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552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552B1
KR101818552B1 KR1020160043101A KR20160043101A KR101818552B1 KR 101818552 B1 KR101818552 B1 KR 101818552B1 KR 1020160043101 A KR1020160043101 A KR 1020160043101A KR 20160043101 A KR20160043101 A KR 20160043101A KR 101818552 B1 KR101818552 B1 KR 101818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eader
handle
presen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664A (ko
Inventor
이팔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비
Priority to KR102016004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5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1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가 식모된 헤더가 치아 형태에 따라 상하좌우로 탄성이동하면서 치아와 브러시의 접촉 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보다 높이고, 또한 칫솔 사용자에 의해서 치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해서 칫솔질로 인한 치아의 마모와 치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한 바스테크닉 칫솔질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잇몸의 청결 및 치주 조직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칫솔질의 효과 극대화 및 구강위생에 보다 일조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 편의성도 극대화시킨 칫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손잡이(2) 선단부에 헤더(4)가 형성되고, 상기 헤더(4)에 브러시(3)가 식모되는 통상의 칫솔(1)에 있어서; 상기 헤더(4) 하부에 탄성부재(5)가 개입된 손잡이(2) 선단 상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브러시(brush)가 식모된 헤더가 치아 형태에 따라 상하좌우로 탄성이동하면서 치아와 브러시의 접촉 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보다 높이고, 또한 칫솔 사용자에 의해서 치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해서 칫솔질로 인한 치아의 마모와 치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한 바스테크닉 칫솔질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잇몸의 청결 및 치주 조직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칫솔질의 효과 극대화 및 구강위생에 보다 일조할 수 있고, 제작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칫솔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헤더에 합성수지재의 브러시가 일정 간격으로 식모되며, 브러시가 치아의 굴곡면에 따라 밀착성을 높여 칫솔질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길이가 서로 다르거나, 브러시의 직경을 굵고 가늘게 하는 칫솔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칫솔은 브러시가 평판형 헤더에 직립되게 식모가 이루어지므로 칫솔질을 행할 시에 치아의 형태에 따라 브러시가 변형되지 못하여 접촉 면적이 적어 마찰력도 저하되며, 그로 인해 칫솔질을 할 시에 치아 표면에 균일하게 브러시의 마찰력이 작용하지 못하여 칫솔질 효과가 반감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존 칫솔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국내 등록특허 10-0814127, 등록특허 10-1184334, 등록특허 10-1184337, 등록특허 10-1321571, 등록특허 10-1388967, 등록실용신안 20-0462621 등 기히 다수의 칫솔에 대해 특허 및 실용신안을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 등록받은 특허의 경우 그 부품 수가 많고 제작에 수작업 과정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 저하와 더불어 단가 앙등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단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KR 등록특허 10-0814127 KR 등록특허 10-1184334 KR 등록특허 10-1184337 KR 등록특허 10-1321571 KR 등록특허 10-1388967 KR 등록실용신안 20-0462621
본 발명의 칫솔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브러시가 치아 형태에 따라 상하좌우로 탄성이동하면서 치아와 브러시의 접촉 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보다 높여 칫솔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치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해서 칫솔질로 인한 치아의 마모와 치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한 바스테크닉 칫솔질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 효과 등을 득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은 손잡이 선단부에 헤더가 형성되고, 상기 헤더에 브러시가 식모되는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더(4) 하부에 탄성부재(5)가 개입된 손잡이(2) 선단 상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는 손잡이(2) 선단 상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6)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돌기(6)는 헤더(4)의 선단 하부 또는 중앙 하부에 형성된 끼움공(7)에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헤더(4) 하부에 탄성부재(5)와 함께 손잡이(2) 선단 상부를 일체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헤더(4)의 선단 하부에 탄성부재(5)가 선단에 형성된 손잡이(2)를 끼움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는 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재와 같은 상하좌우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칫솔은 헤더와 손잡이를 상하좌우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연결고정시켜 치아의 다양한 형태에 부합토록 탄성부재가 상하좌우로 탄성이동하면서 칫솔질을 행하도록 하여 치아와 브러시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칫솔질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칫솔 사용자에 의해서 치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해서 칫솔질로 인한 치아의 마모와 치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한 바스테크닉 칫솔질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잇몸의 청결 및 치주 조직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구강위생에도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형사출 등으로 손잡이 및 헤더와 탄성부재를 일체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성 향상, 원가절감 등의 효과도 동시에 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브러시가 식모된 헤더를 별도 성형하여 손잡이에 끼움고정할 수도 있어 브러시 마모, 손상시 헤더만 교환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칫솔(1)은 손잡이(2)와 브러시(3)가 식모되는 헤더(4)와의 연결 부위를 탄성부재(5)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손잡이(2) 상부에 헤더(4)를 탄성부재(5)를 개재시켜 연결하되, 상기 탄성부재(5)는 헤더(4)가 상하좌우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하여 제작토록 한다.
상기 손잡이(2)와 헤더(4)를 연결하는 탄성부재(5)는 상호 끼움결합형, 일체형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1)의 헤더(4) 부위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탄성부재(5)는 손잡이(2) 선단부(앞쪽의 끝부분을 지칭하는 것임.) 상측으로 끼움돌기(6)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기(6)가 끼움고정될 수 있는 끼움공(7)을 헤더(4)의 선단 하부에 형성하여 상호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되, 상기 끼움돌기(6) 외측으로 개략 링형의 탄성부재(5)를 결합한 것이다.
상기 끼움돌기(6)와 끼움공(7)은 그 절단면이 원형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절단면 형상은 원형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끼움돌기(6)의 단부에 언더컷(undercut) 등과 같은 걸림턱을 형성하여 끼움공(7) 내부에 형성된 걸림환홈 등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 임의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1)의 헤더(4) 부위를 발췌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5는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는 손잡이(2)의 선단부 상측으로 끼움돌기(6)를 형성하고, 헤더(4)의 중앙 하부에 끼움공(7)을 형성하여 상호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되, 끼움돌기(6) 외측으로 개략 링형의 탄성부재(5)를 결합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1)의 헤더(4) 부위를 발췌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구성도이다.
이는 손잡이(2)와 헤더(4)를 연결하는 탄성부재(5)를 상호 일체로 이형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는 경우로, 이때 탄성을 갖는 연질의 탄성부재(5)와 상대적으로 경질의 손잡이(2), 헤더(4)는 이형의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2)의 선단 상측부와 헤더(4)의 선단 하부에 탄성부재(5)를 일체로 성형 고정한 구성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1)의 헤더(4) 부위를 발췌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구성도이다.
이는 손잡이(2)와 헤더(4)를 연결하는 탄성부재(5)를 상호 일체로 이형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되, 손잡이(2)의 선단 상측부와 헤더(4)의 중앙 하부에 탄성부재(5)를 일체로 성형 고정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1)의 헤더(4) 부위를 발췌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는 손잡이(2)의 선단 상부가 탄성부재(5)와 일체로 형성되어 헤더(4)의 선단 하부에 끼움고정식으로 결합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는 손잡이(2)와 헤더(4)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손잡이(2) 선단에 일체 형성되는 탄성부재(5)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이형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탄성부재(5)는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 이외에도 나사식 조립 등의 방법이나 끼움결합 후 고정핀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손잡이(2)와 헤더(4)에 연결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칫솔(1)은 헤더(4)에 식모된 브러시(3)가 칫솔질을 할 시에 치아와 잇몸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2)를 통해 치아에 압력을 주어 근접시키면 오목한 부위는 브러시(3)가 진입하고, 돌출 부위는 브러시(3)가 탄성부재(5)의 탄성을 극복하고 탄성 반발되면서 연접되어 칫솔질이 수행되며, 이는 연속적인 칫솔질이 행해지게 될 경우 헤더(4)에 식모된 브러시(3)는 치아와 잇몸 형태 등에 따라 상하좌우로 탄성 이동하면서 마찰 표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효율적인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잇몸에 이상이 있는 치주질환 환자 등의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태나 치석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칫솔을 치아와 약 45도 정도의 각도로 진입시킨 후 좌우 진동을 수차례 부여한 후 상부로 닦아 올리는 일명 '바스 테크닉'으로 칫솔질을 행하고자 할 시에 본 발명의 칫솔(1)은 브러시(3)가 탄성 반발 상태로 헤더(4)의 탄성부재(5)에 탄력 반발되어 효과적인 양치질이 가능하여 치주질환 예방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칫솔 사용자에 의해서 치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해서 칫솔질로 인한 치아의 마모와 치주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2)와 헤더(4)가 연결되는 부분이 헤더(4)의 선단 하부일 경우와 중앙 하부일 경우에 따라서 헤더(4)의 상하좌우 탄성운동 폭은 달라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탄성운동 폭이 큰 것을 원할 경우에는 손잡이(2)가 헤더(4) 중앙 하부에 연결된 것을 사용하고, 후방으로 상하 탄성운동 폭이 큰 것을 원하는 소비자는 손잡이(2)가 헤더(4) 선단 하부에 연결된 것을 사용토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칫솔(1)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칫솔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칫솔 2: 손잡이 3: 브러시 4: 헤더 5: 탄성부재 6: 끼움돌기 7: 끼움공

Claims (5)

  1. 손잡이(2) 선단부에 브러시(3)가 식모된 헤더(4)가 형성되고, 상기 헤더(4)가 탄성부재(5)에 의해 상하좌우로 탄성운동이 가능토록 손잡이(2)와 연결되는 칫솔(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 선단 상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6)와,
    상기 끼움돌기(6)에 결합되는 링형 탄성부재(5)와,
    상기 끼움돌기(6)는 헤더(4)의 선단 하부에 형성된 끼움공(7)에 끼움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3101A 2016-04-08 2016-04-08 칫솔 KR101818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01A KR101818552B1 (ko) 2016-04-08 2016-04-08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01A KR101818552B1 (ko) 2016-04-08 2016-04-08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64A KR20170115664A (ko) 2017-10-18
KR101818552B1 true KR101818552B1 (ko) 2018-01-15

Family

ID=6029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101A KR101818552B1 (ko) 2016-04-08 2016-04-08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5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37A (ja) 2000-08-07 2002-02-19 Kyoritsu Seisakusho:Kk 歯ブラシ
JP2004113378A (ja) 2002-09-25 2004-04-15 Tsuchida Seisakusho:Kk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37A (ja) 2000-08-07 2002-02-19 Kyoritsu Seisakusho:Kk 歯ブラシ
JP2004113378A (ja) 2002-09-25 2004-04-15 Tsuchida Seisakusho:Kk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64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328B2 (en) Oral care implement
AU2010366256B2 (en) Oral care implement
JP5970540B2 (ja) 歯ブラシ
EP2720575B1 (en) Oral care instrument whose head is provided with two flexible wings
TWI531340B (zh) 口腔保健用具
EP2654495A1 (en) Oral care implement
KR101321571B1 (ko) 칫솔
CA2967289C (en) Oral care implement
JP4143982B2 (ja) 歯列を跨いで磨く歯ブラシ
KR101184337B1 (ko) 칫솔
US10433635B2 (en) Toothbrush
KR101818552B1 (ko) 칫솔
KR101697244B1 (ko) 칫솔
KR20160125325A (ko) 칫솔
JP2015532850A (ja) 歯ブラシ
KR20190048210A (ko) 탄력성 복수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200481054Y1 (ko) 좌,우측이 분절된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200368798Y1 (ko) 무동력구동치솔
KR200198352Y1 (ko) 칫솔
KR200349256Y1 (ko) 치 솔
KR20190080027A (ko) 좌, 우측이 분절된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200424427Y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칫솔
KR20110107972A (ko) 칫솔
KR20050034087A (ko)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