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305B1 -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305B1
KR101818305B1 KR1020150133799A KR20150133799A KR101818305B1 KR 101818305 B1 KR101818305 B1 KR 101818305B1 KR 1020150133799 A KR1020150133799 A KR 1020150133799A KR 20150133799 A KR20150133799 A KR 20150133799A KR 101818305 B1 KR101818305 B1 KR 10181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cable
supply passa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383A (ko
Inventor
고태규
이동욱
김명현
김영기
정월열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3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원공급장치는: 전기실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정반에 설치되는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되는 전원공급통로부; 및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전원케이블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케이블의 꺾임이 방지되고, 외부충격 등에 의한 전원케이블의 파손과 마모가 예방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장치는 회로장치나 기계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정반 위에 설치되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은 바닥에 설치되는 케이블 보호용 덕트 내에 포설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062호(고안의 명칭: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등록일:2006.11.2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통로부를 통해 전원케이블의 꺾임이 방지되고, 외부충격 등에 의한 파손과 마모가 예방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전기실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정반에 설치되는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되는 전원공급통로부; 및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전원케이블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상기 전기실의 천장부를 관통하는 전원공급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통로부는 상기 전원공급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관부의 둘레에는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원공급관부에 결합되는 상기 전원공급통로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의 외측을 둘러싸는 접촉방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클램프부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본체; 및 상기 고정부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전원케이블단자를 걸 수 있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본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부 설비와의 충돌시 충격 흡수가 가능한 충격흡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전원공급통로부를 회동시키는 로프형태의 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전원공급통로부를 통해 전원케이블의 꺾임이 방지되고, 외부충격 등에 의한 전원케이블의 파손과 마모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통로부가 전원공급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전원공급통로부를 모터에 근접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방지부가 전원케이블의 외측을 둘러싸므로, 전원케이블이 전원공급통로부에 접촉되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를 통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고정부를 보호할 수 있어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를 이용하여 전원케이블을 고정부에 고정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전원케이블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케이블이 바닥에 닿지 않게 보관할 수 있어 전원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가 작업자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어 있어, 작업자는 전원공급통로부에 접근하지 않고도 전원공급통로부를 회전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모터에 전원케이블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케이블이 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관부와 전원공급통로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관부와 전원공급통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통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공급통로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케이블이 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관부와 전원공급통로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관부와 전원공급통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통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공급통로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는 전원케이블(300), 전원공급통로부(400) 및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전원케이블(300)은 전기실(20)의 전원공급부(100)와 연결되고, 전원공급부(100)에서 정반(40)에 설치되는 모터(200)와 연결되어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기실(20)은 MTS(Motor Test system)설비가 설치된 장소를 의미한 것으로, 전원공급부(100)는 MTS설비 중 하나로 전원케이블(300)를 통해 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케이블(300)은 전원공급통로부(400)를 관통하여 전원공급통로부(4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전원케이블(300)의 일단부에는 전원케이블단자(320)가 형성되고,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할 때 작업자는 전원케이블단자(320)를 모터(200)의 단자에 연결한다.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원공급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원케이블(300)이 관통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상황에 따라 다각기둥 등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고정부(500)는 전원공급통로부(400)에 설치되고, 전원공급통로부(4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원케이블(300)이 고정된다. 고정부(500)는 전원공급통로부(4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원케이블(300)이 고정되도록 고정부(500)의 양측부에 걸이부(530)가 설치된다.
전원공급부(100)에는 전기실(20)의 천장부(22)를 관통하는 전원공급관부(120)가 구비된다. 전원공급관부(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전원공급부(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천장부(22)에 형성된 홀부(미도시)를 관통한다. 이때 도 3에서 전원공급관부(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상황에 따라 다각기둥 등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전원공급관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200)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전원공급통로부(400)는 모터(200)를 향해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전원공급관부(1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원공급통로부(400)를 회동하여 모터(20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전원공급통로부(400)를 회동하여 전기실(20)에 근접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전기실(20)과 정반(40) 사이에 통행자가 지나갈 수 있는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전원공급관부(120)의 둘레에는 돌출부(122)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돌출부(122)는 전원공급관부(120)에 결합되는 전원공급통로부(40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전원공급관부(120)에 결합되면서 돌출부(122)에 접촉된다. 덧붙여, 돌출부(122)는 전원공급통로부(400)가 전원공급관부(120)에 결합되면 전원공급통로부(4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전원공급통로부(4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때,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전원공급관부(120)의 외경보다 넓은 내경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통로부(400)가 돌출부(122)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천장부(22)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관부(120)는 전원공급부(400)와 천장부(22) 사이에 설치될 때, 돌출부(122)로 인해 천장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전원공급관부(1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전원공급통로부(400)가 전원공급관부(120)에 결합되는 방식은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전원공급통로부(400)가 회동가능하게 전원공급관부(120)에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천장부(22)와 이격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전원공급통로부(400)가 회동될 때 천장부(22)과 접촉되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원공급통로부(400)의 하부에는 전원공급통로부(400)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의 하부에는 롤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전원공급통로부(400)를 회동되는 경우 전원공급통로부(400)는 롤러에 의해 천장부(22) 상에서 쉽게 회동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천장부(22)와 평행을 이루고, 천장부(22)의 홀부에서 전기실(20)의 외측부까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통로부(400)는 복수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황에 따라 전원공급통로부(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통로부(400)는 전기실(20)의 외측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도 6처럼 좌우(도 6 기준)로 회동되므로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해당 모터(200)에 손쉽게 전원케이블(300)을 연결할 수 있다.
전원공급통로부(400)의 내부에는 전원케이블(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접촉방지부(600)가 설치된다. 접촉방지부(600)는 전원케이블(300)이 전원공급통로부(4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케이블(300)이 손상되고 마모되는 것을 예방한다. 접촉방지부(600)는 절연재질인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전원케이블(300)이 손상되어 누전되는 경우 누전사고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고정부본체(510), 클램프부(520) 및 걸이부(530)를 포함한다. 고정부본체(510)는 클램프부(520)에 의해 전원공급통로부(400)에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본체(510)는 복수개의 클램프부(520)에 의해 전원공급통로부(400)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본체(510)는 판형태로 전원공급통로부(4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걸이부(530)는 고정부본체(510)에 형성되고, 전원케이블(300)의 단부에 형성된 전원케이블단자(320)를 걸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전원케이블(300)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걸이부(530)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이때 걸이부(530)는 작업자가 손을 뻗어서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한다. 걸이부(530)는 갈고리 형태로 홀이 형성된 전원케이블단자(320)를 걸 수 있다. 걸이부(530)의 형태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전원케이블단자(320)를 걸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이부(530)는 고정부본체(510)의 양측부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걸이부(530)의 개수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전원케이블(30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고정부본체(51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부 설비와의 충격 흡수가 가능한 충격흡수부(700)가 설치된다. 충격흡수부(700)는 탄성재질로 고정부본체(51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고정부본체(510)가 전기실(20) 등 주변의 시설 및 장비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충격흡수부(700)는 고정부본체(510)보다 먼저 전기실(20) 등 주변의 시설 및 장비와 닿아 고정부본체(51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고정부본체(510)의 파손과 마모를 줄일 수 있다.
고정부(500)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전원케이블(300)의 손상 등으로 인해 누전이 발생되는 경우 누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500)에는 전원공급통로부(400)를 회동시키는 로프형태의 조작부(800)가 설치된다. 조작부(800)는 고정부(50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조작부(800)는 작업자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원공급통로부(400)를 회동시킬 때 조작부(800)를 잡고 전원공급통로부(440)를 원하는 모터에 근접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별도의 센서 및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조작부(8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원공급통로부(440)가 회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전원공급통로부(400)를 통해 전원케이블(300)는 꺾이지 않고 모터(200)와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설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통행자로부터 전원케이블(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전사고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모터(200)를 검사하기 위해 작업자가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조작부(800)를 잡고 전원공급통로부(400)를 정반(40)에 설치되는 모터(200)측으로 회동시킨다. 즉, 작업자는 검사할 모터(200)에 근접하도록 전원공급통로부(400)를 이동시킨다. 전원공급통로부(400)가 해당 모터(200)에 근접하면 걸이부(530)에 걸려있는 전원케이블(300)을 빼내어 모터(200)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전원케이블단자(320)와 모터(200)의 단자를 연결하여 결합한다. 전원케이블(300)과 모터(200)에 연결되면, 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작업자는 전기실(20)에 있는 MTS설비를 이용하여 모터(200)의 작동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모터(200)에 이상이 있을 경우 모터(200)를 재검사하거나 수리한다. 모터(200)의 검사를 마치면, 전원케이블(300)를 모터(200)에서 빼내어 걸이부(530)에 걸어 보관하고, 조작부(800)를 이용하여 전원공급통로부(400)를 전기실(20)에 근접하게 이동시킨다.
전원케이블(300)는 전원공급통로부(400)에 관통되게 설치됨으로써, 꺾이지 않고 모터(200)와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설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통행자로부터 전원케이블(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전사고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원공급장치 20 : 전기실
22 : 천장부 40 : 정반
100 : 전원공급부 120 : 전원공급관부
200 : 모터 300 : 전원케이블
320 : 전원케이블단자 400 : 전원공급통로부
500 : 고정부 510 : 고정부몸체
520 : 클램프부 530 : 걸이부
600 : 접촉방지부 700 : 충격흡수부
800 : 조작부

Claims (8)

  1. 전기실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정반에 설치되는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되는 전원공급통로부; 및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전원케이블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클램프부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본체; 및
    상기 고정부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전원케이블단자를 걸 수 있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상기 전기실의 천장부를 관통하는 전원공급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통로부는 상기 전원공급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관부의 둘레에는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원공급관부에 결합되는 상기 전원공급통로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통로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의 외측을 둘러싸는 접촉방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본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부 설비와의 충돌시 충격 흡수가 가능한 충격흡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전원공급통로부를 회동시키는 로프형태의 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0150133799A 2015-09-22 2015-09-22 전원공급장치 KR10181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799A KR101818305B1 (ko) 2015-09-22 2015-09-22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799A KR101818305B1 (ko) 2015-09-22 2015-09-22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83A KR20170035383A (ko) 2017-03-31
KR101818305B1 true KR101818305B1 (ko) 2018-01-15

Family

ID=5850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799A KR101818305B1 (ko) 2015-09-22 2015-09-22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788B1 (ko) * 2020-01-02 2022-07-04 김병조 절단된 케이블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엔드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1205A (ja) * 2011-02-02 2012-08-2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アース棒支持ガイドおよび電気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1205A (ja) * 2011-02-02 2012-08-2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アース棒支持ガイドおよび電気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83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305B1 (ko) 전원공급장치
US20170101747A1 (en) Pavement Breaker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JP5358488B2 (ja) 鳥害防止具の取付冶具、鳥害防止具の取付方法
KR10178735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20200051247A (ko)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EP2112674A3 (en) Safety switch apparatus
CN107378211A (zh) 一种具有减震保护功能的易固定电焊机
KR10144817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101380312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안정화 고정기구
KR20200069030A (ko) 송전선 접지 장치
JP2017077139A (ja) アースフック
CN204195276U (zh) 具有工件间接检测功能的夹具
KR20120007215U (ko) 탁상드릴 머신의 전자석 고정장치
CN202488021U (zh) 一种弹簧操动机构、断路器及手车式断路器
KR200484750Y1 (ko)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JP2015201561A (ja) 洗浄装置
KR100820427B1 (ko) 조립 라인의 차체 유동 방지 장치
KR0107583Y1 (ko) 드릴 안전 커버
KR200483983Y1 (ko) 케이블 드럼 풀림기
CN213698552U (zh) 一种带有导药功能的理疗电极片
KR101627669B1 (ko)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KR101701923B1 (ko) 전선 거치 로프
CN107826950A (zh) 一种深井采矿用升降机机架的卡接装置
ITMO20100259A1 (it) Sistema e metodo anti-collis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