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811B1 - Amphibious Bus - Google Patents

Amphibious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811B1
KR101815811B1 KR1020170090773A KR20170090773A KR101815811B1 KR 101815811 B1 KR101815811 B1 KR 101815811B1 KR 1020170090773 A KR1020170090773 A KR 1020170090773A KR 20170090773 A KR20170090773 A KR 20170090773A KR 101815811 B1 KR101815811 B1 KR 10181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water
hull
clutch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암
Original Assignee
(주)지엠아이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아이그룹 filed Critical (주)지엠아이그룹
Priority to KR102017009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8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hibious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hibious bus comprises: a hull; an engine which generates power to propel the hull; an offshore propulsion apparatus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to propel the hull on the water; an on-land propulsion apparatus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to propel the hull on the land; a first driving shaft which connects the engine to the offshore propulsion apparatus to transfer the power transferred from the engine to the offshore propulsion apparatus; a second driving shaft which connects the engine to the on-land propulsion apparatus to transfer the power transferred from the engine to the on-land propulsion apparatus; a first clutch which controls whether to drive the first driving shaft; a second clutch which controls whether to drive the second driving shaft; an offshore detection tank formed in the hull to accommodate a fluid; 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offshore detection tank to control the first clutch and the second clutch to select whether to drive the offshore propulsion apparatus or the on-land propulsion apparatus. The control unit, when a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tank is a preset water level or higher, controls to combine the first clutch and release the second clutch and to make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ransferred only to the offshore propulsion apparatus, and, when a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tank is lower than a preset water level, controls to release the first clutch and combines the second clutch to make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ransferred only to the on-land propulsion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mphibious bus which is able to automatically convert between the offshore mode and on-land mode of transportation.

Description

수륙양용버스{Amphibious Bus}Amphibious bus}

본 발명은 수륙양용버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상모드에서 육상모드 또는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자동변환이 가능한 수륙양용버스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hibious b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mphibious bus capable of automatic conversion from a land mode to a land mode or from a land mode to a water mode.

일반적으로 복합형 교통 수단은 도로와 다른 교통로를 동시에 운행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서, 대표적으로 도로나 수상을 모두 주행할 수 있는 수륙양용 자동차가 이에 해당한다. In general, hybrid vehicles are vehicles that can simultaneously operate roads and other transportation routes. Typically, amphibious vehicles that can drive both roads and aqueducts are examples.

수륙양용 자동차는 육상을 주행하기 위한 차바퀴 또는 캐터필러와 수상을 항행하기 위한 구조(부력을 가지고, 프로펠러 또는 물갈퀴판에 의한 추진)를 겸비한 자동차로서 도로의 주행과 수상에서의 원활한 주행을 겸할 수 있는 것이다. An amphibious vehicle is a car that combines a wheel or caterpillar to travel on land, and a structure (buoyancy, driven by a propeller or a webboard) to navigate the watercraft, .

이러한 수륙양용 자동차는 주로 군용 또는 개인의 레저활동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다. These amphibious vehicles are mainly used as military or personal leisure activities.

군용은 부유적 구조를 통해 수상에서의 주행은 물론, 궤도(캐터필러)가 장착되어 도로의 주행이 가능하나, 이는 군사목적을 염두한 것으로, 주로 비포장 내지는 야전에서의 주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For military purposes, it is possible to drive the road by means of an auxiliary structure, as well as by running on the watercourse, with a track (caterpillar), which is intended for military purposes and is intended mainly for easy travel in unsealed or field.

따라서, 군용의 수륙양용은 아스팔트 등과 같이 포장된 도로에서의 주행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즉, 포장된 도로가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는 비포장 내지는 야전에서 결합한 구조로서 군사용에 제한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military amphibious vehicles are restricted from traveling on packed roads such as asphalt. That is, since the packed roads are damaged, they are restricted to military use as a structure unpacked or combined in the field.

또한, 레저활동에 사용되는 종래의 수륙양용 자동차는 주로 ATV(All-Terrain Vehicle)로서, 부유적 구조의 선체를 통해 수상, 즉, 해양, 호수, 강 및 수로 등에서의 주행과 바퀴를 통해 도로로의 주행이 상호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레저가 아닌 교통수단을 목적으로는 안전성 및 승차감에 문제가 있다. Conventional amphibious vehicles used for leisure activities are mainly ATVs (All-Terrain Vehicle), and they can be used as an all-terrain vehicle through an auxiliary structure of the hull, ie, running in marine, lakes, rivers and waterways, Although driving is smoothly carried out, there is a problem in safety and ride quality for the purpose of transportation rather than leisure.

즉, 개방된 형태로서, 수상을 주행 시, 물이 튀어 의류 등이 젖는 불쾌감을 유발함은 물론, 소형으로서, 파도 및 물살에 영향을 받아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That is, in the open form, when water is running, water is splashed to cause a feeling of discomfort such as wetting of clothing, etc., and it is small and influenced by waves and water.

또한,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도 개방된 형태로서, 운전자는 물론 승객이 위험에 노출된 상태로 도로를 주행해야 하며, 교통법 상 ATV는 주행할 수 있는 차선(적어도 1차로)에 대해서도 제한적이므로, 도로의 주행은 물론, 교통수단을 대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ssenger is required to run the road in a state in which the passenger is exposed to the danger, and the ATV is limited also to the lane (at least the first lane) in which the ATV can travel, There is a limit to how to replac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s well as the running of the vehicl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수륙양용버스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numer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n amphibious bus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모드와 육상모드 간의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륙양용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mphibious bus in which conversion between an aquatic mode and a land mode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는, 선체;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수상에서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수상 추진장치;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육상에서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육상 추진장치; 상기 엔진과 상기 수상 추진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수상 추진장치에 전달하는 제1 구동축; 상기 엔진과 상기 육상 추진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육상 추진장치에 전달하는 제2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1 클러치; 상기 제2 구동축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2 클러치; 상기 선체의 내부에 유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상 감지 탱크; 및 상기 수상 감지 탱크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수상 추진장치 또는 상기 육상 추진장치의 구동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1 클러치 및 상기 제2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상 감지 탱크에서 감지하는 수위가 기설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클러치를 결합하고 상기 제2 클러치를 해제하여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수상 추진장치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상 감지 탱크에서 감지하는 수위가 기설정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클러치를 해제하고 상기 제2 클러치를 결합하여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육상 추진장치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mphibious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An engine for generating power for propelling the hull; A water propulsion device tha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engine and propels the hull from an aquarium; An onshore propulsion device tha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engine and propels the hull on land; A first drive shaft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water-propulsion unit to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o the water-propulsion unit; A second drive shaft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onshore propulsion device to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o the onshore propulsion device; A first clutch for controlling whether the first drive shaft is driven; A second clutch for controlling whether the second drive shaft is driven or not; A water sensing tank formed to be able to receive a fluid inside the hull;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level information of the fluid received in the aeration tank and controls the first clutch and the second clutch to select the driving of the watercraft or the onshore propulsion device, And controls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o be transmitted only to the water-pumping propulsion device when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sensing tank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first clutch is engaged and the second clutch is released, When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tank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first clutch is released and the second clutch is engaged so that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is transmitted only to the onshore propulsion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수상 감지 탱크는, 상기 선체의 진행에 의해 상기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선체의 전방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ter sensing tank may be dispos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hull to allow the fluid to flow into the hull by progress of the hull.

구체적으로, 상기 수상 감지 탱크는,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최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ter sensing tank may be form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inflow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may be formed so as to observ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ull.

구체적으로, 상기 수상 감지 탱크는, 상기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ter sensing tank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sensor for measuring a level of the fluid received in the water sensing tank.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에 탑승하는 사용자에게 수상 또는 육상 모드 전환 여부의 알람을 울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유체의 수위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기설정 수위와 비교하고, 상기 유체의 수위가 상기 기설정 수위의 상기 수상 감지 탱크 높이를 기준으로 5% 이내의 상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알람부를 가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for alarming the user whether the watercraft or the land mode is switched to the user aboard the hull,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luid level from the detection sensor by wire or wirelessly And when the level of the fluid is within the upper and lower range of 5% or less based on the predetermined level of the aeration tank, the alarm unit can be op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는, 수상감지탱크의 수위를 통해서 수륙양용버스의 위치가 수상인지 또는 육상인지를 파악한 후, 즉각적으로 수상모드에서 육상모드 또는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자동 변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수륙양용의 교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The amphibious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sition of the amphibious bus throug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detection tank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amphibious bus is a prize or a land and then automatically converts from a land mode to a land mode So that smooth amphibious traffic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는, 수상감지탱크가 선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수상인지 육상인지 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고, 유입홀이 수상감지탱크의 최하측에 배치되어 잔존하는 유체에 이한 수위 판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amphibious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mptly determine whether the water sensing tank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hip and whether it is water or land, and the inflow hole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water sensing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level judgment error from occurr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는, 기설정 수위에만 의존하지 않고 기설정 수위의 5% 이내의 범위의 오차 판단 범위를 설정하여, 수상감지탱크 내의 유동으로 인한 유체의 급격한 수위 변동으로 감지센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알람부를 두어 사용자의 직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상인지 육상인지를 감지하는 제어부의 오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amphibious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n error judgment range within a range of 5% of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without depending only o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and detects a sudden water level fluctuation In this case, an alarm unit is provided to allow an intuitive determination by the user, thereby preventing a mistake of the control unit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water or the la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는, 하나의 추진엔진과 클러치를 통해서 육상모드에서의 바퀴굴림을 구현하고 수상모드에서의 스크류 회전을 구현할 수 있어 구축비용이 절감되고 간단한 조작으로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또는 수상모드에서 육상 모드로 변환이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amphibious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rolling of the wheels in the land mode through the single propulsion engine and the clutch and can realize the screw rotation in the airstream mode,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version from the mode to the aeration mode or from the aeration mode to the land mod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의 수상 감지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mphibious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mphibious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quamarine sensing apparatus of an amphib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의 수상 감지 장치의 정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mphibious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amphib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 Of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1)는 엔진(10), 수상 추진장치(20), 육상 추진장치(31,32), 제1 및 제2 구동축(41,42), 제1 및 제2 클러치(51,52), 밸러스트 탱크(61), 수상감지탱크(72)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an amphibious b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10, an airstream propulsion device 20, an onshore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The first and second clutches 51 and 52, the ballast tank 61, the aeration tank 72,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1)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amphibious b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수륙양용버스(1)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먼저 선체(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amphibious bus 1, a hull (not shown) is described.

수륙양용버스(1)는 선체가 차량의 형태로 형상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의 형태 또는 다양한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mphibious bus 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hip or in a variety of streamlines, though it is not limited thereto.

선체는 선미부(1a), 중앙부(1b), 선수부(1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미부(1a)에는 엔진(10), 수상 추진장치(20)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중앙부(1b)는 내부에 승객(도시하지 않음)이 착석하는 좌석(S)이 배치되고 하측에는 밸러스트 탱크(61), 육상 추진장치(31,3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선수부(1c)는 내부에 선체를 조작하는 사용자(U)가 배치되며 하측에는 수상감지탱크(72)가 배치될 수 있다. The hull may be constituted by a stern section 1a, a central section 1b and a bow section 1c and the stern section 1a may be provided with an engine 10, a water propulsion apparatus 20, A seat S on which a passenger (not shown) is seated is arranged in the inside and a ballast tank 61 and an onshore propelling device 31 or 32 are arranged on the lower side. And a water detection tank 7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이하 수륙양용버스(1)의 선체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들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various equipments provided on the hull of the amphibious bus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엔진(10)은,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The engine 10 generates power for propelling the hull.

구체적으로, 엔진(10)은 선체의 선미부(1a) 내에 배치되며,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내연기관이거나 선박에 구비되는 소형 선박 엔진으로 형성되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ngine 10 is disposed in the stern section 1a of the hull, and may b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vehicle provided in the vehicle or a small-sized marine engine provided on the ship to generate power.

이때, 엔진(10)은 수상 추진장치(20)와 제1 구동축(41)으로 연결될 수 있고, 육상 추진장치(31,32)와 제2 구동축(42)으로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gine 1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pumping propulsion device 20 by a first drive shaft 41, and may be connected by a second drive shaft 42 to the on-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수상 추진장치(20)는, 엔진(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상에서 선체를 추진시킨다.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10 and propels the hull from the water.

구체적으로 수상 추진장치(20)는, 엔진(10)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1 구동축(4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엔진(10)으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수상에서 선체가 추진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ter-propulsion unit 20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engine 1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shaft 41.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ngine 10 is converted into a rotational force to propel the hull from the water .

수상 추진장치(20)는, 육상 추진장치(31,32)가 돌출된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육상모드에서도 수상 추진장치(20)가 인입되지 않더라도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 length smaller than the protruded length of the land propelling devices 31 and 32. This makes it possible to drive the water-pumping apparatus 20 even when the water-pumping apparatus 20 is not driven in the ground mode.

또한, 수상 추진장치(20)는, 선체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변경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육상 모드에서는 수상 추진장치(20)가 선체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고, 수상 모드에서는 수상 추진장치(20)가 선체 외부로 도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육상 모드에서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ter-pumping propulsion device 20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chang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hip or protruded to the outside. This allows the water-propulsion device 20 to be drawn into the hull in the terrestrial mode, and the water-propulsion device 20 to be drawn out of the hull in the aquam mode, there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in the terrestrial mode .

수상 추진장치(20)는, 일례로 스크류 프로펠러일 수 있으며,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can be, for example, a screw propeller, and can be formed in pairs.

육상 추진장치(31,32)는, 엔진(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육상에서 선체를 추진시킨다. The onshore propulsion devices (31, 32) receive the power from the engine (10) and propel the hull on land.

구체적으로 육상 추진장치(31,32)는, 바퀴의 형태로 후륜(31)과 전륜(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엔진(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 구동축(42)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엔진(10)으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육상에서 선체가 추진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n-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may be constituted by a rear wheel 31 and a front wheel 32 in the form of wheels, and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engine 10 and connected via a second drive shaft 42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ngine 10 can be converted into rotational force to propel the hull on the land.

이때 육상 추진장치(31,32) 중에서 후륜(31) 만이 제2 구동축(42)을 통해서 엔진(10)과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of the land propulsion units 31 and 32, only the rear wheel 31 can be connected to the engine 10 through the second drive shaft 42. [

육상 추진장치(31,32)는, 수상 추진장치(20)가 돌출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육상모드에서도 수상 추진장치(20)가 인입되지 않더라도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The 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 length longer than the protruded length of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 This makes it possible to drive the water-pumping apparatus 20 even when the water-pumping apparatus 20 is not driven in the ground mode.

제1 및 제2 구동축(41,42)은, 엔진(10)과 수상 추진장치(20) 또는 육상 추진장치(31,32)를 연결하여, 엔진(1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수상 추진장치(20) 또는 육상 추진장치(31,32)에 전달한다.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41 and 42 connect the engine 10 and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or the on-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to transmi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10 to the water- 20) or on-land propulsion units (31, 32).

구체적으로, 제1 구동축(41)은 엔진(10)과 수상 추진장치(20)를 연결하며 엔진(1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수상 추진장치(20)에 직접 전달할 수 있고, 제1 구동축(41) 상에 제1 클러치(51)를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drive shaft 41 connects the engine 10 and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and can directly transmi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10 to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and the first drive shaft 41 The first clutch 51 may be provided.

제2 구동축(42)은 엔진(10)과 육상 추진장치(31,32)를 연결하며, 엔진(1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육상 추진장치(31,32)에 직접 전달할 수 있고, 제2 구동축(42) 상에 제2 클러치(5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drive shaft 42 connects the engine 10 and the on-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and can directly transmi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10 to the on-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And the second clutch 5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lutch 42.

제1 및 제2 클러치(51,52)는, 제1 및 제2 구동축(41,42)의 구동여부를 제어한다. The first and second clutches 51 and 52 control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41 and 42 are driven.

구체적으로 제1 클러치(51)는, 제1 구동축(51) 상에 형성되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clutch 51 is formed on the first drive shaft 5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or wirelessly, so that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may be received by wire or wireless and may be coupled or disassembled.

제1 클러치(51)가 결합되는 경우 제1 구동축(41)이 엔진(10)과 수상 추진장치(20)가 연결되고 제1 클러치(51)가 해제되는 경우 제1 구동축(41)이 엔진(10)과 수상 추진장치(20)가 해제된다. When the first clutch 51 is engaged and the first drive shaft 41 is connected to the water-propulsion apparatus 20 and the first clutch 51 is disengaged, the first drive shaft 41 is connected to the engine 10 and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are released.

제2 클러치(52)는, 제2 구동축(42) 상에 형성되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다. The second clutch 52 is formed on the second drive shaft 4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be coupled or disassembled.

제2 클러치(52)가 결합되는 경우 제2 구동축(42)이 엔진(10)과 육상 추진장치(31,32)가 연결되고 제2 클러치(52)가 해제되는 경우 제2 구동축(42)이 엔진(10)과 육상 추진장치(31,32)가 해제된다. When the second clutch 52 is engaged and the second drive shaft 42 is connected to the engine 10 and the land propulsion units 31 and 32 and the second clutch 52 is disengaged, The engine 10 and the 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are released.

밸러스트 탱크(61)는, 선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선체 내부의 승객의 증감에 따른 무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밸러스트 수가 저장될 수 있다. The ballast tank 6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ull, and the ballast water can be stored in order to cope with a change in weight due to an increase or decrease of passengers inside the hull.

밸러스트 탱크(61)는 별도로 선체 하측에 형성되는 씨체스트(Sea Chest;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해수 또는 담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륙양용버스는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allast tank 61 can be supplied with seawater or fresh water from a sea chest (not shown) formed separately on the lower side of the hull. To this end, the amphibious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pump .

수상감지탱크(72)는, 선체의 내부에 유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water detection tank 72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receive fluid inside the hull.

구체적으로 수상감지탱크(72)는 선체의 진행에 의해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선체의 전방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H1)이 전방 최하부에 형성되고,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H2)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홀(H1)은, 선체의 진행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ter-sensing tank 72 can be dispos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ship so that the fluid can flow into the ship by the progress of the hull, and the inflow hole H1 through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is formed at the frontmost lowermost portion, The outflow hole H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inlet hole H1 may be formed so as to observ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ull.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1)는, 수상감지탱크(72)가 선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수상인지 육상인지 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즉, 수륙양용버스(1)의 진행방향에 의해 수상에서는 유체가 진행방향을 따라 유입되기 때문에 최초 유입되는 면인 선체의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수상인지 육상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mphibious b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ptly determine whether the water-sensing tank 7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hip and whether it is an award or a land. That is, since the fluid flows in the direction of travel in the water phase due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amphibious bus 1, it can be promptly determined whether it is water or land by arranging it in front of the hull which is the first flow-

또한, 유입홀(H1)이 수상감지탱크(72)의 전방 최하측에 배치되어 잔존하는 유체에 이한 수위 판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inflow hole H1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in front of the water sensing tank 72, thereby preventing errors in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the remaining fluid.

유입홀(H1)이 수상감지탱크(72)의 전방 최하측에 배치되지 않고 전방 중간 또는 전방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육상에서 수상으로 모드 변환 시 유체가 유입되는 시기가 매우 늦게 되며 또한 수상에서 육상으로 모드 변환 시 수상에서 유입된 유체가 육상에서도 잔존하는 시간이 길어져 수상모드에서 육상모드로의 전환이 늦어질 수 있다. When the inflow hole H1 is disposed at the forward middle or front upper side of the aeration sensing tank 72 without being disposed at the lowermost front side of the aeration sensing tank 72, , The time taken for the fluid flowing from the water phase to remain on the ground during the mode conversion becomes longer, and the transition from the water mode to the land mode may be delay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입홀(H1)이 수상감지탱크(72)의 전방 최하측에 배치되어 잔존하는 유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어 수위 판단 오류로 인한 모드 전환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hole H1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water detection tank 72 to quickly discharge the remaining fluid, thereby preventing the delay in mode switching .

수상감지탱크(72)는,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감지 센서(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7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와 연결되어, 수상감지탱크(72)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로 수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The water detection tank 72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sensor 71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fluid contained therein. The detection sensor 71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or wirelessly to measure the level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aeration detection tank 72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level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수상감지탱크(72)는, 유출홀(H2)이 수상감지탱크(72)의 최하측에 배치되어 수상모드에서 육상모드로 변환 시 유체의 배출을 신속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유입홀(H1)이 전방 최하측에 배치되어 유출홀(H2)과 함께 잔존하는 유체를 완벽히 제거할 수 있어 잔존하는 유체에 이한 수위 판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water detection tank 72 has an effect that the outflow hole H2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water detection tank 72 so that the fluid can be quickly discharged when the water is converted from the water mode to the land mode. Of course, the inflow hole H1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posi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luid remaining together with the outflow hole H2 can be completely remov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in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remaining fluid.

제어부는 수상감지탱크(72)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수상 추진장치(20) 또는 육상 추진장치(31,32)의 구동을 선택하도록 제1 및 제2 클러치(51,52)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level information of the fluid received in the aeration detection tank 72 and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clutches 51 and 52 so as to select the drive of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or the 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수상감지탱크(72)에서 감지하는 수위가 기설정 수위 이상인 경우, 제1 클러치(51)를 결합하고 제2 클러치(52)를 해제하여 엔진(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수상 추진장치(20)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수상감지탱크(72)에서 감지하는 수위가 기설정 수위 미만인 경우, 제1 클러치(51)를 해제하고 제2 클러치(52)를 결합하여 엔진(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육상 추진장치(31,32)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Specifically, when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sensing tank 7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lutch 51 and the second clutch 52 so that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10 And when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sensing tank 72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level, the first clutch 51 is disengaged and the second clutch 52 is engaged to engage the engine 10, So that the power generated in the on-land propulsion units 31 and 32 is transmitted only.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수상감지탱크(72)의 감지센서(71)로부터 수상감지탱크(72) 내부의 유체의 수위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받으며, 전달받은 유체의 수위가 기설정 수위 이상인 경우, 제1 클러치(51)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 신호를 송신하고 제2 클러치(52)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해제 신호를 송신하여, 엔진(10)과 수상 추진장치(20)가 연결되고 엔진(10)과 육상 추진장치(31,32)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엔진(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수상 추진장치(20)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luid level of the fluid in the water sensing tank 72 from the sensing sensor 71 of the water sensing tank 72 by wire or wireless, and when the fluid level of the fluid received is above the predetermined level, The engine 10 and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ngine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lutch 51 via a wire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are released, so that the power generated in the engine 10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only to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또한, 제어부는, 전달받은 유체의 수위가 기설정 수위 미만인 경우, 제1 클러치(51)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해제 신호를 송신하고 제2 클러치(52)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 신호를 송신하여, 엔진(10)과 수상 추진장치(20)가 해제되고 엔진(10)과 육상 추진장치(31,32)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엔진(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육상 추진장치(31,32)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level of the delivered fluid is less than the preset level,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release signal to the first clutch 51 by wire or wireless, and transmits the release signal to the second clutch 52 by wire or wireless, The engine 10 and the water propulsion device 20 are disengaged and the engine 10 and the on-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10 is transmitted only to the land propulsion devices 31 and 32 To be transmitted.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1)는, 수상감지탱크(72)의 수위를 통해서 수륙양용버스(1)의 위치가 수상인지 또는 육상인지를 파악한 후, 즉각적으로 수상모드에서 육상모드 또는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자동 변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수륙양용의 교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amphibious b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amphibious bus 1 is a prize or a terrestrial through the water level of the aquametage tank 72,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vert to the airstream mode in the land mode or the land mode, thereby enabling smooth amphibious traffic.

게다가 하나의 엔진(10)과 제1 및 제2 클러치(51,52)를 통해서 육상모드에서의 바퀴굴림을 구현하고 수상모드에서의 스크류 회전을 구현할 수 있어 구축비용이 절감되고 간단한 조작으로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또는 수상모드에서 육상 모드로 변환이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lling of the wheels in the land mod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one engin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clutches 51 and 52 and the screw rotation in the airstream mode can be implement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To the aquatic mode or from the aquatic mode to the athletic mode can be quickly and easily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체에 탑승하는 사용자(U)에게 수상 또는 육상 모드 전환 여부의 알람을 울리는 알람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alarming the user U boarding on the hull, whether an aquatic or terrestrial mode switchover is possible.

제어부는 감지 센서(71)로부터 수상감지탱크(72) 내의 유체의 수위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기설정 수위와 비교하고, 유체의 수위가 기설정 수위의 수상감지탱크(72)의 높이를 기준으로 5% 이내의 상하 범위 내에 있으면 알람부를 가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luid level of the fluid in the water sensing tank 72 from the sensing sensor 71 by wire or wireless and compares it with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If the fluid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sensing tank 72 Is within 5% of the upper and lower range, the alarm unit can be operated.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버스(1)는, 수상인지 여부를 기설정 수위에만 의존하지 않고 기설정 수위의 5% 이내의 범위의 오차 판단 범위를 설정하여, 수상감지탱크(72) 내의 유동으로 인한 유체의 급격한 수위 변동으로 감지센서(71)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알람부를 두어 사용자(U)의 직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상인지 육상인지를 감지하는 제어부의 오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amphibious b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error judgment range within a range of 5% or less of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without depending only o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U) to detect whether the water level or the ground level is present by allowing the user U to make an intuitive judgment by placing an alarm part in the water level senso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misjudgmen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수륙양용버스 1a: 선미부
1b: 중앙부 1c: 선수부
10: 엔진 20: 수상 추진장치
31: 육상 추진장치 32: 육상 추진장치
41: 제1 구동축 42: 제2 구동축
51: 제1 클러치 52: 제2 클러치
61: 밸러스트 탱크 71: 감지 센서
72: 수상감지탱크 H1: 유입홀
H2: 유출홀 U: 사용자
S: 좌석
1: amphibious bus 1a: stern section
1b: center portion 1c: bow portion
10: engine 20: water propulsion device
31: Land propulsion system 32: Land propulsion system
41: first drive shaft 42: second drive shaft
51: first clutch 52: second clutch
61: ballast tank 71: detection sensor
72: Water detection tank H1: Inflow hole
H2: Outflow hole U: User
S: Seat

Claims (5)

선체;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수상에서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수상 추진장치;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육상에서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는 육상 추진장치;
상기 엔진과 상기 수상 추진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수상 추진장치에 전달하는 제1 구동축;
상기 엔진과 상기 육상 추진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육상 추진장치에 전달하는 제2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1 클러치;
상기 제2 구동축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2 클러치;
상기 선체의 내부에 유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상 감지 탱크; 및
상기 수상 감지 탱크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수상 추진장치 또는 상기 육상 추진장치의 구동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1 클러치 및 상기 제2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상 감지 탱크에서 감지하는 수위가 기설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클러치를 결합하고 상기 제2 클러치를 해제하여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수상 추진장치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상 감지 탱크에서 감지하는 수위가 기설정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클러치를 해제하고 상기 제2 클러치를 결합하여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육상 추진장치로만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상 감지 탱크는,
상기 선체의 진행에 의해 상기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선체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버스.
hull;
An engine for generating power for propelling the hull;
A water propulsion device tha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engine and propels the hull from an aquarium;
An onshore propulsion device tha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engine and propels the hull on land;
A first drive shaft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water-propulsion unit to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o the water-propulsion unit;
A second drive shaft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onshore propulsion device to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o the onshore propulsion device;
A first clutch for controlling whether the first drive shaft is driven;
A second clutch for controlling whether the second drive shaft is driven or not;
A water sensing tank formed to be able to receive a fluid inside the hull;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clutch and the second clutch to select the drive of the watercraft or the on-land propulsion unit by receiving the level information of the fluid received in the aeration tank,
Wherein,
Wherein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tank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water level, the first clutch is engaged and the second clutch is released to control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o be transmitted only to the water-
When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sensing tank is lower than a preset water level, the first clutch is released and the second clutch is engaged to control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o be transmitted only to the on-
The water-
Wherein the hull is disposed in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hull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hull as the hull progress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감지 탱크는,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최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버스.
The water-sensing tan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ow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is formed at the lowermost portion and is formed so as to look 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ul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감지 탱크는,
상기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버스.
The water-sensing tank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amphibious bu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탑승하는 사용자에게 수상 또는 육상 모드 전환 여부의 알람을 울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유체의 수위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기설정 수위와 비교하고, 상기 유체의 수위가 상기 기설정 수위의 상기 수상 감지 탱크 높이를 기준으로 5% 이내의 상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알람부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버스.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for alarming the user on board the hull,
Wherein,
The water level of the fluid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by wire or wireless and compared with a preset water level, and when the water level is within a range of up to 5% based on the height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tank at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And the alarm unit is operated.
KR1020170090773A 2017-07-18 2017-07-18 Amphibious Bus KR101815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773A KR101815811B1 (en) 2017-07-18 2017-07-18 Amphibious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773A KR101815811B1 (en) 2017-07-18 2017-07-18 Amphibious 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811B1 true KR101815811B1 (en) 2018-01-05

Family

ID=6100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773A KR101815811B1 (en) 2017-07-18 2017-07-18 Amphibious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8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335B1 (en) * 2018-10-24 2020-04-06 (주)지엠아이그룹 An Amphibious Bus Being Capable of Driving Safely on Water
CN114274719A (en) * 2022-01-06 2022-04-05 北京理工大学 Mode self-adaptive switching method of amphibious unmanned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2994A (en) 2011-12-26 2013-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Amphibious vehicle
JP2014108688A (en) * 2012-11-30 2014-06-12 Mitsubishi Heavy Ind Ltd Amphibian motor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2994A (en) 2011-12-26 2013-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Amphibious vehicle
JP2014108688A (en) * 2012-11-30 2014-06-12 Mitsubishi Heavy Ind Ltd Amphibian motor ca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335B1 (en) * 2018-10-24 2020-04-06 (주)지엠아이그룹 An Amphibious Bus Being Capable of Driving Safely on Water
WO2020085544A1 (en) * 2018-10-24 2020-04-30 (주)지엠아이그룹 Amphibious bus capable of stable operation in water
CN114274719A (en) * 2022-01-06 2022-04-05 北京理工大学 Mode self-adaptive switching method of amphibious unmanned vehicle
CN114274719B (en) * 2022-01-06 2023-11-10 北京理工大学 Mode self-adaptive switching method of amphibious unmanne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1145B2 (en) Amphibious vehicle control system
US4823722A (en) Semi-submersible marine craft
CA2688466C (en) Amphibious all-terrain vehicle
US8202136B2 (en) Watercraft with steer-responsive reverse gate
US8905800B2 (en) Inlet grate for a water jet propulsion system
KR101815811B1 (en) Amphibious Bus
JPH08511221A (en) Multipurpose watercraft
US7674144B2 (en) Reverse gate for jet propelled watercraft
US20140373769A1 (en) Watercraft hull
KR101540582B1 (en) an amphibious boat
KR20160056049A (en) an amphibious boat
US20170158288A1 (en) Semi-rigid inflatable watercraft
US7901259B2 (en) Method of indicating a deceleration of a watercraft
US6675730B2 (en) Personal watercraft having off-power steering system
US9701377B2 (en) Semi submarine
US20120178318A1 (en) Inlet Grate Cleaning System for a Water Jet Propulsion System
US9738363B1 (en) Continuous track outboard motor for watercraft propulsion
US6872105B2 (en) Watercraft having a jet propulsion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US11338894B1 (en) Auxiliary low-speed marine steering associated with inverted snorkel for underwater engine exhaust
KR10147048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yacht
CN102060095A (en) Emergency rescue boat with dynamic sail
JP7471640B2 (en) Amphibi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mphibious vehicle
KR101452293B1 (en) an amphibious boat
CN211893584U (en) Water balance navigation device
ES2882353A1 (en) BOAT FOR WATER SPORT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