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421B1 -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421B1
KR102554421B1 KR1020220172809A KR20220172809A KR102554421B1 KR 102554421 B1 KR102554421 B1 KR 102554421B1 KR 1020220172809 A KR1020220172809 A KR 1020220172809A KR 20220172809 A KR20220172809 A KR 20220172809A KR 102554421 B1 KR102554421 B1 KR 102554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uperheated steam
module
steam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신철호
이재원
박준형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주)윈텍글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텍글로비스 filed Critical (주)윈텍글로비스
Priority to KR102022017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나 오폐수의 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의 건조 처리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하수나 오폐수의 처리시 발생하는 수분이 많은 슬러지를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하도록 하며, 과열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의 시스템에서, 보조 증기공급모듈을 통해 증기를 보강 공급하여 과열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수분의 부족으로 과열증기가 부족하게 되어 슬러지가 탄화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슬러지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Drying treatment system of wastewater sludge}
본 발명은 하수나 오폐수의 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의 건조 처리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하수 슬러지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 등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하수 슬러지의 무단 방류나 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하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 가정,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하수 및 분뇨 처리 시 다량의 슬러지가 발생하며 이러한 슬러지의 경우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악취가 심하게 발생할 뿐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가 진행되어 해충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소각, 탄화, 건조, 바이오가스화 등의 방법으로 이러한 슬러지를 처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는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하여 하수에 포함된 유기성 슬러지를 물과 함께 덩어리로 응집 및 침전시킨다. 이러한 처리방법에 따르면 비중이 12 정도의 슬러지 덩어리로 분리 및 회수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응집 및 분리된 유기성 슬러지를 기계적 공법으로 탈수한 이후에도 재활용 또는 매립처리에 적합한 함수율 기준을 맞추기 위해 열처리 및 건조 소각 등의 2차 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건조드럼과 같은 장치 구조를 이용하여 건조를 수행하는 처리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슬러지 건조의 경우 높은 함수율 및 점도로 인해 슬러지가 건조드럼 내부에서 덩어리 형태로 고착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건조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나아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건조 응축수의 악취 및 유해가스의 발생은 다른 환경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2431347호를 통해, 수나 오폐수의 처리시 발생하는 수분이 많은 슬러지를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하도록 하며, 건조시발생하는 수분을 재순환시켜 과열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를 구현하여 건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2431347호의 경우,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효율측면에서는 매우 높은 건조효율을 보이고 있으나, 슬러지의 건조시 발생하는 수분을 재순환하여 과열증기를 형성하는 시스템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나, 과열증기원이 되는 슬러지 건조 발생 수증기의 양이 부족한 경우, 슬러지가 탄화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슬러지가 탄화하는 경우, 슬러지를 고형 연료화하는 재이용시 높은 탄화율로 인해 발열양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높이면서도, 탄화율을 저감하고, 유해가스를 효율적으로 절감하는 시스템 개량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2431347호 한국등록특허 제1954139호 한국등록특허 제15503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나 오폐수의 처리시 발생하는 수분이 많은 슬러지를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하도록 하며, 과열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의 시스템에서, 보조 증기공급모듈을 통해 증기를 보강 공급하여 과열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수분의 부족으로 과열증기가 부족하게 되어 슬러지가 탄화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슬러지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모듈(100); 상기 슬러지공급모듈(100)에서 슬러지를 공급받아, 과열증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슬러지건조모듈(200);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정화 또는 배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응축수처리모듈(300);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에 공급되는 과열증기를 형성하는 과열증기보일러(B)를 구비하는 과열증기공급모듈(400); 및 상기 과열증기공급모듈(400)에 대하여,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일러(B1)에서 증기화하고, 과열증기공급모듈(400)로 증기를 보강공급하는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은, 공급수탱크(510)에서 냉각수를 유입받아, 보조 보일러(520) 통해 증기를 형성하여, 상기 과열증기공급모듈(400)의 과열증기보일러(B)로 유입시키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나 오폐수의 처리시 발생하는 수분이 많은 슬러지를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하도록 하며, 과열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의 시스템에서, 보조 증기공급모듈을 통해 증기를 보강 공급하여 과열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수분의 부족으로 과열증기가 부족하게 되어 슬러지가 탄화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슬러지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슬러지를 공급하는 공급모듈을 개량형 노즐 구조로 구현하여, 절단기(cutter) 없이도 슬러지를 분할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슬러지 건조장치에 구비되는 컨베이어에 따른 이송모듈의 일측에 가이드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컨베이어 순환시 말단에서 낙하하는 슬러지를 안정적으로 내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건조효을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높이고, 슬러지의 탄화율을 낮출 수 있도록 구현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제공되는 슬러지를 고형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발열량이 증대하게 되며, 유해가스(황화수소, 암모니아)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증기 공급으로 인해 과열증기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경우, 건조효율이 높아져, 응축수의 발생이 현저하게 저감되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을 실제로 구현한 시스템 계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슬러지건조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을 실제로 구현한 장치 구조의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러지 분사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응축수를 정화하는 응축수정화모듈(CL)의 동작 및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2에서 상술한 과열증기형성모듈(400)의 보일러(B)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을 실제로 구현한 시스템 계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모듈(100); 상기 슬러지공급모듈(100)에서 슬러지를 공급받아, 과열증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슬러지건조모듈(200),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정화 또는 배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응축수처리모듈(300),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에 공급되는 과열증기를 형성하는 과열증기보일러(B)를 구비하는 과열증기공급모듈(400), 및 상기 과열증기공급모듈(400)에 대하여,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일러(B1)에서 증기화하고, 과열증기공급모듈(400)로 증기를 보강공급하는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은, 공급수탱크(510)에서 냉각수를 유입받아, 보조 보일러(520) 통해 증기를 형성하여, 상기 과열증기공급모듈(400)의 과열증기보일러(B)로 유입시키는 작용을 하여, 보조 증기공급모듈을 통해 증기를 보강 공급하여 과열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수분의 부족으로 과열증기가 부족하게 되어 슬러지가 탄화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2431347호의 슬러지 건조시스템에서,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수분을 순환시켜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구조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과열증기 생성을 위한 수분을 외부의 물공급라인(511)을 통해 공급받아 공급수탱크(510)에 저장하고, 공급수탱크(510)의 물을 1차적으로, 보조 보일러(520)을 통해 가열하여 증기화한 후, 발생한 증기를 과열증기공급모듈(400)의 과열증기보일러(B)로 유입하여, 신속하게 과열증기로 구현하여 공급함으로써, 과열증기 생성을 위한 증기 부족의 문제를 해소하고, 슬러지의 과건조로 인한 탄화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2431347호의 슬러지 건조시스템에서, 슬러지의 과건조로 인한 과탄화 슬러지의 발생비율을 줄이면서도, 슬러지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슬러지의 공급방식을 단순 분사 공급이나, 연속적인 공급 형태가 아닌, 펠릿화한 구조체로 공급하도록 하며, 이를 위한 구조물로,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슬러지 분사모듈(130)의 구조를 도입하도록 하였다.
상기 슬러지 분사모듈(130)은 내부에 슬러지를 1차적으로 수용한 다음, 점진적으로 압착하고, 전면부에 형성되는 압출판과 압출홀 구조물을 이용하여 가래떡 형태의 압출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압출물은 별도의 커팅(cutting)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압출물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절단되어 공급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위 펠릿화한 구조로 제공되게 되는바, 공급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를 위한 슬러지분사모듈(130)은, 슬러지공급부(210)에 포함되는 구조물로, 이송라인을 통해 슬러지를 유입받는 유입부(131)와, 상기 유입부(131)에서 유입되어 이송관(132)를 경유하는 슬러지를 수용하여 압축 및 배출하는 압출몸체부(133), 상기 압출몸체부(133)의 전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압출홀(135)이 형성되는 압출판(134)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슬러지분사모듈(130)의 압출몸체부(133)는, 이송관과 연결되는 유입부(aa)의 폭(d1)이 압출판(134)가 배치되는 배출부(bb)의 폭(d2)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aa)에서 배출부(bb)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되는 다량의 슬러지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내부로 수용되며 압착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슬러지분사모듈(130)의 압출몸체부(133)는, 상기 유입부(aa)의 두께(d4)가 상기 배출부(bb)의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aa)에서 배출부(bb)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슬러지를 말단(압출판) 쪽으로 갈수록 슬러지가 압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형상은, 다량의 슬러지가 공급압력에 의해 압출몸체부 내부에서 압착이 이루어지며, 압출물 형태(가래떡 형상)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압출물의 입체 구조는 슬러리 형태의 형상물 대비 표면적이 넓어져(고수분의 점성을 가진 유동성 물질 상태의 경우, 노출표면 부분에 과열증기가 과다 노출되어 탄화가 쉽게 발생함), 과열증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쉽게 탄화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슬러지건조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구성을 실제로 구현한 장치 구조의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은 도 2 및 도 3,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슬러지공급모듈(100)에서 슬러지를 슬러지 분사모듈(130)을 통해 압출물 형태로 가공하여 공급받게 되며, 공급된 입체 구조의 압출물 형태의 슬러지에 과열증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은, 슬러지를 유입받는 본체 하우징(H)을 구비한다. 본체 하우징은 내부에 다음과 같은 장치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은, 슬러지를 유입받는 본체 하우징(H)을 구비하며, 상기 슬러지공급모듈(100)이 이송라인(120)을 통해 이송된 슬러지를 분사하여 공급하는 슬러지공급부(210), 상기 슬러지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이송받은 제1메쉬형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1이송부(220), 상기 제1이송부(220)의 제1메쉬형 컨베이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과열증기분사부(230); 상기 제1이송부(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220)를 경유한 슬러지를 재이송하는 제2메쉬형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2이송부(240), 상기 제2이송부(240)의 제2메쉬형 컨베이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과열증기분사부(250); 및 상기 본체 하우징(H) 내부에서 슬러지의 건조시 발생하는 건조가스를 배출모듈(900)을 경유하여 배출시키는 건조가스배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러지공급부(210)을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라인을 통해 슬러지를 유입받는 유입부(131)와, 상기 유입부(131)에서 유입되어 이송관(132)를 경유하는 슬러지를 수용하여 압축 및 배출하는 압출몸체부(133), 상기 압출몸체부(133)의 전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압출홀(135)이 형성되는 압출판(134)을 구비하는 슬러지 분사모듈(130)을 포함하는 장치구조물로 정의한다.
상기 슬러지공급부(210)에서는, 상기 슬러지 분사모듈(130)에서 공급된 가래떡 형태로 구현된 입체 구조의 압출물 형태의 슬러지를 공급한다.
상기 제1이송부(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쉬형 컨베이어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M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쉬형 컨베이어 구조는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이 메쉬형 구조로 통기성 구조로 구현되며, 상부에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가 공급되는 경우, 메쉬 구조로 인해 하부로 수분이 배출되기 편리하며, 상하 위치에서 과열증기가 분사되는 경우, 슬러지가 과열증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상하로 이루어지게 되어, 건조효율이 매우 높아지게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
상기 제2이송부(240) 역시 상기 제1이송부(220)에서 건조과정을 거친 슬러지가 재차로 이송되는 구조로 동일하게 메쉬형 구조로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부의 상부와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는 과열증기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제1과열증기분사부(230)이 배치되로록 한다. 상기 제1과열증기분사부(230)는 메쉬형 컨베이어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메쉬형 컨베이어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에 과열증기를 분사하게 되며, 이 경우 메쉬구조로 인해 메쉬를 관통하여 과열증기가 슬러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슬러지는 상하에서 공급되는 고옵의 과열증기로 건조되면서 교반이 이루어지는 작용이 동시에 구현되게 되어, 효율적인 수분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제2이송부(240)을 구성하는 메쉬형 컨베이어의 상부 및 하부의 이격위치에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과열증기분사부(2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역시 메쉬형 컨베이어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에 과열증기를 분사하게 되며, 이 경우 메쉬구조로 인해 메쉬를 관통하여 과열증기가 슬러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제1이송부(220) 및 제2이송부(240)을 순차로 경유한 슬러지는 과열증기와 접촉하며 건조가 되게 되며, 건조된 슬러지는 슬러지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제3이송부(27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은 이송 구조에서, 슬러지의 형태가 입체 압출물 형상으로 공급되어, 제1이송부-->제2이송부-->제3이송부가 각각 상하로 이격되어 있으며, 입체 압출물이 컨베이어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다, 컨베이어의 말단부분에서 자유 낙하하는 방식으로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입체 구조물의 특성상, 수평방향의 운동량을 가지게 되며, 수직낙하가 아니라 일정 부분 수평방향으로 진행하여, 하부의 컨베이어로 낙하하지 않고 외부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를 하부에 배치되는 이송부의 컨베이어로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다수 구비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다수 구비하되, 제1이송부(2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슬러지 분사모듈(130)에서 압출공급되는 슬러지를 가이드하는제1가이드플레이트(P1)를 구비한다. 이는, 슬러지 분사모듈(130)에서 공급되는 가래떡 형태의 입체 압출물이 컨베이어의 표면과 충돌하며 좌우로 튀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이송부(220)의 제1메쉬형컨베이어가 순환회전하는 말단부와 상기 제2이송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P2)를 구비하며, 이는 제1이송부(220)의 컨베이어 상의 슬러지가 컨베이어의 말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이탈하는 경우, 슬러지의 이탈을 차단하고, 하부의 제2이송부의 컨베이어 표면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240)의 제2메쉬형컨베이어가 진행하여 순환회전하는 타측 말단부 쪽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플레이트(P3)의 경우, 제2이송부(240)의 좌측말단부에서 낙하하는 슬러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동시에, 제2이송부를 경유한 슬러지를 배출부(800)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3이송부(270)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3가이드플레이트(P3)를 경유한 슬러지를 제3이송부로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플레이트(P4)를 구비하여, 최종적으로 제3이송부(270)의 컨베이어에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러지건조모듈(2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작동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라인(120)을 통해서 유입된 슬러지가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슬러지 분사모듈(130)을 통해, 입체 압출물 형태의 구조로 메쉬형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1이송부(220)에 투입된다. 구동모터(M1)의 동작으로 메쉬형 컨베이어가 진행을 하게 되며, 일부 수분은 아래로 배출되게 되며, 제1과열증기분사부(230)의 위치를 지나는 경우, 메쉬형 컨베이어 상부 및 하부에서 과열증기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제1과열증기분사부(230)는 메쉬형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분사부(230A)와 메쉬형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분사부(230B)로 구성되모, 메쉬형 컨베이어의 상하부에서 동시에 과열증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투입되는 슬러지의 교반과 동시에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 도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슬러지는 제1이송부(220)의 우측 말단에서 하부로 낙하하며 제2이송부(240)의 메쉬형 컨베이어로 투입되게 된다.
이후, 구동모터(M2)의 동작에 의해, 제2이송부(240)의 메쉬형 컨베이어는 도 3의 도면에서, 우--->좌이동하며, 동시에 제2이송부(240)의 메쉬형 컨베이어의 상부 및 하부의 과열증기분사부(250A, 250B)를 통해 과열증기를 분사받아 건조되게 된다. 이 과정을 거친 슬러지는 제2이송부(240)의 좌측 말단에에서 하부로 낙하하며, 슬러지이송컨베이어부(270)에 투입되며,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입체 압출물 형태의 슬러지는 가이드플레이트 구조물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과열증기의 공급은, 제1이송부에 과열증기 공급을 하는 상부 및 하부분사부(230A, 230B)는 과열증기 이송1라인(231)을 통해 분지관(232, 233)을 통해 공급된다. 제2이송부에 과열증기 공급을 하는 상부 및 하부분사부(250A, 250B)는 과열증기 이송2라인(234)를 통해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4의 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메쉬형 컨베이어를 구비한 제1이송부(220)의 일부를 도시하였으며, 그 하부에 배치되는 제1과열증기공급부(230)의 평면구조를 도시하였다.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과열증기 이송1라인(231)을 통해 분지관(232, 233)을 통해 공급받은 과열증기는 파이프형태의 분사관을 따라서 이동하며, 분사홀(h1, h1)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과열증기 분사부의 구조는, 메쉬형 컨베이어 당 한 쌍이 배치되게 되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주요 구성들과 상술한 슬러지건조모듈(200)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에 공급되는 과열증기는 과열증기형성모듈(400)에서 형성되며, 상기 과열증기형성모듈(400)은 과열증기를 형성하는 보일러(B)와 과열증기 이송1라인(231) 및 과열증기 이송2라인(234)를 통해 과열증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과열증기를 형성하는 과열증기 보일러는 재열증기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보일러 구조(도 8)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열증기의 형성은,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일러(B1)에서 증기화하고, 과열증기공급모듈(400)로 증기를 보강공급하는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은, 공급수탱크(510)에서 냉각수를 유입받아, 보조 보일러(520) 통해 증기를 형성하여, 상기 과열증기공급모듈(400)의 과열증기보일러(B)로 유입시키게 된다.
즉,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은, 공급수탱크(510)에서 냉각수를 유입받아, 보조 보일러(520) 통해 증기를 형성하여, 과열증기공급모듈(400)의 과열증기보일러(B)로 유입시키는 작용을 하여, 보조 증기공급모듈을 통해 증기를 보강 공급하여 과열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수분의 부족으로 과열증기가 부족하게 되어 슬러지가 탄화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2431347호의 슬러지 건조시스템에서, 슬러지의 과건조로 인한 과탄화 슬러지의 발생비율을 줄이면서도, 슬러지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슬러지의 공급방식을 단순 분사 공급이나, 연속적인 공급 형태가 아닌, 펠릿화한 구조체로 공급하도록 하며, 이를 위한 구조물로,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슬러지 분사모듈(130)의 구조를 도입하도록 하였다.
상기 슬러지 분사모듈(130)은 내부에 슬러지를 1차적으로 수용한 다음, 점진적으로 압착하고, 전면부에 형성되는 압출판과 압출홀 구조물을 이용하여 가래떡 형태의 압출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압출물은 별도의 커팅(cutting)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압출물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절단되어 공급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위 펠릿화한 구조로 제공되게 되는바, 공급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과열증기모듈에서 발생하는 건조 수증기를 회수하여 순환하는 한국등록특허 제2431347호의 슬러지 건조시스템에서의 구조는 건조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이 미량에 해당하여 과열증기 발생에 실효적이지 못하며, 본 발명에서의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을 통해 공급되는 과열증기가 충분하게 공급되는바, 기존의 건조증기를 재순환하여 사용하는 구조는 채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다만, 슬러지건조모듈에서 발생하는 건조 가스의 경우, 본체 하우징(H) 내부에서 슬러지의 건조시 발생하는 건조가스를 배출모듈(900)을 경유하여 배출시키는 건조가스배출부(260)로 구현하여 과열증기에 의해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서 과열증기의 공급이 충분하게 공급되어 슬러지가 건조하는 경우, 과열증기에 의해 황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며, 이는 과열증기에 의해 일부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다시 연소하여 유해가스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저감되는 것으로 친환경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보조증기의 공급으로 과열증기량이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 슬러지의 형태를 입체 형상의 구조물로 구현하여 건조가 수행되게 되는바, 건조효율을 향상하면서도 슬러지의 탄화율을 낮출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건조슬러지를 추후 고형연료로 사용할 경우, 발열량이 향상되는 특징이 구현되게 된다.
나아가, 보조증기의 공급으로 과열증기량의 충분히 확보되어,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되며, 이 경우, 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응축수의 양도 현저하게 저감되는 기능성이 확보되게 된다. 다만, 미량의 응축수의 경우, 분리되어 응축수처리모듈(3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응축수처리모듈(300)은 유입되는 고온의 수증기의 열을 조절하는 수냉식 열교환기(301)과 응축된 수증기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T)를 포함한다. 나아가, 저장되는 응축수를 정화하는 응축수 정화모듈(CL)에서는 응축수를 정화하여 응축수가 가지는 악취 및 유해가스, 산도(PH)를 조절하여 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상술한 수냉식 열교환기(301)를 작동하기 위한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모듈(600)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모듈(600)은, 시상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탱크(610)와 냉각수펌프(620)을 통해 냉각수공급라인(622)를 경유해 냉각수를 열교환기(301)로 공급하며, 사용된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라인(624)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응축수정화모듈(CL)을 경유하지 않는 응축수는 바로 응축수배출모듈(7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출모듈(700)은 오염도가 크지 않고, 악취나 산도가 높지 않는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응축수 탱크(T)에 있는 웅축수는 이송펌프(711)을 통해 이동하며, 페수탱크(710)에 저장된 후, 배출되는 경로를 거친다. 또는, 다른 경로로는, 경미한 악취를 포함하는 경우, 스크러버 장비가 구비된 소취장치(720)에서 정화과정을 거치고, 배출펌프(730)을 거쳐서 배출탱크(740)에 저장된 이후 배출 처리될 수 있다.
이상의 과정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오염도와 악취정도가 심한 응축수를 정화하는 응축수정화모듈(CL)의 동작 및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응축수를 정화하는 응축수정화모듈(CL)의 동작 및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응축수 정화모듈(CL)은, 응축수 탱크(T) 하부에 연결되어, 슬러지 건조작업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이송하는 응축수 이송라인(310)과, 배출되는 상기 응축수의 온도를 제1온도로 조절하는 응축열조절부(320), 상기 제1온도로 조절된 응축수에 대하여 정화제를 투입하는 정화제공급부(330), 상기 정화제가 투입된 상기 응축수를 혼합하는 제1혼합부(340), 상기 정화제가 혼합된 응축수를 계류시키며, 교반하여 정화반응을 수행하는 반응부(350), 상기 반응부(350)에서 반응이 완료된 제2응축수의 배출온도를 제2온도로 조절하는 냉각열조절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정화모듈(CL)은, 상기 반응부(350)에서 배출되는 제2응축수에 대하여 중화제를 투입하여 중화반응을 유도하는 중화제공급부(360), 상기 제2응축수와 중화제를 혼합시켜 중화반응을 발생하는 제2혼합부(370), 상기 냉각열조절부(380)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제2응축수의 산도(Ph)를 측정하고, 상기 중화제공급부(360)에서 투입할 중화제의 양을 산출조절하는 배출수 검출부(3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응축수 정화모듈(CL)의 주요 구성에 대한 기능 및 정화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슬러지 건조처리를 수행하는 수용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본 발명의 응축수배출라인(310)을 타고 배출되게 된다. 이 경우, 배출되는 배출수는, 과열증기에 의해 재생과정에 이용된 배출수이므로, 통상 105℃~110℃의 고온에 해당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화제와 혼합하여 반응을 최적화하기 위한 반응온도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응축열조절부(320)를 통해 온도 조절을 수행한다. 즉, 응축열 조절부(420)의 구성은, 고온의 응축수의 온도를 산화반응의 가장 최적합 온도로 조절하는 열교환기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통상 슬러지 처리 응축수는 그 자체로 고온의 열수(105 ℃ 이상)를 고온(95 ℃) 범위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응축열조절부(320)를 경유한 배출수에 대하여 액상의 정화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정화제 공급부(330)의 구성은, 별도의 저장탱크(331)를 통해서, 액상의 정화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과황산염을 적용한다.)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라인으로 구성되며, 응축수의 배관라인에 직접 과황산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투입된 과황산염은 제1혼합부(440)에서 계류하여 1차적으로 혼합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응축수를 정화하는 구성에서, 과황산나트륨과 같은 과황산염은 고온(95 ℃) 범위에서 정화반응이 가장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장치 시스템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고온을 가지고 있는바, 별도의 배출수의 가열장치등의 열원장치가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구현되게 된다.
이후, 반응부(450)의 경우, 혼합된 응축수와 정화제가 특정의 온도에서 일정한 반응조에 수용되며, 정화반응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성된다. 정화제로 사용되는 액상의 과황산염과 배출수(응축수)가 반응하며 정화반응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일정한 교반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화제공급부(460)를 구비하여, 정화되는 배출수(응축수)의 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화제공급부는, 중화제(이를 테면, NaOH)를 저장하는 저장탱므를 액상으로 고급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화반응이 구현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라인으로 직접 액상의 중화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배출되는 응축수의 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정화반응이 과황산염과 반응하여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pH1~2 정도의 강산성을 가지나, 중화반응을 통해 PH6 ~PH8 의 중성 또는 약염기성의 산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배관라인으로 공급되는 중화제와 응축수는 제2혼합부(470)에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투입되는 중화제의 양은, 배출수검출부(490)을 통해 배출수의 PH를 검출하고, 이에 부합하는 중화제의 양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각열조절부(48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정화반응과 중화반응이 완료된 응축수의 경우, 90℃ 내외의 고온인바, 이 온도를 배출에 적합한 온도로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온도를 현저하게 낮추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슬러지 건조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출수를 정화제를 투입하여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배출수 가열장치 없이도, 배출수의 온도를 활용하여 정화제의 효율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치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특히, 과열증기 슬러지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고온의 폐수인바, 정화시 별도의 반응온도처리를 위한 가열설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적합한 정화제를 투입하여 배출과정에서 정화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경제적인 정화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2에서 상술한 과열증기형성모듈(400)의 보일러(B)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하는 과열증기형성모듈(BL)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과열증기형성모듈(BL)은 과열증기를 생성하며, 배관을 통해 과열증기를 슬러지의 건조 처리를 수행하는 수용조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과열증기형성모듈(BL)은 과열증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과열증기를 형성하되, 연소실(4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너(442)를 구비하며, 상기 버너의 하부에 배치되는 화염차단망(443)을 포함하는 보일러(440) 및 상기 화염차단망(443)의 외주연을 둘러싸는 구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증기히팅관(451)과, 상기 증기히팅관(451)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는 증기유입관(452) 및 증기배출관(453)을 포함하는 과열증기형성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과열증기형성부(450)는, 상기 증기히팅관(451)의 일단에 상기 증기유입관을 형성하여 증기공급실(147)로 연통시키며, 타단에 상기 증기배출관(453)을 형성하여 과열증기공급부(420)를 연통시키며, 상기 증기유입관(451)과 상기 증기배출관(4512)을 증기조절관(454)로 연통시켜 고온의 증기와 저온의 증기를 혼합하여 온도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과열증기형성모듈(BL)의 상세 구성의 기능 및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과열증기형성모듈(BL)의 보일러(440)는, 연소실(441)을 구비하며, 상부 중앙에 버너(442)를 배치한다. 상기 버너의 하부 방향으로는, 화염차단망(443)을 형성하여, 버너(443)의 불꽃이 횡방향으로 번져 후술하는 과열증기형성부(450)의 증기히팅관(451)에 화염이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소실(141)의 하부에는, 환형의 하부수조(446)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하부수조(446)와 증기공급실(447)을 수직으로 여통시키는 다수개의 수조파이프(444)를 일정간격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하부수조(446)와 증기공급실(147)을 수면계(445)로 연결하여 수조파이프(444) 내부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열증기형성부(450)는, 상기 연소실(441)의 수조파이프(444)의 내측으로 과열증기히팅관(451)을 형성하되, 과열증기히팅관(451)의 내주연 상부에 화염차단망(443)을 위치하도록 하여, 연소실(441)의 화염이 과열증기히팅관(451)에 직접 부딪치지 않도록 유도한다. 동시에, 연소실에서 열교환 시간과 면적을 최대로 늘려 고온의 과열증기를 원활하여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열증기히팅관(451)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형 또는 루프형이거나, 코일 및 루프의 혼합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코일형 과열증기히팅관(451)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코일형상의 과열증기히팅관(451)은 상하측에 열편향방지판(455)을 결합함과 동시에, 관과 관사이 틈새에 간격지지구(456)를 다수개 순차적으로 끼워, 증기히팅관(451)을 일정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열손실을 방지하고, 원활한 증기를 재히팅하여 원하는 온도의 과열증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과열증기히팅관(451)의 일단에는 증기유입관(452)를 형성하여 증기공급실(147)에 연통시키고, 타단에는 증기배출관(453)을 형성하여 고온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증기배출관(453)과 과열증기공급부(420)의 메인증기공급관(421)을 증기공급관(457)과 연토시켜 고온의 증기를 활성탄재생탱크 내부로 원할하에 공급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증기유입관(452)과 증기배출관(453)을 증기조절관(454)으로 연통시켜 고온의 증기와 저온의 증기를 효율적으로 혼합하여 원하는 온도의 증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보일러 구조는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에 필요한 과열증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신뢰도 높은 장치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과열증기를 형성하는 과열증기 형성 보일러의 구조를 고온의 증기를 효과적으로 생성하면서도 열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슬러지 공급모듈
130: 슬러지 분사모듈
131: 유입부 132: 이송관 133: 압출몸체부 134: 압출판
200: 슬러지 건조모듈
300: 응축수 처리모듈
400: 과열증기 형성모듈
500: 보조증기 공급모듈
600: 냉각수 공급모듈
700: 응축수 배출모듈
800: 슬러지 배출모듈
P1 ~ P4: 가이드플레이트

Claims (5)

  1.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모듈(100); 상기 슬러지공급모듈(100)에서 슬러지를 공급받아, 과열증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슬러지건조모듈(200);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정화 또는 배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응축수처리모듈(300);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에 공급되는 과열증기를 형성하는 과열증기보일러(B)를 구비하는 과열증기공급모듈(400); 및 상기 과열증기공급모듈(400)에 대하여,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일러(B1)에서 증기화하고, 과열증기공급모듈(400)로 증기를 보강공급하는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증기공급모듈(500)은, 공급수탱크(510)에서 냉각수를 유입받아, 보조 보일러(520) 통해 증기를 형성하여, 상기 과열증기공급모듈(400)의 과열증기보일러(B)로 유입시키며,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은,
    슬러지를 유입받는 본체 하우징(H)을 구비하며, 상기 슬러지공급모듈(100)이 이송라인(120)을 통해 이송된 슬러지를 분사하여 공급하는 슬러지공급부(210); 상기 슬러지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이송받은 제1메쉬형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1이송부(220); 상기 제1이송부(220)의 제1메쉬형 컨베이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과열증기분사부(230); 상기 제1이송부(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220)를 경유한 슬러지를 재이송하는 제2메쉬형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2이송부(240); 상기 제2이송부(240)의 제2메쉬형 컨베이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과열증기분사부(250); 및 상기 본체 하우징(H) 내부에서 슬러지의 건조시 발생하는 건조가스를 배출모듈(900)을 경유하여 배출시키는 건조가스배출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공급부(210)는, 이송라인을 통해 슬러지를 유입받는 유입부(131)와, 상기 유입부(131)에서 유입되어 이송관(132)를 경유하는 슬러지를 수용하여 압축 및 배출하는 압출몸체부(133), 상기 압출몸체부(133)의 전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압출홀(135)이 형성되는 압출판(134)을 구비하는 슬러지 분사모듈(130)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분사모듈(130)의 압출몸체부(133)는,
    이송관과 연결되는 유입부(aa)의 폭(d1)이 압출판(134)가 배치되는 배출부(bb)의 폭(d2)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aa)에서 배출부(bb)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분사모듈(130)의 압출몸체부(133)는,
    상기 유입부(aa)의 두께(d4)가 상기 배출부(bb)의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aa)에서 배출부(bb)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건조모듈(200)은, 슬러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다수 구비하되,
    제1이송부(2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슬러지 분사모듈(130)에서 압출공급되는 슬러지를 가이드하는제1가이드플레이트(P1);
    상기 제1이송부(220)의 제1메쉬형컨베이어가 순환회전하는 말단부와 상기 제2이송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P2);
    상기 제2이송부(240)의 제2메쉬형컨베이어가 진행하여 순환회전하는 타측 말단부 쪽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플레이트(P3);
    상기 제2이송부를 경유한 슬러지를 배출부(800)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3이송부(270)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3가이드플레이트(P3)를 경유한 슬러지를 제3이송부로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플레이트(P4);를 포함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KR1020220172809A 2022-12-12 2022-12-12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KR102554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809A KR102554421B1 (ko) 2022-12-12 2022-12-12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809A KR102554421B1 (ko) 2022-12-12 2022-12-12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421B1 true KR102554421B1 (ko) 2023-07-12

Family

ID=8716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809A KR102554421B1 (ko) 2022-12-12 2022-12-12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4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162A (ja) * 2005-04-27 2006-11-09 Asia Plant Service Kk 過熱蒸気循環型乾燥システム
KR20120020709A (ko) * 2010-08-31 2012-03-08 주식회사쿡웰 과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1550373B1 (ko) 2014-01-28 2015-09-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KR101954139B1 (ko) 2018-10-15 2019-06-17 (주)리사이텍 알케인 계열 용매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처리 방법
KR102431347B1 (ko) 2021-11-24 2022-08-11 (주)윈텍글로비스 슬러지 건조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162A (ja) * 2005-04-27 2006-11-09 Asia Plant Service Kk 過熱蒸気循環型乾燥システム
KR20120020709A (ko) * 2010-08-31 2012-03-08 주식회사쿡웰 과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1550373B1 (ko) 2014-01-28 2015-09-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KR101954139B1 (ko) 2018-10-15 2019-06-17 (주)리사이텍 알케인 계열 용매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처리 방법
KR102431347B1 (ko) 2021-11-24 2022-08-11 (주)윈텍글로비스 슬러지 건조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0134A1 (en) Vibratory heat exchanger unit for low temperature conversion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and proces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using a vibratory heat exchanger unit for low temperature conversion
KR101830270B1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082971B1 (ko) 건조로의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예열하는 저에너지 건조시스템
KR101534197B1 (ko)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KR101850120B1 (ko) 폐기물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시스템
US596683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 with indirectly heated driers and for decontaminating waste gas
KR102554421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슬러지 건조 처리 시스템
KR20060129144A (ko) 유기물 슬러지 처리 장치
KR102431347B1 (ko) 슬러지 건조처리 시스템
JP3908251B2 (ja) 過熱蒸気循環型乾燥システム
JP2004174426A (ja) 廃棄物処理装置
KR101306083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2425430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활성탄 재생 및 수처리 통합시스템
KR100836664B1 (ko) 송풍기의 폐열을 열풍으로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슬러지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US605861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 with indirectly heated driers and for decontaminating waste gas
KR102461368B1 (ko) 입상 활성탄의 재생설비 통합처리시스템
KR101873464B1 (ko) 고농도 슬러지 응축폐수 처리 시스템
KR101853725B1 (ko)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0421172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967747B1 (ko) 액상폐기물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2321912B1 (ko) 연속식 슬러지 건조장치
KR100292122B1 (ko)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의 하수 슬러지 소각장치 및 소각방법
KR20160089818A (ko) 고형 폐기물 자원회수장치
EP3990393B1 (en) Ammonia stripper apparatus
KR100416959B1 (ko) 직가열식 폐수증발농축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