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087A - 치솔 - Google Patents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087A
KR20050034087A KR1020030069891A KR20030069891A KR20050034087A KR 20050034087 A KR20050034087 A KR 20050034087A KR 1020030069891 A KR1020030069891 A KR 1020030069891A KR 20030069891 A KR20030069891 A KR 20030069891A KR 20050034087 A KR20050034087 A KR 2005003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ead
tooth
brush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599B1 (ko
Inventor
이청원
심인섭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3006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치솔모가 심어지는 치솔의 헤드에 단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심어진 치솔모의 형태가 전체적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한 곡면을 가지도록한 치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치솔은 통상의 치솔 구조에 있어서, 치솔의 헤드(1)에 탄성 재질로되며 단면이 반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치솔모를 심는 치솔모 기저부를 이루는 일정두께의 탄성 부재(3)를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탄성 부재(3)에 일정한 길이의 통상의 치솔모(8)를 특정한 간격으로 심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치솔은 치솔모가 불규칙한 곡면을 갖는 치아에 닿을 때 힘을 받는 중앙 부분이 일정한 힘으로 치아에 닿으면 뒤로 밀리도록되어 완충효과를 나타내게되며, 또한 치솔모의 중앙 부분이 이와 같이 뒤로 밀려 치솔모의 단면이 치아의 곡면에 매치되게되어 외각부분의 치솔모도 치아에 접하게되는 결과를 가져와 종래의 치솔보다 많은 치솔모가 치아에 접하게 되므로 양치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뿐 아니라, 잇몸 맛사지 및 보호효과도 뛰어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치솔{Tooth-brush}
본 발명은 심어진 치솔모가 전체적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한 곡면형태를 갖는 치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통상의 치솔모가 심어지는 치솔의 헤드에 단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심어진 치솔모의 형태가 곡면을 가지도록한 치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각종 음식물을 치아로 저작하여 섭취하는데, 이렇게 음식물을 저작하는 과정에서 섭취된 음식물의 잔여 찌꺼기가 치아에 끼이거나, 점착성이 강한 움식물의 경우는 치아에 붙어 용이하게 제거되지 못함으로 인해 구취, 각종 플라그 등의 생성, 충치, 색소 침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구강에 해로운 조건이 형성되어 이를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안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구강 내의 위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래 전 부터 음식물의 잔존물과 구강 내 플라그 등을 제거하기 위해 이른바 치솔과 치약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치약은 통상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연마제로 이루어지며, 이를 물리적 세척도구인 치솔을 사용하여 구강 내 특히 치아에 점착되어 잔존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오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치솔은 인간이 충치 및 치주질환과 같은 세균성 질병을 억제하고 구강을 청결히 유지함으로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않게 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치솔은 그 주요 목적이 치아에 침적된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치솔모는 치아를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치아에 침적된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하며, 치솔모가 치아에 적당한 힘과 적절한 접촉면을 가지고 치아를 브러싱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각종 형태의 치솔모를 갖는 치솔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치솔은 그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단면을 갖는 치솔의 헤드(1)에 통상의 치솔모(8)가 적정한 간격으로 심어진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기본적인 치솔의 형태에 각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솔모의 종류를 개선, 변경하거나, 심어지는 치솔모의 형태를 약간 변형하는 정도의 개선이 고작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치솔을 사용할 때 치아에 닿는 치솔모의 면적은 대부분의 치솔에 있어 거의 같았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 치솔의 치솔모가 치아에 닿는 일정한 면적을 갖을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해결하여 보다 많은 면적의 치솔모가 치아에 닿아 양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치솔의 구조에 대해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치시 보다 많은 면적의 치솔모가 치아에 접할 수 있는 치솔모의 구조를 갖는 치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치아에 접하는 치솔모가 모든 치아면에 거의 일정한 힘으로 접하여 브러싱함으로서, 치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적정한 힘으로 양치가 가능하게 함으로 양치효과를 향상시킨 치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솔은;
통상의 치솔 구조에 있어서, 치솔의 헤드(1)에 탄성 재질로되며 단면이 반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치솔모를 심는 치솔모 기저부를 이루는 일정두께의 탄성 부재(3)를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탄성 부재(3)에 일정한 길이의 통상의 치솔모(8)를 특정한 간격으로 심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치솔은 치솔모가 심어진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나온 형상을 하게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치솔모는 치솔모 기저부를 형성하는 탄성 부재(3)의 중앙부에는 촘촘히 심어지고, 탄성 부재(3)의 외주부에는 치솔모 간의 간격이 상기 중앙부 보다 넓게 심어지는, 이른바 중앙 밀집형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치솔모 기저부를 형성하는 탄성 부재(3)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무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고무경도가 40 내지 60도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치솔은 치솔모가 심어지는 치솔모 기저부가 탄성고무 부재로, 중앙부가 상부로 볼록 튀어나온 타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따라서 그 내부, 즉 헤드(1)부의 상단면과 치솔모 기저부를 형성하는 탄성 부재(3)의 하부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불규칙한 곡면을 갖는 치아에 치솔모가 접하여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치솔모가 뒤로 힘을 받고 이 힘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가 공간 안으로 밀리게 되어 완충효과를 나타내게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을 사용하여 치아를 닦을 때, 상기 치솔모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나온 부분이 일정한 힘으로 치아에 접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일정한 힘 이상이 작용할 때 중앙부분의 치솔모가 뒤로 밀려 들어감으로 치아의 볼록한 곡면에 치솔의 단면이 매치되게 되어 치솔모의 외각부분도 치아에 닿게되는 결과를 가져와 종래의 치솔보다 많은 치솔모가 치아에 접하게되어 양치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뿐 아니라, 잇몸 맛사지 및 보호효과도 뛰어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치솔을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종래의 치솔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치솔모가 심어진 헤드를 치솔모측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솔은 치솔이 치아에 닿을 때 치솔모의 가운데 부분만이 접하며, 이 부분이 가장 많은 힘을 받게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치솔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치솔모가 심어진 헤드를 치솔모측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솔모(8)는 탄성 부재(3)에 심어져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치솔모(3)가 하반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탄성 부재(3)가 헤드(1)쪽으로 부분적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솔은 치솔이 치아에 닿을 때 치솔모의 가운데 부분은 앞으로 굴곡된 곡선형의 치아 구조에 따라, 치아에 접하게 되고 눌려지는 힘에 의해 안으로 만곡되어 들어가 치아의 곡선에 본 발명의 치솔모의 단면이 매치되게 된다. 따라서 외각 부분의 치솔모도 치아의 면에 접하여 보다 많은 부분의 치솔모가 치아에 닿으며, 또한 치아에 닿은 모든 치솔모가 균일한 힘을 받게 되어 치아를 상하게할 우려가 없으며 양치에 양호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치솔은 치솔모가 불규칙한 곡면을 갖는 치아에 닿을 때 힘을 받는 중앙 부분이 일정한 힘으로 치아에 닿으면 뒤로 밀리도록되어 완충효과를 나타내게되며, 또한 치솔모의 중앙 부분이 이와 같이 뒤로 밀려 치솔모의 단면이 치아의 곡면에 매치되게되어 외각부분의 치솔모도 치아에 접하게되는 결과를 가져와 종래의 치솔보다 많은 치솔모가 치아에 접하게 되므로 양치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뿐 아니라, 잇몸 맛사지 및 보호효과도 뛰어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치솔을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종래의 치솔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치솔모가 심어진 헤드를 치솔모측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치솔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치솔모가 심어진 헤드를 치솔모측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3b는 종래의 치솔 및 본 발명에 따른 치솔로 양치시 치아에 닿는 치솔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 3 : 탄성부재
8 : 치솔모

Claims (2)

  1. 통상의 치솔 구조에 있어서, 치솔의 헤드(1)에 탄성 재질로되며 단면이 반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치솔모를 심는 치솔모 기저부를 이루는 일정두께의 탄성 부재(3)를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탄성 부재(3)에 일정한 길이의 통상의 치솔모(8)를 특정한 간격으로 심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솔모는 치솔모 기저부를 형성하는 탄성 부재(3)의 중앙부에는 촘촘히 심어지고, 탄성 부재(3)의 외주부에는 치솔모 간의 간격이 상기 중앙부 보다 넓게 심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KR1020030069891A 2003-10-08 2003-10-08 치솔 KR10096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891A KR100968599B1 (ko) 2003-10-08 2003-10-08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891A KR100968599B1 (ko) 2003-10-08 2003-10-08 치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087A true KR20050034087A (ko) 2005-04-14
KR100968599B1 KR100968599B1 (ko) 2010-07-08

Family

ID=3723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891A KR100968599B1 (ko) 2003-10-08 2003-10-08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7023B (zh) * 2002-08-09 2012-07-04 高露洁-棕榄公司 柔性穹顶形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99B1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825B1 (ko) 칫솔
NO319235B1 (no) Tannborste
US6826797B1 (en) Oral devices
JPH01501448A (ja) 歯ブラシ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200455480Y1 (ko) 칫솔
KR101481532B1 (ko) U자형 칫솔
KR100968599B1 (ko) 치솔
JP3185736U (ja) 歯ブラシ
KR100592089B1 (ko) 칫솔헤드
US11122882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KR200308084Y1 (ko) 칫솔
KR200197161Y1 (ko) 칫솔
JP3143239U (ja) 歯ブラシ
EP3387947A1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CN202233752U (zh) 一种新型牙刷
KR200219014Y1 (ko) 칫솔
KR19990006098U (ko) 잇몸 마사지 겸용 칫솔
KR102107528B1 (ko) 교정용 칫솔
KR200198352Y1 (ko) 칫솔
JPH0919323A (ja) 歯ブラシ
AU1975897A (en) Toothbrush
KR20220010821A (ko) 칫솔
KR200225383Y1 (ko) 이중칫솔
KR200171271Y1 (ko) 칫솔용 본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