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로의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예열하는 저에너지 건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슬러지예열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슬러지예열기에 배플이 장착된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예열기를 개략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시스템(10)은 호퍼(11)와 공급피더(12)를 구비하여 호퍼에 임시 저장된 고함수의 슬러지를 건조로(14)에 정량 공 급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피더(12)에 의해 공급되는 슬러지는 건조로로 투입되기 이전에 슬러지예열기(13)에 공급되어 예열이 이루어지며, 예열된 슬러지는 건조로(14)로 공급되고 건조로에서는 고온의 이송가스인 스팀을 공급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로(14)에서의 건조된 슬러지 잔여물은 배출에 의해 소각이나 매립 또는 자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분을 포함하는 고온의 배출가스는 슬러지예열기(13)를 통과하면서 건조로에 투입되는 슬러지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탈취기(16)를 통해 악취 또는 유해성분을 제거한 후 배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온의 배출가스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기액분리기(17)를 이용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수분(수증기)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로(14)의 슬러지를 가열시키는 이송가스로는 상술한 스팀이외에 고온의 공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팀을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로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수분함량이 크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응축기(15)를 더 설치하여 배출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응축기는 고온 공기를 이송가스로 사용할 경우에도 설치하여 수분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시스템(10)에서 상기 건조로(14)에 투입되는 고함수의 슬러지와 건조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슬러지예열기(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체로 구성된 본체관(20)과, 상기 본체관 내부에 다수 설치된 슬러지이송분관(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관(20)은 측면에 가스유입구(21)와 가스배출구(22)를 형성하여 건조로(14)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가 가스유입구(21)를 통해 본체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가스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응축이나 탈취등의 후처리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슬러지이송분관(30)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급피더에서 공급되는 슬러지가 다수의 슬러지이송분관(30)으로 분기되어 이송되면서 본체관 내부로 유통되는 고온 배출가스에 의해 예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슬러지이송분관(30)은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개로 구성하여 배출가스와 슬러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각 슬러지이송분관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하여 슬러지이송분관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고온의 배출가스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공급피더로부터 슬러지를 슬러지예열기(13)로 공급하는 슬러지공급관(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러지예열기(13)와 접하는 단부에 확장부(81)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된 슬러지예열기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슬러지예열기(13)의 양단에는 차단판(40)이 설치되어 본체관(20) 내부로 공급된 배출가스가 본체관의 양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차단판(40)은 슬러지예열기의 양단부에 설치되데 슬러지이송분 관(30)의 외주면과 본체관(2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하여 본체관 내부 공간에 공급되는 고온의 배출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40)은 슬러지공급관(80)을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본체관과 슬러지이송분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슬러지이송분관(30)으로만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온 배출가스와 슬러지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의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일부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본체관에 형성된 가스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배출구는 본체관의 내부 밑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예열기(1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플(50; baffle)을 다수 설치하여 본체관 내부로 공급되는 배출가스의 이동경로를 길게 연장되도록 한다. 즉, 배플(50)은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여 가스유입구(21)에서 가스배출구(22)로 이동되는 배출가스가 지그재그로 이동되어 본체관(20)과의 접촉효율을 증대시킨 것이다.
한편, 공급피더(12)와 건조로(14) 사이에 설치되는 슬러지예열기(13)의 배관은 두 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배관이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러지예열기도 절곡부위에 따라 설치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예열기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도 2에 도시된 슬러지예열기(13)를 사용하여 별도의 곡관(60)과 연장관(70)을 추가 설치해 예열된 슬러지를 건조로(14)로 공급하도록 하였다.
도시된 바와같이 고함수의 슬러지는 슬러지예열기(13)의 하부로 공급되어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슬러지가 건조로(14)의 상부면으로 투입되도록 하였다. 이때 본체관(20)의 하부저면에는 슬러지공급관(80)이 결합되어 공급피더에서 공급되는 고함수 슬러지가 본체관 내부에 설치된 슬러지이송분관(30)을 통해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공급관(80)은 본체관과 결합되는 단부를 확장부(81)로 형성하여 이송되는 슬러지가 각 슬러지이송분관으로 분기되어 투입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관의 단부에는 차단판(40)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슬러지가 본체관(20)과 슬러지이송분관(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슬러지이송분관(30)을 통해서만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체관(20)의 상측단부에도 차단판(40)을 설치하여 슬러지이송분관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가 본체관 내부 공간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본체관(20)의 상단에는 슬러지이송관(90)을 내포하는 곡관(60)의 일측단부를 결합하여 슬러지의 이송방향이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곡관(60)의 타측단부에는 연장관(70)의 일측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연장관의 타측단부는 건조로(14)로 연통시켜 본체관(20)을 통과한 예열된 슬러지를 건조로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곡관(60)과 연장관(7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슬러지이송관(90)은 확장부(91)가 형성된 단부가 본체관(20)에 결합되어 슬러지이송분관(30)과 연통됨으로써 각 슬러지이송분관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가 슬리지이송관의 확장부(91)를 통과하면서 합류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곡관(60)과 연장관(70)은 내부에 배관된 슬러지이송관(90)과의 사이 공간에 건조로의 배출가스가 유통되도록 하여 이송중의 슬러지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곡관(60)과 연장관(70) 내부의 중공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되 건조로와 결합되는 연장관(70) 단부에는 차단판(40)을 장착하여 슬러지이송관(90)과 연장관(7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슬러지이송관과 연장관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배출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차단판(40)이 설치된 연장관의 측면에는 연장관가스유입구(71)가 형성되어 건조로에서 배출되는 고온 배출가스를 유입시켜 연장관과 곡관 내부에 충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곡관(60)의 측면에는 곡관가스배출구(61)를 형성하여 연장관가스유입구(71)로 유입된 고온 배출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곡관가스배출구(61)는 연결관(23)에 의해 본체관(20)의 가스유입구(21)와 연통되도록 하여 곡관(60)의 고온 배출가스를 본체관(20)으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은 플렉시블관으로 형성하여 연결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배출가스의 이동유로가 형성되면, 연장관(70)으로 유입된 배출가스는 슬러지이송관(90)으로 이송되는 슬러지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고, 곡관가스배출구(61)를 통해 본체관(20)으로 이동되면서 본체관 내부에 다수 설치된 슬러지이송분관(30)과 접촉하여 슬러지이송분관으로 이송되는 슬러지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본체관의 가스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예열기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본체관 자체가 절곡된 형태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체관(20)의 일측이 곡면으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부분의 본체관 내부에 배관된 슬러지이송분관(30)도 절곡되도록 하여 슬러지이송분관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가 방향이 전환되어도 계속적으로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곡된 슬러지예열기(13)의 일측단부가 건조로와 직접 연결되면 슬러지예열기로 유입된 슬러지는 건조로에 투입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절곡된 슬러지예열기와 건조로 사이에는 연장관 또는 곡관을 더 설치하여 이송방향의 전환이 더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슬러지예열기(13)는 본체관(20)과 곡관(60) 및 연장관(70)으로 구성되고 각 관의 내부에는 슬러지이송분관(30)이 연통설치되어 도 5와 동일/유사한 효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러지예열기(13)는 측면에 가스배출구(22)가 형성되어 내부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도록 하고, 일측단면이 슬러지공급관(80)에 연통설치되어 슬러지를 공급받는 본체관(20)과; 상기 본체관의 타측단부에 일측단부가 연통설치되는 곡관(60)과; 상기 곡관의 타측단부에 일측단부가 연통설치되고, 타측단부가 건조로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건조로의 고온 배출가스를 유입하는 연장관가스유입구(71)가 형성된 연장관(70)과; 상기 본체관 곡관 연장관의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슬러지공급관(80)의 슬러지를 공급받아 건조로로 배출시키는 슬러지이송분관(30)과; 상기 다수의 슬러지이송분관 양단에 설치되데 슬러지이송분관(30)과 본체관(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고온의 배출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본체관(20)과 곡관(60) 및 연장관(70)의 내부에 다수의 배플(50)을 설치하여 유입된 고온의 배출가스가 설치된 배플 사이로 지그재그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배플을 설치하면 배출가스가 관체 내부에 배선된 슬러지이송분관과 고르게 접촉할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저에너지 건조시스템(10)은 건조로(14)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100~150℃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 건조로의 경우 배출가스를 통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100℃이하의 조건에서 운전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건조로의 배출가스가 건조로에 투입되는 슬러지를 예열시키는데 재사용됨으로 건조로의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스팀량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건조로의 배출가스 온도에 따른 건조로에 필요한 스팀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base는 슬러지예열기가 없는 종래의 건조시스템이고, 나머지 90, 100, 110℃는 본발명에 따른 슬러지예열기를 장착한 건조시스템을 사용한 측정데이터이다. 또한, 종래 건조시스템과 본 발명의 건조시스템은 하루에 하수슬러지 1 ton/day 로 설계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건조시스템인 base는 건조로의 배출가스 출구 온도를 일반적인 건조시스템의 온도인 95℃로 설정했을 때의 필요한 스팀유량이 870 kg/h 로 나타났다.
반면, 본원발명에 따른 슬러지예열기를 장착한 건조시스템의 경우에는 건조로의 배출가스 출구 온도를 90℃로 설정했을 때 사용되는 스팀유량은 780 kg/h, 출구 온도를 100℃로 설정했을 때 사용되는 스팀유량은 760 kg/h, 출구 온도를 110℃로 설정했을 때 사용되는 스팀유량은 500 kg/h 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바와같이 건조로의 배출가스 출구 온도가 110℃인 경우에는 건조로에 필요한 스팀유량이 종래 건조시스템에서 사용된 스팀유량보다 약 40% 이상 절감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