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645B1 - 풍량 조절 댐퍼 - Google Patents

풍량 조절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645B1
KR101814645B1 KR1020160141873A KR20160141873A KR101814645B1 KR 101814645 B1 KR101814645 B1 KR 101814645B1 KR 1020160141873 A KR1020160141873 A KR 1020160141873A KR 20160141873 A KR20160141873 A KR 20160141873A KR 101814645 B1 KR101814645 B1 KR 101814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using
coil
rotating
rota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풍량 조절 댐퍼가 제공된다. 풍량 조절 댐퍼는,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회전 반경 상에 상기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에서 회전하는 상기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풍량 조절 댐퍼{Damper for adjusting air volume}
본 발명은 풍량 조절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실이나 화물창 안의 공기를 환기시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주거구역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통풍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통풍관은 크게 자연통풍방식과 기계통풍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통풍방식은 실내외의 공기를 압력차나 온도차에 의해 벽의 틈새, 출입구 또는 통풍구를 통하여 환기하는 방식이고, 기계통풍방식은 공조기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환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실제로 선박에서는 두 가지 방식을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합하여 통풍을 하고 있다.
이러한 통풍에 사용되는 통풍관은 보통 갑판의 바로 밑에 설치되지만, 거주구에서는 천장 내장판 내에 설치되며, 급기구와 배기구만 선실에 설치된다.
통풍관은 단면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통풍관과 원형 통풍관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계통풍방식의 경우 소음문제로 인하여 고압부는 원형 통풍관이 사용되고 저압부는 사각형 통풍관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24311 (공고일: 2013. 11. 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풍량 조절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풍량 조절 댐퍼의 일 면(aspect)은,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회전 반경 상에 상기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에서 회전하는 상기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 회전 블레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블레이드와 이루는 각도가 변하는 제2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이 상기 제2 회전 블레이드와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회전 블레이드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와이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을 회전시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마찰 패드와, 상기 마찰 패드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마찰 패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자석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코일 사이 및 상기 제2 자석과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석과 상기 코일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 제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회전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코일에 의한 전기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마찰 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자석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압력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회전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코일에 의한 전기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풍량 조절 댐퍼(100)는 하우징(10), 제1 회전 블레이드(111), 제2 회전 블레이드(112), 와이어(120), 와이어 조절부(121), 코일(130), 제1 자석(141), 제2 자석(142) 및 배터리(150)를 포함한다.
풍량 조절 댐퍼(100)는 선박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조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풍량을 조절하여 선실이나 화물창 안의 공기를 환기시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풍량 조절 댐퍼(100)는 선박 이외의 대형 구조물에 설치되어 대형 구조물의 각각의 구역에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풍량 조절 댐퍼(100)의 베이스 프레임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풍량 조절 댐퍼(100)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20) 및 풍량 조절 댐퍼(100)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 블레이드(11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유입부(20)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블레이드(11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 블레이드(111)는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과 연결되어,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 블레이드(11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유입부(20)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 블레이드(11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 블레이드(112)는 제1 회전 블레이드(111)와 연결되어,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와이어(120)는 제2 회전 블레이드(112)가 제1 회전 블레이드(111)와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와이어(120)의 제1 단은 제2 회전 블레이드(112)와 연결되고, 와이어(120)의 제2 단은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 조절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와이어(120)의 제2 단은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조절부(121)는 와이어(120)의 제2 단과 연결되어, 와이어(120)를 수축 또는 이완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조절부(121)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120)를 감거나 또는 풀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 조절부(121)는 와이어(120)를 수축 또는 이완시킬 수 있다.
와이어(120)가 이완되는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 블레이드(111)와 제2 회전 블레이드(112)는 제1 각도(θ1)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영향을 받는 면적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와이어(120)가 수축되는 경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 블레이드(111)와 제2 회전 블레이드(112)는 제1 각도(θ1)보다 작은 제2 각도(θ2)를 갖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영향을 받는 면적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이어 조절부(121)는 제1 회전 블레이드(111)와 제2 회전 블레이드(1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코일(130)은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130)은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이 연장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가 하우징(10)에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과 연결된 코일(130)도 회전될 수 있다.
도 1에는 코일(130)이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코일(1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자석(141)은 하우징(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코일(130)의 회전 반경 상에 코일(13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석(142)은 하우징(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코일(130)의 회전 반경 상에 코일(13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코일(130)을 기준으로 제1 자석(141)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석(141)과 제2 자석(14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141)이 N극의 극성을 갖는 경우, 제2 자석(142)은 S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제1 자석(141)이 S극의 극성을 갖는 경우, 제2 자석(142)은 N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자석(141)이 N극의 극성을 가지고, 제2 자석(142)이 S극의 극성을 갖는 경우, 자기장(B)은 제1 자석(141)으로부터 제2 자석(142)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의 회전(R)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과 연결된 코일(130)이 회전(R)될 수 있다.
코일(130)이 회전함으로써 코일의 내부를 흐르는 자기력선의 밀도 변화로 인하여 교류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한 교류 전류는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직류 전류로 변환되어 배터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100)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 에너지를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를 이용하여 회전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회전 에너지를 코일(130)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킴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한다.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마찰 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풍량 조절 댐퍼(200)는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100)와 달리, 마찰 패드(160) 및 마찰 패드 조절부(161)를 더 포함한다.
마찰 패드(160)는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과 연결되고, 하우징(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 패드(160)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과 연결되어, 하우징(10)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마찰 패드(16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찰 패드 조절부(161)는 마찰 패드(160)와 연결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찰 패드(160)를 조절하여 마찰 패드(160)를 하우징(10)의 외부 표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마찰 패드 조절부(161)는 마찰 패드(160)와 하우징(10)의 접촉 압력 즉, 마찰 패드(160)와 하우징(1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찰 패드 조절부(161)는 마찰 패드(160)와 연결된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C)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찰 패드 조절부(161)는 마찰 패드(160)와 하우징(1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선박 내부의 각각의 구역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풍량 조절 댐퍼(200)는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100)와 비교하여, 마찰 패드(160) 및 마찰 패드 조절부(161)를 이용하여 선박 내부의 각각 구역에 공급되는 풍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한다.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자석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풍량 조절 댐퍼(300)는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100)와 달리, 자석 조절부(170) 및 이동 제한 장치(171)를 더 포함한다.
자석 조절부(170)는 제1 및 제2 자석(141, 142)과 하우징(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 조절부(170)는 하우징(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자석 조절부(170)는 제1 및 제2 자석(141, 142)과 코일(1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석 조절부(170)는 제1 및 제2 자석(141, 142)을 코일(130)에 접근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자석(141, 142)의 자기력선 강도를 증가시켜 코일(130)의 회전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 조절부(170)는 제1 및 제2 자석(141, 142)을 코일(130)과 이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자석(141, 142)의 자기력선 강도를 감소시켜 코일(130)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석 조절부(170)는 코일(130)의 회전 저항을 조절하여 제1 및 제2 회전 블레이드(111, 1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선박 내부의 각각의 구역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동 제한 장치(171)는 제1 자석(141)과 코일(130) 사이 및 제2 자석(142)과 코일(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제한 장치(171)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자석(141, 142)이 자석 조절부(170)에 의해 코일(130)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및 제2 자석(141, 142)과 코일(130)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의 풍량 조절 댐퍼(300)는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100)와 비교하여, 자석 조절부(170) 및 이동 제한 장치(171)를 이용하여 선박 내부의 각각 구역에 공급되는 풍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한다.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조절 댐퍼의 압력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풍량 조절 댐퍼(400)는 도 2의 풍량 조절 댐퍼(100)와 달리, 압력 블레이드(180)를 더 포함한다.
압력 블레이드(180)는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10)의 일 측 내부 즉, 공기 유입부(20)와 인접한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블레이드(180)는 공기가 배출되는 하우징(10)의 타 측 내부 즉, 공기 배출부(30)와 인접한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블레이드(18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한 개의 압력 블레이드(180)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압력 블레이드(180)는 하우징(10)의 내벽과 연결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공기가 하우징(10)에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압력 블레이드(180)는 공기가 하우징(10)에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압력 블레이드(180)는 하우징(10)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선박 내부의 각각의 구역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의 풍량 조절 댐퍼(400)는 도 1의 풍량 조절 댐퍼(100)와 비교하여, 압력 블레이드(180)를 이용하여 선박 내부의 각각 구역에 공급되는 풍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댐퍼 111: 제1 회전 블레이드
112: 제2 회전 블레이드 120: 와이어
121: 와이어 조절부 130: 코일
141: 제1 자석 142: 제2 자석
150: 배터리 160: 마찰 패드
161: 마찰 패드 조절부 170: 자석 조절부
171: 이동 제한 장치 180: 압력 블레이드

Claims (8)

  1.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회전 반경 상에 상기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에서 회전하는 상기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일측이 연결되는 제1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 회전 블레이드의 타측과 연결되고, 와이어의 제1 단과 연결된 제2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제2 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제1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회전 블레이드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와이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풍량 조절 댐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회전시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풍량 조절 댐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마찰 패드와,
    상기 마찰 패드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마찰 패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풍량 조절 댐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자석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풍량 조절 댐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코일 사이 및 상기 제2 자석과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석과 상기 코일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 제한 장치를 더 포함하는 풍량 조절 댐퍼.
  8. 제 1항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풍량 조절 댐퍼.
KR1020160141873A 2016-10-28 2016-10-28 풍량 조절 댐퍼 KR101814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873A KR101814645B1 (ko) 2016-10-28 2016-10-28 풍량 조절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873A KR101814645B1 (ko) 2016-10-28 2016-10-28 풍량 조절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645B1 true KR101814645B1 (ko) 2018-01-04

Family

ID=6099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873A KR101814645B1 (ko) 2016-10-28 2016-10-28 풍량 조절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59A (ko) * 2019-10-31 2021-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조절댐퍼
KR102386313B1 (ko) * 2021-06-23 2022-04-14 (주)에이피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환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038A (ja) * 2001-03-19 2002-09-25 Yoshihiro Kobayashi 風向風量調整用器具
JP2011166894A (ja) * 2010-02-05 2011-08-25 Onkyo Corp 振動発電機
KR101168266B1 (ko) * 2010-05-04 2012-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24311B1 (ko) * 2011-05-25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038A (ja) * 2001-03-19 2002-09-25 Yoshihiro Kobayashi 風向風量調整用器具
JP2011166894A (ja) * 2010-02-05 2011-08-25 Onkyo Corp 振動発電機
KR101168266B1 (ko) * 2010-05-04 2012-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24311B1 (ko) * 2011-05-25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59A (ko) * 2019-10-31 2021-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조절댐퍼
KR102640395B1 (ko) * 2019-10-31 2024-0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조절댐퍼
KR102386313B1 (ko) * 2021-06-23 2022-04-14 (주)에이피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34533B (zh) 用于空气通风的通风系统及穿过通风系统实现通风的方法
KR101814645B1 (ko) 풍량 조절 댐퍼
KR101317441B1 (ko) 환기용 댐퍼
FI3085962T3 (fi) Kahdensuuntainen aksiaalipuhallinlaite
KR101101201B1 (ko) 양방향 송풍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JP4835173B2 (ja) 天井扇
CN205298726U (zh) 温控旋流风口
JP2010014326A (ja) 風向変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乾燥機
JP2018173207A (ja) 可変風量装置
NL2027339B1 (nl) In of aan een ventilatiekanaal voorzienbare elektrische inrichting
JP2008215248A (ja) 天井扇
KR20220039069A (ko) 굴뚝설치용 풍력발전장치
JP2011190941A (ja) 空気調和機
KR20110107512A (ko) 바닥용 디퓨저
JP5353513B2 (ja) 天井扇
JP2009091980A (ja) 扇風機
CN104456723B (zh) 空调器
CN105588192A (zh) 一种嵌入式空调室内机
KR101972460B1 (ko) 발전기능을 보유한 디퓨저
JP2016044868A (ja) 室外機及びこの室外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0243028A (ja) サーキュレータ
KR101322717B1 (ko) 이알브이에 채택되는 에어 플랜지
JP5504624B2 (ja) 遠心送風機
US20220128263A1 (en) Multi-port ventilation
JP5118842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