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969B1 - 고무 보충기 구조 - Google Patents

고무 보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969B1
KR101813969B1 KR1020150172053A KR20150172053A KR101813969B1 KR 101813969 B1 KR101813969 B1 KR 101813969B1 KR 1020150172053 A KR1020150172053 A KR 1020150172053A KR 20150172053 A KR20150172053 A KR 20150172053A KR 101813969 B1 KR101813969 B1 KR 10181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assage
shaft pipe
tank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789A (ko
Inventor
웬-산 초우
Original Assignee
웬-산 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산 초우 filed Critical 웬-산 초우
Publication of KR2016006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29C73/025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fe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16Tools for repairing damaged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보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압축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고무 보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무 보충기 구조의 탱크 내에는 화학 고무액을 채우고 캡은 탱크의 개구 부위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밸브 홀더는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 시키고 구동 부재가 캡 부위에서 피봇 회전을 하는 작용에 의해 밸브 홀더를 압박하여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 시킨 기존의 상태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가 연통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하여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가 공기 진입용 통로를 통해 탱크 내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화학 고무액이 고무 배출용 통로를 통해 유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고무 보충기 구조{Structure for filling rubber}
본 발명은 고무 보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고무 보충 용도에 사용되는 화학 고무액이 들어있는 고무 보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무 보충기 구조의 탱크는 캡과 서로 결합되고 상기 캡에는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고 이 중에서 하나의 매니폴드는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받기 위한 것이고 다른 매니폴드는 고무 보충기 구조 내의 화학 고무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구동 부재를 작동 시켜서 캡 내에 수용 안치된 긴 컬럼이 연통 통로를 밀폐 시킨 밸브 홀더를 밀게 하여 고압 공기가 연통 통로를 통해 직접 출력되고 나서 아래로 화학 고무액의 상면을 압박하게 하고, 화학 고무액이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 및 직렬 연결된 호스를 거쳐서 파손된 타이어의 노즐에 연통되게 하며, 타이어 수리 및 공기 주입 등의 동작을 안전하게 진행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대부분의 고무 보충기 구조는 기본적으로 캡, 탱크 및 관체로 구성되고, 탱크 내에는 타이어를 수리하는 용도의 화학 고무액이 채워진다; 캡에는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고 이 중에서 하나의 매니폴드는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받기 위한 것이고 다른 매니폴드는 화학 고무액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관체는 캡에 연결되고 캡이 탱크에 결합된 후에는 상기 관체가 탱크 내에 수용 안치되어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는 관체를 통해 출력되어 화학 고무액이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를 통해 유출되도록 압박함으로써 연결호스 및 노즐을 거쳐서 파손된 타이어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고무액 보충 동작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더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고무 보충기 구조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고무 보충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고무 보충기 구조의 탱크 내에는 화학 고무액을 채우고 캡은 탱크의 개구 부위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밸브 홀더는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 시키고 구동 부재가 캡 부위에서 피봇 선회(스윙)를 하면서 밸브 홀더를 압박하여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 시킨 기존의 상태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가 연통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하여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가 공기 진입용 통로를 통해 탱크 내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화학 고무액이 고무 배출용 통로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무 보충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고무 보충기 구조는 구동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긴 컬럼을 밀고, 상기 긴 컬럼은 밸브 홀더가 캡의 돌출부 및 하부 축 파이프 등의 두 곳을 이탈하도록 밀어서 화학 고무액이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를 통해 토출되게 압축공기가 화학 고무액을 압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무 보충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고무 보충기 구조는 탱크, 캡, 긴 컬럼, 밸브 홀더 및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보충기 구조의 탱크는 캡과 서로 결합되고 캡의 상, 하단에는 서로 관통되는 상부 축 파이프 및 하부 축 파이프가 각각 연장되고,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면판이 구비되고 측면판에는 역시 서로 대향되는 축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되고 상단이 개방형이고 밑단은 밀폐면인 관통홈이 구비되고 서로 관통되는 상부 축 파이프 및 하부 축 파이프 내에는 내부 유동 통로가 구비되고, 상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구경은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구경보다 크며, 하부 축 파이프에는 계단형의 단턱이 형성되고 상부 축 파이프에는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며, 이 중에서 하나의 매니폴드는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받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매니폴드는 연통 통로를 통해 탱크의 내부 수용챔버와 서로 연통되고 다른 매니폴드는 상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와 서로 연통되며; 스프링은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를 통해 진입하여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의 단턱에 맞닿고; 긴 컬럼은 관 외경이 더 큰 헤드 단부를 갖고 긴 컬럼은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를 통해 진입하며 또한 긴 컬럼의 헤드 단부는 스프링의 상단에 맞닿고 긴 컬럼은 상부 축 파이프 및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중에 수용 안치되며; 밸브 홀더는 하부 축 파이프 외부 둘레에 끼워지고 또한 연통 통로 및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를 동시에 밀폐 시킬 수 있으며; 구동 부재는 전술한 측면판 상의 축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긴 컬럼 상단에 맞닿을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부재를 작동 시켜서 내부 유동 통로에 수용 안치된 긴 컬럼이 연통 통로 및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를 밀폐 시킨 상기 밸브 홀더를 밀어내게 함으로써 고압 공기가 연통 통로를 통해 직접 출력되고 나서 아래로 화학 고무액의 상면을 압박하게 하고, 화학 고무액이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 및 직렬 연결된 호스를 거쳐서 파손된 타이어의 노즐에 연통되게 하고, 타이어 수리 및 공기 주입 등의 동작을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구현하며 타이어 수리 및 공기 주입 시간을 크게 단축 시킨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무 보충기 구조의 일 면(aspect)은,탱크, 캡, 스프링, 원형이 아닌 기둥형 긴 컬럼, 밸브 홀더 및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중공 형상으로서 내부 수용챔버가 형성되고, 탱크의 일단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베이스가 형성되며, 탱크의 내부 수용챔버에는 고무 보충 용도의 화학 고무액을 채울 수 있고 상기 탱크의 개구에는 수나사가 구비되고 내부 수용챔버의 밑층에 위치하는 베이스에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의 상, 하단에는 서로 관통되는 상부 축 파이프 및 하부 축 파이프가 각각 연장되고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면판이 구비되고 측면판에는 여전히 서로 대향되는 축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되고 상단이 개방형이고 밑단은 밀폐면인 관통홈이 구비되고, 이 중에서 하나의 측면판은 관통홈의 평행 방향으로 연장 보드가 외부로 연장되고, 연장 보드에는 경사면을 갖춘 챔퍼형 걸림 블록이 구비되고, 서로 관통되는 상부 축 파이프 및 하부 축 파이프 내에는 내부 유동 통로가 구비되고, 상부 축 파이프에는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고 이 중에서 하나의 매니폴드는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받기 위한 것이고, 또 다른 매니폴드는 탱크 내의 화학 고무액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캡은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탱크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고, 캡의 내부 상단면에는 링형 요홈이 움푹 파이게 구비되어 와셔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부 축 파이프에는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 및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 등 전술한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 내에는 공기 진입용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진입용 통로는 연통 통로를 통해 탱크의 내부 수용챔버와 서로 연통되며, 캡의 내측에는 연통 통로와 서로 관통되는 원형 돌출부가 돌출 구비되고,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 내에는 고무 배출용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고무 배출용 통로는 상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와 서로 연통되고 상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구경은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구경보다 크며, 하부 축 파이프에는 계단형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를 통해 진입하여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의 단턱에 맞닿으며; 상기 원형이 아닌 기둥형 긴 컬럼은 캡의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를 통해 진입되어 전술한 내부 유동 통로 내에 수용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긴 컬럼에는 관 외경이 더 큰 헤드 단부가 구비되고, 헤드 단부에는 링형 요홈이 형성되어 O링을 끼움 설치할 수 있고 긴 컬럼에는 복수의 요입홈이 움푹 파이게 형성되며, 긴 컬럼의 헤드 단부는 전술한 스프링의 상단에 맞닿고 긴 컬럼은 전술한 내부 유동 통로 내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밸브 홀더는 고무 보충기 구조의 탱크 내에 이미 화학 고무액이 채워진 초기상태에서는 고압 공기의 공기 진입용 통로 및 화학 고무액의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시키며, 밸브 홀더는 내부 유통챔버를 구비하고, 일단에는 개방형 개구가 구비되고 타단은 복수의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수직판이 연장되며, 두 개의 수직판 사이에는 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수직판에 의해 에워싸인 내부 둘레측에는 계단형 돌출 스토퍼가 구비되며, 개구단의 밸브 홀더 외부 둘레는 수직 바가 위로 연장되고 수직 바 끝단에는 요홈을 갖는 밀폐 헤드가 구비되고 밀폐 헤드의 요홈에는 중심핀이 연장되며, 밸브 홀더는 개방형 개구를 통해 아래에서 위로 캡의 하부 축 파이프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요홈은 캡 내측의 돌출부를 알맞게 끼울 수 있고 밀폐 헤드의 중심핀은 전술한 연통 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은 편심 캠이 구비되고, 편심 캠의 양측에는 한 쌍의 축 기둥이 구비되고, 구동 부재의 타단에는 레버가 구비되며, 구동 부재는 축 기둥에 의해 전술한 상부 축 파이프에 구비된 측면판 상의 축 구멍에 피봇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구동 부재의 편심 캠은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단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긴 컬럼의 헤드 단부에 맞닿을 수 있으며, 레버는 축 기둥을 스윙 중심으로 하고 상부 축 파이프에 구비된 측면판의 두 개의 서로 대향되는 관통홈은 상기 구동 부재가 반원 정도를 스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회전 시의 젖힘 동작에 의해 밸브 홀더를 압박하여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 시킨 기존의 상태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가 연통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하여,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가 공기 진입용 통로를 통해 탱크 내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화학 고무액이 고무 배출용 통로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 보충기 구조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 보충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캡, 밸브 홀더 및 구동 부재의 조립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방향의 평면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무 보충기 구조의 초기상태 설명도.
도 6은 도 5의 동작 설명도.
본 발명은 고무 보충기 구조(1) 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압축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고무 보충기 구조(1)에 관한 것으로, 고무 보충기 구조(1)의 탱크(2) 내에는 화학 고무액(26)을 채우고 캡(3)은 탱크(2)의 개구(21) 부위에 결합될 수 있고 밸브 홀더(5)는 공기 진입용 통로(33) 및 고무 배출용 통로(35)를 밀폐 시키며, 구동 부재(4)가 캡(3) 부위에서 피봇 회전을 하는 작용에 의해 밸브 홀더(5)를 압박하여 공기 진입용 통로(33) 및 고무 배출용 통로(35)를 밀폐 시킨 기존의 상태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공기 진입용 통로(33) 및 고무 배출용 통로(35)가 연통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하여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가 공기 진입용 통로(33)를 통해 탱크(2)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화학 고무액(26)이 고무 배출용 통로(35)를 통해 유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탱크(2) 및 캡(3)이 설치되고 상기 탱크(2)는 중공 형상으로서 내부 수용챔버(23)가 형성되고, 탱크(2)의 일단에는 개구(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베이스(25)가 형성되며, 탱크(2)의 개구(21)에는 수나사(22)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챔버(23)의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25)에는 요홈(24)이 형성되며, 탱크(2)의 내부 수용챔버(23)에는 고무 보충 용도에 사용되는 화학 고무액(26)이 채워지는 고무 보충기 구조(1) 를 제공한다.
캡(3)는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탱크(2)의 개구(21)에 결합될 수 있고, 캡(3)의 내부 상단면에는 링형 요홈(30)이 움푹 파이게 구비되어 와셔(6)를 수용할 수 있으며, 캡(3)와 탱크(2)가 서로 결합될 때, 캡(3)이 탱크(2)의 개구(21)단에 나사 결합될 때 와셔(6)에 의해 안정성과 밀폐성을 더욱 갖추게 하며, 캡(3)의 외부 둘레에는 아크형 보드(301)가 연장되고 상기 아크형 보드(301) 끝단에는 걸림용 훅(302)이 구비되며, 캡(3)의 상, 하단에는 서로 관통되는 상부 축 파이프(31) 및 하부 축 파이프(36)가 각각 연장되고 상부 축 파이프(31)의 개구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면판(310)이 구비되고 측면판(310)에는 역시 서로 대향되는 축 구멍(311)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판(310) 사이에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되고 상단이 개방형이고 밑단은 밀폐된 관통홈(312)이 형성되며, 이 중에서 하나의 측면판(310)은 관통홈(3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보드(313)가 외부로 연장되고 연장 보드(313)에는 경사면(315)을 갖춘 챔퍼(chamfer)형 걸림 블록(314)이 구비되고, 상부 축 파이프(31) 내에는 내부 유동 통로(316)가 구비되고 하부 축 파이프(36) 내에는 내부 유동 통로(361)가 구비되고 내부 유동 통로(316) 및 내부 유동 통로(361)도 서로 연통되며, 상부 축 파이프(31)에는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32) 및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34)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32) 내에는 공기 진입용 통로(33)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진입용 통로(33)는 연통 통로(39)를 통해 탱크(2)의 내부 수용챔버(23)와 서로 연통되며, 캡(3)의 내측에는 연통 통로(39)와 서로 관통되는 원형 돌출부(38)가 돌출 구비되고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34) 내에는 고무 배출용 통로(35)가 구비되고 상기 고무 배출용 통로(35)는 상부 축 파이프(31)의 내부 유동 통로(316)와 서로 연통되며, 상부 축 파이프(31)의 내부 유동 통로(316) 구경은 하부 축 파이프(36)의 내부 유동 통로(361) 구경보다 크고 하부 축 파이프(36)에는 계단형의 단턱(37)이 형성된다.
스프링(8)은 상부 축 파이프(31)의 개구를 통해 진입하여 하부 축 파이프(36)의 내부 유동 통로(361)의 단턱(37)에 맞닿는다.
원형이 아닌 기둥형 긴 컬럼(7)을 포함하고, 상기 긴 컬럼(7)은 관 외경이 더 큰 헤드 단부(72)를 갖고 헤드 단부(72)에는 링형 요홈(73)이 형성되어 O링(74)을 끼움 설치할 수 있고, 긴 컬럼(7)에는 다수 개의 요입홈(71)이 형성된다. 긴 컬럼(7)은 상부 축 파이프(31)의 개구를 거쳐서 진입할 수 있으며 긴 컬럼(7)의 헤드 단부(72)는 스프링(8)의 상단에 맞닿고 긴 컬럼(7)은 상부 축 파이프(31) 및 하부 축 파이프(36)의 내부 유동 통로(316, 361) 내에 수용 안치된다.
내부 유통챔버(54)를 갖는 밸브 홀더(5)의 일단에는 개방형 개구(50)가 구비되고 타단은 다수 개의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수직판(51)이 연장되며, 두 개의 수직판(51) 사이에는 슬롯(52)이 각각 형성되고 다수 개의 수직판(51)에 의해 에워싸인 내부 둘레측에는 계단형 돌출 스토퍼(53)가 구비되고, 개구(50)단의 밸브 홀더(5) 외부 둘레는 수직 바(55)가 위로 연장되고 수직 바(55) 끝단에는 요홈(57)을 갖는 밀폐 헤드(56)가 구비되고 밀폐 헤드(56)의 요홈(57)에서 중심핀(58)이 연장된다. 밸브 홀더(5)는 개방형 개구(50)로 아래에서 위로 캡(3)의 하부 축 파이프(36)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요홈(57)에는 캡(3) 내측의 돌출부(38)가 끼워질 수 있고 밀폐 헤드(56)의 중심핀(58)은 전술한 연통 통로(39)를 밀폐시킬 수 있다.
구동 부재(4)는 일단에 편심 캠(41)이 구비되고 편심 캠(41)의 양측에는 한 쌍의 축 기둥(42)이 구비되고 구동 부재(4)의 타단에는 레버(43)가 구비되며, 구동 부재(4)는 축 기둥(42)에 의해 전술한 상부 축 파이프(31)에 구비된 측면판(310) 상의 축 구멍(311)에 피봇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구동 부재(4)의 편심 캠(41)은 상부 축 파이프(31)의 개구단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긴 컬럼(7)의 헤드 단부(72)에 맞닿을 수 있으며, 레버(43)는 축 기둥(42)을 선회(스윙) 중심으로 하고, 상부 축 파이프(31)에 구비된 측면판(310)의 두 개의 서로 대향되는 관통홈(312)은 상기 구동 부재(4)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반원형 정도의 선회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스프링(8), 긴 컬럼(7), 밸브 홀더(5) 및 구동 부재(4)가 캡(3)에 조립되고 캡(3)가 전술한 탱크(2)에 연결된 후 캡(3)의 하부 축 파이프(36), 대 부분의 긴 컬럼(7) 및 밸브 홀더(5)는 모두 탱크(2)의 내부 수용챔버(23)에 내장된다(도 2 및 도 5 참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보충기 구조(1)의 초기상태, 또는 아직 사용하지 않은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홀더(5)의 밀폐 헤드(56)가 전술한 캡(3)의 연통 통로(39)를 밀폐시키고 계단형 돌출 스토퍼(53)는 긴 컬럼(7)에 맞닿는 동시에 하부 축 파이프(36)와 서로 접촉하여 밀착됨으로써 연통 통로(39) 및 캡(3)의 상부 축 파이프(31) 및 하부 축 파이프(36) 내의 내부 유동 통로(316, 361)가 모두 탱크(2)의 내부 수용챔버(23)와 연통되지 않게 하며 또한 상기 구동 부재(4)의 레버(43)는 캡(3)의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32)의 바로 앞에서 막고 또한 아크형 보드(301)의 걸림용 훅(302)에 걸려서 고정되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고무 보충기 구조(1)가 밸브 홀더(5)를 열지 않은 준비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타이어 수리를 진행하고자 상기 고무 보충기 구조(1)를 사용하려 할 때 사용자는 반드시 고무액 배출용 호스(도시되지 않음)를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34) 및 파손된 타이어의 노즐에 먼저 연결시키고 공기 진입용 호스(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공기압축기 및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32)를 연결한 후 구동 부재(4)를 젖혀서 밸브 홀더(5)를 열어 고무 보충기 구조(1)가 사용 상태에 이르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고무 보충기 구조(1)의 레버(43)가 캡(3)의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32)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것은 고무 보충기 구조(1)가 사용을 위한 준비 상태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타이어가 파손되어 타이어를 수리하고 공기를 주입하는 동작을 취해야 할 때 사용자는 구동 부재(4)를 젖혀서 편심 캠(41)과 긴 컬럼(7)의 헤드 단부(72)의 접촉상태가 근거리 단부(44)의 접촉상태에서 원거리 단부(45)의 접촉상태로 변환되게 하고(도 6 참고) 구동 부재(4)는 챔퍼형 걸림 블록(314)의 경사면(315)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연장 보드(313) 상의 챔퍼형 걸림 블록(314)에 걸려서 레버(4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단계에서의 스프링(8)은 압축되어 긴 컬럼(7)이 아래로 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동시에 긴 컬럼(7)에 의해 힘을 가하는 작용이 긴 컬럼(7) 하단의 계단형 돌출 스토퍼(53)에 도달하게 하며, 즉, 밸브 홀더(5) 전체가 밀려서 아래로 이동하게 하여 밸브 홀더(5)의 밀폐 헤드(56)와 캡(3)의 연통 통로(39), 밸브 홀더(5)의 계단형 돌출 스토퍼(53)과 하부 축 파이프(36)가 서로 분리하게 한다. 즉, 연통 통로(39), 캡(3)의 상부 축 파이프(31) 및 하부 축 파이프(36) 내의 내부 유동 통로(316, 361) 그리고 탱크(2)의 내부 수용챔버(23)가 서로 연통되게 하여 고압 공기가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32)의 공기 진입용 통로(33), 연통 통로(39)를 통해 출력되고 나서 아래의 화학 고무액(26)의 상면을 압박하게 하고, 화학 고무액(26)이 밸브 홀더(5)의 수직판(51) 사이의 슬롯(52)(도 3을 동시에 참고할 것)을 통해 하부 축 파이프(36)의 내부 유동 통로(361)에 진입하게 하고 또한 긴 컬럼(7) 상의 요입홈(71)( 도 4를 동시에 참고할 것), 상부 축 파이프(31)의 내부 유동 통로(316),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34)의 고무 배출용 통로(35) 및 직렬 연결된 호스를 거쳐서 파손된 타이어의 노즐에 연통되게 하고, 타이어 수리를 일정 기간 동안 수행하여 잔류하는 화학 고무액(26)이 탱크(2)의 베이스(25)에 구비된 요홈(24)에 유입 및 모임으로써 잔류하는 화학 고무액(26)이 여전히 밸브 홀더(5)의 수직판(51) 사이의 슬롯(52)을 통해 하부 축 파이프(36)의 내부 유동 통로(361),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34)의 고무 배출용 통로(35) 및 직렬 연결된 호스를 거쳐서 파손된 타이어의 노즐에 연통되게 하여 탱크(2)의 베이스(25)에 화학 고무액(26)이 잔류하지 않게 되어 타이어 수리 및 공기 주입 등의 동작을 안전하게 진행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고무 보충기 구조(1)의 탱크(2)은 캡(3)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캡(3)에는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고 이 중에서 하나의 매니폴드는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받기 위한 것이고 다른 매니폴드는 고무 보충기 구조(1) 내의 화학 고무액(26)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구동 부재(4)를 작동 시켜서 캡(3) 내에 수용 안치된 긴 컬럼(7)이 연통 통로(39)를 밀폐 시키는 밸브 홀더(5)를 밀게 하여 고압 공기가 연통 통로(39)를 통해 직접 출력되고 나서 아래로 화학 고무액(26)의 상면을 압박하게 하고, 화학 고무액(26)이 하부 축 파이프(36)의 내부 유동 통로(361),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34) 및 직렬 연결된 호스를 거쳐서 파손된 타이어의 노즐에 연통되게 하고, 타이어 수리 및 공기 주입 등의 동작을 안전하게 진행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1 : 고무 보충기 구조 2 : 탱크
21 : 개구 22 : 수나사
23 : 내부 수용챔버 24 : 요홈
25 : 베이스 26 : 화학 고무액
3 : 캡 30 : 링형 요홈
301 : 아크형 보드 302 : 걸림용 훅
31 : 상부 축 파이프 310 : 측면판
311 : 축 구멍 312 : 관통홈
313 : 연장 보드 314 : 챔퍼형 걸림 블록
315 : 경사면 316 : 내부 유동 통로
32 :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 33 : 공기 진입용 통로
34 :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 35 : 고무 배출용 통로
36 : 하부 축 파이프 361 : 내부 유동 통로
37 : 단턱 38 : 돌출부
39 : 연통 통로 4 : 구동 부재
41 : 편심 캠 42 : 축 기둥
43 : 레버 44 : 근거리 단부
45 : 원거리 단부 5 : 밸브 홀더
50 : 개구 51 : 수직판
52 : 슬롯 53 : 계단형 돌출 스토퍼
54 : 내부 유통챔버 55 : 수직 바
56 : 밀폐 헤드 57 : 요홈
58 : 중심핀 6 : 와셔
7 : 긴 컬럼 71 : 요입홈
72 : 헤드 단부 73 : 링형 요홈
74 : O링 8 : 스프링

Claims (1)

  1. 고무 보충기 구조에 있어서,
    탱크, 캡, 스프링, 긴 컬럼, 밸브 홀더 및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긴 컬럼은 원형이 아닌 기둥형이고,
    상기 탱크는 중공 형상으로서 내부 수용챔버가 형성되고, 탱크의 일단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베이스가 형성되며, 탱크의 내부 수용챔버에는 고무 보충 용도의 화학 고무액을 채울 수 있고 상기 탱크의 개구에는 수나사가 구비되고 내부 수용챔버의 밑층에 위치하는 베이스에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의 상, 하단에는 서로 관통되는 상부 축 파이프 및 하부 축 파이프가 각각 연장되고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면판이 구비되고 측면판에는 서로 대향되는 축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는 한 쌍의 서로 대향되고 상단이 개방형이고 밑단은 밀폐면인 관통홈이 구비되고, 이 중에서 하나의 측면판은 관통홈의 평행 방향으로 연장 보드가 외부로 연장되고, 연장 보드에는 경사면을 갖춘 챔퍼형 걸림 블록이 구비되고, 서로 관통되는 상부 축 파이프 및 하부 축 파이프 내에는 내부 유동 통로가 구비되고, 상부 축 파이프에는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고 이 중에서 하나의 매니폴드는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를 받기 위한 것이고, 또 다른 매니폴드는 탱크 내의 화학 고무액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캡은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탱크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고, 캡의 내부 상단면에는 링형 요홈이 움푹 파이게 구비되어 와셔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부 축 파이프에는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 및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 등 상기 두 개의 매니폴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진입용 매니폴드 내에는 공기 진입용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진입용 통로는 연통 통로를 통해 탱크의 내부 수용챔버와 서로 연통되며, 캡의 내측에는 연통 통로와 서로 관통되는 원형 돌출부가 돌출 구비되고, 고무 배출용 매니폴드 내에는 고무 배출용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고무 배출용 통로는 상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와 서로 연통되고 상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구경은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 구경보다 크며, 하부 축 파이프에는 계단형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를 통해 진입하여 하부 축 파이프의 내부 유동 통로의 단턱에 맞닿으며;
    상기 긴 컬럼은 캡의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를 통해 진입되어 상기 내부 유동 통로 내에 수용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긴 컬럼에는 관 외경이 더 큰 헤드 단부가 구비되고, 헤드 단부에는 링형 요홈이 형성되어 O링을 끼움 설치할 수 있고 긴 컬럼에는 복수의 요입홈이 움푹 파이게 형성되며, 긴 컬럼의 헤드 단부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맞닿고,
    상기 밸브 홀더는 고무 보충기 구조의 탱크 내에 이미 화학 고무액이 채워진 초기상태에서는 고압 공기의 공기 진입용 통로 및 화학 고무액의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시키며, 밸브 홀더는 내부 유통챔버를 구비하고, 일단에는 개방형 개구가 구비되고 타단은 복수의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수직판이 연장되며, 두 개의 수직판 사이에는 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수직판에 의해 에워싸인 내부 둘레측에는 계단형 돌출 스토퍼가 구비되며, 개구단의 밸브 홀더 외부 둘레는 수직 바가 위로 연장되고 수직 바 끝단에는 요홈을 갖는 밀폐 헤드가 구비되고 밀폐 헤드의 요홈에는 중심핀이 연장되며, 밸브 홀더는 개방형 개구를 통해 아래에서 위로 캡의 하부 축 파이프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요홈은 캡 내측의 돌출부를 알맞게 끼울 수 있고 밀폐 헤드의 중심핀은 상기 연통 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은 편심 캠이 구비되고, 편심 캠의 양측에는 한 쌍의 축 기둥이 구비되고, 구동 부재의 타단에는 레버가 구비되며, 구동 부재는 축 기둥에 의해 상기 상부 축 파이프에 구비된 측면판 상의 축 구멍에 피봇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구동 부재의 편심 캠은 상부 축 파이프의 개구단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긴 컬럼의 헤드 단부에 맞닿을 수 있으며, 레버는 축 기둥을 스윙 중심으로 하고 상부 축 파이프에 구비된 측면판의 두 개의 서로 대향되는 관통홈은 상기 구동 부재가 반원 정도를 스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회전 시의 젖힘 동작에 의해 밸브 홀더를 압박하여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를 밀폐 시킨 기존의 상태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공기 진입용 통로 및 고무 배출용 통로가 연통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하여,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가 공기 진입용 통로를 통해 탱크 내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화학 고무액이 고무 배출용 통로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보충기 구조.
KR1020150172053A 2014-12-04 2015-12-04 고무 보충기 구조 KR101813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142255A TWI559978B (en) 2014-12-04 2014-12-04 Sealant dispenser
TW103142255 2014-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789A KR20160067789A (ko) 2016-06-14
KR101813969B1 true KR101813969B1 (ko) 2018-01-02

Family

ID=5470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053A KR101813969B1 (ko) 2014-12-04 2015-12-04 고무 보충기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82520B2 (ko)
EP (1) EP3034285B1 (ko)
JP (2) JP6060247B2 (ko)
KR (1) KR101813969B1 (ko)
DK (1) DK3034285T3 (ko)
HU (1) HUE055680T2 (ko)
PL (1) PL3034285T3 (ko)
TW (1) TWI5599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7924B (zh) * 2014-11-05 2017-06-21 周文三 補膠器構造
JP1585573S (ko) * 2017-03-14 2017-09-11
JP1585572S (ko) * 2017-03-14 2017-09-11
USD823365S1 (en) * 2017-03-31 2018-07-17 Wong Wai Kan Tire repair kit
CN107284837B (zh) * 2017-07-15 2023-02-28 中山市联昌喷雾泵有限公司 一种防污染的真空泵头
CN108372976A (zh) * 2018-04-26 2018-08-07 深圳市德力普化工有限公司 连接喷头和补胎装置
TWI690370B (zh) * 2018-05-10 2020-04-11 已久工業股份有限公司 補膠罐構造
USD881342S1 (en) * 2018-10-12 2020-04-14 Unik World Industrial Co., Ltd. Sealant dispenser
KR102357328B1 (ko) * 2018-12-20 2022-02-0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도핑된 ⅳ족 재료들을 성장시키는 방법
USD940824S1 (en) * 2020-01-17 2022-01-11 Jen Sian Industrial Co., Ltd. Refillable pressure sprayer
JP7485905B2 (ja) 2020-03-05 2024-05-17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579A (ja) 2006-11-22 2008-06-0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剤注入装置
JP2010083065A (ja) 2008-10-01 2010-04-1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2006346A (ja) 2010-06-28 2012-01-12 Sumitomo Rubber Ind Ltd キャップユニット
WO2013120261A1 (zh) 2012-02-16 2013-08-22 Jhou Wen-San 车载用空气压缩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367A (en) * 1986-07-03 1988-08-23 Scott Mark E Valve assembly
JP4133945B2 (ja) * 2004-06-28 2008-08-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送給、抜取り装置
JP4519065B2 (ja) * 2005-11-29 2010-08-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DE502006005332D1 (de) * 2006-02-07 2009-12-24 Doukas Ag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Reifendichtmittel aus einem Behälter
ITTO20060662A1 (it) * 2006-09-18 2008-03-19 Tek Srl Kit per la riparazione e il gonfiaggio di articoli gonfiabili
US20080230142A1 (en) * 2007-03-19 2008-09-25 Scott Noble Hickman Tire sealant and air dispenser apparatus with a sealing mechanism
JP4878336B2 (ja) * 2007-06-18 2012-0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US20090107578A1 (en) * 2007-10-29 2009-04-30 Saul Trachtenberg Tire sealant dispensing apparatus
DE102007053241A1 (de) * 2007-11-06 2009-05-07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mit einer Ventileinheit zum Abdichten und Aufpumpen aufblasbarer Gegenstände
CN201287464Y (zh) * 2008-09-12 2009-08-12 上海华汇机电有限公司 一种汽车轮胎补胎液罐
WO2010047231A1 (ja) * 2008-10-20 2010-04-29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シーリング剤収容容器およびパンク修理装置
CN101890940A (zh) * 2009-05-22 2010-11-24 上海保隆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充气补胎装置
WO2012060296A1 (ja) * 2010-11-05 2012-05-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CN103338916B (zh) * 2011-01-28 2015-06-17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爆胎修理套件
JP5395865B2 (ja) * 2011-09-20 2014-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TWI495585B (zh) * 2012-03-22 2015-08-11 Wen San Chou 車載用空氣壓縮機裝置
TWI490132B (zh) * 2012-04-27 2015-07-01 Wen San Chou 車載用空氣壓縮機之串接軟管的接頭結構
TWI519714B (zh) * 2012-12-14 2016-02-01 周文三 充氣及補膠之空氣壓縮機裝置
US9227469B2 (en) * 2013-03-18 2016-01-05 Wen-San Jhou Air compressor having inflating and aerosol spraying functions for tires
US9050866B2 (en) * 2013-03-20 2015-06-09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Sealant bottle for tire repair of gas pressure type
US9457367B2 (en) * 2014-09-19 2016-10-04 Min-Hsieng Wang Tire repair solution can
TWI587924B (zh) * 2014-11-05 2017-06-21 周文三 補膠器構造
TWI583572B (zh) * 2014-11-18 2017-05-21 周文三 汽車破損輪胎之急救裝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579A (ja) 2006-11-22 2008-06-0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剤注入装置
JP2010083065A (ja) 2008-10-01 2010-04-1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2006346A (ja) 2010-06-28 2012-01-12 Sumitomo Rubber Ind Ltd キャップユニット
WO2013120261A1 (zh) 2012-02-16 2013-08-22 Jhou Wen-San 车载用空气压缩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07640A (ja) 2016-06-20
HUE055680T2 (hu) 2021-12-28
EP3034285B1 (en) 2021-06-09
PL3034285T3 (pl) 2021-12-13
TW201620617A (zh) 2016-06-16
JP6060247B2 (ja) 2017-01-11
US9682520B2 (en) 2017-06-20
JP3202632U (ja) 2016-02-12
US20160159017A1 (en) 2016-06-09
DK3034285T3 (da) 2021-09-13
KR20160067789A (ko) 2016-06-14
EP3034285A1 (en) 2016-06-22
TWI559978B (en)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969B1 (ko) 고무 보충기 구조
KR101711490B1 (ko) 접착제 보충기 구조
JP3202333U (ja) 自動車の緊急パンク修理キット
KR101607474B1 (ko) 차량 탑재용 공기압축기 장치
JP6982141B2 (ja) 気体注入機能とシール剤注入機能とを切換えることができる空気圧縮機装置
KR102167305B1 (ko) 고무액 보충 탱크 구조
TWI460089B (zh) Air compressor for vehicle
KR101709230B1 (ko) 공기 주입 및 고무액 보충용 공기압축기 장치
WO2009056139A1 (en) Non-drip coupling device for transferring a fluid
TWI519714B (zh) 充氣及補膠之空氣壓縮機裝置
US1813982A (en) Cut off valve
CN204564402U (zh) 补胶器构造
CN205165114U (zh) 一种注胶器
KR200401685Y1 (ko) 튜브의 공기주입구 구조
CN220919603U (zh) 一种便携式双组分胶枪
TWM511947U (zh) 補膠器構造
KR20090014578A (ko) 원통형 밸브
TWM509133U (zh) 補膠器構造
CN105797888B (zh) 补胶器构造
FR2567661A1 (fr) Adaptateur de reduction de pression, en particulier sur des appareils a siphons
TW201930765A (zh) 按壓切控飲水鵝頸出水頭
ITBO20090415A1 (it) Valvola aerosol e metodo di pressurizz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