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952B1 -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 Google Patents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952B1
KR101814952B1 KR1020170022041A KR20170022041A KR101814952B1 KR 101814952 B1 KR101814952 B1 KR 101814952B1 KR 1020170022041 A KR1020170022041 A KR 1020170022041A KR 20170022041 A KR20170022041 A KR 20170022041A KR 101814952 B1 KR101814952 B1 KR 10181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anels
main
panels
pane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영환
Original Assignee
남궁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영환 filed Critical 남궁영환
Priority to KR102017002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가 개시된다. 이러한 조립식 하우스는, 냉난방용 에어를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 - 메인 패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메인 패널들끼리 서로 조립가능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메인 패널들 및 제4 메인 패널들,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메인 패널들 및 제3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며, 제1 내지 제4 메인 패널들의 길이와 폭은 동일함 - , 미들 패널 - 미들 패널은, 제1 메인 패널들과 제2 메인 패널들 사이, 그리고 제3 메인 패널들과 제4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제1 메인 패널들과 제2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탑 패널 - 탑 패널은, 제2 메인 패널들과 제3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제1 바닥 지지부 - 제1 바닥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제1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 그리고, 제2 바닥 지지부 - 제2 바닥 지지부는 제1 바닥 지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4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제4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ASSEMBLY TYPE HOUSE CAPABLE OF HEATING AND COOLING}
본 발명은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패널들의 조립에 의해 제작되고, 이러한 패널들 내에 삽입되는 냉난방용 파이프를 이용하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등의 식물을 계절에 상관없이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여 재배하기 위한 용도로 비닐하우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닐 하우스의 경우, 비닐 재료의 특성상 태양이 있는 낮 동안에는 복사열에 의해 비닐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야간에는 급격하게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도 적절한 온도 유지를 위해 히터나 보일러 설비가 추가되어야 한다. 한편, 여름의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낮 동안에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게 되어 내부 식물의 생육에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적절한 온도 유지를 위해 냉방 설비가 추가되어야 한다.
종래의 비닐 하우스 내부에 설치되는 냉난방 장치들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909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이나 지열을 이용하기 위한 복잡한 설비가 부가된 방식,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226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온도조절수단과 공급관체를 이용하여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비닐 하우스의 경우, 비닐 하우스 자체에 추가로 비닐 하우스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설비들이 부가되어야 하고, 이러한 설비들의 추가로 인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닐 하우스의 외부를 별도의 천으로 덮어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닐 하우스 제작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의 확장성은 있으나, 폭 방향으로의 확장성에는 제약이 많이 따르는 취약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9092(2012년 12월 10일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22622(2012년 11월 07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비닐 하우스에서 냉난방을 위한 설비를 추가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시간 소요, 추가되는 냉난방 설비로 인한 작업의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된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비닐 하우스의 폭 방향으로의 확장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개선된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는, 냉난방용 에어를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와,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 - 상기 메인 패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 패널들끼리 서로 조립가능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메인 패널들 및 제4 메인 패널들,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메인 패널들 및 제3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메인 패널들의 길이와 폭은 동일함 - 와, 미들 패널(130) - 상기 미들 패널은,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3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과, 탑 패널(140) - 상기 탑 패널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과, 제1 바닥 지지부 - 상기 제1 바닥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와, 제2 바닥 지지부 -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및 상측에는 각각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측 메인패널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패널의 하측 및 상측에는 각각 하측 미들패널플러그와 상측 미들패널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탑 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좌측 탑패널플러그 및 우측 탑패널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닥 지지부 및 상기 제2 바닥 지지부 각각에는 바닥지지플러그가 형성되며, 조립시, 상기 메인 패널들 중 상기 제1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바닥지지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하측 미들패널플러그가 결합되며, 상기 상측 미들패널플러그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좌측 탑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우측 탑패널플러그와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상측 미들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하측 미들패널플러그와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바닥지지플러그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바닥 지지부 및 상기 제2 바닥 지지부 각각은, 상기 바닥지지플러그의 하부에 모이는 물이 상기 바닥 지지부의 중앙 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바닥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는, 상기 메인 패널들, 상기 미들 패널 및 상기 탑 패널 각각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립 상태에서 상기 메인 패널들의 내부 공간, 상기 미들 패널의 내부 공간 및 상기 탑 패널의 내부 공간은 모두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에서, 상기 미들 패널 내에 형성된 상기 파이프 관통홀 내에 삽입된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에어 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는, 냉난방용 에어를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와,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 - 상기 메인 패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 패널들끼리 서로 조립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상측 메인패널플러그 및 하측 메인패널플러그가 상하 각각에 형성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메인 패널들 및 제6 메인 패널들,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메인 패널들, 제3 메인 패널들, 제4 메인 패널들 및 제5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6 메인 패널들의 길이 및 폭은 모두 동일함 - 과, 제1 미들 패널 - 상기 제1 미들 패널은,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과, 제1 탑 패널 - 상기 제1 탑 패널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과, 제2 미들 패널 - 상기 제2 미들 패널은, 상기 제3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과, 제2 탑 패널 - 상기 제2 탑 패널은, 상기 제4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5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5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4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5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과, 제3 미들 패널 - 상기 제3 미들 패널은, 상기 제5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6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5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6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5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6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과, 상기 제2 미들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중앙 지지부와, 제1 바닥 지지부 - 상기 제1 바닥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와, 제2 바닥 지지부 -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6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6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비닐 하우스에서 냉난방을 위한 설비를 추가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시간 소요, 추가되는 냉난방 설비로 인한 작업의 불편함 등을 해소하여 설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의 확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하우스에서 평면 배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의 특징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주요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C"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E"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D"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G"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서 메인 패널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에서 길이 방향에서의 바닥 지지부(제1 바닥 지지부(150a))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에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110)와 냉난방용 에어를 분배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112)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메인 패널들(220a, 220b, 220c)이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경우의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메인 패널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메인 패널의 길이 방향의 단면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의 기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비닐 하우스에서 냉난방을 위한 설비를 추가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시간 소요, 추가되는 냉난방 설비로 인한 작업의 불편함 등을 해소하고, 폭 방향으로의 확장성을 개선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메인 패널들의 규격(폭 및 길이)을 모두 동일하게 제작하고, 조립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하측 및 좌우측에 조립을 위한 패턴(이하의 설명에서 이들을 메인패널플러그로 표현함)을 형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프레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들 패널 및 탑 패널도 마찬가지로, 메인 패널들과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 패턴(이하의 설명에서, 이들을 각각, 미들패널플러그 및 탑패널플로그로 표현함)일 형성하였다. 그리고, 미들 패널의 내부에는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하도록 하였고, 탑 패널의 내부에는 이를 생략하는 구조로 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 및 이와 관련된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스(100)는 패널들을 길이 방향(D1), 높이 방향(D2) 및 폭 방향(D3)으로 적절하게 조립하는 형태로 작업이 가능하여, 기존의 비닐하우스에 비해, 특히 폭 방향(D3)으로의 확장가능성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에서, 패널들 내부에 길이 방향(D1)으로 길게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D1은 길이 방향으로도 언급되며, F1은 정면, F2는 측면을 일컫는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여러 종류의 패널들, 예컨대, 메인 패널, 미들 패널 및 탑 패널 등으로 언급되고 있다. 상기 미들 패널 및 탑 패널은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하우스에서 평면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스(100)는 실내의 일측에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110a, 110b, 110c ; 이하 총괄하여 110으로도 일컬어짐)가 배치되며, 냉난방용 에어공급부(110)는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112a, 112b, 112c ; 이하 총괄하여 112로도 일컬어짐)를 통해 패널들 내부로 냉난방용 에어를 적절히 공급하여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도 2에서 "A'"으로 표시된 구성요소는 코너 기둥의 단면으로서, 특히 메인 패널의 일측과 결합하여(a1 부분과 정면(F1)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패널의 우측이 결합되고, a2 부분과 측면(F2)에 위치하는 패널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패널의 우측이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코너 기둥(A')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닥 지지부들과 함께,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스의 골격을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의 특징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주요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C"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E"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D"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G" 부분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서 메인 패널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를 설명한다.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 이하 총괄하여 120으로 칭함), 제1 미들 패널(130a), 제1 탑 패널(140a), 제2 미들 패널(130b), 제2 탑 패널(140b), 제3 미들 패널(130c), 중앙 지지부(160), 제1 바닥 지지부(150a) 및 제2 바닥 지지부(150b)를 포함한다.
메인 패널들(120) 각각은 길이 방향(도 1의 D1 방향)으로 서로 조립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상측 메인패널플러그(도 9의 124)와 하측 메인패널플러그(도 9의 126)가 메인 패널들(120) 각각의 상하에 형성된다. 메인 패널들(120)은 모두 같은 규격, 즉 두께를 포함하여 폭과 길이가 모두 동일하도록 제작되나, 조립 상태에서의 설명을 위해 제1 내지 제6 메인 패널들로 구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메인 패널들(120a)과 제6 메인 패널들(120f)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2 메인 패널들 내지 제5 메인 패널들(120b ~ 120e)은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1 메인 패널들 내지 제6 메인 패널들(120a ~ 120f)은 모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는 상측 메인패널플러그(124)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측 메인패널플러그(126)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미들 패널, 탑 패널 또는 바닥 지지부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9에서 상측 메인패널플러그(124)는 메인 패널에서 가장 바깥 부분이 돌출된 구조이고, 하측 메인패널플러그(126)은 안쪽으로 단차진 상태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구성요소들과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구조이다. 도 9의 경우와는 반대로, 하측과 상측의 메인패널플러그가 서로 바뀐 형태일 수도 있으며, 실제로 도 4의 경우, 제1 메인패널들(120a)은 상하가 서로 바뀐 상태로 결합된 경우이다. 따라서, 여기서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 및 하측 메인패널플러그라는 용어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된 것이지, 돌출된 구조를 특정하여 정의된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미들 패널(130a)은 제1 메인 패널들(120a)과 제2 메인 패널들(120b) 사이에서, 제1 메인 패널들(120a)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제2 메인 패널들(120b)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결합되는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미들 패널(130a)의 하측 미들패널플러그(134a)와 상측 미들패널플러그(136a)임), 제1 메인 패널들(120a)과 제2 메인 패널들(120b)이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112a)가 관통할 수 있도록 파이프 관통홀(13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의 (a)에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미들 패널(130a)은 길이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메인 패널들(120a)과 제2 메인 패널들(120b)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한다. 도 5에서 참조부호 138a는 제1 미들 패널(130a) 내부에서 파이프 관통홀(132a)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3,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탑 패널(140a)은 제2 메인 패널들(120b)와 제3 메인 패널들(120c) 사이에서, 제2 메인 패널들(120b)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제3 메인 패널들(120c)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결합되는 부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탑 패널(130a)의 좌측 탑패널플러그(144a)와 우측 탑패널플러그(146a)임), 제2 메인 패널들(120b)과 제3 메인 패널들(120c)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한다. 제1 탑 패널(140a)은 도 4 및 도 6의 (a)에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앞서의 미들 패널과는 달리 파이프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6에서 참조부호 148a는 제1 탑 패널(140a)의 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3, 도 4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2 미들 패널(130b)은 제3 메인 패널들(120c)과 제4 메인 패널들(120d) 사이에서, 제3 메인 패널들(120c)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제4 메인 패널들(120d)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결합되는 부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2 미들 패널(130b)의 좌측 미들패널플러그(134b)와 우측 미들패널플러그(136b)임), 제3 메인 패널들(120c)과 제4 메인 패널들(120d)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미들 패널(130b)은 도 4 및 도 6의 (a)에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D1)으로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112b)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132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탑 패널(140d)은, 제4 메인 패널들(120d)과 제5 메인 패널들(120e) 사이에서, 제4 메인 패널들(120d)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제5 메인 패널들(120e)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제4 메인 패널들(120d)과 제5 메인 패널들(120e)이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한다. 제2 탑 패널(140d)은, 제1 탑 패널(140a)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탑 패널(140a)의 설명에서 제2 메인 패널들(120b)을 제4 메인 패널들(120d)로, 그리고 제3 메인 패널들(120c)을 제5 메인 패널들(120e)로 대체하여 설명될 수 있다.
제3 미들 패널(130c)은, 제5 메인 패널들(120e)과 제6 메인 패널들(120f) 사이에서, 제5 메인 패널들(120e)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제6 메인 패널들(120f)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제5 메인 패널들(120e)과 제6 메인 패널들(120f)이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한다. 제3 미들 패널(130c)은, 제1 미들 패널(130a)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미들 패널(130a)의 설명에서 제1 메인 패널들(120a)을 제6 메인 패널들(120f)로, 그리고 제2 메인 패널들(120b)을 제5 메인 패널들(120e)로 대체하여 설명될 수 있다.
중앙 지지부(160)는 제2 미들 패널(130b)을 지지하여, 본 발명의 조립형 하우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3, 도 4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바닥 지지부(150a)는, 길이 방향(도 1의 D1)으로 배치되며, 제1 메인 패널들(120a)을 고정시켜 제1 메인 패널들(120a)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메인 패널들(120a)의 하측메인패널플러그에 제1 바닥 지지부(150a)의 바닥지지플러그(154a)가 결합되는 형태를 취한다. 또한, 제1 바닥 지지부(150a)는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112e)가 삽입되어 일정 높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에어 파이프 유지부(152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닥 지지부(150b)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질적인 구조는 제1 바닥 지지부(150a)의 구조와 동일한다. 제2 바닥 지지부(150b)는 제6 메인 패널들(120f)을 고정시켜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제1 바닥 지지부(150a)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9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125 및 127은 메인 패널들(120) 끼리 서로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0은 도 1에서 길이 방향(D1)에서의 바닥 지지부(예를 들어, 제1 바닥 지지부(150a))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바닥 지지부(150b)도 이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지지부(150a)는, 바닥지지플러그(154a)의 하부에 바닥플레이트(157a)가 형성된다. 바닥플레이트(157a)는 냉난방시 패널들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이 제1 바닥 지지부(150a) 측으로 모일 경우,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플레이트(157a)는 양쪽 끝 부분이 높고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앙부에서 모이는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부와 양쪽 끝 부분의 높이 차는 약 10cm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110)와 냉난방용 에어를 분배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112)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공급관(112)에서 미들 패널(130) 내에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에어 홀들(114)이 형성된다.
도 12는 메인 패널들(220a, 220b, 220c)이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경우의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메인 패널(220a, 220b, 220c)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의 단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도 9의 단일 벽체 구조와 달리 이중 벽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론 미들 패널, 탑 패널, 바닥 지지부의 두께도 또한 그에 상응하게 두껍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14는 메인 패널들의 길이 방향의 단면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a)는 단일 벽체 구조이고, (b)는 2중 벽체 구조로서, 각각의 구조에서 재료를 줄이고, 조립시 서로 원활하게 연통되도록 하여 냉난방 에어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의 연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폭이 좁은 형태,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정하여 보면,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스는,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120a', 120b', 120c', 120f' ; 이하 총괄하여 120'으로도 표현됨), 미들 패널(130a', 130b' ; 이하 총괄하여 130'으로도 표현됨), 탑 패널(140'), 바닥 지지부(150a', 150b' ; 이하 총괄하여 150'으로도 표현됨)를 포함한다.
메인 패널들(120')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메인 패널들(120a') 및 제4 메인 패널들(120f'), 그리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메인 패널들(120b') 및 제3 메인 패널들(120c')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메인 패널들이 각각 하나의 부호만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들 메인 패널들 각각이 모두 측면으로, 즉 길이 방향(도 1의 D1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조립되므로, 120a'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제1 메인 패널들을 대표하여 나타낸 참조부호이고, 120b', 120c' 및 120f'도 마찬가지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제2 메인 패널들, 제3 메인 패널들 및 제4 메인 패널들을 대표하여 나타낸 참조부호들이다. 메인 패널들(120'), 즉 제1 내지 제4 메인 패널들의 길이(높이) 및 폭은 모두 동일하게 제작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한다. 메인 패널들(120')의 구체적인 구조 예는 앞서 도 9 및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다.
미들 패널(130')로서, 미들 패널 130a'은 제1 메인 패널들(120a')과 제2 메인 패널들(120b') 사이에 위치하고, 미들 패널 130c'는 제3 메인 패널들(120c')과 제4 메인 패널들(120f') 사이에 위치한다. 미들 패널 130a'은 제1 메인 패널들(120a')과 제2 메인 패널들(120b')이 서로 둔각을 유지한 채 고정되도록 하며, 미들 패널 130b'는 제3 메인 패널들(120c')과 제4 메인 패널들(120f')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 고정되도록 해준다.
이렇듯, 미들 패널(130a', 130b') 각각은 길이 방향(도 1의 D1 방향)으로 길게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어, 미들 패널 130a', 130b' 각각이 길이 방향으로의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여 이들에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이 양측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러한 미들 패널(130a', 130b') 각각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D1 방향)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112')가 관통할 수 있도록 파이프 관통홀(도 5의 132a 참조)이 형성된다.
탑 패널(140')은 제2 메인 패널들(120b')과 제3 메인 패널들(120c') 사이에서, 제2 메인 패널들(120b')과 제3 메인 패널들(120c')이 서로 둔각을 유지하도록 결합된 채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탑 패널(140')은 미들 패널(130')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의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길게 하나의 구조로 형성된다. 탑 패널(140')의 경우에는 파이프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바닥 지지부(150a', 150b', ; 150')는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바닥 지지부(150a')와 제2 바닥 지지부(150b')를 포함한다. 제1 바닥 지지부(150a')에는 제1 메인 패널들(120a')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수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바닥 지지부(150b')에는 제4 메인 패널들(120f')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수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바닥 지지부(150a')와 제2 바닥 지지부(150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바닥 지지부(150')의 상부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11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메인 패널들은 단일 구조 또는 이중 구조로서 예시되었으나, 3중, 4중 또는 그 이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패널들은 플라스틱 패널이 사용될 수 있고,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플라스틱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난방용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구조의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대체로 40℃ 이상의 온도에서도 구조의 변형이 덜 생기는 재료로 형성된 플라스틱 패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인 패널들의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인 패널들의 내부에는 장시간(대체로 수개월 내지 수년) 사용할 경우 불순물이 내벽에 달라붙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 내부에 세제나 클리닝 워터를 주입하여 분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탑 패널의 내부에도 파이프 관통홀이 더 형성되어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더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110 :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
112 :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
120 : 메인 패널들
130 : 미들 패널
140 : 탑 패널
150 : 바닥 지지부
160 : 중앙 지지부

Claims (6)

  1. 삭제
  2. 냉난방용 에어를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 - 상기 메인 패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 패널들끼리 서로 조립가능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메인 패널들 및 제4 메인 패널들,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메인 패널들 및 제3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메인 패널들의 길이와 폭은 동일함 - ;
    미들 패널 - 상기 미들 패널은,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3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탑 패널 - 상기 탑 패널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제1 바닥 지지부 - 상기 제1 바닥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 및
    제2 바닥 지지부 -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및 상측에는 각각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측 메인패널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패널의 하측 및 상측에는 각각 하측 미들패널플러그와 상측 미들패널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탑 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좌측 탑패널플러그 및 우측 탑패널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닥 지지부 및 상기 제2 바닥 지지부 각각에는 바닥지지플러그가 형성되며,
    조립시, 상기 메인 패널들 중 상기 제1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바닥지지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하측 미들패널플러그가 결합되며, 상기 상측 미들패널플러그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좌측 탑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우측 탑패널플러그와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상측 미들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하측 미들패널플러그와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바닥지지플러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3. 삭제
  4. 냉난방용 에어를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 - 상기 메인 패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 패널들끼리 서로 조립가능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메인 패널들 및 제4 메인 패널들,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메인 패널들 및 제3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메인 패널들의 길이와 폭은 동일함 - ;
    미들 패널 - 상기 미들 패널은,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사이, 그리고 상기 제3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탑 패널 - 상기 탑 패널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제1 바닥 지지부 - 상기 제1 바닥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 및
    제2 바닥 지지부 -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는, 상기 메인 패널들, 상기 미들 패널 및 상기 탑 패널 각각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조립 상태에서 상기 메인 패널들의 내부 공간, 상기 미들 패널의 내부 공간 및 상기 탑 패널의 내부 공간은 모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에서, 상기 미들 패널 내에 형성된 상기 파이프 관통홀 내에 삽입된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에어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6. 냉난방용 에어를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냉난방용 에어 공급부;
    복수 개의 메인 패널들 - 상기 메인 패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 패널들끼리 서로 조립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상측 메인패널플러그 및 하측 메인패널플러그가 상하 각각에 형성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메인 패널들 및 제6 메인 패널들,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메인 패널들, 제3 메인 패널들, 제4 메인 패널들 및 제5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6 메인 패널들의 길이 및 폭은 모두 동일함 -;
    제1 미들 패널 - 상기 제1 미들 패널은,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2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
    제1 탑 패널 - 상기 제1 탑 패널은,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3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제2 미들 패널 - 상기 제2 미들 패널은, 상기 제3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3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4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
    제2 탑 패널 - 상기 제2 탑 패널은, 상기 제4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5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4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5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4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5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함 -;
    제3 미들 패널 - 상기 제3 미들 패널은, 상기 제5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6 메인 패널들 사이에서, 상기 제5 메인 패널들 각각의 하측 메인패널플러그와 상기 제6 메인 패널들 각각의 상측 메인패널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5 메인 패널들과 상기 제6 메인 패널들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유지한 채로 고정되도록 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난방용 에어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관통홀을 포함함 - ;
    상기 제2 미들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중앙 지지부;
    제1 바닥 지지부 - 상기 제1 바닥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1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 및
    제2 바닥 지지부 -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6 메인 패널들을 고정시켜 상기 제6 메인 패널들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KR1020170022041A 2017-02-20 2017-02-20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KR10181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041A KR101814952B1 (ko) 2017-02-20 2017-02-20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041A KR101814952B1 (ko) 2017-02-20 2017-02-20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952B1 true KR101814952B1 (ko) 2018-01-04

Family

ID=6099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041A KR101814952B1 (ko) 2017-02-20 2017-02-20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997B1 (ko) 2018-06-11 2019-10-25 남궁영환 사계절용 온실 하우스 시스템
KR20200062779A (ko) * 2018-11-27 2020-06-04 김범술 비닐하우스의 결로억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766B1 (ko) 2010-05-19 2010-10-26 박일흥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766B1 (ko) 2010-05-19 2010-10-26 박일흥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997B1 (ko) 2018-06-11 2019-10-25 남궁영환 사계절용 온실 하우스 시스템
KR20200062779A (ko) * 2018-11-27 2020-06-04 김범술 비닐하우스의 결로억제 시스템
KR102301410B1 (ko) * 2018-11-27 2021-09-14 김범술 비닐하우스의 결로억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7481U (ja) 緑化壁構造体
KR101135926B1 (ko) 벽면 녹화용 식생대
JP3139466U (ja) 組合せ式園芸用装置
KR101814952B1 (ko)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CN104853586B (zh) 壁面绿化大气净化装置及利用此装置的系统
ES2215007T3 (es) Procedimiento para cubrir de vegetacion de superficie y contenedor con reserva de agua utilizado en dicho procedimiento.
KR101169351B1 (ko) 가드닝 플랜터
SG182599A1 (en) Assembly set of assembly-type planting container and assembly-type planting container
JP2012255291A (ja) 日除けの形成方法及び日除け
KR101576508B1 (ko) 녹지 조성용 유닛박스
JP2021121225A (ja) 鉄骨とパイプのハイブリッドハウス
KR101279800B1 (ko) 지지부가 보강된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102048147B1 (ko) 화분 모듈
KR101829333B1 (ko) 친환경 무가온 버섯재배사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KR101142146B1 (ko) 비닐하우스용 프레임과 합성수지 투명패널을 이용한 온실
KR102036997B1 (ko) 사계절용 온실 하우스 시스템
KR102164922B1 (ko) 벽면형 식물 조경장치
JP2010148406A (ja) 緑化カーテンウォール
JP7354764B2 (ja) 集合住宅用外観構造
JP2018029553A (ja) 植栽ルーバ構造
JP2006254842A5 (ko)
JP2015172304A (ja) 日除け
KR20190076385A (ko)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
JP2006254842A (ja) 見切り縁材。
KR20240076958A (ko) 생육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