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682B1 -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682B1
KR101817682B1 KR1020170135588A KR20170135588A KR101817682B1 KR 101817682 B1 KR101817682 B1 KR 101817682B1 KR 1020170135588 A KR1020170135588 A KR 1020170135588A KR 20170135588 A KR20170135588 A KR 20170135588A KR 101817682 B1 KR101817682 B1 KR 10181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ipe
flow tube
flow
fl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맹종
Original Assignee
우진열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열기 (주) filed Critical 우진열기 (주)
Priority to KR102017013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 유체 확장 유동부재를 설계 배치함으로써,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서 유체의 안정적인 거동을 보장하여 처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하부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이 개시된다.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은 슬러지 유입구(12)를 통해서 일정하게 유입되는 25℃ 내지 35℃의 저온 상태의 슬러지를 이송하고,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은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75℃ 내지 85℃의 고온 상태의 가열유체를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방사상 외부로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와 열교환하게 한다.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타단부 끝단과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일단부 사이에는 유(U)자형 연장관(30-1)이 배치되고,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타단부에는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1)가 일체로 배치된다.

Description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Pipe structure used in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treating sewage wastewater}
본 발명은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 유체 확장 유동부재를 설계 배치함으로써,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서 유체의 안정적인 거동을 보장하여 처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하부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에 관한 것이다.
하수 처리는 수처리시설에서 하수를 정화할 뿐만 아니라 슬러치처리시설에서 처리수와 분리된 슬러지를 자원화 또는 처분하는 것을 모두 일컫는다. 슬러지는 폐기물의 일종으로 물속의 부유물이 침전하여 진흙상태로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슬러지에는 산업 폐기물인 하수도와 산업 폐수 처리의 부산물,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 등이 있다. 특히, 하수 슬러지는 미생물이 함유된 유기물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의 세포막 속에 수분이 내포되어 있고, 세포막이 단열 및 기밀을 유지하고 있어서 건조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슬러지의 성상은 하수도의 보급상황이나 도시의 발전형태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성상에 적합한 운전관리의 방식을 찾으면서 유지관리를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슬러지의 성상은 슬러지의 부패등에 의해서도 변화하기 때문에 슬러지 성상이 변화하기 전에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슬러지의 처리는 농축, 소화, 슬러지조질, 탈수, 소각, 용융의 공정을 여러 가지로 조합하여 행해진다. 슬러지의 처리를 위한 이송설비는 공급설비, 이송관, 및 저류설비로 구성된다. 슬러지 이송은 수처리시설과 슬러지처리시설이 동일부지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짧은 거리이지만, 복수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한군데에서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경우나 수처리시설과 슬러지처리시설이 떨어져 있는 경우는 장거리 이송이 된다.
슬러지의 이송설비중 이송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이송관로에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슬러지를 이송과정중에 열교환을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가열함으로써 수분을 예비 건조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또한 이송관내에서 부압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구간에는 압력조절장치를 설치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0870호(등록일자 : 2012년 01월 20일)에는 최소의 에너지를 투입하여 하수 슬러지의 유기성 물질을 가용화 및 저분자화시키며 무기성 슬러지도 동시 처리가 가능한 하수 슬러지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하수 슬러지 처리장치용 이송관을 이중관으로 구성하여 내관으로는 하수 슬러지가 통과하게 하고 내관과 외관 사이에는 열을 전달하는 유체를 통과시켜서 내관을 지나는 하수 슬러지를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에서는 하수 슬러지를 이송하도록 배치된 이중의 이송관에 있어서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지그재그 형태의 밀집형 열교환기의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때 직선형태의 제1의 이송관과 제2의 이송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곡선형 연결배관에 있어서 슬러지의 잼(jam)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슬러지의 안정적인 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수 슬러지 이송배관의 직선형 이송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에 슬러지의 안정적인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설계상의 개선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3391호(등록일자 : 2005년 05월 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5377호(등록일자 : 2008년 04월 2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0870호(등록일자 : 2012년 01월 20일)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 유체 확장 유동부재를 설계 배치함으로써,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서 유체의 안정적인 거동을 보장하여 처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하부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송관을 포함하는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일단부에 슬러지 유입구가 유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슬러지 유입구를 통해서 일정하게 유입되는 25℃ 내지 35℃의 저온 상태의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1 슬러지 유동관;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75℃ 내지 85℃의 고온 상태의 가열유체를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의 방사상 외부로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와 열교환하게 하는 제1 가열유체 유동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의 타단부 끝단에 유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제2 슬러지 유동관에 유체 연결되어,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을 통해서 유동하는 슬러지를 상기 제2 슬러지 유동관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유(U)자형 연장관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유입구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의 타단부에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가 일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쌍을 이루는 중공의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반부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의 일단부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확장하는 형태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절반부는 상기 제1 절반부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절반부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일정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확장하는 형태로 연장된 제1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절반부는 상기 제1 확장부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제2 확장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절반부의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의 일단부에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절반부와 상기 제2 절반부는 상기 제1 확장부의 외주연과 상기 제2 확장부의 외주연을 용접하는 것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의 방사상 외면상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절반부의 고정위치를 지나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의 타단부 끝단에는 제1 유동관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동관 플랜지에는 상기 제1 유(U)자형 연장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장관 플랜지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1 유(U)자형 연장관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연장관 플랜지는 상기 제2 슬러지 유동관의 일단부 끝단에 형성된 제2 유동관 플랜지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유입구 근처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의 방사상 외면상에 일체로 막힘 고정되고,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의 중간에는 가열유체를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 내로 도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통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n차 슬러지 유동관과 n-1 슬러지 유동관 사이에 n-1차 유(U)자형 연장관을 배치하여 이들을 유체 연결하고 n-1차 유(U)자형 연장관의 근처 위치에서 n차 가열유체 유동관의 일단부에 n차 유체 확장 유동부재를 일체로 배치함으로써, n차 슬러지 유동관과 n-1차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서 슬러지의 안정적인 거동을 보장하여 처리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관에서 하수 슬러지의 유동 및 열교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관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체 확장 유동부재의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체 확장 유동부재의 결합상태 단면도.
본 출원의 도면과 그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발표한 기구 및 방식들의 장점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다르게 강조하지 않는 한, 도면을 통해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들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참조부호들로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 본 발명은 하기의 명세서에 발표하거나 도면에 나타낸 구성 및 부품들의 배열로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및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채용된 어법과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의 배치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이송관에서 하수 슬러지의 유동상태 및 열교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50)은 가장 간단한 형식의 열교환기로서 기본적으로 이중관의 형태를 취한다.
즉, 이송관(50)은 처리하고자 하는 25℃ 내지 35℃의 저온 상태의 슬러지가 슬러지 유입구(12)를 통해 일정하게 유입 및 유동하는 제1 슬러지 유동관(10-1)과,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형성된 가열유체 유입구(22)를 통해 75℃ 내지 85℃의 고온 상태의 가열유체가 유입되게 구성된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과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은 지름이 서로 다른 두개의 동심관으로서, 제1의 유체, 즉 25℃ 내지 35℃의 저온 상태의 슬러지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 내부를 흐르고, 제2의 유체, 즉 75℃ 내지 85℃의 고온 상태의 가열유체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과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 사이의 환형 공간 속을 흐른다.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은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구조적으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슬러지와 열교환 관계에 있게 하여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을 유동하는 슬러지의 온도가 35℃ 내지 45℃가 되게 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의 분해를 유발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유입구(12)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일단부와 유체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처리하고자 하는 25℃ 내지 35℃의 저온 상태의 슬러지가 슬러지 유입구(12)를 통해 일정하게 유입되어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을 통해 종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유체 유입구(22)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과 동심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방사상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에 대하여 그 중간에 수직하게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가열유체 유입구(22)를 통해서 고온 상태의 가열유체가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 내로 유입 및 유동함으로써, 상기 슬러지 유입구(12)를 통해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 내로 유입되어 흐르는 하수 슬러지와 열교환 하면서 이를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슬러지 유입구(12) 근처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방사상 외면상에 일체로 막힘 고정된다.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타단부에는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1)가 일체로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유체 확장 유동부재의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타단부에서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1)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쌍을 이루는 중공의 제1 절반부(42)와 제2 절반부(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절반부(42)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일단부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확장하는 형태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 즉, 제1 절반부(42)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일정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제1 본체부(42a), 및 상기 제1 본체부(4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 본체부(42a)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확장하는 형태로 연장된 제1 확장부(4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본체부(42a)와 상기 제1 확장부(42b)는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절반부(44)는 상기 제1 절반부(42)의 상기 제1 확장부(42b)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제2 확장부(44b), 및 상기 제1 절반부(42)의 상기 제1 본체부(42a)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제2 본체부(44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확장부(44b)와 상기 제2 본체부(44a)는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절반부(42)의 상기 제1 본체부(42a)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일단부에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된다.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중공의 제1 절반부(42)와 제2 절반부(44)는 각각 제1 확장부(42b)의 외주연과 제2 확장부(44b)의 외주연을 용접하는 것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제2 절반부(44)의 상기 제2 본체부(44a)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방사상 외면상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타단부에 제공된 유체 확장 유동부재(40-1)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방사상 외면상에 막힘 고정된다.
상기 제2 절반부(44)의 고정위치를 지나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타단부 끝단에는 제1 유동관 플랜지(14-1)가 형성된다. 제1 유동관 플랜지(14-1)에는 제1 유(U)자형 연장관(30-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장관 플랜지(32-1a)가 연결 고정된다.
제1 유(U)자형 연장관(30-1)의 타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하나의 제2 슬러지 유동관(10-2)에 유체 연결된다. 즉, 제1 유(U)자형 연장관(30-1)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연장관 플랜지(32-1b)는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일단부 끝단에 형성된 제2 유동관 플랜지(14-2)에 연결 고정된다. 이에 의해서, 제1 유(U)자형 연장관(30-1)은 제2 슬러지 유동관(10-2)에 유체 연결되어, 슬러지 유입구(12)로부터 도입되어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을 통해서 유동하는 슬러지를 제2 슬러지 유동관(10-2)으로 이송하게 된다.
슬러지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제1 연장관 플랜지(32-1b)와 제2 유동관 플랜지(14-2)의 연결부위를 지나서,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일단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1)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제2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2)가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러지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제2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2)를 지나서,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방사상 외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제2 가열유체 유동관(20-2)이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가열유체 유동관(20-2)의 중간 위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열유체 유입구(22)가 유체 연결된다. 즉, 가열유체 유입구(22)는 상기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75℃ 내지 85℃의 고온 상태의 가열유체를 제2 가열유체 유동관(20-2) 내로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방사상 외부에 배치되는 제2 가열유체 유동관(20-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단부가 막힘 형태로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방사상 외부면상에 용접 고정되고, 제2 가열유체 유동관(20-2) 내부를 유동하는 가열유체가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을 통해서 유동하는 하수 슬러지와 열교환을 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 슬러지를 이송하도록 배치되는 슬러지 유동관과 가열유체 유동관을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지그재그 형태의 밀집형 열교환기의 형태로 배치한다.
즉, 처리하고자 하는 슬러지의 처리 용량에 따라 n차 슬러지 유동관과 n차 가열유체 유동관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고, 이때 상기 n차 슬러지 유동관과 n-1 슬러지 유동관 사이에는 n-1차 유(U)자형 연장관을 배치하여 이들을 유체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n차 슬러지 유동관과 n-1차 슬러지 유동관들 사이에서 슬러지의 안정적인 거동을 보장하여 처리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n-1차 유(U)자형 연장관의 근처 위치에서, n차 가열유체 유동관의 일단부에는 n차 유체 확장 유동부재가 일체로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10-2,…,10-n : 슬러지 유동관
12 : 슬러지 유입구
14-1,14-2,…,14-n : 유동관 플랜지
20-1,20-2,20-3...,20-n : 가열유체 유동관
22 : 유체 유입구
30-1,30-2,…,30-n : 유(U)자형 연장관
32-1a,32-1b : 유동관 플랜지
50 :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용 이송관

Claims (6)

  1. 이송관(50)을 포함하는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50)은,
    일단부에 슬러지 유입구(12)가 유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슬러지 유입구(12)를 통해서 일정하게 유입되는 25℃ 내지 35℃의 저온 상태의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1 슬러지 유동관(10-1);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75℃ 내지 85℃의 고온 상태의 가열유체를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방사상 외부로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와 열교환하게 하는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타단부 끝단에 유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제2 슬러지 유동관(10-2)에 유체 연결되어,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을 통해서 유동하는 슬러지를 상기 제2 슬러지 유동관(10-2)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유(U)자형 연장관(30-1)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타단부에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1)가 일체로 배치되고,
    상기 제1의 유체 확장 유동부재(40-1)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쌍을 이루는 중공의 제1 절반부(42)와 제2 절반부(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반부(42)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일단부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확장하는 형태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절반부(44)는 상기 제1 절반부(42)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부(42)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일정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제1 본체부(42a), 및 상기 제1 본체부(4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 본체부(42a)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확장하는 형태로 연장된 제1 확장부(42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절반부(44)는 상기 제1 확장부(42b)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제2 확장부(44b), 및 상기 제1 본체부(42a)와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갖는 제2 본체부(4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부(42)의 상기 제1 본체부(42a)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가열유체 유동관(20-1)의 일단부에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절반부(42)와 상기 제2 절반부(44)는 상기 제1 확장부(42b)의 외주연과 상기 제2 확장부(44b)의 외주연을 용접하는 것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본체부(44a)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12)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방사상 외면상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반부(44)의 고정위치를 지나서, 상기 제1 슬러지 유동관(10-1)의 타단부 끝단에는 제1 유동관 플랜지(14-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동관 플랜지(14-1)에는 상기 제1 유(U)자형 연장관(30-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장관 플랜지(32-1a)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1 유(U)자형 연장관(30-1)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연장관 플랜지(32-1b)는 상기 제2 슬러지 유동관(10-2)의 일단부 끝단에 형성된 제2 유동관 플랜지(14-2)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6. 삭제
KR1020170135588A 2017-10-19 2017-10-19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KR10181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88A KR101817682B1 (ko) 2017-10-19 2017-10-19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88A KR101817682B1 (ko) 2017-10-19 2017-10-19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682B1 true KR101817682B1 (ko) 2018-01-15

Family

ID=6100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588A KR101817682B1 (ko) 2017-10-19 2017-10-19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6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8249A (ja) * 2009-11-03 2011-05-19 Techno Plan:Kk 汚泥可溶化装置及び汚泥可溶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8249A (ja) * 2009-11-03 2011-05-19 Techno Plan:Kk 汚泥可溶化装置及び汚泥可溶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4003653A (es) Unidad de intercambio de calor para reactores quimicos isotermicos.
KR101082971B1 (ko) 건조로의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예열하는 저에너지 건조시스템
KR101817682B1 (ko) 하수 슬러지의 연속 처리장치
US4323114A (en) Cluster heat exchanger
KR101176833B1 (ko) 유수의 열 추출 장치
CN102659202A (zh) 短流程高难废水处理装置
CN201569336U (zh) 搪玻璃多管式换热器
US20050028680A1 (en) Biosolids pasteurization systems and methods
GB2428468A (en) Waste water heat exchanger
KR970069897A (ko) 목편을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KR900004104B1 (ko) 진공 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뇨, 가축폐수, 폐수처리장치
CN113461092A (zh) 一种冷冻升华技术处理污水的方法
KR101737429B1 (ko) 열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한 다중관식 유기물 슬러지 열분해 장치
CN106007183A (zh) 一种污水处理管道
PT1066490E (pt) Aparelho secador/compactador tipo gaiola para tratamento de materiais residuais
CN202576018U (zh) 短流程高难废水处理装置
CN108483772A (zh) 一种生活污水选择回收再利用装置
CN204587762U (zh) 一种储罐用加热器
CN201485300U (zh) 热磨污水蒸发器
CN207259338U (zh) 一种协同强化脱氮除磷生态型污水处理装置
CN217838708U (zh) 一种干燥装置
CN220845531U (zh) 一种污泥干化风管接头渗液收集装置
KR20030072872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방법 및 장치
RU2772668C1 (ru)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и опасных сто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0730342B1 (ko) 수직형 자화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