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501B1 -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 Google Patents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501B1
KR101814501B1 KR1020170091407A KR20170091407A KR101814501B1 KR 101814501 B1 KR101814501 B1 KR 101814501B1 KR 1020170091407 A KR1020170091407 A KR 1020170091407A KR 20170091407 A KR20170091407 A KR 20170091407A KR 101814501 B1 KR101814501 B1 KR 10181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cket
cable
wire po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운
Original Assignee
(주)덕천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천개발 filed Critical (주)덕천개발
Priority to KR102017009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4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wells
    • E03B5/06Special equipment, e.g. well seals and connections for well cas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천공에서 지하수공 상부 밀폐덮개장치에 설치되어 전선구를 밀실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공사후 전선구에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양수관,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을, 양수관,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상부로 관통하도록 하여 상단부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덮개에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을 밀폐하도록 하는 부재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상부의 단면이 넓고 하부의 단면이 좁은 형상의 관통구와, 외측에 일정 깊이로 복수의 너트홈이 형성되는 전선구 소켓과; 전선구 소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오링과; 전선구 소켓의 관통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관통구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일정 높이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전선구 소켓의 너트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공으로 이루어져, 전선구 소켓의 상부에 볼트로 결합되는 전선구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선구 소켓은 덮개의 상부에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위치시켜 접합하고, 전선구 소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오링을 전선구캡의 돌출부가 압착하여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을 감싸도록 밀폐하도록 전선구 소켓의 상부에 볼트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Sealing Member for Pumping Subterranean}
본 발명은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천공에서 지하수공 상부 밀폐덮개장치에 설치되어 전선구를 밀실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공사후 전선구에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공에는 암반 굴착으로 지하 암반층을 관통하여 지하수 유동 위치에 도달되게 케이싱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는 그 케이싱의 내의 지하수를 양수하여 토출하기 위한 양수관과 상기 양수관의 하단 측에는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모터펌프 및 모터펌프 작동 등을 위한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구성된다. 이때, 케이싱의 내부로 오염수나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덮개가 구성되는데, 양수관,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은 덮개를 관통하여 구성된다.
이때,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관통되는 덮개의 관통부위를 밀폐하기 어렵고,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의 두께 및 설치 개수 등이 달라 완벽한 밀폐가 어려워 오염수 및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 제0352126호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어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된 수중 모터펌프를 구비한 지하수공 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끼울 수 있는 직경을 이루며 하측 내부로 상기 케이싱의 상단이 끼워지는 환형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환형의 프랜지가 형성된 양단이 개구된 중공구조의 통체, 상기 통체의 직경보다 큰 넓이를 이루어 상기 프랜지와 결합되는 판(板)으로 사전 조립되어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덮도록 된 케이싱덮개의 조립체; 상기 통체의 측벽 및 판에 각각 형성된 설치공; 및 상기 통체의 환형홈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가 상기 케이싱에 수밀하게 안착되도록 한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전선구 연결부에서의 밀폐구조를 갖지 않아 오염물질등의 유입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등록 제0352126호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상부 덮개의 형상이나 규격등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전선구 소켓만을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의 두께 및 설치 개수 등에 상관없이 전선구 소켓에 오링을 삽입하여 오링을 전선구캡으로 압착하여 매우 용이하게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수관,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을, 양수관,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상부로 관통하도록 하여 상단부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덮개에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을 밀폐하도록 하는 부재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상부의 단면이 넓고 하부의 단면이 좁은 형상의 관통구와, 외측에 일정 깊이로 복수의 너트홈이 형성되는 전선구 소켓과; 전선구 소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오링과; 전선구 소켓의 관통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관통구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일정 높이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전선구 소켓의 너트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공으로 이루어져, 전선구 소켓의 상부에 볼트로 결합되는 전선구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선구 소켓은 덮개의 상부에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이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위치시켜 접합하고, 전선구 소켓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오링을 전선구캡의 돌출부가 압착하여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을 감싸도록 밀폐하도록 전선구 소켓의 상부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관통구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관통구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덮개에 전선구 소켓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구를 형성하고, 전선구 소켓의 하부를 일정 깊이 관통구에 매입하여 용접하여 접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상부 덮개의 형상이나 규격등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전선구 소켓만을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의 두께 및 설치 개수 등에 상관없이 전선구 소켓에 오링을 삽입하여 오링을 전선구캡으로 압착하여 매우 용이하게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가 설치되는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천공에서 지하수공 상부 밀폐덮개장치에 설치되어 전선구를 밀실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공사후 전선구에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가 설치되는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지하수공에는 암반 굴착으로 지하 암반층을 관통하여 지하수 유동 위치에 도달되게 케이싱(51)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51)의 상부 개구에는 덮개(5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51)의 내부로는 그 케이싱(51)의 내의 지하수를 양수하여 토출하기 위한 양수관(53)이 상기 덮개(52)를 관통하는 상태로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수관(53)의 하단 측에는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모터펌프(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덮개(52)는 케이싱(51)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6)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57)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오염된 지표수나 오염물질이 상기 케이싱(5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외부 전원으로 인해 모터펌프가 구동되면, 상기 케이싱(51)의 내부에 저류되는 지하 암반수는 양수관(53)을 통하여 목적지까지 보내지게 된다.
이때,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은 덮개(52)를 관통하여 양수관(53)의 내부로 인입되는데,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이 관통하는 덮개(52)에는 지표수나 오염물질이 유입되거나 케이블의 손상 등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선구 밀폐부재는 상기와 같은 덮개(52)에 설치되어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이 관통하는 덮개(52)를 밀폐하여 양수관(53)의 내부로 오염수 및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선구 밀폐부재는 덮개(52)의 상부에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는 전선구 소켓(10)과, 전선구 소켓(10)에 끼워지는 오링(20)과 오링(20)을 압착하도록 전선구 소켓(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전선구 캡(30)으로 이루어진다.
전선구 소켓(10)은 도 1 및 도 3a에서와 같이, 강재로 이루어지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덮개(52)의 중앙 상부로 돌출되는 양수관(53)의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에 적합하도록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선구 소켓(10)은 일정 크기로 상부의 단면이 넓고 하부의 단면이 좁은 형상의 관통구(11)가 형성된다.
관통구(11)는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이 관통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며, 1개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이 여러가닥일 경우에는 한꺼번에 오링(20)으로 밀폐하기 어렵고 또한 별도로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도 4에서와 같이, 관통구(11)는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관통구(11)가 상부의 단면이 넓고 하부의 단면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에 오링(20)을 삽입하고, 전선구 캡(30)의 돌출부(33)로 오링(20)을 압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오링(20)이 관통구(11)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면서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의 주변을 압착하여 밀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선구 소켓(10)의 외측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깊이로 복수의 너트홈(12)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선구 캡(30)과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오링(20)은 링 형상의 공지의 다양한 오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선구 소켓(10)의 관통구(11)에 끼워지는 것으로 관통구(11)의 상부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전선구 캡(30)은 전선구 소켓(10)과 동일한 형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선구 소켓(10)의 관통구(11)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하여 관통구(31)가 형성되며, 관통구(31)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일정 높이 수직방향 하부로 돌출되도록 돌출부(33)가 형성된다.
돌출부(33)는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관통구(11) 내부에 삽입된 오링(20)을 돌출부(33)가 압착하여 관통구(11)을 경사면을 따라 오링(20)을 내려가게 하면서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밀폐하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부(33)는 관통구(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구(11)의 상부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선구 캡(30)은 전선구 소켓(10)의 너트홈(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하여 체결공(32)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 3b에서와 같이, 전선구 소켓(10)의 상부에 볼트(40)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동력 케이블(58)과 같이 여러 가닥인 경우에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동력 케이블(58)이 일렬로 위치되도록 관통구(11)를 장공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관통구(11)가 원형이고 동력 케이블(58)이 여러가닥인 경우에는 여러가닥이 뭉쳐져 오링(20)의 압착으로도 완전하게 밀폐가 불가능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장공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구 소켓(10)은 상부 덮개(52)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덮개(52)에 전선구 소켓(10)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구(521)를 형성하고, 전선구 소켓(10)의 하부를 일정 깊이 관통구(521)에 매입하여 용접하여 접합하도록 하여 접합부위의 강도를 향상키키고 덮개(52)와 전선구 소켓(10)의 접착부위의 밀폐가 더욱 긴밀하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상부 덮개의 형상이나 규격등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전선구 소켓만을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의 두께 및 설치 개수 등에 상관없이 전선구 소켓에 오링을 삽입하여 오링을 전선구캡으로 압착하여 매우 용이하게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전선구 소켓
11 : 관통구
12 : 너트홈
20 : 오링
30 : 전선구 캡
31 : 관통구
32 : 체결공
33 : 돌출부
40 : 볼트
51 : 케이싱
52 : 덮개
53 : 양수관
56 : 플랜지부
57 : 체결수단
58 :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

Claims (5)

  1. 양수관(53),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이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51)을, 양수관(53),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이 상부로 관통하도록 하여 상단부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덮개(52)에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을 밀폐하도록 하는 부재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상부의 단면이 넓고 하부의 단면이 좁은 형상의 관통구(11)와, 외측에 일정 깊이로 복수의 너트홈(12)이 형성되는 전선구 소켓(10)과;
    전선구 소켓(10)의 관통구(11)에 삽입되는 오링(20)과;
    전선구 소켓(10)의 관통구(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31)와, 관통구(31)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일정 높이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3)와, 전선구 소켓(10)의 너트홈(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공(32)으로 이루어져, 전선구 소켓(10)의 상부에 볼트(40)로 결합되는 전선구 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선구 소켓(10)은 덮개(52)의 상부에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이 관통구(11)를 관통하도록 위치시켜 접합하되,
    덮개(52)에 전선구 소켓(10)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구(521)를 형성하고, 전선구 소켓(10)의 하부를 일정 깊이 관통구(521)에 매입하여 용접하여 접합하고,
    전선구 소켓(10)의 관통구(11)에 삽입되는 오링(20)을 전선구캡(30)의 돌출부(33)가 압착하여 동력 케이블 및 전선 케이블(58)을 감싸도록 밀폐하도록 전선구 소켓(10)의 상부에 볼트(4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관통구(11)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관통구(11)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4. 삭제
  5. 삭제
KR1020170091407A 2017-07-19 2017-07-19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KR10181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07A KR101814501B1 (ko) 2017-07-19 2017-07-19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07A KR101814501B1 (ko) 2017-07-19 2017-07-19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501B1 true KR101814501B1 (ko) 2018-01-05

Family

ID=6100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407A KR101814501B1 (ko) 2017-07-19 2017-07-19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79184A1 (fr) * 2022-12-04 2024-06-05 Jean-Pierre Duran Dispositif de couverture d'une tête et station de pompage d'un puits de for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64Y1 (ko) * 2000-04-21 2001-03-15 조희남 연결 배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심정 밀폐덮게
KR200375104Y1 (ko) * 2004-11-12 2005-02-05 주식회사 신진수도 관로연결구
JP2013096160A (ja) * 2011-11-02 2013-05-20 Kurimoto Ltd 止水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64Y1 (ko) * 2000-04-21 2001-03-15 조희남 연결 배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심정 밀폐덮게
KR200375104Y1 (ko) * 2004-11-12 2005-02-05 주식회사 신진수도 관로연결구
JP2013096160A (ja) * 2011-11-02 2013-05-20 Kurimoto Ltd 止水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79184A1 (fr) * 2022-12-04 2024-06-05 Jean-Pierre Duran Dispositif de couverture d'une tête et station de pompage d'un puits de f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37B2 (en) Self-drainage anchor cable system for slope prot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4909323A (en) Grouting well pipe
KR101814501B1 (ko) 지하수공 상부 덮개에 설치되는 전선구 밀폐부재
CN104334395A (zh) 用于感应式传输电能的设备
US4457448A (en) Gasketless well casing cap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0948594B1 (ko)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송배출구 자동 탈부착 장치
KR100629894B1 (ko) 공동주택단지 지중배선용 파형관 방수구조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200360999Y1 (ko)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KR20110099578A (ko) 누수 감지형 암거블럭
KR101462370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 설치 구조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KR100561239B1 (ko) 밀폐형 심정 덮개장치.
JP2011066997A (ja) 電線共同溝の特殊部
CN2406346Y (zh) 直流输电组合式深井接地极
KR100700182B1 (ko) 지하수 관정개발 공법 및 장치
KR100600516B1 (ko) 방수밀폐형 맨홀
KR100975348B1 (ko)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KR101919959B1 (ko) 지중매설물 보호 장치
KR200352126Y1 (ko)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RU31879U1 (ru) Кабельная муфта
KR102274213B1 (ko) 관정 밀폐 커버가 구비된 지하수 취수구조
KR0156671B1 (ko) 지하수를 양수하는 양수장치의 어댑터연결방법 및 어댑터
JP3143725U (ja) 密封式吐出曲管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