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438B1 - 필터성능평가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성능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438B1
KR101818438B1 KR1020110019785A KR20110019785A KR101818438B1 KR 101818438 B1 KR101818438 B1 KR 101818438B1 KR 1020110019785 A KR1020110019785 A KR 1020110019785A KR 20110019785 A KR20110019785 A KR 20110019785A KR 101818438 B1 KR101818438 B1 KR 101818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ank
conduit
mixing tank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772A (ko
Inventor
황지현
윤성한
김서영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84Test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순수와 첨가물을 각각 공급받아 특정 농도의 오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서 생성된 오염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오염수를 공급받아 정화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성능평가장치{FILTER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본 발명은 필터성능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나 유해 중금속과 같은 특정 물질들에 대한 제거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오염물질이 포함된 유입수를 조제하여 연속적으로 대상 필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필터성능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는 오염된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정화된 유체를 얻기 위한 장치로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수기에도 설치되며, 산업용이나 기계장치에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필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물질이 포함된 오염된 유체를 조제하여 필터에 통과시킨 후 통과된 유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0066884 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이러한 필터성능평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순수가 저장되는 순수저장조, 순환수를 펌핑하는 펌프, 탱크 내부 압력이 제어되어 특정농도의 오수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오수탱크를 포함하여 이들을 이용해 필터에 공급되는 오수를 생성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특정 농도의 오수를 공급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드백제어를 실시하므로, 유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 유로에 설치되는 밸브와 펌프 등의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제어장치의 성능에 의해 좌우될 수 있어서, 제어장치의 성능이 낮은 경우 오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일정한 오염도를 갖는 오염수를 대량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필터성능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순수와 첨가물을 각각 공급받아 특정 농도의 오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서 생성된 오염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오염수를 공급받아 정화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탱크; 상기 첨가물탱크와 상기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설치되며, 단위 시간당 일정한 량의 액체를 송출하는 연동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상기 연동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첨가물탱크 내의 첨가물이 일정량만 상기 혼합탱크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동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상기 혼합탱크에 순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관로;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는 제1밸브; 상기 혼합탱크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상기 중량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중량값을 입력받아 일정한 양의 순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상기 혼합탱크 내에 설치되어 순수와 첨가물의 혼합을 돕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상기 저장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의 오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혼합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관로; 상기 제2관로에 설치되는 제2밸브; 상기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수위센서의 입력값이 상기 저장탱크의 저수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밸브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오염수를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기 공급관로에 설치되며, 오염수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상기 공급관로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연결되는 압력조절관로; 상기 압력조절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로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화수를 외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필터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유출관로; 상기 유출관로에 설치되는 유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순수와 첨가물을 각각 공급받아 특정 농도의 오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서 생성된 오염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오염수를 공급받아 정화하는 필터;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탱크; 상기 첨가물탱크와 상기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첨가물관로; 상기 첨가물관로에 설치되며, 단위 시간당 일정한 량의 액체를 송출하는 연동펌프; 상기 혼합탱크에 순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관로;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는 제1밸브; 상기 혼합탱크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상기 중량감지부, 상기 제1밸브, 상기 연동펌프, 상기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중량값을 입력받아 상기 중량값이 기설정된 값이 될 때까지 순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를 개폐제어하고, 상기 첨가물탱크 내의 첨가물이 일정량만 상기 혼합탱크로 유입되도록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연동펌프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혼합탱크 내에서 특정 농도의 오염수를 조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화수의 수질에 따른 필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에 의하면, 일정한 오염도를 갖는 오염수를 대량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의 유로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성능평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의 유로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수가 생성되는 혼합탱크(10)를 포함한다.
혼합탱크(10)는 순수와 첨가물을 일정 농도로 혼합하여 특정 농도를 갖는 오염수를 생성한다.
혼합탱크(10)의 한쪽에는 순수를 공급받기 위한 제1관로(3a)가 연결되고, 이 제1관로(3a)에는 제1밸브(3)가 설치된다. 제1밸브(3)가 열리면 순수가 혼합탱크(10) 내부로 공급되고, 제1밸브(3)가 닫히면 순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혼합탱크(10)의 다른 한쪽에는 첨가물탱크(20)가 설치된다. 첨가물탱크(20)는 혼합탱크(10)와 첨가물관로(20a)에 의해 연결된다. 이 관로(20a)의 도중에는 연동펌프(21)가 설치된다. 연동펌프(21)는 단위 시간당 일정한 량의 액체를 송출하기 위해 고안된 펌프로서, 구동되는 시간에 비례하는 유량의 유체를 혼합탱크(10)로 공급한다. 첨가물탱크(20)에 저장되는 첨가물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이나 유해중금속과 같은 특정 물질로 하면 그 특성물질에 대한 필터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혼합탱크(10)의 내부공간에는 교반기(11)가 설치된다. 교반기(11)가 구동되면 혼합탱크(10) 내의 유체에 와류가 형성되므로, 혼합탱크(10)로 유입된 순수와 첨가물이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다.
혼합탱크(10)의 저부에는 중량감지부(13)가 설치된다. 중량감지부(13)는 혼합탱크(10) 및 혼합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혼합탱크(10) 자체의 무게는 일정하므로 중량감지부(13)에서 감지한 중량값을 통해 혼합탱크(10) 내에 저장되는 유체의 중량 및 부피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혼합탱크(10) 한 쪽에는 제1배출관로(15a)가 설치된다. 제1배출관로(15a)는 혼합탱크(10) 측면의 하부로부터 연장된다. 제1배출관로(15a)의 도중에는 제1배출밸브(15)가 설치되어, 제1배출밸브(15)가 열리면 제1배출관로(15a)를 통해 혼합탱크(10) 내부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혼합탱크(10) 내의 유체가 너무 많은 경우나 혼합탱크(10) 내의 유체가 부적합하게 조제된 경우 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혼합탱크(1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필요성이 발생하므로, 이런 비정상적인 상황 또는 혼합탱크 내의 유체가 불필요하게 된 상황에서 제1배출밸브(15)를 열어 혼합탱크(1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저장탱크(30)를 포함한다. 저장탱크(30)는 혼합탱크(10)에서 조제된 유체를 일시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터성능평가를 위해 필요한 경우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혼합탱크(10)와 저장탱크(30)의 사이에는 제2관로(5a)가 설치된다. 제2관로(5a)의 한 쪽 끝은 혼합탱크(10) 측면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2관로(5a)의 다른 한 쪽 끝은 저장탱크(30)의 상부와 연결된다. 제2관로(5a)의 도중에는 제2밸브(5)가 설치되어, 제2밸브(5)가 열리면 혼합탱크(10) 내의 유체가 저장탱크(30)로 공급되고, 제2밸브(5)가 닫히면 혼합탱크(10) 내의 유체가 혼합탱크(10) 내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갇히게 된다.
저장탱크(30)의 내부에는 수위센서(33)가 설치되어 저장탱크(30)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를 감지한다.
저장탱크(30)의 상측에는 기체배출관로(31a)가 설치된다. 기체배출관로(31a)의 도중에는 기체배출밸브(31)가 설치되어, 기체배출밸브(31)가 열리면 저장탱크(30) 내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저장탱크(30)의 측면 하부에는 제2배출관로(35a)가 설치된다. 제2배출관로(35a)는 저장탱크(30)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제2배출관로(35a)의 도중에는 제2배출밸브(35)가 설치된다. 제2배출밸브(35)가 열리면 제2배출관로(35a)를 통해 저장탱크(3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저장탱크(30) 내의 유체가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 등에는 제2배출관로(35a)를 통해 저장탱크(3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에는 성능평가의 대상이 되는 필터(8)가 탑재된다. 필터(8)는 착탈식의 카트리지로 형성하여 하나의 필터성능평가장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여러 개의 필터(8)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필터(8)와 저장탱크(30)의 사이에는 공급관로(39a)가 설치된다. 공급관로(39a)의 한 쪽 끝은 저장탱크(30)의 하부 측면과 연결되고, 공급관로(39a)의 다른 한 쪽 끝은 필터(8)의 입수구와 연결된다.
공급관로(39a)의 도중에는 공급펌프(39)와 제3밸브(7)가 설치된다. 공급펌프(39)는 저장탱크(30) 내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를 가압하여 필터(8) 쪽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제3밸브(7)는 공급관로(39a)를 개폐하여 제3밸브(7)가 열리면 공급관로(39a)를 통해 유체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제3밸브(7)가 닫히면 공급관로(39a)를 통한 유체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공급관로(39a)의 제3밸브(7)와 필터(8)의 사이에는 압력조절관로(37a)가 분지된다. 압력조절관로(37a)는 공급관로(39a)로부터 분지되어 저장탱크(30)의 측면으로 연장된다. 압력조절관로(37a)의 도중에는 압력조절밸브(37)가 설치되어, 압력조절밸브(37)가 열리면 공급관로(39a)로부터 압력조절관로(37a)를 통해 유체가 저장탱크(30) 내부로 회수가능하게 되고, 압력조절밸브(37)가 닫히면 공급관로(39a)로부터 압력조절관로(37a)를 통해 유체가 저장탱크(30) 내부로 회수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압력조절밸브(37)는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관로 및 시스템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조절밸브(37)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아니고, 압력조절관로(37a) 내부의 유체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 개방되고,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폐쇄된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조절밸브(37)로 인해 필터(8)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저장탱크(30) 하부에서 유출된 유체가 저장탱크(30) 상부로 회수됨으로써 저장탱크(30) 내부의 유체가 혼합될 수 있다.
필터(8)의 한 쪽 끝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관로(39a)와 연결되고, 다른 한 쪽 끝은 유출관로(9a)와 연결된다. 공급관로(39a)를 통해 필터(8)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고, 필터(8)를 통과한 유체는 유출관로(9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유출관로(9a)의 도중에는 유출밸브(9)가 설치되어 유출밸브(9)가 열리면 유출관로(9a)를 통해 유체가 필터성능평가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의 제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41)와 이 조작부(41)의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제어부(40)는 중량감지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량감지부(13)를 통해 혼합탱크(10)에 저장된 유체의 중량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고, 수위센서(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위센서(33)를 통해 저장탱크(30) 내에 저장된 유체의 수위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부(40)는 제1관로(3a)에 설치되는 제1밸브(3), 제2관로(5a)에 설치되는 제2밸브(5), 공급관로(39a)에 설치되는 제3밸브(7), 유출관로(9a)에 설치되는 유출밸브(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밸브에 전기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개폐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연동펌프(21) 및 공급펌프(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펌프(21)와 공급펌프(39)에 구동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연동펌프(21)와 공급펌프(39)는 제어부(40)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하게 된다.
구체적인 제어부(40)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40)는 중량감지부(13)에서 중량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중량값이 혼합탱크(10)의 무게와 같은 경우, 즉, 혼합탱크(10) 내에 유체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 수위센서(33)에서 수위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수위값이 저장탱크(30)의 저수위에 해당하여, 저장탱크(30) 내에 유체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제1밸브(3)를 연다. 즉, 혼합탱크(10)와 저장탱크(30)가 모두 비어 있는 경우 제1밸브(3)를 열어 혼합탱크(10)에 순수를 유입시킨다.
제어부(40)는 제1밸브(3)를 연 후 중량감지부(13)를 통해 혼합탱크(10)의 중량을 감지한다. 혼합탱크(10)에 순수가 공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중량값이 커진다. 이 중량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면 제어부(40)는 제1밸브(3)를 닫아 혼합탱크(10)에 급수를 중단한다.
제어부(40)는, 제1밸브(3)를 닫고나서 연동펌프(21) 및 교반기(1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한다. 이 설정시간은 앞의 기설정된 중량값과 원하는 조제수의 농도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혼합탱크(10)에서 혼합되어 생성되는 조제수의 농도는 첨가물의 양에 비례하고 순수의 양에 반비례한다. 또한, 조제수에 포함되는 첨가물의 양은 상기한 기설정된 구동 시간에 비례하고, 조제수에 포함되는 순수의 양은 상기한 기설정된 중량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혼합탱크(10)에서 생성되는 조제수의 농도는 상기한 기설정된 구동시간에 비례하고, 상기한 기설정된 중량값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원하는 조제수의 농도를 설정하여 두고, 혼합탱크(10)의 용량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구동시간을 설정하면, 실험을 통해 연동펌프(21)의 구동시간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구한 연동펌프(21)의 구동시간과 혼합탱크(10)의 중량값을 제어부(40)에 저장하여 자동으로 원하는 조제수의 농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연동펌프(21) 및 교반기(11)를 구동시킨 후 구동을 멈추면, 제어부(40)는 제2밸브(5)를 열어 혼합탱크(10)의 조제수를 저장탱크(30)로 보낸다. 또한 제어부(40)는 수위센서(33)의 수위값을 입력받아 이 입력값이 고수위에 도달하면 제2밸브(5)를 닫아 혼합탱크(10)에서 저장탱크(30)로 조제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렇게 되면 필터성능평가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황에서 사용자가 조작부(41)를 통해 제어부(40)에 필터성능평가를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면, 이 명령을 입력받은 제어부(40)는 공급펌프(39)를 구동하고 유출밸브(9)를 연다. 공급펌프(39)가 구동되면 저장탱크(30) 내의 유체가 공급펌프(39) 및 제3밸브(7)를 지나 필터(8)로 유입되며, 필터(8)를 지난 유체는 유출밸브(9)를 지나 외부로 유출된다.
이렇게 특정 농도를 갖는 오염수를 필터(8)로 공급하고, 필터(8)를 통과한 정화수를 유출관로(9a)를 통해 배출한 후 이 정화수의 수질을 측정함으로써 필터(8)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성능평가장치는 혼합탱크(10)에서 적정 농도를 맞추어 조제수를 제조한 후 저장탱크(30)에서 저장하므로, 적정한 농도를 맞추는 것이 용이한 동시에 대용량의 조제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개의 센서, 즉 중량감지부(13)와 수위센서(33)만을 가지며, 두개의 구동펌프 즉, 연동펌프(21)와 공급펌프(39) 만을 가지는 등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가 용이하여 시스템의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3 제1밸브 5 제2밸브
7 제3밸브 8 필터
9 유출밸브 10 혼합탱크
11 교반기 13 중량감지부
15 제1배출밸브 20 첨가물탱크
21 연동펌프 30 저장탱크
31 기체배출밸브 33 수위센서
39 공급펌프 40 제어부

Claims (10)

  1. 순수와 첨가물을 각각 공급받아 특정 농도의 오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서 생성된 오염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오염수를 공급받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혼합탱크에 순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 1관로;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는 제1밸브;
    상기 혼합탱크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상기 저장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의 오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혼합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관로;
    상기 제2관로에 설치되는 제2밸브; 및
    상기 중량감지부 및 상기 수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중량값을 입력받아 일정한 양의 순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수위센서의 입력값이 상기 저장탱크의 저수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밸브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필터성능평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탱크;
    상기 첨가물탱크와 상기 혼합탱크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설치되며, 단위 시간당 일정한 량의 액체를 송출하는 연동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성능평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첨가물탱크 내의 첨가물이 일정량만 상기 혼합탱크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동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성능평가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탱크 내에 설치되어 순수와 첨가물의 혼합을 돕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성능평가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오염수를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기 공급관로에 설치되며, 오염수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성능평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로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연결되는 압력조절관로;
    상기 압력조절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로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성능평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화수를 외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필터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유출관로;
    상기 유출관로에 설치되는 유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성능평가장치.
  10. 삭제
KR1020110019785A 2011-03-07 2011-03-07 필터성능평가장치 KR101818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785A KR101818438B1 (ko) 2011-03-07 2011-03-07 필터성능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785A KR101818438B1 (ko) 2011-03-07 2011-03-07 필터성능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772A KR20120101772A (ko) 2012-09-17
KR101818438B1 true KR101818438B1 (ko) 2018-01-19

Family

ID=4711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785A KR101818438B1 (ko) 2011-03-07 2011-03-07 필터성능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143A (ko) 2021-06-04 2022-12-1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필터 성능평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537B1 (ko) * 1999-06-05 2001-12-22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응집 여과를 이용한 조류 제거 장치
KR200358188Y1 (ko) * 2004-04-30 2004-08-07 윤성훈 정수기의 자동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537B1 (ko) * 1999-06-05 2001-12-22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응집 여과를 이용한 조류 제거 장치
KR200358188Y1 (ko) * 2004-04-30 2004-08-07 윤성훈 정수기의 자동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143A (ko) 2021-06-04 2022-12-1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필터 성능평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772A (ko)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75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US7077956B2 (en) Device for preparing dialysate for a dialysis machine
CN107921329A (zh) 具有压缩空气充气的油/水分离器
CN105415500A (zh) 一种混凝土喷浆车的速凝剂调速方法及速凝剂系统
KR101818438B1 (ko) 필터성능평가장치
US7396455B2 (en) Brine container with filter system
RU2322283C2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 процессом очистки воды на скорых фильтрах
RU2604171C2 (ru) Доз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в водно-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е
KR100788202B1 (ko) 인공 폭기 장치
KR102271967B1 (ko) 플러싱 장치
JP2006297314A (ja) 二酸化塩素発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二酸化塩素発生装置
JP7083271B2 (ja) 可搬型浄水処理装置
CN104870079B (zh) 液态流体过滤组件
KR20180021731A (ko) 용액을 만드는 장치 및 관련 방법
JP5407801B2 (ja) イオン交換樹脂層の形成方法
WO2020021355A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a wheel washing arrangement
KR200451808Y1 (ko) 액체 불소 정량 투입장치
KR20100119767A (ko) 입자 감소 방법 및 시스템
JP4154065B2 (ja) 流量監視計
CN219657288U (zh) 一种循环震荡水样的预处理装置
US20230220324A1 (en) Bioreactor cleaning system with an acid tank and a device for neutralizing the acid
KR101417751B1 (ko) 다방향 밸브 유닛
CN111530284A (zh) 连续上样设备及连续上样方法
KR20240076451A (ko)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JP2022130840A (ja) 水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