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45B1 -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45B1
KR101816445B1 KR1020160129934A KR20160129934A KR101816445B1 KR 101816445 B1 KR101816445 B1 KR 101816445B1 KR 1020160129934 A KR1020160129934 A KR 1020160129934A KR 20160129934 A KR20160129934 A KR 20160129934A KR 101816445 B1 KR101816445 B1 KR 101816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verter
output unit
coupl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인버터에 구비되어 교류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인버터 외측으로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출력부와; 일단이 상기 출력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와 결합 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구동모터로 교류전류를 전달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출력부에 체결되는 커넥터로 구성되어, 차량용 인버터와 커넥터 결합 시 인버터와 커넥터에 별도의 결합 구조를 형성하고 볼트를 통해 고정시켜 접촉 불량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없이도 종래에 비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Connector combination structure of inver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인버터와 커넥터 결합 시 접촉 불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인버터가 구비되는데, 인버터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대전류를 스위칭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때, 인버터는 케이블이 구비된 커넥터에 의해 구동모터와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차량용 인버터에는 변환된 교류전류를 구동모터로 공급되게 하는 전도체인 버스바가 구비되는데, 상기 버스바를 통해 외부의 커넥터와 직접적으로 체결되어 구동모터로 교류전류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버터는 절연을 위해 커넥터와 직접 체결되는 버스바를 제외하고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버스바에 전류가 흐르면 버스바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어 팽창하게 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고 냉각되면 다시 수축하게 된다.
이러한 버스바의 열 변형(수축/팽창)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면 커넥터와 버스바 사이에 상대 운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버스바가 이동하게 되어 접촉불량을 발생시켜 정상적인 전원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스템의 Shut-down 및 구성 부품의 손상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604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인버터와 커넥터 결합 시 접촉 불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용 인버터에 구비되어 교류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인버터 외측으로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출력부와; 일단이 상기 출력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와 결합 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구동모터로 교류전류를 전달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출력부에 체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출력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상기 인버터 상부에 장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각각 장착되어 교류전류를 상기 커넥터로 공급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버스바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출력부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는 외측에서 상기 결합홈까지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부의 결합부재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를 통해 상기 인버터의 결합부재와 상기 커넥터의 결합홈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버스바와 결합부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용 인버터와 커넥터 결합 시 인버터와 커넥터에 별도의 결합 구조를 형성하고 볼트를 통해 고정시켜 접촉 불량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없이도 종래에 비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서 인버터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서 인버터의 출력부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서 인버터의 출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에서 인버터의 출력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10)에 구비되며 결합부재(101)가 형성되는 출력부(100)와, 볼트(B)를 통해 출력부(100)에 체결되는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10)는 하이브리드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고전압 배터리의 직류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하여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것으로, 후술하게 될 커넥터(200)와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00)는 인버터(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류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커넥터(200)는 인버터(10)의 교류전류를 구동모터로 전달하는 것으로, 일단이 인버터(10)의 출력부(100)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에는 케이블(210)이 연결되어 출력부(100)와 결합 시 케이블(210)을 통해 교류전류를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커넥터(200)는 인버터(10)의 출력부(100)와 볼트(B)를 통해 상호 체결된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00)는 인버터(10)의 상면 외측으로 결합부재(101)가 형성되며, 결합부재(101)는 인버터(10)에 삽입되어 볼트(B) 결합 시 커넥터(200)와 출력부(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출력부(100)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와, 제2바디(120)에 장착되어 커넥터(200)에 연결되는 버스바(130)로 이루어진다.
제1바디(110)는 절연체인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인버터(10) 상부에 장착된다.
제2바디(12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제1바디(110)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버스바(130)는 전도체로 이루어져 제2바디(120)에 각각 상방으로 장착되어 교류전류를 커넥터(200)로 공급한다.
이때, 커넥터(200)에는 버스바(130)가 삽입되는 체결홈(미도시)이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하며, 체결홈에는 버스바(130)에 접촉하는 동시에 케이블(210)에 연결된 전도체 부재가 형성되어 버스바(130)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전달받아 최종적으로 케이블(210)을 통해 구동모터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결합부재(101)는 출력부(100)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커넥터(200)에는 결합부재(101)가 삽입되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버터(10)의 출력부(100)와 커넥터(200) 결합 시 결합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결합부재(101)는 복수의 제2바디(120)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출력부(100)에서 버스바(130)와 결합부재(101)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출력부(100)의 버스바(130)와, 결합부재(101)와, 커넥터(200)가 동일한 지점에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켜 볼트(B)로 고정된 버스바(130)가 커넥터(200)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200)는 외측에서 결합홈(미도시)까지 고정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홀(미도시)에 대응하는 출력부(100)의 결합부재(101)에는 고정홈(102)이 형성되어 볼트(B)를 통해 인버터(10)의 결합부재(101)와 커넥터(200)의 결합홈(미도시)이 고정되도록 하여 출력부(100)와 커넥터(200)를 고정시킴으로써 버스바(130)와 커넥터(200) 사이의 접촉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용 인버터(10)에 구비되어 교류전류를 공급하며, 인버터(10) 외측으로 결합부재(101)가 형성되는 출력부(100)와, 일단이 출력부(100)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케이블(210)이 연결되어 출력부(100)와 결합 시 케이블(210)을 통해 구동모터로 교류전류를 전달하고, 결합부재(101)가 삽입되어 볼트(B)를 통해 출력부(100)에 체결되는 커넥터(200)로 이루어져 접촉 불량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없이도 종래에 비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인버터 100 : 출력부
101 : 결합부재 102 : 고정홈
110 : 제1바디 120 : 제2바디
130 : 버스바 200 : 커넥터
210 : 케이블

Claims (6)

  1. 차량용 인버터에 구비되어 교류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인버터 외측으로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출력부와;
    일단이 상기 출력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은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와 결합 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구동모터로 교류전류를 전달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출력부에 체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상기 인버터 상부에 장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각각 장착되어 교류전류를 상기 커넥터로 공급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버스바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출력부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외측에서 상기 결합홈까지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부의 결합부재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를 통해 상기 인버터의 결합부재와 상기 커넥터의 결합홈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버스바와 결합부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KR1020160129934A 2016-10-07 2016-10-07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KR101816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934A KR101816445B1 (ko) 2016-10-07 2016-10-07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934A KR101816445B1 (ko) 2016-10-07 2016-10-07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445B1 true KR101816445B1 (ko) 2018-01-08

Family

ID=6100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934A KR101816445B1 (ko) 2016-10-07 2016-10-07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4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24A (ko) * 2018-02-08 2019-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단자 터미널
WO2022125455A1 (en) * 2020-12-10 2022-06-16 Teradyne, Inc. Inductance contro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0366A (ja) 2011-10-13 2013-05-13 Toyota Motor Corp インバータユニット
JP2014138443A (ja) * 2013-01-15 2014-07-28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および電動車両の絶縁状態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0366A (ja) 2011-10-13 2013-05-13 Toyota Motor Corp インバータユニット
JP2014138443A (ja) * 2013-01-15 2014-07-28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および電動車両の絶縁状態判定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24A (ko) * 2018-02-08 2019-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단자 터미널
KR102496259B1 (ko) 2018-02-08 202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단자 터미널
WO2022125455A1 (en) * 2020-12-10 2022-06-16 Teradyne, Inc. Inductance control system
US11651910B2 (en) 2020-12-10 2023-05-16 Teradyne, Inc. Inductance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098B2 (en) Integrated system
CN102918721B (zh) 流体密封的电机连接插头,以及马达
JP5545231B2 (ja) 導通遮断装置
US20170025663A1 (en) External connector of vehicle battery pack
KR101816445B1 (ko) 차량용 인버터의 커넥터 결합 구조
US20120184155A1 (en) Terminal block
US20140329417A1 (en) Terminal block
KR20080102547A (ko) 회전방지 구조를 갖는 고전압 배터리용 배터리모듈 단자와버스바
EP2975715B1 (en) Wire harness fixing tool
KR20180125089A (ko) 배터리 시스템
CN201985319U (zh) 电动汽车电池箱换电接口
US11108299B2 (en) Fixture, fixing assembly, and fixation method for fixing power line to base member
KR101734249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104540712A (zh) 车用熔丝电路体
CN104103917A (zh) 一种汽车蓄电池电源连接桩头
CN108075273B (zh) 连接部件以及具备该连接部件的马达驱动装置
US20220227244A1 (en) Charging device
KR20170028209A (ko)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JP2016178774A (ja) 制御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
KR101959918B1 (ko)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JP5579241B2 (ja) 回転電機
KR20170073145A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커넥터
US201702225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Cooling of On-Machine Devices
JP2013513504A (ja) ドライブユニット用配線システム
KR101470280B1 (ko) 자동차용 커넥터 단자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