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802B1 -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802B1
KR101813802B1 KR1020160104704A KR20160104704A KR101813802B1 KR 101813802 B1 KR101813802 B1 KR 101813802B1 KR 1020160104704 A KR1020160104704 A KR 1020160104704A KR 20160104704 A KR20160104704 A KR 20160104704A KR 101813802 B1 KR101813802 B1 KR 10181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esticide
communication chamber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정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환 filed Critical 정용환
Priority to KR102016010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되는 와류 발생부의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충돌되게 하고, 이에 의해 농작물의 잎사귀를 요동시켜, 상기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되도록 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장치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PRAYING PESTICIDE OF AIR COLLISION TYPE}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되는 와류 발생부의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충돌되게 하고, 이에 의해 농작물의 잎사귀를 요동시켜, 상기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되도록 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농약 분무 장치는 과수원, 농장 등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통, 농약은 병충해 예방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살포하게 되는데, 비교적 규모가 작은 농지의 경우는 호스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약액 살포용 노즐대를 들고 다니면서 살포하는 반면, 농지가 대규모인 경우에는 단순히 호스만을 이용한 방제가 어려우므로 다수의 인력이 필요로 하기도 하고, 작업 시간의 지연이 초래되기도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렇게 대규모의 농지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농약 분무 장치이다.
상기 농약 분무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챔버(CA) 내부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A) 및 농약 공급부(C)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통 챔버(CA)의 일 측에는 팬(F)과 노즐(N)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 공급부(A)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팬(F)을 통해 배출되면서 와류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N)은 상기 팬(F) 일 측에 구비되어 농약이 토출되고, 상기 와류가 형성된 공기에 의해 농작물 쪽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농약이 도포되어야 할 농작물의 잎사귀(L)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체 중량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처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분무 장치에 의해 농약이 분무되면 잎사귀(L)의 상면에만 농약이 도포되고, 잎사귀(L)의 저면에는 농약이 도포되지 않아 방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농약 분무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079206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252213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0067818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1391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가 토출되는 와류 발생부의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충돌되게 하고, 이에 의해 농작물의 잎사귀를 요동시켜, 상기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되도록 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는 중공의 연통 챔버(100)와, 상기 연통 챔버(100)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가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와류 발생부(300)와, 상기 연통 챔버(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류 발생부(300)를 거쳐 농약이 외부로 토출되는 농약 공급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통 챔버(100)는 높이 방향으로 개방부(120)가 다수 개 구비되는 중공의 챔버 본체(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개방부(120)에 연통 챔버(100)의 높이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연통 챔버(100)의 개방부(120)에 배치되고 양 측이 개방된 중공 형상인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F)과, 상기 케이스(310)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통 챔버(100)를 관통하는 고정 바아(350)와, 상기 연통 챔버(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바아(360)에 결합되는 조임구(36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허브(320)와, 상기 허브(320)와 케이스(310)를 연결하는 스포크(330)와, 상기 허브(3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에 상기 팬(F)이 구비되는 샤프트(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농약 공급부(200)는 외부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며 상기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의 샤프트(340)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 개의 공급 배관(210)과, 상기 공급 배관(210)의 농약 유동 방향 끝단에 구비되는 노즐(22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연통 챔버(100)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상부 챔버(100-2) 및 하부 챔버(100-1)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챔버(100-1)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하부 챔버 본체(110-1)로 이루어지고, 상부 챔버(100-2)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상부 챔버 본체(1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의 개방부(120)에는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와 농약 공급부(20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농약 공급부(200)의 공급 배관(210)은 상기 챔버 본체(11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농약이 공급되는 메인 배관(211)과 상기 메인 배관(211)에서 다수 개 분기되어 와류 발생부(30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배관(2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배관(212)에는 밸브(230)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 적층된 챔버 본체(110) 내부의 메인 배관(211) 사이에는 커넥터(213)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의 외측면에는 패스너(13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연통 챔버(100)의 저면에 베이스(B)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 챔버(100)의 저면과 베이스(B) 사이에는 메인 샤프트(40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샤프트(400)에는 베어링 지지부(50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농약 분무 장치를 이용한 분무 방법으로서, 상기 연통 챔버(100)에 구비된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와 농약 공급부(200)를 통해 공기와 농약을 외부로 토출하되, 상기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의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상호 충돌시키고, 상기 충돌된 공기에 의해 농약 도포 대상이 되는 잎사귀를 요동시켜 상기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되도록 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도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충돌되게 하고, 이에 의해 잎사귀를 요동시켜 상기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되도록 하여 방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약 분무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장치의 와류 발생부와 농약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해 와류 발생부의 케이스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장치의 와류 발생부와 농약 공급부가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장치의 와류 발생부와 농약 공급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장치의 와류 발생부와 농약 공급부가 결합된 상태로서 도 5의 반대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장치의 연통 챔버가 높이 방향으로 다수 층 적층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장치에 의해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한 것에 기초하고 있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함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는 중공의 연통 챔버(100)와, 와류 발생부(300) 및 농약 공급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연통 챔버(100)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가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농약 공급부(200)는 상기 연통 챔버(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류 발생부(300)를 거쳐 공기와 함께 농약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연통 챔버(100)는 높이 방향으로 개방부(120)가 다수 개 구비되는 중공의 챔버 본체(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부(120)에 와류 발생부(300)가 연통 챔버(100)의 높이 방향(도 2에서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와류 발생부(300)의 각도가 각각 상이하도록 조절하면 상기 와류 발생부(3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충돌하게 되고, 이에 의해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잎사귀를 요동치게 하고 그 결과 잎사귀 끝이 위로 향하도록 들어 올려지게 한다.
이때, 상기 잎사귀에 농약을 분사하면 상기 잎사귀의 저면에 농약이 도포되어 종래보다 높은 방제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연통 챔버(100)의 개방부(120)에 배치되고 양 측이 개방된 중공 형상인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F)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310)의 외측에는 고정 바아(35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통 챔버(100) 외측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연통 챔버(100) 외측에 조임구(360)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바아(35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 바아(350)는 상기 연통 챔버(100)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통 챔버(100)를 관통하되 상기 연통 챔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통 챔버(100)의 일 측에 관통공(100a)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 바아(35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 바아(3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상기 관통공(100a)의 직경이 고정 바아(350) 보다 크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바아(350)는 볼트를 사용하고 조임구(360)는 너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연통 챔버(100)의 관통공(100a)을 통해 연통 챔버(1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볼트의 직경은 관통공(100a)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상기 볼트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너트를 볼트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상기 케이스(310)의 각도를 조절한 후 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키며 상기 너트가 연통 챔버(100) 외측에 접하여 연통 챔버(100)가 가압될 때까지 상기 너트를 회전한다. 이에 의해 특정 각도로 조정된 케이스(310)가 연통 챔버(100)에 고정된다.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허브(320) 및 상기 허브(320)와 케이스(310)를 연결하는 스포크(330)와, 상기 허브(3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에 상기 팬(F)이 구비되는 샤프트(340)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스(310) 내부와 허브(320)사이에 스포크(330)가 형성되어 상기 허브(320)가 고정된다. 허브(320) 내부에는 샤프트(3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320)와 샤프트(340) 사이에 베어링(BRG)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310)는 양 측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서 공기가 투입되는 측면에 스포크(330)가 구비될 수 있다. 허브(320)는 상기 스포크(330)에 고정되며 공기 토출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외측면에 팬(F)이 구비된다.
상기 농약 공급부(200)는 외부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며 상기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의 샤프트(340)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 개의 공급 배관(210)과, 상기 공급 배관(210)의 농약 유동 방향 끝단에 구비되는 노즐(220)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배관(210)이 샤프트(340) 내부에 구비되고, 공급 배관(210)에서 농약 유동 방향 즉, 도면상 우측단에 노즐(220)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농약과 공기가 토출된다. 즉, 공기 공급부(A)로부터 공기가 연통 챔버(100) 내부로 투입되면 그 공기는 케이스(310) 내부를 통해 외부(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는 팬(F)을 경유하여 토출되므로 상기 팬(F)이 회전하는 것에 으해 토출되며 상기 팬(F)을 경유하는 공기에는 와류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팬(F)이 구비되는 샤프트(340) 내부에는 공급 배관(210)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공급 배관(210)에는 노즐(22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 배관(210)을 통해 농약이 상기 노즐(220)로 공급되고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분사되는 농약 주위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넓게 상기 농약이 분사된다.
상기 샤프트(340)는 팬(F)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나 상기 공급 배관(2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공급 배관(210)은 샤프트(340) 내부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통 챔버(1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상부 챔버(100-2) 및 하부 챔버(100-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챔버(100-1)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하부 챔버 본체(110-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 챔버 본체(110-1)의 측면에 상술된 개방부(120)가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된다.
상기 상부 챔버(100-2)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상부 챔버 본체(110-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상부 챔버 본체(110-2)에도 상술된 개방부(120)가 다수 개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 챔버(100-1)상에 상부 챔버(100-2)가 배치되고, 하부 챔버(100-1)의 상부와 상부 챔버(100-2)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는 연통된다.
물론 도 2 및 도 7에서는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로 표시되어 있으나, 사용 태양에 따라 중앙에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중앙 챔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의 개방부(120)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와 농약 공급부(200)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농약 공급부(200)는 공급 배관(210)과 노즐(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 배관(210)은 외부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는 메인 배관(211)과 와류 발생부(30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배관(2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배관(211)은 챔버 본체(11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농약이 공급된다.
연결 배관(212)은 상기 메인 배관(211)에서 다수 개 분기되어 와류 발생부(300)에 각각 연결되며, 이를 위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발생부(300)의 샤프트(3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배관(212)의 끝단에 노즐(220)이 구비되어 농약이 토출된다.
상기 연결 배관(212)에는 밸브(230)가 구비되어 농약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배관(211)과 연결 배관(212)은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부 챔버(100-2)에 구비된 메인 배관(211)과 하부 챔버(100-1)에 구비된 메인 배관(211)사이에는 커넥터(213)가 구비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100-1)상에 상부 챔버(100-2)가 배치된 경우 상부 챔버(100-2)에 구비된 메인 배관(211)과 하부 챔버(100-1)에 구비된 메인 배관(211)은 커넥터(21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213)는 널리 알려진 원 터치 연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의 외측면에는 패스너(130)가 각각 구비되어 보다 용이하게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패스너(130)는 널리 알려진 고리부(131)와 걸림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131)는 하부 챔버(100-1)에 구비되고, 걸림부(132)는 상부 챔버(100-2)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 챔버(100)의 저면에 베이스(B)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 챔버(100)의 저면과 베이스(B)사이에는 메인 샤프트(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인 샤프트(400)에는 베어링 지지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연통 챔버(100)가 특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와 함께 농약이 분무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공기 공급부(A)에 의해 투입된 공기는 연통 챔버(10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투입된 공기는 상향 이동하며 일부는 개방부(120)를 통해 토출된다. 이 때, 상기 개방부(120)에 와류 발생부(3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케이스(310)를 통해 팬(F)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되는 공기에 의해 팬(F)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되는 팬(F)에 의해 공기에 와류가 발생된다.
농약은 공급 배관(210)을 통해 노즐(220)로 공급된 후 분사된다. 이 때, 분사되는 농약은 상기 팬(F)을 경유하여 발생된 와류에 혼합되어 토출된다.
상기 공기 공급부(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100-2)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호 연통되는 공기 공급 챔버(400)과 상기 공기 공급 챔버(400) 내부에 외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를 하부 챔버(100-2)측으로 가압 이송하는 이송팬(FF)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공급부(A) 자체는 종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농약 공급부(200)의 경우 농약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인 배관(211)에 연결되고 농약을 가압 이송하는 펌프(P, 도 7참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역시 종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어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무 장치(10)를 이용한 분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연통 챔버(100)에 구비된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와 농약 공급부(200)를 통해 공기와 농약을 외부로 토출한다. 즉, 공기 공급부(A)로부터 공기가 연통 챔버(100) 내부로 투입되면 그 공기는 케이스(310) 내부를 통해 외부(도2 내지 도 5에서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는 팬(F)을 경유하여 토출되므로 상기 팬(F)이 회전한다. 상기 팬(F)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팬(F)을 경유하는 공기에는 와류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팬(F)이 구비되는 샤프트(340) 내부에는 공급 배관(210)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공급 배관(210)에는 노즐(22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 배관(210)을 통해 농약이 상기 노즐(220)로 공급되고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분사되는 농약 주위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넓게 상기 농약이 분사된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의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상호 충돌하게 한다.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10)의 외측에 고정 바아(35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통 챔버(100) 외측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연통 챔버(100) 외측에 조임구(360)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바아(35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구(360)를 풀어서 고정 바아(35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 케이스(310)를 연통 챔버(100)의 높이 방향으로 조절한다. 이후, 조임구(360)를 조임하여 고정 바아(350)가 고정되게 하여 상기 케이스(310)를 고정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돌된 공기에 의해 농약 도포 대상이 되는 잎사귀를 요동시켜 상기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잎사귀의 저면에도 농약이 도포되어 종래보다 방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연통 챔버 110 : 챔버 본체
120 : 개방부 130 : 패스너
200 : 농약 공급부 210 : 공급 배관
220 : 노즐 300 : 와류 공급부
310 : 케이스 320 : 허브
330 : 스포크 340 : 샤프트
350 : 고정 바아 360 : 조임구
400 : 메인 샤프트 500 : 베어링 지지부
600 : 공기 공급 챔버

Claims (7)

  1.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는 중공의 연통 챔버(100)와, 상기 연통 챔버(100)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가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와류 발생부(300)와, 상기 연통 챔버(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류 발생부(300)를 거쳐 농약이 외부로 토출되는 농약 공급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통 챔버(100)는 높이 방향으로 개방부(120)가 다수 개 구비되는 중공의 챔버 본체(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개방부(120)에 연통 챔버(100)의 높이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통 챔버(100)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상부 챔버(100-2) 및 하부 챔버(100-1)로 이루어 지고,
    상기 하부 챔버(100-1)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하부 챔버 본체(110-1)로 이루어지고, 상부 챔버(100-2)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상부 챔버 본체(1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의 개방부(120)에는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와 농약 공급부(20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농약 공급부(200)의 공급 배관(210)은 상기 챔버 본체(11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농약이 공급되는 메인 배관(211)과 상기 메인 배관(211)에서 다수 개 분기되어 와류 발생부(30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배관(2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배관(212)에는 밸브(230)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 적층된 챔버 본체(110) 내부의 메인 배관(211) 사이에는 커넥터(213)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상부 챔버(100-2)와 하부 챔버(100-1)의 외측면에는 패스너(130)가 각각 구비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연통 챔버(100)의 개방부(120)에 배치되고 양 측이 개방된 중공 형상인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F)과, 상기 케이스(310)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통 챔버(100)를 관통하는 고정 바아(350)와, 상기 연통 챔버(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바아(350)에 결합되는 조임구(360)로 이루어지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부(300)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허브(320)와,
    상기 허브(320)와 케이스(310)를 연결하는 스포크(330)와,
    상기 허브(3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에 상기 팬(F)이 구비되는 샤프트(340)를 더 포함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 공급부(200)는 외부로부터 농약이 공급되며 상기 다수 개의 와류 발생부(300)의 샤프트(340)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 개의 공급 배관(210)과,
    상기 공급 배관(210)의 농약 유동 방향 끝단에 구비되는 노즐(220)로 이루어지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챔버(100)의 저면에 베이스(B)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 챔버(100)의 저면과 베이스(B)사이에는 메인 샤프트(40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샤프트(400)에는 베어링 지지부(500)가 구비되는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60104704A 2016-08-18 2016-08-18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 KR10181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04A KR101813802B1 (ko) 2016-08-18 2016-08-18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04A KR101813802B1 (ko) 2016-08-18 2016-08-18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802B1 true KR101813802B1 (ko) 2018-01-30

Family

ID=6107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04A KR101813802B1 (ko) 2016-08-18 2016-08-18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589A (ko) * 2020-06-01 2021-12-08 조종관 송풍기와 전동밸브를 포함하는 자동 분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33Y1 (ko) * 2001-04-20 2001-10-11 김기수 이동식 무인 방역 장치
KR200381823Y1 (ko) * 2005-01-27 2005-04-19 (주)한성티앤아이 캐빈 방제차량용 분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33Y1 (ko) * 2001-04-20 2001-10-11 김기수 이동식 무인 방역 장치
KR200381823Y1 (ko) * 2005-01-27 2005-04-19 (주)한성티앤아이 캐빈 방제차량용 분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589A (ko) * 2020-06-01 2021-12-08 조종관 송풍기와 전동밸브를 포함하는 자동 분사장치
KR102342597B1 (ko) 2020-06-01 2021-12-22 조종관 송풍기와 전동밸브를 포함하는 자동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5910B (zh) 果园定向仿形弥雾机
US20180015384A1 (en) Lawn Ornament Having Fluid and/or Wind Driven Inner and Outer Frames
KR20160067818A (ko) 후폭풍을 이용한 액체 분사기
CN107279109B (zh) 一种旋转式果树喷雾机
BR102015014890B1 (pt) sistema de bico de aspersão, e, aparelho e dispositivo de aspersão
KR20160060858A (ko) 승용 관리기 장착형 분무기
KR101813802B1 (ko) 토출 공기 충돌 방식의 농약 분무 장치 및 방법
WO2017041765A1 (zh) 一种环保型自动式喷雾机
CN102499219A (zh) 棚室蔬菜喷药枪
CN101507428B (zh) 一种悬浮式管道喷施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199977B (zh) 一种自走式激光对靶单侧喷雾机
CN206699036U (zh) 一种用于畜禽棚舍降尘喷雾设备
KR102088953B1 (ko) 방제용 드론
KR100497064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무전원 무인 방제방법및 그 장치
CN203136872U (zh) 果园定向仿形弥雾机
CN206390087U (zh) 无人机喷洒系统
KR20230114089A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101604412B1 (ko) 농약 분무 살포장치
US11260408B2 (en) Sprinkler for achieving a high atomization effect under low pressure condition
CN206713901U (zh) 一种果园用喷药结构
CN202123027U (zh) 一种风助式喷洒头
KR102590446B1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CN219923362U (zh) 风送喷洒装置及可移动平台
KR20200037715A (ko) 농업용 송풍 약대
CN217850991U (zh) 一种喷杆喷雾机用防喷雾飘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