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410B1 -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410B1
KR101814410B1 KR1020150188298A KR20150188298A KR101814410B1 KR 101814410 B1 KR101814410 B1 KR 101814410B1 KR 1020150188298 A KR1020150188298 A KR 1020150188298A KR 20150188298 A KR20150188298 A KR 20150188298A KR 101814410 B1 KR101814410 B1 KR 10181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arch
sawdust
powder
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119A (ko
Inventor
이한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켐
Priority to KR102015018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4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8Holders or dispensers for pressurized insecticide, e.g. pressurized vessels, c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8Solanaceae [Potato family], e.g. nightshade, tomato, tobacco or chilli pe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잣나무가루 및 톱밥 10~30 중량%, 쑥 5~20 중량%, 담배줄기가루 5~20 중량%,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또는 현무암 중 1종의 광물질 20~30 중량%의 훈연제 주재료와, 질산칼륨 5~20 중량%, 염소산나트륨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0.1~5 중량%, 전분 5~20 중량% 및 물 5~15 중량%를 첨가제로 포함한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잣나무가루 및 톱밥 10~30 중량%, 쑥 5~20 중량%, 담배줄기가루 5~20 중량%을 수분함량이 20~30 %가 되도록 건조 후, 2~7 mm 크기로 분쇄한 다음, 분쇄된 건조물을 질산칼륨 5~20 중량%, 염소산나트륨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0.1~5 중량%를 물 5~15 중량%에 혼합, 반죽하면서, 첨가하고,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또는 현무암 중 1종의 광물질 20~30 중량%와 전분 5~20 중량%를 첨가하여 전체가 균질되게 혼합하여 제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훈연제로, 독성이 적고, 방제 효과가 탁월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Smoking composition for the extermination of vermi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 등 식물 부산물을 함유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훈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화학원료를 사용한 훈연제는 히드라메치논, 피레트린, 프탈트린 및 레스메트린 등의 화학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작용의 신속성은 있으나 가격 및 설치비용이 높고, 훈증시 유독물질발생으로 인체의 유해한가하면, 사용방법이 어렵고 휴대가 불편하며 화재의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규격 및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적재적소에 설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식물재료를 주원료로 사용한 훈연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고, 아래와 같은 천연 식물재료를 이용한 여러 제품이 소개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785427호(2007.12.06.등록)에는 일반가정집을 비롯하여, 사무실이나 식당, 공장 및 축사 등에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쳔연생약 원료성분으로 쑥과 당귀, 천궁, 우슬, 솔잎을 중탕 건조 후 배합, 분쇄, 과립상으로 하고 천연허브향을 추가시켜 허브향을 발산시킨 개미 및 곤충의 접근을 방지시킨 곤충기피 훈향제가 소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9929호(2013.11.07.등록)에는 꿀을 채취하기 위하여 꿀벌을 기피할 목적으로 연막 훈증기에 쑥이나 솔잎, 땔나무재, 톱밥 등을 훈연제로 사용한 예가 소개되어 있다.
농화학회지 Vol 47, NO. 3 제21-324면(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4. 9. 30.발행)에는 왕겨를 가연성 담체로하고 산화제로 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한 봉상 훈연제가 소개되어 있고, 여러가지 화학농약성분을 함유한 훈연제와 오이 노균병과 토마토 역병에 대한 실험을 하였는바, 시판되고 있는 수화제와 동등하고 약해 유발이 없어서 농약제형으로 손색이 없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에 따른 훈연제 조성물은 각 천연생약식물을 열탕건조후 배합, 분쇄, 과립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 제조원가 및 대량 생산면에서 개선해야할 사항이 여전히 존재하고, 특허문헌 2에 따른 훈중제는 재료면에서 다소 비슷하나 단지 꿀을 채취하기 위하여 벌 기피용 훈연제로 작용됨을 알 수 있어 농작물의 해충에 까지 효과가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해 버려지는 농업부산물 (약 626만톤) 중 목재부산물(160만톤)을 수거해 폐자원을 재활용하므로서 제조원자를 낮추고, 인간이나 동물에 대한 독성이 낮고, 생태계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친환경 훈연제의 장점을 가지면서 광물질을 포함시켜 해충효과를 더욱 상승시켜, 살충효과도 기존 시판되는 훈연제제의 효과보다 높거나 대등한 수준의 살충효과를 갖는 훈연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훈연제는 목재의 간벌재 및 톱밥, 쑥, 담배줄기가루, 잣나무가루, 및 제올라이트 등 광물질을 주재료로 포함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재료와 추가하여 질산칼륨, 염소산나트륨, 알길산나트륨 및 전분의 첨가제 및 물(배합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해충방제용 훈연제 조성물은, 잣나무가루 및 톱밥 10~30 중량%, 쑥 5~20 중량%, 담배줄기가루 5~20 중량%,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또는 현무암 중 1종의 광물질 20~30 중량%의 훈연제 주재료와 질산칼륨 5~20 중량%, 염소산나트륨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0.5~5 중량%, 전분 5~20 중량% 및 물 5~15 중량%를 첨가제로 포함한 해충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잣나무가루 및 톱밥 10~30 중량%, 쑥 5~20 중량%, 담배줄기가루 5~20 중량%을 수분함량이 20~30 %가 되도록 건조후, 2~7 mm크기로 분쇄한 다음, 분쇄된 건조물은 알긴산나트륨 0.1~5 중량%, 염소산나트륨 5~10 중량%, 질산칼륨 5~20 중량%를 물 5~15 중량%에 혼합, 반죽하면서 첨가하고,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또는 현무암 중 1종의 광물질 20~30 중량%와 전분 5~20 중량%를 첨가하여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제형화하여 해충방제용 훈연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해충이라함은 주로 농업해충을 뜻하고, 인간이, 의, 식, 주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재배하고 사양하는 작물, 가축, 임목 그리고 그의 생산물을 가해하는 동물을 의미한다. 또한 해충용 살충기전은 접촉제-층의 피부에 침투하여 신경기능의 마비를 시키던가, 소화방해를 일으키던가 도는 훈증으로 가스나 증기로 인해 기문을 통과해서 신경계통에 침투 또는 기문을 막아 해충방제 효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충이라 정의되는 모든 해충이 방제대상이지만, 특히 본 발명품의 특성상 밀폐된 공간에서 작물 재배시 발생되는 해충, 즉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해층이 해당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진디물, 깍지벌레, 총채류, 나방류, 온실가루이, 아메리카잎굴파리, 담배가루이 등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해충방제용 훈연제 조성물은 친환경적으로 독성이 적고, 농업용 해충을 방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보였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훈연제(화학제) 용기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훈연제(친환경 재료) 용기의 정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훈연제 용기에 뚜껑을 결합한 상태의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훈연제 용기에서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훈연제를 딸기 밭에 훈연을 실시하기 전의 사진이다(2015.03.24.실험).
도 6은 본 발명의 훈연제를 딸기 밭에 훈연을 실시중인 상태의 사진이다(2015.03.24.실험).
도 7은 본 발명의 훈연제를 딸기 밭에 훈연을 실시 후의 사진이다(2015.03.24.실험).
도 8은 본 발명의 훈연제를 고추 밭에 훈연을 실시하기 전의 사진이다(2015.04.10.실험).
도 9는 본 발명의 훈연제를 고추 밭에 훈연을 실시중인 상태의 사진이다(2015.04.10.실험).
도 10은 본 발명의 훈연제를 고추 밭에 훈연을 실시 후의 사진이다(2015.04.10.실험).
본 발명에서 주재료인 잣나무가루 및 톱밥은 잣나무가루와 톱밥의 6:4 중량비율의 혼합물로, 1) 잣나무가루는 잣나무 간벌재와 잣 탈각 후 부산물을 얻어 건조 분쇄한 것으로, 60 중량% 이상의 비율이 되어야 잣나무에서 발생되는 정유성분을 충분히 포함하게 되어 바람직하고, 2) 톱밥은 침엽수의 간벌재 및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톱밥으로, 연막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며, 3) 상기 잣나무가루와 톱밥을 합하여 2~7 mm 크기로 세절한 것을 대략 10~3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며, 잣나무가루가 20 % 초과시 불안전 연소로 검은 연기가 발생하며 10 %이하에서는 연기발생량이 적다.
쑥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개똥쑥, 강화약쑥, 인진쑥, 참쑥, 사찰쑥 등 모든 쑥이 사용될 수 있으며, 2~7 mm 크기로 세절한 건조분말로 5~2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며, 5 중량% 이하에서는 연기발생량이 적어 해충효과가 약해진다.
담배줄기가루는 담배잎채취 후 버려지는 담배줄기를 2~7 mm로 세절, 건조한 것으로 5~2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며, 5 중량% 이하에서는 연기발생량이 적어 해충효과가 적어진다.
광물질은 점토광물로 다공성으로 탈취효과 및 제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올라이트(zeolite), 일라이트(illite) 또는 현무암(basalt) 중에서 선택되며, 20~30 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하에서는 전체 혼합물이 고른 분포가 어렵고, 탈취 및 다공성으로 인한 산소공급이 원할치 못하고, 30 중량% 이상에서는 훈증효과는 좋으나 원가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로 훈연제 역할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질산칼륨(KNO3, Potassium nitrate)은 조연제, 점화제 기능을 하며, 5~20 중량%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함량 이하일 경우 연소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염소산나트륨(NaClO3)은 연소를 도우는 역할을 하며, 5~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알긴산나트륨(C6H8O6)n, sodium alginate)은 연소시 질소발생 해충방제 효과를 증대시키고, 점성이 유지되어 과립형성에 도움이되며, 0.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전분은 알파 전분으로 물에 쉽게 혼합, 용해되는 부정형 다공성 분말로서 접착력이 뛰어나며, 본 발명에서는 점성으로 인한 주재료의 접착을 위하여 5~15 중량% 포함한다.
물의 함량은 5~15 중량% 포함되며, 5 중량% 이하일 경우 성형에 지장이 있고, 15 % 이상일 경우에는 제품 반죽상태가 바람직하지 않으며, 연소에 방해를 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실험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 : 훈연제의 제조.
·해당원료와 배합비율
표 1
Figure 112015128116672-pat00001
·제조공정
원료계량 → 원료배합 → 과립형성 → 건조 → 펄프를 식물유에 함침 → 원통형제작후 투입 → 박스포장
제1공정 : 상기 배합원료 중 식물 부산물을 건조(수분함유량 20~30 %)하고,
제2공정 : 상기 혼합비에 따라 분쇄(밀, 또는 일반톱밥기, 핀크러셔 사용)한 다음,
제3공정 : 알긴산나트륨, 질산칼륨 및 염소산나트륨을 물에 혼합하여 반죽하면서 제2공정의 건조물과 광물질(제올라이트 또는 일라이트)을 함께 혼합한다. 전분을 가하고 과립화 한다.
제4공정 : 캔에 투입 또는 피마자 함침된 종이를 원통으로 제작한 후, 중간을 빈공간으로 하면서 투입, 완제품으로 한다.
·작업방법
1) 각각의 원료를 정확하게 계량한다.
2) 계량된 원료를 배합기에 투입한다.
3) 배합기에 전원을 넣고 약 3 분간 원료를 혼합한다.
4) 배합기를 정지한 후 따듯한 배합수를 투입한 후 7 분간 믹싱한다.
5) 믹싱된 배합물을 별도의 용기에 쏟는다.
6) 배합물을 과립기에 투입한 후 과립기를 가동하여 과립상태로 만든다.
7) 트레이(tray)에 받아 건조기에 넣은 다음 건조시킨다.
8) 용기에 기준량(100 g)을 넣은 다음 캔 포장한다(도 2 및 3 참조).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에 따르되, 실시예 1에서 잣나무가루를 톱밥으로 전부 대체하였다.
실험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훈연제로 해충방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소규모 실험방법]
1.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율 실험을 하였다.
2. 실시예와 비교예의 연막제를 100 마이크로리터, 50 마이크로리터 씩 각각 준비하였다.
3. 딸기 유묘를 원통형 아크릴 용기 100 cm × 100 cm에 넣었다.
4. 총채벌레 성충 50 마리를 유묘에 접종하였다.
5. 준비된 연막제를 100 마이크로리터, 50 마이크로리터를 각각 분사 후 밀봉 후 24 시간 후 방제율을 조사하였다.
6. 3 회 반복 후 평균치를 구하였다.
표 2 실험결과
Figure 112015128116672-pat00002
[대규모 실험방법]
시설하우스 660 제곱미터(200 평)에 100 g~1 kg짜리 성형물을 만들어 500 g~1 kg을 사용하여 딸기밭과 고추밭에 실제 적용하여 방제효과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대략 75 % 정도의 해충방제 효과를 얻었다(도 5~10 참조).

Claims (8)

  1. 잣나무가루 및 톱밥 10~30 중량%, 쑥 5~20 중량%, 담배줄기가루 5~20 중량%,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또는 현무암 중 1종의 광물질 20~30 중량%의 훈연제 주재료와, 질산칼륨 5~20 중량%, 염소산나트륨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0.1~5 중량% 및 전분 5~20 중량% 및 물 5~15 중량%를 첨가제로 포함하고, 상기 잣나무가루 및 톱밥은 6:4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광물질이 일라이트인 훈연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제형이 과립인 훈연제 조성물.
  4. 잣나무가루 및 톱밥 10~30 중량%, 쑥 5~20 중량%, 담배줄기가루 5~20 중량%을 수분함량이 20~30 %가 되도록 건조 후, 분쇄한 다음, 분쇄된 건조물은 질산칼륨 5~20 중량%, 염소산나트륨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0.1~5 중량%를 물 5~15 중량%에 혼합, 반죽하면서 첨가하고,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또는 현무암 중 1종의 광물질 20~30 중량%와 전분 5~20 중량%를 첨가하여 전체가 균질되게 혼합하여 제형화하고, 상기 잣나무가루 및 톱밥은 6:4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광물질이 일라이트인 훈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조성물 제형이 과립인 훈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훈연제 조성물을 함유한 훈연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용기는 캔(can)인 용기.
KR1020150188298A 2015-12-29 2015-12-29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98A KR101814410B1 (ko) 2015-12-29 2015-12-29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98A KR101814410B1 (ko) 2015-12-29 2015-12-29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19A KR20170078119A (ko) 2017-07-07
KR101814410B1 true KR101814410B1 (ko) 2018-01-04

Family

ID=5935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298A KR101814410B1 (ko) 2015-12-29 2015-12-29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74B1 (ko) 2021-12-17 2022-08-30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훈연제 점화용 심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3927B (zh) * 2019-06-24 2020-12-29 四川轻化工大学 一种防火隔热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74B1 (ko) 2021-12-17 2022-08-30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훈연제 점화용 심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19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bet et al. Bioactivity of selected plant powders against Prostephanus truncatus (Coleoptera: Bostrichidae) in stored maize grains.
KR100249884B1 (ko) 식품의 품질보존제 및 품질보존구
KR101713649B1 (ko) 저온 무염 훈소 과정을 이용한 훈연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1194B1 (ko) 새로운 시설원예용 농약 훈연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4410B1 (ko) 해충 방제용 훈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530602A (ja) ピレトリン高含有殺虫剤
CN104872280A (zh) 一种含肉桂油的粮食杀虫剂
KR100861704B1 (ko) 농약의 훈증,훈연제 조성물
EP1956916A2 (en) Natural pesticide
WO2007010095A2 (en) Bait composition for cockroaches and ants
KR101416984B1 (ko) 천연 모기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0001263A (ja) 野菜及び花卉植物の食害防止剤
CN104521630A (zh) 一种防治烟田地下害虫的方法
JPH0499704A (ja) 殺虫・殺菌剤の製造方法
KR101942005B1 (ko) 농축산용 훈연 살균소독제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RU2129367C1 (ru) Инсектицидный препарат-приманка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медведкой
CN110312420A (zh) 用于控制蝇类和其他昆虫的基质、其生产方法以及所述基质作为动物床的用途
US11547118B1 (en) Natural pesticides, substan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JP2954965B2 (ja) くん煙害虫防除剤
KR101814484B1 (ko) 잣나무부산물 추출오일을 이용한 재배시설내 병충해 방제용 훈증제 제조
CN106900756B (zh) 一种防治农业害虫的苦葛提取物与印楝素的杀虫组合物及其用途
JP2005179328A (ja) 無農薬忌避ニーム樹皮酸ベンヅ剤
Michura Screening o Methylenedioxy Synergists in Insec Weevil, Sit
JP2011120527A (ja) 発煙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