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544B1 -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544B1
KR101818544B1 KR1020160184074A KR20160184074A KR101818544B1 KR 101818544 B1 KR101818544 B1 KR 101818544B1 KR 1020160184074 A KR1020160184074 A KR 1020160184074A KR 20160184074 A KR20160184074 A KR 20160184074A KR 101818544 B1 KR101818544 B1 KR 10181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
content
trigger
interactive content
inte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
송재원
Original Assignee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44B1/ko
Priority to JP2017162259A priority patent/JP635973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1Content authoring involving branching, e.g. to different story end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리뷰어(reviewer)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코멘트를 쉽게 부가하는 방법과,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자 그 코멘트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코멘트 시나리오를 재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을 받는 단계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트리거들 중,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 직전에 발생된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상기 코멘트를 매칭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METHOD FOR COMMENTING ON THE INTERACTIVE CONTENTS AND REENACTING THE COMMENTING SCENARIO}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리뷰어(reviewer)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코멘트를 쉽게 부가하는 방법과,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자 그 코멘트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코멘트 시나리오를 재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보는 사람의 입력에 따라 다른 스토리 라인이 전개 될 수 있는 점에서 일반 컨텐츠와 구별된다. 컨텐츠에 대하여 리뷰어가 코멘트를 부가해야 하는 상황에서, 일반 컨텐츠는 타임 라인 상의 특정 시점에 대하여 코멘트를 부가하는 것 만으로 코멘트 대상이 특정된다. 반면에,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타임 라인 상의 특정 시점을 지정하여 코멘트를 부가하더라도 코멘트 대상이 명확하게 특정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53795호 한국등록특허 10-1653797호 한국등록특허 10-1640377호 한국등록특허 10-159494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택적인 트리거 발생에 따라 다양한 스토리 시나리오를 가지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리뷰어가 쉽게 코멘트를 부가할 수 있는 방법,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리뷰어가 부가한 코멘트의 의미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자 등이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 저작 장치로부터 컨텐츠 재생 장치로의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내보내기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코멘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코멘트 정보 및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연동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을 받는 단계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트리거들 중,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 직전에 발생된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상기 코멘트를 매칭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된 때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트리거, 상기 트리거에 대한 리스폰스 및, 상기 리스폰스의 대상인 객체로 구성되는 인터랙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상황에서 복수개의 상기 트리거가 발생 가능하도록 정의된 분기형 시나리오 타입의 컨텐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GUI 기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터랙션 프로토타입(prototyp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연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로부터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내보내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서버이다. 이 때,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의 리스폰스들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되,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는,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의 리스폰스들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재연하기 위한 UI를 포함하며,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의 재연에 따라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하여 코멘트 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와 관련된 후보 객체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에 상기 터치 포인트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객체를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의 투명도를 기준으로 선정된 객체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에 다른 객체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은 부분이 일부라도 존재하는 객체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인, 제1 단계와,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되,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 이전에 발생된 기 지정된 개수만큼의 트리거들의 집합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코멘트의 입력을 위한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터치 포인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서버는, 프로세서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복수의 오퍼레이션을 상기 스토리지에서 로드하는 메모리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내보내기 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션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인, 오퍼레이션과,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의 리스폰스들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되,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오퍼레이션과,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랙션으로 구성된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예시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분기형 시나리오가 구성 되고, 특정 리스폰스가 재생 되고 있는 도중에 코멘트가 입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공 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 재생 및 코멘트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도 2를 통하여 설명된 코멘트 입력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되는 코멘트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된 코멘트 입력 시, 그에 따라 코멘트 시나리오가 구성된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되는 컨텐츠 저작 장치의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로서, 도 4를 통하여 설명된 코멘트 시나리오가 재연 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터랙티브 컨텐츠 저작툴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저작툴에서 보여지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코멘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코멘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의 제1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의 제2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의 제3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서버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의미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보는 사람의 입력에 따라 다른 스토리 라인이 전개 될 수 있는 점에서 일반 컨텐츠와 구별된다. 일반 컨텐츠는 보는 사람과의 인터랙션이 없어서, 무조건 하나의 리니어한 스토리 라인만 전개되나,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보는 사람의 사용자 입력 또는 재생 시점의 주변 상황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발생되는 트리거로 인하여 스토리 분기가 이뤄지게 되므로, 다양한 스토리 라인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포함하는 컨텐츠이다.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인터랙션의 데이터 이외에 다양한 메타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랙션의 데이터 이외에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텐츠라고 하여 본 명세서의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터랙션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어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정의하는 데이터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입력은 트리거(trigger)로 지칭된다. 상기 트리거는, 예를 들어,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거나,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장치에 구비된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근접 센서, 지자기 센서 등)를 통하여 센싱 된 측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된 트리거 이벤트이거나,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장치의 측위 장치에 의하여 측정 된 측위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된 트리거 이벤트이거나,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특정 데이터가 수신된 것을 가리키는 트리거 이벤트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는, 특정 객체 또는 특정 객체 세트에 대하여 발생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식별 될 수 있다. 상기 특정 객체 세트는 하나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인접한 객체들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1은 객체#1의 탭(터치)을 가리킬 수 있고, 트리거#2는 객체#2의 탭을 가리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트리거의 발생에 대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반응은 리스폰스(response)로 지칭된다. 상기 리스폰스는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하여 재생 된다. 상기 객체를 리스폰스 대상 객체라고 지칭한다. 상기 객체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구성하는 시각적인(visual) 구성요소이다.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객체가 멀티-레이어 방식으로 오버레이 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포함한다. 상기 멀티-레이어를 위하여 각각의 객체에는 우선 순위가 부여 될 수 있다. 즉, 표시 영역이 겹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객체가 우선 순위가 낮은 객체를 가리게 된다.
도 1에는 총 8개의 인터랙션(인터랙션#1~#8)으로 구성된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트리거가 'T', 리스폰스가 'R', 객체가 'O'로 표기 되어 있다. 인터랙션#1은 T#1 트리거가 발생되는 경우, 객체 O#1에 대하여 R#1의 리스폰스가 재생 되는 것을 가리킨다. 인터랙션#2는 T#2 트리거가 발생되는 경우, 객체 O#1에 대하여 R#2, R#3의 리스폰스가 재생 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인터랙션#6은 T#6 트리거가 발생되는 경우, 객체 O#5에 대하여 R#1, 객체 O#4에 대하여 R#5의 리스폰스가 각각 재생 되는 것을 가리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예시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분기형 시나리오가 구성 되고, 특정 리스폰스가 재생 되고 있는 도중에 코멘트가 입력되는 것이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적어도 일부 상황에서 복수개의 상기 트리거가 발생 가능하도록 정의된 분기형 시나리오 타입의 컨텐츠이다. 상기 '상황'은 트리거의 발생이 가능한 시점을 의미한다. 상기 상황은 리스폰스의 재생이 마무리된 이후의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리스폰스의 재생 도중이라도 트리거의 발생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인터랙션#1 이후에 인터랙션#2, 인터랙션#3 또는 인터랙션#4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인터랙션#2 이후에 인터랙션#5 또는 인터랙션#6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인터랙션#6 이후에 인터랙션#7 또는 인터랙션#8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정의된 것이므로, 분기형 시나리오 타입의 컨텐츠이다.
본 명세서의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예를 들어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터랙션 프로토타입(prototype)일 수 있다.
이하, 인터랙션#1 이후 트리거#2(T#2)가 발생되어 인터랙션#2가 재생되고, 다음으로 트리거#6(T#6)이 발생되어 인터랙션#6이 재생되고, 다음으로 트리거#8이 발생되어 인터랙션#8이 재생되는 도중에 리뷰어(reviewer)가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코멘트 처리 방법 및 그 코멘트의 재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랙션#8은 트리거#8이 발생되는 경우, 리스폰스#5 및 리스폰스#6이 발생되는 것이고, 리스폰스#5의 대상 객체는 객체#2, 객체#5 및 객체#6이고, 리스폰스#6의 대상 객체는 객체#3인 것으로 가정한다.
분기형 시나리오 타입의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코멘트를 입력 받는 경우, 그 대상이 무엇인지 확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 직전에 발생된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상기 코멘트를 매칭시킨다.
그 결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되고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의 일련의 트리거들을 연결한 코멘트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 포함된 각 트리거들의 리스폰스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뷰어가 코멘트를 기재한 대상 시나리오를 정확하게 재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또한 코멘트 입력 시점 및 그 시점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하여 리뷰어의 별도 지적 없이도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 및 그 대상 객체까지도 예측하여 코멘트를 확인하는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는 예시적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20)에 표시되는 코멘트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도 3의 화면은 인터랙션#8이 재생 중인 것을 도시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랙션#8은 트리거#8(예를 들어, 화면에 대한 터치)이 발생되는 경우, 리스폰스#5(예를 들어, 아래로 이동하는 동작) 및 리스폰스#6(예를 들어,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하는 동작)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리스폰스#5의 대상 객체는 객체#2(1), 객체#5(9) 및 객체#6(8)이다. 또한, 리스폰스#6의 대상 객체는 객체#3(5)이다.
컨텐츠 재생 장치(20)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해석 및 재생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와치와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다.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하여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자에 수정을 요청하고자 하는 리뷰어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조작하는 도중 코멘트 버튼(4)을 누르는 것으로, 코멘트 입력 시점을 지정할 수 있다. 코멘트 버튼(4)이 눌리면, 모든 리스폰스가 일시 정지 되면서 코멘트 대상 터치 포인트의 지적이 용이해진다. 리뷰어는 모든 리스폰스가 일시 정지 되어 화면 상의 모든 객체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코멘트 대상 지점을 터치하면 된다. 화면상의 특정 지점이 터치 되면, 그 지점을 기준으로 코멘트를 입력하기 위한 UI(3)가 표시 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20)는 코멘트를 입력하기 위한 UI(3)를 통하여 코멘트가 입력되면, 코멘트 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는, 코멘트 입력 버튼(4)이 눌리기 전에 발생한 가장 최근의 트리거이다.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이다. 상기 트리거 로그를 구성하기 위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20)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될 때부터 트리거 발생을 트래킹(tracking)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후 처음 발생한 트리거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까지 모든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코멘트가 입력될 때까지의 상황을 가장 정확하게 재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후 처음 발생한 트리거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까지 모든 트리거를 포함하지는 않고,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 이전에 발생된 기 지정된 개수(예를 들어 5개) 만큼의 트리거들의 집합일 수도 있다.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오랫동안 조작하다가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 발생시까지의 모든 트리거를 재연하는 것은 데이터 사이즈 측면이나, 코멘트를 확인하기 위하여 걸리는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하기 이전 상황을 적절한 수준으로만 파악할 수 있다면 리뷰어의 의도를 파악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코멘트 정보의 데이터 사이즈를 축소시켜 코멘트 처리와 관련하여 빠른 처리 속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결정되는 기준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추가적으로,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 및 코멘트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도 코멘트를 확인하는 사용자에게 제공 되는 것이 코멘트 내용의 정확한 전달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모든 리스폰스들일 수 있다.
재생 중이지 않은 리스폰스에 대하여 코멘트가 입력될 가능성이 높지 않으므로, 다른 실시예에서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모든 리스폰스들 중, 코멘트 버튼(4)을 누르는 시점에 재생 중인 리스폰스로 한정될 수도 있다.
또한, 코멘트 대상 객체는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2)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멘트 대상 트리거와 관련된 후보 객체들 중, 코멘트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에 상기 터치 포인트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객체가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모든 리스폰스의 객체들을 포함한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모든 리스폰스들 중, 코멘트 버튼(4)을 누르는 시점에 재생 중인 리스폰스들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의 투명도를 기준으로 선정된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총 4개의 객체(1, 5, 8, 9) 중에서 객체 O#6(8)은 현재 완전히 투명한 상태로 속성 값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보이지 않는 객체를 대상으로 코멘트가 입력될 가능성이 높지 않으므로, 상기 후보 객체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에 투명한 객체는 상기 후보 객체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 중, 코멘트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에 다른 객체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은 부분이 일부라도 존재하는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객체 O#5(9)는 우선 순위가 객체 O#2(1)보다 낮고 코멘트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도 3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코멘트 버튼(4)이 눌린 시점)에 모든 영역이 객체 O#2(1)에 의하여 가려져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객체 O#5(9)는 상기 후보 객체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하면, 도 3에 도시된 상황의 경우,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는 코멘트 입력 버튼(4)이 눌렸을 때 재생 되고 있던 리스폰스#5와 리스폰스#6으로 일단 결정된다. 따라서, 코멘트 대상 객체는 리스폰스#5의 객체인 O#2(1), O#5(9) 및 O#6(8)과, 리스폰스#6의 객체인 O#3(5) 중에서 결정된다. 그런데, 투명한 객체인 O#6(8)과 다른 객체에 의하여 모두 가려진 상태인 O#5(9)는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에서 제외된다. 그렇다면, 남은 객체인 O#2(1)과 O#3(5) 중에서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2)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O#2(1)이 코멘트 대상 객체로 지정된다. 그리고, 다시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는 코멘트 대상 객체의 리스폰스인 리스폰스#5로 다시 조정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 및 코멘트 대상 객체의 터치 포인트 기반 결정 동작은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의하여 수행 되거나,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연동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제공 받은 컨텐츠 저작 장치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멘트 버튼(4) 대신, 코멘트 입력을 위하여 사전 정의된 터치 입력이 코멘트 입력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사전 정의된 터치 입력은, 예를 들어 더블 터치(짧은 시간 내에 동일 터치 포인트에 두 번의 터치를 하는 것)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전 정의된 터치 입력은 코멘트 대상 터치 포인트에 입력되어야 한다. 상기 사전 정의된 터치 입력이 감지 된 경우, 상기 코멘트 대상 터치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여 코멘트 입력을 위한 UI(3)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번의 터치 입력 만으로 바로 코멘트 컨텐츠를 입력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되는 코멘트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된 코멘트 입력 시, 그에 따라 코멘트 시나리오가 구성된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인터랙션#1, 인터랙션#2, 인터랙션#6 및 인터랙션#8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리스폰스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할 때, 리스폰스의 재생 타임 라인 상 특정 트리거의 경우, 복수의 리스폰스 사이에 일부 중복되어 재생 되는 경우에는, 그 중복되어 재생 되는 것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되는 컨텐츠 저작 장치의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예시도로서, 도 4를 통하여 설명된 코멘트 시나리오가 재연 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재연 패널(130), 트리거/리스폰스 표시 패널(110), 객체 표시 패널(120), 슬라이더 바 영역(140) 및 현재 재연 중인 타임 라인의 리스폰스 및 그 리스폰스의 원인이 된 트리거가 업데이트되는 트리거/리스폰스 스트리밍 영역(150)을 포함할 수 있다.
리뷰어에 의하여 작성된 코멘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디자이너)는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코멘트 상황을 재연할 수 있다. 상기 재연은 타임 라인을 표시하는 슬라이더 버튼(7)을 통하여 코멘트 시나리오의 타임 라인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재연 중 코멘트 입력 시점이 되면, 코멘트의 내용(3)이 표시되며,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2)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재연 중, 코멘트 확인 사용자의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현재 재생 중인 시점의 트리거 및 그 리스폰스들이 트리거/리스폰스 표시 패널(110)에 업데이트 되며, 현재 재생 중인 시점에 재연 패널(130)에 등장하는 객체들이 객체 표시 패널(120)에 업데이트 된다.
일 실시예에서, 코멘트 입력 시점 이전의 상황 뿐만 아니라, 이후의 상황도 표시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코멘트 정보에는 코멘트 대상 트리거 이후의 기 지정된 개수의 트리거들 및 그 리스폰스들에 대한 정보도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가 열리는 경우, 디폴트로 코멘트 입력 시점(7a)이 현재 타임 라인으로 세팅될 수 있다. 코멘트를 확인하는 사용자는, 코멘트 입력 시점만 보고도 코멘트의 내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코멘트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의 식별 정보 및 코멘트 대상 객체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멘트 확인 사용자의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 코멘트 대상 객체임을 가리키는 표시(6)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멘트 대상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툴(200)과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가 연동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와 인터랙티브 컨텐츠 저작툴(200)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저작툴에서 보여지는 화면의 예시이다. 코멘트 대상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툴(200)과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가 연동되는 경우, 코멘트 확인 사용자의 인터페이스(100)에서 현재 재생 중인 타임 라인의 재연 화면(130)에 표시되는 객체, 트리거 및 오브젝트에 대한 인디케이터(210)가 코멘트 대상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툴(2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재생에 따라 재연 화면(130)에 표시되는 객체, 트리거 및 오브젝트가 업데이트 되면, 인디케이터(210, 220)도 함께 업데이트 된 객체, 트리거 및 오브젝트를 가리키도록 리프레시 된다. 예를 들어, 도 5b는 제1 재생 시점의 인디케이터(210)를 표시하고, 도 5c는 제1 재생 시점 이후의 재생 시점이자, 코멘트 입력 시점인 제2 재생 시점의 인디케이터(210) 및 코멘트 대상임을 가리키는 표시(22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코멘트 대상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툴(200) 내부에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가 구현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코멘트 대상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툴(200)과 코멘트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가 연동되는 경우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코멘트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 코멘트 시스템은 연동 서버(30), 컨텐츠 저작 장치(10) 및 컨텐츠 재생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20)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을 받고,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트리거들 중,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 직전에 발생된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상기 코멘트를 매칭시키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코멘트 정보를 연동 서버(30)에 송신한다. 이 때,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된 때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이다.
연동 서버(30)는, 컨텐츠 재생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멘트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2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코멘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연동 서버(30)는,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10)에 송신한다.
컨텐츠 저작 장치(10)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저작 툴이 설치된 것이다. 컨텐츠 저장 장치(10)를 연동 서버(30)를 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 장치(20)에 내보내기(export) 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로 연동 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작 장치(1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코멘트 시스템은 연동 서버(30)를 거치지 않고, 컨텐츠 저작 장치(10)와 컨텐츠 재생 장치(20)가 직접 연결 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저작 장치(10)와 컨텐츠 재생 장치(20)는 블루투스, Wi-Fi 등의 근거리 통신망(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하여 연결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멘트 시나리오의 생성이 컨텐츠 저작 장치(10)에서 수행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멘트 시나리오의 생성이 컨텐츠 재생 장치(20)에서 수행 될 수 도 있다. 본 실시예는, 컨텐츠 재생 장치(20)가 코멘트 시나리오 내보내기(export)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내보내기 이후의 코멘트 시나리오 파일은, 코멘트 컨텐츠, 코멘트 터치 포인트,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식별 정보,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의 식별 정보, 코멘트 대상 객체의 식별 정보 및 코멘트 입력 이전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 이전의 일련의 트리거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보내기 이후의 코멘트 시나리오 파일은, 코멘트 대상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더해진(add-on)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보내기 이후의 코멘트 시나리오 파일은, 전자 메일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저작자에 전달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을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멘트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순서도는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고, 도 8의 순서도는 상기 컨텐츠 재생 단말과, 컨텐츠 저작 단말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연동 서버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으며, 도 9의 순서도는 상기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코멘트를 입력 받는 장치와 코멘트를 재연하는 장치가 반드시 분리되는 상황을 전제하지는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서, 코멘트를 입력 받는 장치와 코멘트를 재연하는 장치가 동일한 장치일 수도 있다. 즉, 도 7 내지 도 9의 순서도에 도시된 동작은 모두 동일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가 GUI 프로토타입이라면, 프로토타입 디자이너는 프로토타입 디자인 초안 완성 후, 그 초안을 내보내기 하여 동일한 장치에서 테스트 해본 후, 테스트 과정에서 코멘트를 남기고, 추후 코멘트의 재연 또한 동일한 장치에서 수행하면서, 프로토타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장치와 컨텐츠 저작 장치가 직접 연결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7의 순서도에 도시된 동작은 컨텐츠 재생 장치가 수행하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동작은 컨텐츠 저작 장치가 수행할 수 있다. 또, 도 7 및 도 8의 순서도에 도시된 동작은 컨텐츠 재생 장치가 수행하고, 도 9에 도시된 동작은 컨텐츠 저작 장치가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을 설명한다. 중복된 설명으로 인한 이해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미 설명된 관련 동작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또는 조작)이 시작된 후(S100),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서 발생된 트리거의 트래킹이 시작된다(S101). 트리거의 트래킹은, 발생된 트리거를 기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멘트 입력 버튼의 터치 또는 코멘트 입력을 위한 입력으로 정의된 터치 입력에 의하여 코멘트의 입력이 활성화 되면(S102),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S104). 코멘트 입력 버튼의 터치에 의하여 코멘트 입력이 활성화 되었을 뿐, 아직 코멘트 터치 포인트가 지정되지 않았다면, 상기 터치 포인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는다(S106). 그리고, 코멘트 컨텐츠를 입력 받는다(S108). 상기 코멘트 컨텐츠는 텍스트 또는 보이스(voice)일 수 있다.
상기 코멘트 컨텐츠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지금까지 발생되어 트래킹 된 트리거 정보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발생된 트리거를 확인하고, 가장 마지막으로 발생된 트리거를 코멘트 대상 트리거로 결정한다(S112). 다음으로 코멘트 정보를 패키징(구성)한다(S116). 상기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 컨텐츠, 코멘트 터치 포인트,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식별 정보, 코멘트 대상 리스폰스의 식별 정보, 코멘트 대상 객체의 식별 정보 및 트리거 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로그는, 코멘트 입력 이전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 이전의 일련의 트리거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되었을 때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까지 발생된 일련의 모든 트리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로부터 기 지정 된 개수만큼의 이전 트리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코멘트는 여러 번 입력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코멘트가 완료 되었음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이 있지 않으면(S118),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을 다시 시작한다(S120). 그리고, 코멘트가 완료 되었음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코멘트들의 코멘트 정보를 송신한다(S124).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장치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코멘트 정보는 연동 서버나,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도 8에는, 코멘트 정보를 수신하고(S200), 상기 코멘트 정보에 포함된 트리거 로그의 일련의 트리거들을 시간 순서대로 연결하여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며(S202),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동작이 도시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S300),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와 코멘트 대상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멘트의 입력 상황을 재연하고(S302),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의 타임 라인이 상기 코멘트의 입력 시점에 매치 되면 코멘트 컨텐츠 및 그 부가 정보를 표시(S304)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동작 결과는 도 5에 예시 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서버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서버(30)는 프로세서(31),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34), 프로세서(31)에서 수행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복수의 오퍼레이션을 상기 스토리지에서 로드하는 메모리(32),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20) 및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내보내기 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10)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 및 프로세서(31), 메모리(32), 스토리지(3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시스템 버스(3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션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인,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션은,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의 리스폰스들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되,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오퍼레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션은,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오퍼레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 중,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 직전에 발생된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상기 코멘트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된 때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이고,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의 인터랙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랙션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하여 발생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 발생 시 상기 객체의 리스폰스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트리거, 상기 트리거에 대한 리스폰스 및, 상기 리스폰스의 대상인 객체로 구성되는 인터랙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상황에서 복수개의 상기 트리거가 발생 가능하도록 정의된 분기형 시나리오 타입의 인터랙티브 컨텐츠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GUI 기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터랙션 프로토타입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연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로부터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내보내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서버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의 리스폰스들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되,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내보내기 한 것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는,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의 리스폰스들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재연하기 위한 UI를 포함하며,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의 재연에 따라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하여 코멘트 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를 연동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와 관련된 후보 객체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에 상기 터치 포인트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객체를 상기 코멘트 대상 객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것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의 투명도를 기준으로 선정된 객체들을 포함하는 것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객체들은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객체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에 다른 객체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은 부분이 일부라도 존재하는 객체들을 포함하는 것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12. 연동 서버가,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코멘트 정보는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 직전에 발생된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인, 제1 단계;
    상기 연동 서버가,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되,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연동 서버가,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의 인터랙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랙션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하여 발생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 발생 시 상기 객체의 리스폰스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 이전에 발생된 기 지정된 개수 만큼의 트리거들의 집합인,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코멘트의 입력을 위한 코멘트의 터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터치 포인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더 포함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16. 프로세서;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복수의 오퍼레이션을 상기 스토리지에서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내보내기한 저작 툴이 설치된 컨텐츠 저작 장치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오퍼레이션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코멘트 정보는 터치 입력이 이뤄진 시점 직전에 발생된 코멘트 대상 트리거에 대한 정보, 트리거 로그 및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로그는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시작 이후 특정 시점부터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가 발생될 때까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하여 발생된 트리거들의 집합인, 오퍼레이션;
    상기 트리거 로그에 포함된 트리거 각각의 리스폰스들을 트리거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코멘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되,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에는 상기 코멘트 대상 트리거의 리스폰스의 재생 구간에 상기 코멘트의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코멘트 시나리오를 상기 컨텐츠 저작 장치에 송신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는 복수의 인터랙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랙션은 상기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하여 발생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 발생 시 상기 객체의 리스폰스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연동 서버.
KR1020160184074A 2016-12-30 2016-12-30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KR10181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74A KR101818544B1 (ko) 2016-12-30 2016-12-30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JP2017162259A JP6359738B2 (ja) 2016-12-30 2017-08-25 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テンツに対するコメント方法及びコメントシナリオ再演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74A KR101818544B1 (ko) 2016-12-30 2016-12-30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19A Division KR20180079235A (ko) 2018-01-09 2018-01-09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544B1 true KR101818544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074A KR101818544B1 (ko) 2016-12-30 2016-12-30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59738B2 (ko)
KR (1) KR1018185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33B1 (ko) 2019-12-24 2020-08-13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18711A (ko) 2020-08-07 2022-02-15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20954B2 (en) 2019-12-24 2022-05-03 Studio Xid Kore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typ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380A1 (ja) * 2020-02-07 2021-08-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762A (ja) * 2001-09-12 2003-03-2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シナリオプログラム
JP2006352779A (ja) * 2005-06-20 2006-1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情報入力・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14229224A (ja) * 2013-05-27 2014-12-08 船井電機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選択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2371A (ja) * 2012-04-18 2013-10-28 Kddi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ソーシャル化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のソーシャル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33280A (ja) * 2015-07-31 2017-02-09 ベストスキップ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6723030B2 (ja) * 2016-03-08 2020-07-15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762A (ja) * 2001-09-12 2003-03-2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シナリオプログラム
JP2006352779A (ja) * 2005-06-20 2006-1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情報入力・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14229224A (ja) * 2013-05-27 2014-12-08 船井電機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選択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33B1 (ko) 2019-12-24 2020-08-13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20954B2 (en) 2019-12-24 2022-05-03 Studio Xid Kore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typ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20018711A (ko) 2020-08-07 2022-02-15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18891A (ko) 2020-08-07 2022-02-15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58512A (ko) 2020-08-07 2022-05-09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22200A (ko) 2020-08-07 2023-02-14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09941A (ja) 2018-07-12
JP6359738B2 (ja)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899B2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連携通信
US10198420B2 (en) Telling interactive, self-directed stories with spreadsheets
KR101818544B1 (ko)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KR20180079235A (ko) 인터랙티브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법 및 코멘트 시나리오 재연 방법
JP4792366B2 (ja) 画面表示方法
JP2011525665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表示上での教示動画の表示
WO2009125404A2 (en) System for generating an interactive or non-interactive branching movie segment by segment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2019006501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pagating enriched note data objects over a web socket connection in a networked collaboration workspace
US9304612B2 (en) Off-screen input capture for mobile device
US20220229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typ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50079371A (ko) 단말기에서 근전도 검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3227785B1 (en) Playback and automatic execution of a process to control a computer system
US20150286386A1 (en) Progressive functionality access for content insertion and modification
KR20210052540A (ko) 비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그리고 저장 매체
CN105843594A (zh) 移动终端应用程序页面的展现方法和装置
US20230333717A1 (en) Interface for radial selection of time-based events
US10740410B2 (en) Method for adding a comment to interactive content by reproducing the interactive content in accordance with a brached comment scenario
JP7176806B1 (ja) プログラム学習装置
EP3475787B1 (en) Augmenting text narration with haptic feedback
KR102247507B1 (ko) 청취학습 기반의 보이스 노트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637905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44433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9747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68652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36305A (ko) 듀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복수의 수학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