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350B1 -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350B1
KR101817350B1 KR1020170064363A KR20170064363A KR101817350B1 KR 101817350 B1 KR101817350 B1 KR 101817350B1 KR 1020170064363 A KR1020170064363 A KR 1020170064363A KR 20170064363 A KR20170064363 A KR 20170064363A KR 101817350 B1 KR101817350 B1 KR 10181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image
walkway
river
t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규
김한승
이윤영
Original Assignee
(주)종성테크
박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성테크, 박종일 filed Critical (주)종성테크
Priority to KR102017006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에 따르면,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성 때문에 차단기의 앞면과 뒤면에 각각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접근하는 모든 인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거리센서를 통하여 인체가 감시된 후 외부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이 감시되면 차단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돌발 홍수와 우기에 하천 주변의 산책로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홍수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Sensing Control Apparatus for Security Entrance of Walkwa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발 홍수 및 우기 시 하천 산책로에 이어진 출입로에 사람의 접근 감시 시 차단 동작 중인 차단기의 긴급 자동 정지로 인명 사고를 방지 할 수 있고, 고장 발생 유무를 자가 진단하여 고장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요청할 수 있고, 하천 산책로 출입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를 통한 원격 차단 제어를 하여 산책로에 출입하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천 산책로에서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하천 범람으로 고립 및 인명 사고가 발생하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우기 시 담당 공무원이 산책로 출입구에 수동으로 출입 금지 끈을 이용하여 차단 금지를 표시하거나 수동차단기를 조작하는 상황에서는 긴급히 범람하는 하천 산책로에서 야간에 산책하거나, 운동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수동차단기를 이용하여 하천 범람 시 산책로의 출입을 차단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동차단기는 하천의 범람 여부를 실시간 인지하는 장비가 없기에, 담당 공무원 등의 관리원이 다수의 출입구에 가서 수동으로 차단기를 동작하게 되므로 과다한 인력 동원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로 인한 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원이 차단기를 수동으로 조작하더라도, 동시에 여러 산책 진입로의 차단기를 제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 등 긴급 차단이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종래에는 하천 범람에 의해 고립된 주민을 구하기 위해 소방관이 출동하여 구조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수동차단기가 설치되지 않은 곳은 출입 금지 끈으로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원이 직접 산책로 출입구마다 묶었으나, 비와 바람에 의해 유실 및 외관상 지저분해 보이기에 유지 보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038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성 때문에 차단기의 앞면과 뒤면에 각각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접근하는 모든 인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거리센서를 통하여 인체가 감시된 후 외부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이 감시되면 차단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돌발 홍수와 우기에 하천 주변의 산책로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홍수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성 때문에 차단기의 앞면과 뒤면에 각각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접근하는 모든 인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거리센서를 통하여 인체가 감시된 후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이 감시되면 차단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돌발 홍수와 우기에 하천 주변의 산책로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홍수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영상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하천 산책로의 다리 기둥 또는 산책로 벽의 좌측 과 우측의 이미지에 하천 위험 수위를 설정하는 영상 수위설정부; 인체의 접근을 영상과 거리센서로 감시한 후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의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시 신호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측정부; 거리센서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시함에 따라, 감시 대기상태의 거리센서에서 출력하는 감시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감시신호의 수치와 촬영된 영상의 영상 분석을 이용하여, 거리센서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모션판단부; 및 거리측정부와 영상 모션판단부의 처리로 인체가 차단기에 근접 시 위험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단기 동작 중지 명령을 차단기 모듈로 전달하는 제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리센서는 n(2이상의 자연수)개 구비되고, 영상 모션판단부는 n에 상응하는 개수로 거리 신호를 차단 동작 시간과 계산하여, 상기 인체 감시 거리를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수위설정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산책로의 다리 기둥 또는 산책로 벽의 좌측과 우측의 이미지와 하천 위험 수위로 설정된 임계치의 높이 값을 비교하며; 거리센서 또는 차단모듈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처리부는 상기 차단기 동작 중지의 해지에 따라 차단기모듈로 동작 허용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처리부는 거리센서의 값이 임계치 수준으로 변경되어 측정되거나 또는 하천 다리 기둥 및 하천 좌측과 우측 벽의 수위 영상 분석 결과 위험 단계로 변경될 경우 차단기모듈로 동작 중지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차단기 동작 중지 명령의 전달에 연동하여,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장치 식별자 및 차단상태를 포함한 릴레이(Relay)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신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상기 릴레이 정보를 전송하여 차단 순서에 따라,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는 산책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관제서버에 차단동작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에 따르면,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성 때문에 차단기의 앞면과 뒤면에 각각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접근하는 모든 인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거리센서를 통하여 인체가 감시된 후 외부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이 감시되면 차단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돌발 홍수와 우기에 하천 주변의 산책로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홍수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스마트 기기 및 관제서버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다른 플로우차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 거리센서와 내/외부 카메라 및 통신모듈이 각각 이중으로 장착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끼리 순차적으로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연계되어 하천 범람 예측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복수 개의 거리센서를 사용하여 선정된 커버리지(예컨대, 10 cm ~)(101)로 접근하는 인체(산책하는 사람)를 감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거리센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돌발 홍수와 우기에 하천 주변을 산책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기 위한 것으로, 거리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성 때문에 차단기의 앞과 뒤에 각각 설치하여 접근하는 모든 인체를 감시할 수 있으며, 차단바의 길이에 따라 각 면에 1개 이상 설치해야 인체를 정상적으로 감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은 각각의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인체의 접근에 관한 감시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시신호의 수치가 거리센서의 값이 지정한 임계치 이하일 경우, 거리센서의 동작 상태는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각각의 거리센서로부터 한 개 라도 감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인체의 접근이 감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차단기모듈로 정지 명령을 전달 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기모듈은 예를 들어, 에너지 효율이 높은 모터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거리센서에 의해 하천 산책로에서 산책하는 사람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만 차단기모듈을 정지하여 모터의 소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수 개의 거리센서 중 일부의 거리센서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감시신호가 변화되지 않으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거리센서가 비정상으로 동작, 즉 고장 발생이라고 판단하여, 차단기모듈로 중지 명령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거리센서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모듈 및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은 RS485, LAN과 같은 유선 케이블로써 구현될 수 있고, 비 면허 무선 통신모듈은 상용 무선망인 CDMA & IOT망과 Lora를 이용하는 비 면허 무선망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과 비 면허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관제서버(120) 또는 인접한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통신함 으로써, 통신 모듈의 고장에 대비할 수 있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하천 관리자가 스마트 기기(110)를 소지할 경우,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 기기(110)가 관제서버(120)의 웹 서버에 접속 할 수 있으며, 차단기 동작을 관제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120)는 스마트 기기(110)에서 차단기를 동작시킨 위치 정보를 외부의 기관서버(130)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에서 원격제어 이력 조회 시 기관서버(130)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외부의 기관서버(130)는 허가된 하천 관리자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며, 관제서버(120)로부터 스마트 기기(110)의 차단기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 기기(110)의 관리자 암호를 식별한 후 차단 정보를 관제서버(120)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차단 명령을 전송하여 하천 범람 시 하천 산책로에서의 고립 및 사고에 대해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은 관제서버(120)로부터 범죄인 정보를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기기(110)로 차단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정상제어가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상기 인체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차단기모듈로 정지 명령을 전달하고, 비 면허 대역폭을 사용하는 Lora모듈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한 N(N은 자연수)개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140)에 관한 장치 식별자 및 차단 순서를 포함한 릴레이(Relay)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의 앞뒤 또는 좌우에 설치된 N개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140)의 장치 식별자를 식별하고,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N개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140)에 대한 동작 순서를 부여하여 상기 릴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상기 릴레이 정보를,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인접한 N개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140)에 전송하여, 정지 순서에 따라 각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140)에서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거리센서(201), 차단기모듈(202),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 거리측정부(210), 영상 모션판단부(220), 제어처리부(230), 영상 수위비교부(240), 영상 수위설정부(250), 수신부(260), 생성부(270) 및 통신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리센서(201) 감시 대기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접근하는 인체(산책하는 사람)를 감시할 경우, 감시신호를 출력하여 수신부(260)에 입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n개의 거리센서(201)는 각 거리센서(201)를 차단바 앞/뒤에 각각 설치하여 출입로 양쪽에서 인체를 검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거리센서가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장착될 경우, 각 거리센서(201)는 양면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넓게 배치되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가 산책로 양방향을 원활히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넓게 배치되어 장착된 n개의 거리센서(201)는, 여러 방향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접근하는 인체를 보다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으며, 수신부(260)는 n개의 거리센서(201)의 각각으로부터 감시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n개의 거리센서(201)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배치된 위치 등의 차이로 인해 인체의 접근을 감시하여 감시신호를 출력하는 데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부(260)는 지정된 거리 범위(예컨대, '10cm') 이내에 위치한 n개의 거리센서(201)의 각각으로부터 감시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거리측정부(210)는 인체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지정된 거리 범위(예컨대, '10cm') 이내에 위치한 n개의 거리센서(201)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차의 범위는 n개의 거리센서(201)의 각각이 인체의 접근을 감시하여 감시신호를 출력하는데 발생하는 거리 값을 고려하여 임계치를 지정할 수 있으며, 거리센서(201)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설정 수는 보다 많아질 수 있다.
영상 모션판단부(220)는 촬영된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화 후 색상의 변화도를 이용하여, 거리센서(201)에 대한 거리값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 모션판단부(220)는 촬영된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 후 색상의 변화 정도와 모션 감시 알고리즘의 산출값과 모든 거리센서(201)로부터 감시신호가 입력된 값을 확인하여, 거리센서(201)의 정상 유무를 판단 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모션판단부(220)는 촬영된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 후 색상의 변화가 거리센서(201)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일부의 거리센서(201)로부터 감시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여, 해당 거리센서(201)를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거리센서(201)의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자가 진단할 수 있다.
영상 모션판단부(22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근접을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영상 모션판단부(22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모션판단부(220)에 의해 측정되어 인체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차단기모듈(202)로 정지 명령이 전달된 상태에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로 관제서버의 차단기 상태정보 웹 화면을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정지된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제어처리부(230)는 거리센서(201)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차단기모듈(202)로 정지 명령을 전달한다.
즉, 제어처리부(230)는 모든 거리센서(201)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경우, 감시신호의 입력에 대한 결과로서 차단기모듈(202)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차단기모듈(202)은 차단바의 안전한 동작을 위해 0.25rpm으로 동작가능한 감속기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처리부(230)는 상기 정지 명령의 종료에 따라, 차단기모듈(202)로 재 기동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 동작 타이머는 단위 시간 '10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처리부(230)는 재동작 타이머에 설정된 '10초'가 시간 경과에 따라 차감되어 '0초'로 되면, 정지된 차단기모듈(202)을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 명령을 차단기모듈(20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처리부(230)는 상기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측 영상 이미지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에서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변경되어 계산되거나, 또는 관제서버(120)에서 현재 하천수위가 낮은 단계로 파악됨에 따른 차단 복귀 명령을 전달받을 경우, 차단기모듈(202)로 차단 복귀 명령을 전달하여 안전바를 원래의 위치로 올릴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영상 수위비교부(240)는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에 의해 촬영된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측 영상 이미지와, 설정된 수위 이미지 임계치를 비교하여 위험 수위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류하여 등급을 정한다.
여기서,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출과 일몰 시간에 태양광에 의한 역광을 받을 경우,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는 반대 위치에 있기에 역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설정한 위험 수위를 비교하기 위한 이미지 단계는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에 의해 촬영된 하천 수위로 인지 될 수 있다.
영상 수위비교부(240)는 가독성을 위해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에 의해 촬영된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측 영상 이미지에 관리자가 설정한 기준선 이미지와 합병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는 실시간으로 하천의 위험 수준을 인지케 하여 차단기모듈(202)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위비교부(240)는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설정된 수위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으며, 현재 차단기모듈(202)의 동작이 필요한지 여부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이미지 분석으로 수위의 단계를 인지 할 수 있다.
참고로,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 중 어느 하나인 좌 영상카메라(20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영상 수위설정부(250)는 상기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를 우측 영상 이미지로 대체할 수도 있다.
영상 수위설정부(250)는 영상 수위비교부(240)를 통한 하천 수위 이미지 해석과 연동하여 위험 수준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설정 위치를 차감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위치는 정지 명령의 전달에 따라 정지된 차단기모듈(202)을 정지 상태로 판단하는 수위의 높이로서, 차단기모듈(202)의 긴급 차단바 정지 동작에 대한 설정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수위설정부(250)는 상기 하천 산책로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측 영상 이미지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 또는 임계치 미만으로 설정하거나, 관제서버(120)에서 차단 복귀 명령을 내릴 수 있는 하천 산책로 수위의 임계값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정할 위험 수위 임계값은 하천 산책로 다리의 수위 눈금표 및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에 적용할 위험 수위 단계(1~9)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영상 수위설정부(250)는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에 의해 측정된 내부 영상카메라 이미지값과 상기 설정한 수위 임계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정지명령에 따라 정상적으로 차단기모듈(202)이 차단 동작중일 때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참고로,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영상 수위설정부(250)는 상기 하천 산책로 좌측 영상 이미지 또는 우측 영상 이미지를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한 수위 임계치 미만으로 복수(지정 가능)의 카메라 영상 값이 해석되는 경우, 카메라가 고장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수신부(260)는 인체의 접근에 따라, 감시 대기상태의 거리센서(201)에서 출력하는 상기 감시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60)는 좌 영상카메라(203)를 통해 촬영된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 영상카메라(204)를 통해 촬영된 우측 영상 이미지가 설정한 임계치 미만일 경우, 거리센서(201)를 감시 대기상태로 설정한다.
즉, 상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의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측 영상 이미지가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에 의해 각각 촬영되어, 현재 차단기모듈(202)의 동작이 필요한 시간으로 확인될 경우, 수신부(260)는 n개의 거리센서(201)를 인체의 접근 감시 가능한 감시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204)에 의해 측정된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측 영상 이미지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거리센서(201)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시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매일 달라지는 일몰시간과, 일출시간, 주위의 건물이나 간판 등의 조명의 영향을 고려한 실제 외부 변화에 따라, 차단기모듈(202)이 정상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생성부(270)는 상기 정지 명령의 전달에 연동하여,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관한 장치 식별자 및 정지 순서를 포함한 릴레이(Relay)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부(27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로 인체의 접근이 감시되어 차단기모듈(202)에 정지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한 N(N은 자연수)개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장치 고유번호를 부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산책로 각각으로, 해당 산책로 상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의 장치 식별자를 메모리부에 유지할 수 있다.
생성부(27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서 차단기모듈(202)로 정지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가 설치된 산책로 'r_chun' 상에 설치된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장치 식별자 r002, r003, r004, …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생성부(27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서 차단기모듈(202)로 정지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가 설치된 산책로 'r_chun' 상에서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의 양 옆이나, 산책로 'r_chun'의 맞은편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장치 식별자 r002, r003, r004, …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7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하는 각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대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의 이격 거리, 접근이 감시된 인체의 이동 방향, 기존 범람 이력을 고려하여 차단 순서를 부여하고, 장치 식별자 및 차단 순서를 포함한 릴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7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의 이격 거리가 작을수록 앞선 차단 동작 순서를 부여 할 수 있고, 이격 거리가 같은 경우 생성부(270)는 차단 동작 순서를 동일하게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생성부(270)는 산책로를 따라 직진하는 인체의 이동 방향에 상응하여, 직진하는 방향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대해, 하류 방향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보다 앞선 정지 순서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7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가 설치된 산책로에서 두 개의 갈림길이 존재할 경우, 오른쪽 갈림길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대해, 왼쪽 갈림길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보다 지표 고도와 하천 폭이 좁으면 앞선 기동 순서를 부여한다.
또는 과거에 더 범람이 일어난 경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가 설치된 갈림길에서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앞선 기동 순서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270)는 상기 하천범람의 환경조건과 고립 및 인명 사고의 사례를 고려하여,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개수 N(N은 자연수)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70)는 지역간 범람의 발생 속도가 10km/h(조정가능)로 판단될 경우,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장치 식별자를 1개 이상 식별하고, 발생 속도가 15Km/h(조정가능)로 판단될 경우,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장치 식별자를 2개 이상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70)는 현재 시간이 수방기간(5월~10월-설정가능)에 따라 동작여부를 설정 할 수 있다.
아울러, 생성부(270)는 차단기모듈(202)이 정지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각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의 정지 순서를 포함하는 릴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거리센서(201)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거리센서(201)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280)는 하천 산책로 좌 영상 카메라(203), 하천 산책로 우 영상 카메라(204), 차단기모듈(202), 통신모듈의 고장 정보를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과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을 이용하여, 관제서버(120) 또는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 및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은 RS-485 또는 LAN과 같은 유선 케이블로써, 관제서버 또는 인접한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유/무선 연결할 수 있다.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은 Lora와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써, 근접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부(280)는 거리센서(201)가 비정상으로 판단 시,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을 통해 유선 연결된 관제서버(120)로 거리센서(201)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고장 발생을 관제서버(120)에 통보함으로써, 거리센서(201)를 포함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고장 발생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관제서버(120)에서 산책로에 설치된 다수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의 문제 상황과, 그로 인한 인명 사고를 실시간으로 관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80)는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을 통해 관제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의 고장 발생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차단기모듈(202)로 정지 명령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을 통해 인근의 타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부(280)는 유/무선 통신모듈(205)을 통해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로 릴레이 정보를 전송하여, 이어서,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정지에서는 릴레이 정보에 포함된 순서에 따른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상기 기관서버(130)에 의해 제공된 관리자의 차단기 제어가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의 불량 시에도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의 동작으로 근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차단기도 함께 동작시켜 산책하는 사람들의 하천 범람에 따른 안전한 방재 네트워크 시설을 구현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280)는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 또는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을 이용하여, 관제서버(120) 또는 인접한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통신함으로써, 다중경로를 망을 이용하여 통신 장애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80)는 상기 출입로에 접근한 관리인의 스마트 기기의 관제서버(120)에 무선 통신모듈(205)을 통해 접속하고, 외부의 기관서버(130)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만 상기 관제서버(120)에 접속하여 차단기 원격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80)는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관리자가 어디에서든 원격 감시 제어가 가능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하며, 관제서버(120)에 차단 동작 현황 및 시간 정보와 하천의 위험 수위 수준을 실시간으로(1분 - 조정가능) 주기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이때 기관서버(130)는 차단기 제어 가능 관리인의 인증 정보를 가지고 있어 관제서버(120)로 접속된 스마트 기기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의 제어명령은 인증된 관리인만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205)을 통해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와 영상모션판단부(220)를 사용하여, 차단기모듈(202),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203),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204) 및 거리센서(201)에 대한 고장 유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관제서버(120)를 통하여 감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접근이 감시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 릴레이 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어, 하천 산책로 출입 관리중인 사람이 현 위치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안전하게 산책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리센서(201)에 의해 공원, 산책로 등에서 산책하는 사람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 차단기모듈(202)을 정지하는 에너지 절약형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500)는 거리감시처리부(501), 인체감시진단부(502), 영상녹화부(503), 영상모션판단부(504), 영상수위비교부(505), 제어처리부(506), 경보생성부(507), 무선통신송수신부(508), 유/무선통신송수신부(509) 및 릴레이통신부(510), 위치식별부(51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체 감시 제어처리부(501)는 사람이 인지 가능한 거리로 접근할 경우, 거리센서(#1…N)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세기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감시신호로 변환하여 인체감시진단부(502)에 전달한다.
인체감시진단부(502)는 감시신호의 거리 값을 계산하여 모든 거리센서(#1…N)로부터 감시신호가 수신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계측된 감시신호의 개수가 거리센서의 개수 N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거리센서(#1…N)를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보생성부(507)는 거리센서(#1…N)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무선통신송수신부(509)는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에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여 거리센서(#1…N)의 고장을 통보할 수 있다.
이어서, 확인 결과, 모든 거리센서(#1…N)로부터 감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인체감시진단부(502)는 인체감시 센서(#1…N)를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녹화부(503)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500)의 외부 카메라로 촬영하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주변과,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500)의 내부카메라1 및 내부카메라 2로 촬영하는 하천 산책로 다리 기둥 혹은 산책로 벽의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디지털 형태로 녹화할 수 있다.
영상모션판단부(504)는 측정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주변 지역에 설정된 모션 인지 임계치와 거리센서(#1…N)의 값을 비교하여 인체 감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모션판단부(504)는 인체감시진단부(502)에서 거리센서(#1…N)를 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차단기 동작 시 긴급 정지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수위비교부(505)는 하천 위험 수위 설정 이미지와 비교하여 하천 수위 위험 단계를 이미지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의 분류 알고리즘과 영상 흑/백 변환 처리 알고리즘으로 설정한 임계치를 판별하고, 이로 인하여 수위의 위험수준을 도출하여 경보생성부(507)에 전달 할 수 있다.
영상모션판단부(504)는 하천 산책로 차단기 주변 이미지가 설정된 모션 인지 임계치 이상일 경우, 차단바와 인명의 충돌사고 방지를 위해 차단바 긴급정지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모션판단부(504)는 차단기모듈의 정지 타이머(10초-설정가능)가 종료될 경우에 차단바 동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모션판단부(504)는 설정된 인체 인지 임계치 미만이고, 내부카메라 1 및 내부카메라 2를 통한 영상분석의 값이 하천 위험 수위 미만일 경우 에너지 절약을 위해 차단기 모터를 대기모드로 제어 할 수 있다.
경보생성부(507)는 차단기모듈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생성가능하고, 무선통신송수신부(508)는 비 면허 무선 통신모듈로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차단기모듈의 고장을 통보할 수 있고, 유/무선통신부(509)는 유/무선 통신모듈로 상용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에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여, 차단기모듈의 고장을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영상모션판단부(504)는 사람의 모션을 감시한 상태에서, 차단바의 거리센서의 값은 측정된 거리값이 설정치 미만일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경보생성부(507)는 하천 산책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분석한 하천수위의 정상적인 수위 판별값과 내부카메라 1 및 내부카메라 2의 고장 시 이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통신송수신부(508)는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신사 중계기를 사용하는 상용 유/무선망이 불량 시에도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고장을 통보할 수 있다.
무선통신송수신부(508)는 예를 들어 Lora(IOT망)과 같은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연결할 수 있으며, 릴레이통신부(510)는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유/무선통신송수신부(509)는 관제서버에 접속한 인증된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의 차단기 동작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유/무선통신송수신부(509)는 예를 들어, RS485/CDMA/LTE와 같은 상용 유/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500)에서의 고장 발생을 관제서버에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통신송수신부(509)는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의 제어로 관리자 위치 정보 또는 현재 시간(GPS 수신 값)을 관제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통신부(510)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500)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로, 비 면허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릴레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각각에서 설정된 정지 순서에 따라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동작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이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601)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인체의 접근을 감시한 후 지정된 거리 범위(10cm - 설정함) 이내에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 감시신호의 개수를 인지한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조도를 인지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 사용으로 야간에도 하천 산책로 다리 기둥과 산책로 벽의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취득 분석 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카메라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거리센서로 인체를 감시 할 수도 있다. 단계(602, 603)
단계(604)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상기 거리센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체감시 센서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 또는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전송한다.
또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200)는 거리센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거리센서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동작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인체를 감시할 경우(단계 701), 인체감시 10cm 이상인지 확인하고(단계 702), 10cm 이상이 아닐 경우 인체의 거리감시 모드로 복귀한다.
단계(703)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외부카메라로 차단기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단계 704), 주변 영상에 인체를 감시하여 움직임이 차단바 접근 임계치를 넘었을 때(단계 705), 상기 단계(705)에서의 차단기 동작 시 긴급중지 신호를 발생시켜 안전바와 인체의 충돌 방지를 위해 차단기모듈을 정지시키도록 한다(단계 706).
이어서 단계(707)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내부카메라로 하천 산책로 다리 기둥의 수위 눈금표와 산책로 벽의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를 이미지 분석으로 수위를 계산 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하천 산책로 내부카메라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708), 내부 카메라가 고장이 아닐 경우, 내부 영상카메라 이미지 값을 설정된 수위 임계치 이미지와 인공지능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및 흑/백 이미지 영상 처리(Hysteresis(히스테레시스) thresholding)로 위험 수위 단계를 계산(단계 709)한다.
내부 영상카메라의 이미지 값이 안전수위 임계치 이상 이면 릴레이로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정보를 전달하여 차단기모듈이 작동되도록 한다(단계 710).
상기 단계(704)에서 내부 카메라가 고장으로 확인될 경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현재 시간을 체크하고 고장 정보를 보낼 패킷을 생성한다(단계 712).
상기 단계(713)에서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관제서버 혹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고장을 통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거리센서와 영상카메라 및 통신모듈이 각각 이중으로 장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에는 거리센서(301, 302)와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와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 및 통신모듈(306)이 각각 이중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에는 예컨대, 감속기(0.25rpm)등으로 구성된 차단바 장치와 연동하는 차단기모듈(304)과, 출입 인지 센서(307)가 구성된다.
우선, 2개의 거리센서(301, 302)는 각각의 안전바 앞/뒤로 배치되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거리센서(301, 302)는 양쪽 면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배치되어 산책로 출입자 양쪽을 인지하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거리센서(301, 302)는 단방향의 거리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여러 방향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에 접근하는 인체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는 추가의 거리센서(301, 302)를 사용하여 거리센서(301, 302)의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자가 진단할 수 있다.
거리센서(301, 302)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에 배치된 위치 등의 차이로 인해 인체의 접근을 감시하여 감시신호를 출력하는 데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는 인체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지정된 거리 범위(예컨대, '10cm') 이내에 거리센서(301, 302)로부터 입력되는 감시 거리를 계산하고, 추가로 감시된 신호의 거리센서(301, 302)의 수치가 유사할 경우, 거리센서(301, 302)를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같은 위치의 두 개의 거리센서가 동일거리의 인체를 측정한 값이 서로 상이할 경우, 거리센서(301 또는 302)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천 산책로를 촬영하는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의 출입차단기 동작여부를 판별할 하천 영상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로 촬영된 하천 산책로 좌측 영상과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로 촬영된 하천 산책로 우측 영상은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의 범람여부 판별을 위한 영상이다.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모듈(304)의 차단기 동작을 판단하는 수위의 수준을 영상인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하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는 하천 산책로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에 의한 하천 산책로 좌측 영상과 하천 산책로 우측 영상과 하천 산책로 차단기의 외부카메라 영상에 의해 각각 측정되는 수위 이미지 및 모션인식 임계치, 설정된 수위 수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에 장착된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의 고장 발생 유무를 자가 진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는 거리센서(301, 302),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303) 및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305), 차단기모듈(304),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303/내부카메라 동일 함체),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306) 및 출입 인지 센서(307)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고장 발생시, 정상으로 동작하는 통신모듈(305 또는 306)을 이용하여 관제서버(309)에 통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제서버(309)에서 고장 발생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원, 산책로 등지에 설치된 다수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의 문제 상황과, 그로 인한 인명 사고를 실시간으로 관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는 이중화된 통신모듈(303/동일한 함체)을 이용하여, 관제서버(309) 또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는 RS485 또는 LAN과 같은 유선 케이블일 수 있는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306)과, Lora와 같이 장거리(~20Km)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일 수 있는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산책로의 관리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308)로 산책로 출입로 원격 차단 제어를 함으로 관리자의 원격제어 위치를 알 수 있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는 스마트 기기(308)의 위치 정보를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306)을 통해 관제서버(309)에 전송하여, 차단기를 제어하는 관리자는 관제서버(309)에 접속하고, 차단기 제어정보를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206)을 통해 이중으로 주변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산책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 차단기모듈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와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가 순서대로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 내지 406)가 설치된 산책로에서 산책로 출입 관리자(407)가 오른쪽 방향으로 산책하며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는 산책로 출입 관리자(407)의 스마트 기기(408)의 관제서버에 접속(혹은 스마트기기 전용 앱 혹은 적외선 수동 원격 차단 조작기로)하여 차단기 바를 내림/올림 동작 혹은 정지 되도록 원격 및 수동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는 기관서버에서 인증된 산책로 출입 관리자(407)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408)의 무선 인터넷 연결로, 스마트 기기(408)의 차단기 동작 위치는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로 전송 될 수 있다.
관제서버는 산책로 출입 관리자(407)의 스마트 기기(408)를 통한 차단 조작 명령으로 하천 산책의 홍수 및 범람 상황(409)이 긴급 상태이기에 인근의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에 차단기 동작 명령을 자동으로 보낼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는 이격거리가 가장 작은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2)에서, 상대적으로 이격거리가 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5)보다 먼저 차단기모듈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정지 순서를 포함한 릴레이 정보를 인접한 각각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2, 406)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는 산책로 출입 관리자(407)의 스마트 기기(408)를 통한 차단기모듈로 정지 명령을 전달 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의 맞은 편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6)와,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의 옆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2) 각각에 릴레이 정보를 전송하여,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와 인접한 각각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2, 406)에서 차단기모듈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사람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3)에 접근할 경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3)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3)의 옆에 설치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2, 404)에 차단기모듈이 정지되도록 릴레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관제서버는, 범람을 목격한 산책로 출입 관리자(407)가 스마트 기기(408)로 접속하여 하천의 범람 이미지(409)를 관제서버의 하천 상황 게시판(또한, 단문 발송)에 올릴 수 있기에, 이동 중인 제어가 인증된 산책로 출입 관리자(407)의 스마트 기기(408)로 범람지역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를 원격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지점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5)에서 과거에 실제로 더 많이 폭우 및 범람된 경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405)로 릴레이 정보를 바로 전송하여 차단기모듈이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401)는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 기기(408)로 차단기 동작 정보를 전송하기에, 상용 유/무선 통신망이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도 산책하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거리센서가 사람을 감지하면 거리센서의 고장유무에 대한 판별과 관계없이 외부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모션이 감지되면 차단기를 중지시킬 수 있으며, 이후 나머지 거리센서의 보행자 감지여부, 내부 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하천범람 위험 수위 판단 결과 정상 여부에 따라 고장을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거리센서, 내부/외부 영상 카메라, 차단기 모듈 및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고장 발생 유무를 자가 진단하여 관제서버에 통보함으로써, 고장 발생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관제서버에서 하천 산책로에 설치된 다수의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지제어장치에서의 문제 상황과, 그로 인한 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시와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거리센서를 사용하여, 모든 거리센서로부터 인체의 접근에 관한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거리센서를 정상으로 판단하여 차단기 모듈을 정시시키고, 일부의 거리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거리센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관제서버에 통보함으로써, 거리센서의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자가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용 유/무선통신 모듈과 비 면허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관제서버 또는 비 면허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인접한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지제어장치와 통신함으로써, 통신 모듈의 고장에 이중, 삼중으로 대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의 접근이 감지됨에 따라 차단 모듈을 정지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지제어장치에 비 면허 무선통신기로 릴레이 정보를 전송하여 상용 통신망의 비정상일 경우에도 차단기를 동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책 중인 사람의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의 차단기도 함께 동작시켜 우기 시 다수의 출입 지역을 가지는 경우에도 안전한 산책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설정된 모션 임계치 이상일 경우, 차단기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거리센서와 이중 차단 인체기능으로 안전한 출입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 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는 것으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Nagnetic Nedia), CD-RON,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N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Nagneto-optical Nedia), 및 롬(RON), 램(RAN),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참고로, 하천 범람을 예측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하천 교각 및 보행자 도로 등의 유의 지점을 녹화한다(단계 101).
이어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전처리를 수행한 후(단계 102), k평균 군집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103), binary threshol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한 후(단계 104), 실시간 범람 정도를 점수로 산정한다(단계 105).
이때, 실시간 범람 정도를 점수로 산정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점수 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단계 106), 딥 러닝 기반 예측 모형에 의한 시간대별 수량을 추정한 것을 이용한다(단계 107).
이어서, 실시간 범란 정도의 점수를 이용하여 실시간 위험 수치를 계산하고(단계 108), 계산된 수치가 안전수치를 초과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중앙통제기관으로 전송하여 하천 범람에 따른 안전한 방재 네트워크 시설을 구현 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천 범람 시 하천 산책로에서의 고립 및 사고에 대해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109).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 될 수 있고,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201: n개의 거리센서 202: 차단기모듈
203: 하천 산책로 좌 영상카메라 204: 하천 산책로 우 영상카메라
205: 상용 무선통신모듈 206: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
210: 거리측정부 220: 영상 모션판단부
230: 제어처리부 240: 영상 수위설정부
250: 영상 수위설정부 260: 수신부
270: 생성부 280: 통신부

Claims (7)

  1. 복수 개의 거리센서를 사용하여 선정된 커버리지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시할 수 있는 것으로,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성 때문에 차단기의 앞면과 뒤면에 각각 거리센서를 1개 이상 설치하여 접근하는 모든 인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인체의 접근에 관한 감시신호를 통하여 인체가 감시된 후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이 감시되면 차단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돌발 홍수와 우기에 하천 주변의 산책로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홍수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영상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하천 산책로의 다리 기둥 또는 산책로 벽의 좌측과 우측의 이미지에 하천 위험 수위를 설정하는 영상 수위설정부, 인체의 접근을 영상과 거리센서로 감시한 후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의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시 신호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측정부, 거리센서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시함에 따라, 감시 대기상태의 거리센서에서 출력하는 감시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감시신호의 수치와 촬영된 영상의 영상 분석을 이용하여, 거리센서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모션판단부 및 거리측정부와 영상 모션판단부의 처리로 인체가 차단기에 근접 시 위험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단기 동작 중지 명령을 차단기 모듈로 전달하는 제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거리센서는 n(2이상의 자연수)개 구비되며, 거리센서 감시 대기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접근하는 인체(산책하는 사람)를 감시할 경우, 감시신호를 출력하여 수신부에 입력시키며, 상기 n개의 거리센서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배치된 위치의 차이로 인해 인체의 접근을 감시하여 감시신호를 출력하는 데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함에 따라, 수신부는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위치한 n개의 거리센서의 각각으로부터 감시신호를 입력받으며;
    거리측정부는 인체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위치한 n개의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시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며;
    영상 모션판단부는 n에 상응하는 개수로 거리 신호를 차단 동작시간과 계산하여, 인체 감시 거리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영상 모션판단부는 촬영된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화 후 색상의 변화도를 이용하여 거리센서에 대한 거리값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 후 색상의 변화 정도와 모션 감시 알고리즘의 산출값과 모든 거리센서로부터 감시신호가 입력된 값을 확인하여, 거리센서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며, 또는, 촬영된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 후 색상의 변화가 거리센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일부의 거리센서로부터 감시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여, 해당 거리센서를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며;
    영상 모션판단부는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의 외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근접을 판별하여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시하며;
    영상 모션판단부에 의해 측정되어 인체의 접근이 감시됨에 따라 차단기모듈로 정지 명령이 전달된 상태에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로 관제서버의 차단기 상태정보 웹 화면을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정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하천 산책로의 좌 영상카메라 및 하천 산책로의 우 영상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거리센서의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자가 진단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각각의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인체의 접근에 관한 감시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시신호의 수치가 거리센서의 값이 지정한 임계치 이하일 경우, 거리센서의 동작 상태는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각각의 거리센서로부터 한 개라도 감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인체의 접근이 감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차단기모듈로 정지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처리부는 거리센서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차단기모듈로 정지 명령을 전달하고, 차단기 동작 중지의 해지에 따라 차단기모듈로 동작 허용 명령을 전달하고;
    제어처리부는 거리센서의 값이 임계치 수준으로 변경되어 측정되거나 또는 하천 다리 기둥 및 하천 좌측과 우측 벽의 수위 영상 분석 결과 위험 단계로 변경될 경우 차단기모듈로 동작 중지 명령을 전달하며;
    제어처리부는 하천 산책로의 좌측 영상 이미지 및 우측 영상 이미지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에서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변경되어 계산되거나, 또는 관제서버에서 현재 하천수위가 낮은 단계로 파악됨에 따른 차단 복귀 명령을 전달받을 경우, 차단기모듈로 차단 복귀 명령을 전달하여 안전바를 원래의 위치로 올릴 수 있도록 제어하며;
    제어처리부는 복수 개의 거리센서 중 일부의 거리센서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감시신호가 변화되지 않으면,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거리센서가 비정상으로 동작이라고 판단하여, 차단기모듈로 중지 명령을 전달하지 않고, 거리센서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모듈 및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에 전송하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하천 관리자가 스마트 기기를 소지할 경우, 비 면허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 기기가 관제서버의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차단기 동작을 관제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관제서버는 스마트 기기에서 차단기를 동작시킨 위치 정보를 외부의 기관서버로 전송하며;
    외부의 기관서버는 허가된 하천 관리자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며, 관제서버로부터 스마트 기기의 차단기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 기기의 관리자 암호를 식별한 후 차단 정보를 관제서버에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차단 명령을 전송하여 하천 범람 시 하천 산책로에서의 고립 및 사고에 대해 사람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관제서버로부터 범죄인 정보를 상용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기기로 차단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정상제어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 수위설정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산책로의 다리 기둥 또는 산책로 벽의 좌측과 우측의 이미지와 하천 위험 수위로 설정된 임계치의 높이 값을 비교하며; 거리센서 또는 차단모듈의 고장에 관한 패킷 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는 차단기 동작 중지 명령의 전달에 연동하여,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장치 식별자 및 차단상태를 포함한 릴레이(Relay)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신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 상기 릴레이 정보를 전송하여 차단 순서에 따라, 인접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에서 차단기모듈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통신부는 산책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관제서버에 차단동작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KR1020170064363A 2017-05-24 2017-05-24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 KR10181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363A KR101817350B1 (ko) 2017-05-24 2017-05-24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363A KR101817350B1 (ko) 2017-05-24 2017-05-24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350B1 true KR101817350B1 (ko) 2018-01-11

Family

ID=6100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363A KR101817350B1 (ko) 2017-05-24 2017-05-24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3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9445A (zh) * 2021-02-24 2021-06-11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基于空间关系的城市管理应急联动系统及方法
CN113998348A (zh) * 2021-11-12 2022-02-01 缪恺 一种垃圾投放站自动化系统
CN114387720A (zh) * 2022-01-12 2022-04-22 深圳市春盛海科技有限公司 搭配ai运算的铁捲门安全监控影像辨识方法
KR102418897B1 (ko) * 2021-11-30 2022-07-08 주식회사 이엘 침수 예상지역의 출입통제 시스템
KR102485227B1 (ko) * 2022-04-22 2023-01-06 주재넷(주) 인공지능 기반 홍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홍수 예측 방법
CN113998348B (zh) * 2021-11-12 2024-05-31 缪恺 一种垃圾投放站自动化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791B1 (ko) * 2004-09-23 2005-11-15 이수행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791B1 (ko) * 2004-09-23 2005-11-15 이수행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9445A (zh) * 2021-02-24 2021-06-11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基于空间关系的城市管理应急联动系统及方法
CN112949445B (zh) * 2021-02-24 2024-04-05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基于空间关系的城市管理应急联动系统及方法
CN113998348A (zh) * 2021-11-12 2022-02-01 缪恺 一种垃圾投放站自动化系统
CN113998348B (zh) * 2021-11-12 2024-05-31 缪恺 一种垃圾投放站自动化系统
KR102418897B1 (ko) * 2021-11-30 2022-07-08 주식회사 이엘 침수 예상지역의 출입통제 시스템
CN114387720A (zh) * 2022-01-12 2022-04-22 深圳市春盛海科技有限公司 搭配ai运算的铁捲门安全监控影像辨识方法
KR102485227B1 (ko) * 2022-04-22 2023-01-06 주재넷(주) 인공지능 기반 홍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홍수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350B1 (ko) 인공지능 산책로 안전 출입 감시제어장치 및 동작 방법
AU2020203351B2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CN112132045B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小区人员异常行为监控方案
KR101385525B1 (ko)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KR102554662B1 (ko) 이동식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KR101514696B1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CN110796819B (zh) 一种针对站台黄线入侵越界人员的检测方法及系统
CN106480838B (zh) 一种地铁闸机装置及其压力检测系统
CN113469654B (zh) 一种基于智能算法融合的变电站多层次安全管控系统
CN208207896U (zh) 一种用于充电站的智能运维系统
CN109360361A (zh) 一种铁路站台端部入侵检测预警系统
CN211630273U (zh) 用于铁路环境的图像智能识别装置
CN114648855B (zh) 智慧社区安防综合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999141B (zh) 电瓶车停放管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9345787A (zh) 一种基于智能图像识别技术的输电线路防外损监控报警系统
CN116311727A (zh) 入侵响应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50104836A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CN114283544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铁路站台入侵监测系统及方法
CN105874518A (zh) 行动控制单元、设施管理系统、行动单元控制系统、设施管理方法及行动单元控制方法
KR20190080521A (ko) 레이다를 활용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060273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cctv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CN112203052A (zh) 一种安防监控平台
Wu et al. A framework of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large building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KR100661264B1 (ko)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철도건널목 위험 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