 하이브리드하게 적용하여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결정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RAM(22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갖는 영역을 판별한다.
제어부(150)는 RAM(12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서 특정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이 경계선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으로 변경한 다(S306).
대부분의 오브젝트는 외곽선 즉, 경계선(edge)을 갖는 특정 형태이다. 이 경계선은 배경영역과 오브젝트를 구분할 수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성분이다. 이 경계선을 검출하는 오퍼레이터는 소벨(sobel) 오퍼레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경계선 검출 오퍼레이터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계선 검출에 대한 예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으며, 화상 데이터의 경계선 영역과 비경계선 영역을 표시한 예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경계선 검출이 완료되면, 경계선 영역과 비경계선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전체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을 갖는 화상 데이터로 변경한다. 즉, 경계선 영역으로 판명된 화소는 1로 비경계선 영역으로 판명된 화소는 0으로 표시한다. 경계선 영역과 비경계선 영역을 이진화한 화상 데이터의 예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한다(S308). 주어진 이미지의 크기가 W(넓이) X H(높이) 화소인 경우, 이 화상에서 특정 색상의 화소값을 가진 임의의 화소가 배경영역 내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총 4개의 방향으로 주사해가면서 계산한다.
총 4개의 방향으로 주사해 가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오브젝트의 외곽선은 폐곡선(closed loop)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4개의 방향으로 주사한 결과를 조합함으로써 외곽선이 폐곡선 형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4개의 방향으로 주사하는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4개의 방향을 각각 TBLR(Top → Botton & Left → Right), TBRL(Top → Botton & Right → Left), BTLR(Botton → Top & Left → Right) 및 BTRL(otton → Top & Right → Left)이라고 한다.
또한, 여기서 입력으로 사용된 화상 데이터는 경계선 검출이 끝난 후, 미리 정해진 문턱값으로 이진화된 데이터값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비트 데이터가 경계선인 경우의 값은 1이고, 경계선이 아닌 경우의 값은 0이 된다. 또한,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므로 판별을 위한 계산은 수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단계 302에서의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갖는 영역에서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가진 화소가 오브젝트의 화소인지를 검사하기 위한 마스크를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주어진 W X H 화소 크기의 이진 화상 데이터에서 임의의 2차원 위치의 화상 데이터를 ImgData(x,y)라 하고, 4 방향의 계산값을 각각 ImgData TBLR, ImgData TBRL, ImgData BTLR, ImgData BTRL이라고 할 때, 식 (1) 내지 (4)에 의해 계산되어진다.
ImgData TBLR = P1 X P3 X (P0 + P3) ...(1)
ImgData TBRL = P1 X P5 X (P2 + P5) ...(2)
ImgData BTLR = P7 X P3 X (P6 + P3) ...(3)
ImgData BTRL = P7 X P5 X (P8 + P5) ...(4)
그리고, 식 (5)에 의해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가진 화소가 오브젝트의 화소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ImgData'(x,y) = ImgData TBLR &ImgData TBRL & ImgData BTLR & ImgData BTRL ...(5)
즉, 오브젝트 내의 화소값인 경우 4방향의 계산값을 AND 연산자로 연산한 값이 모두 1로 표시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경에 색상을 갖는 원고의 배경색을 제거되어 문자 인식률이 향상되고, 더불어 배경색 제거로 인하여 토너를 절약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특정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상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상기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배경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전체 스캐닝된 원본 이미지의 화상에서 화소값의 레벨을 누적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경계선이 폐곡선(closed loop) 형태인지를 조사하여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4방향으로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영역의 화소값을 결정하는 배경화소 결정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특정 형태를 갖는 오브젝트의 경계선을 검출하는 경계션 검출부와;
    상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진값으로 변경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상기 화소값을 갖는 화소가 배경영역에 있는지 아니면 오브젝트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영역 판별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배경영역을 마스킹하는 마스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109149A 2006-11-06 2006-11-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20080041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49A KR20080041056A (ko) 2006-11-06 2006-11-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49A KR20080041056A (ko) 2006-11-06 2006-11-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56A true KR20080041056A (ko) 2008-05-09

Family

ID=3964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149A KR20080041056A (ko) 2006-11-06 2006-11-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0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085B1 (ko) * 2009-07-23 2013-02-05 (주)다인조형공사 2차원 문화유산 이미지 데이터의 경계선 검출을 토대로 한 개별 오브젝트 레이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9850A (ko) * 2014-10-28 2016-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분할 서비스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이미지분할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085B1 (ko) * 2009-07-23 2013-02-05 (주)다인조형공사 2차원 문화유산 이미지 데이터의 경계선 검출을 토대로 한 개별 오브젝트 레이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9850A (ko) * 2014-10-28 2016-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분할 서비스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이미지분할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83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ing difference in count of pixels in margin and image areas based on gradation value to determine if document is white paper
US20110134458A1 (en) Printed matter examination apparatus, printed matter examination method, and printed matter examination system
CN101873403A (zh) 控制装置、图像读取装置、图像形成装置、控制方法
JP518358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903759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0762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933831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etermining pixel value of a target area and converting the pixel value to a specified value of a target image data
JP450200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003606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0124069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26005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obtains a ruled line from a multi-value image
KR20080041056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200530374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97008B2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4167680B2 (ja) 原稿読取装置および原稿読取方法
JP201814719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8656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0467565B1 (ko) 화상 시스템의 국부 이치화 방법.
KR20140063378A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585497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046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4837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313258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97006B2 (ja) 欠陥画像検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1061473A (ja) 画像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