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412B1 - 농약 분무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농약 분무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412B1
KR101604412B1 KR1020140111282A KR20140111282A KR101604412B1 KR 101604412 B1 KR101604412 B1 KR 101604412B1 KR 1020140111282 A KR1020140111282 A KR 1020140111282A KR 20140111282 A KR20140111282 A KR 20140111282A KR 101604412 B1 KR101604412 B1 KR 10160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branching
spraying
tubular bod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494A (ko
Inventor
정상원
Original Assignee
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원 filed Critical 정상원
Priority to KR102014011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4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 분무 살포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분무압력 반발력에 의해 노즐결합체를 회전시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농약의 수압을 이용하여 회전력이 증대되도록 꺽임부를 가지는 농약살포용 회전관체를 구성하는 한편, 농약살포용 회전관체의 회전으로부터 그 선단의 노즐부를 통해 농약 살포시 그 농약이 날개부를 통해 흩날리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전후좌우 방향에 대한 농약 살포 범위를 보다 넓게 확산시켜 하나의 농약 분무 살포장치를 통한 농약 살포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농약 분무 살포장치 {AGRICULTURAL CHEMICAL SPR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농약 분무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무압력 반발력에 의해 노즐결합체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농약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보다 넓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 무우나 배추 등의 농작물을 야외 및 비닐 하우스 내에 재배하는 과정에서,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농작물이 각종 병충해를 이겨낼 수 있도록 농작물을 튼튼하게 키우기 위해 농약을 적절하게 사용하며, 이러한 농약은 일반적으로 농약 살포기를 통해 살포되며, 이러한 농약 살포기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103731 호(공개일 2005.11.01), 등록특허공보 제 10-0793138 호(공고일 2008.01.10)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의 농약살포기는 농약살포관체의 회전으로부터 농약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살포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농약살포기는 농약 살포시 연료 사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들의 농약살포기는 농약살포관체의 살포거리가 제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는 넓은 범위로 농약을 살포시, 농약살포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분무압력 반발력에 의해 노즐결합체를 회전시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농약의 수압을 이용하여 회전력이 증대되도록 꺽임부를 가지는 농약살포용 회전관체를 구성하는 한편, 농약살포용 회전관체의 회전으로부터 그 선단의 노즐부를 통해 농약 살포시 그 농약이 날개부를 통해 흩날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전후좌우 방향에 대한 농약 살포 범위를 보다 넓게 확산시켜 하나의 농약 분무 살포장치를 통한 농약 살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농약 분무 살포장치는, 농약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농약 흐름을 안내하며,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를 형성한 공급관부; 상기 제 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공급관부를 통해 안내되는 농약을 분기시키는 농약분기부; 상기 농약분기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자부; 상기 농약분기부의 결합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3 연결부를 일단에 형성하고 타단에는 제 4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농약분기부에서 분기되는 농약의 수압을 통해 상기 농약분기부와 함께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증대되도록 일정각도의 꺽임부를 형성한 회전관체; 및, 상기 회전관체의 제 4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 5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관체의 회전으로부터 액상의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 노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일면에 따른 본 발명의 농약 분무 살포장치는, 제 1 연결부를 형성한 스프레이건; 상기 제 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레이건을 통해 안내되는 농약을 분기시키는 농약분기부; 상기 농약분기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자부; 상기 농약분기부의 결합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3 연결부를 일단에 형성하고 타단에는 제 4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농약분기부에서 분기되는 농약의 수압을 통해 상기 농약분기부와 함께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증대되도록 일정각도의 꺽임부를 형성한 회전관체; 및, 상기 회전관체의 제 4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 5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관체의 회전으로부터 액상의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 노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회전자부는 1개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회전자부는 상기 농약분기부로부터 인접하거나 또는 이격된 위치에 서로 분리된 상태로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공급관부의 내부에는 상기 농약분기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농약분기부를 통해 노즐부로 농약이 안내될 때, 상기 노즐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약의 살포 범위를 확산시키도록 상기 공급관부의 전후좌우 유동을 지지하게 되는 탄성봉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회전관체는 유연금속인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이루어져 그 꺽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복수의 회전관체를 결합하고 있는 상기 농약분기부의 상단이나 하단에는 노즐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약의 살포 범위를 확산시키는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무압력 반발력에 의해 노즐결합체를 회전시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농약의 수압을 이용하여 회전력이 증대되도록 꺽임부를 가지는 농약살포용 회전관체를 구성하는 한편, 농약살포용 회전관체의 회전으로부터 그 선단의 노즐부를 통해 농약 살포시 그 농약이 날개부를 통해 흩날리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에 대한 농약 살포 범위를 보다 넓게 확산시켜 하나의 농약 분무 살포장치를 통한 농약 살포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관부에 결합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와 노즐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관부에 탄성봉을 적용한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의 하단에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한 상태를보인 정면 개략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의 상단에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한 상태를보인 정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에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프레이건에 결합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관부에 결합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와 노즐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관부에 탄성봉을 적용한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의 하단에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한 상태를보인 정면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의 상단에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한 상태를보인 정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관체의 하단 또는 상단에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프레이건에 결합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 살포장치는 농약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농약 흐름을 안내하는 공급관부(10) 또는 스프레이건(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농약분기부(20), 회전관체(30), 회전자부, 그리고 노즐부(40)와 탄성봉(60) 및 회전날개(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공급관부(10)는 수직지지대(100)에 결속끈(101) 등으로 결속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농약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농약 흐름을 상기 농약분기부(20)로 안내하는 것이며, 끝단에는 상기 농약분기부(2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연결부(11)를 형성한다.
이때,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레이건(200)은 상기 농약분기부(20)로 액상의 농약 흐름을 안내하는 것으로 그 끝단에는 상기 농약분기부(2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연결부(11)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농약분기부(20)는 상기 제 1 연결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1)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회전관체(30)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홀(22)이 형성되면서 상기 공급관부(10) 또는 스프레이건(200)을 통해 안내되는 농약을 상기 회전관체(30)에 분기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농약분기부(20)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제 1 연결부(11)에는 회전자부에 포함되는 베어링(51)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연결부(21)에는 회전자부에 포함되는 베어링 회전체(52)를 형성하는 구조로 표현하였으나, 상기 수직지지대(100)에 의해 수직 지지되는 공급관부(10)를 이중의 상부연결관부(10a)와 하부연결관부(10b)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하부연결관부(10b)에는 회전자부에 포함되는 베어링(51)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결관부(10a)에는 회전자부에 포함되는 베어링 회전체(52)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관체(30)는 상기 농약분기부(20)의 결합홀(22)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3 연결부(31)를 일단에 형성하고 타단에는 제 4 연결부(32)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농약분기부(20)에서 분기되는 농약의 수압을 통해 상기 농약분기부(20)와 함께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증대되도록 일정각도의 꺽임부(33)를 형성한다.
즉, 상기 공급관부(10) 또는 스프레이건(200)을 통해 일정압력의 액상 농약이 농약분기부(20)로 안내되면, 상기 농약분기부(20)는 상기 농약의 공급수압에 따라 제 1,2 연결부(11)(21)에 마련되는 회전자부에 포함되는 베어링(51)과 베어링 회전체(52)를 통해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농약분기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관체(30) 또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공급관부(10) 또는 스프레이건(20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농약분기부(20)는 1개 이상의 베어링(51)을 포함하는 회전자부를 가지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자부는 상기 농약분기부(20)로부터 인접하거나 또는 이격된 위치에 서로 분리된 상태로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관체(30)의 꺽임부(33)를 농약이 통과시, 상기 농약은 회전관체(30)의 꺽임부(33)에 일정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상기 꺽임부(33)내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상기 농약분기부(20)와 이에 결합되는 회전관체(30)의 회전력이 증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관체(30)는 구부림 가공이 유연한 금속인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이루어져 그 꺽임각도가 임의로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노즐부(40)는 제 5 연결부(41)를 통해 상기 회전관체(30)의 제 4 연결부(3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관체(30)의 회전으로부터 액상의 농약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살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탄성봉(60)은 상기 공급관부(10)의 내부에서 상기 농약분기부(20)로 연장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농약분기부(20)를 통해 노즐부(40)로 농약이 안내될 때, 상기 노즐부(40)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약의 살포 범위를 확산시키도록 상기 공급관부(10)의 전후좌우 유동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공급관부(10)가 상기 탄성봉(6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시, 상기 공급관부(10)를 통해 농약분기부(20)로 공급되는 농약의 공급압력은 높아지고, 이렇게 높아진 농약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관체(30)를 통해 노즐부(40)에서 살포되는 농약의 살포 압력은 더욱 세지면서, 상기 노즐부(40)를 통한 농약의 살포범위가 보다 더 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회전날개(70)는 첨부된 도 5a와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관체(30) 또는 상기 회전자부에 포함되는 베어링 회전체(52)의 상단이나 하단에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노즐부(40)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약의 살포 범위를 확산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회전날개(70)는 상기 회전관체(3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노즐부(40)를 통한 농약 살포시 살포되는 농약을 보다 멀리 보내도록 상기 노즐부(40)의 하단에서 바람을 일으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70)는 첨부된 도 5a에서와 같이 베어링 회전체(5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체(71)로부터 연장되는 로드(72)에 고정브라켓(73)과 볼트(74) 및 너트(75)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5b에서와 같이 농약분사부(20)의 상단에 축부(81)를 형성한 후 그 축부(81)에 상기 결합체(71)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체(71)로부터 연장되는 로드(72)에 고정브라켓(73)과 볼트(74) 및 너트(75)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약 분무 살포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농약공급부에서 액상의 농약을 일정수압으로 수직지지대(100)에 의해 수직 지지된 공급관부(10)에 공급하거나 또는 스프레이건(200)으로 공급되면, 상기 공급관부(10) 또는 스프레이건(200)에서는 일정수압의 농약을 농약분기부(20)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농약분기부(20)는 일정수압으로 공급되는 농약에 의해 제 1,2 연결부(11)(21)의 베어링(51)과 베어링 회전체(52)를 통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농약분기부(20)에 결합되는 다단의 회전관체(3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농약분기부(20)에서는 일정수압의 농약을 다단의 회전관체(30)에 각각 분기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회전관체(30)에는 꺽임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농약분기부(20)에 의해 분기되어 각 회전관체(30)로 공급되는 일정수압의 농약은 상기 꺽임부(33)를 통과할 때 타격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꺽임부(33)내에서 발생하는 타격압력으로부터 상기 회전관체(30)의 회전력은 증대되고, 회전력이 증대된 상기 회전관체(30)의 회전력으로부터, 상기 회전관체(30)의 끝단에 결합된 노즐부(40)에서는 보다 멀리 농약의 살포범위를 확산시키면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관체(30) 또는 베어링 회전체(52)의 상단이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날개(70)의 회전으로부터 발생하는 바람으로부터 상기 노즐부(40)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약의 살포 범위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공급관부(10)와 농약분기부(20)로 연장되어 내장되는 탄성봉(60)에 의해 상기 공급관부(10)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공급관부(10)의 전후좌우 방향 유동에 따라 상기 공급관부(10)를 통해 농약분기부(20)로 공급되는 농약의 수압은 증대되고, 이에따라 상기 노즐부(40)를 통한 농약의 살포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노즐부(40)를 통한 농약의 살포 범위는 더욱더 확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관체(30)의 꺽임부(33)는 물론, 탄성봉(60)에 의한 공급관부(10)의 전후좌우 방향 유동, 그리고 회전날개(70)의 회전으로부터 발생하는 바람으로 인해, 상기 노즐부(40)를 통해 살포되는 농약의 살포범위를 보다 더 멀리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농약 분무 살포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공급관부 10a; 상부연결관부
10b; 하부연결관부 11; 제 1 연결부
20; 농약분기부 21; 제 2 연결부
22; 결합홀 30; 회전관체
31; 제 3 연결부 32; 제 4 연결부
33; 꺽임부 40; 노즐부
41; 제 5 결합부 51; 베어링
52; 베어링 회전체 60; 탄성봉
70; 바람개비 80; 가이드플레이트
81; 지지부 100; 수직지지대
101; 결속끈 200; 스프레이건

Claims (7)

  1. 농약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농약 흐름을 안내하며,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를 형성한 공급관부; 상기 제 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공급관부를 통해 안내되는 농약을 분기시키는 농약분기부; 상기 농약분기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자부; 상기 농약분기부의 결합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3 연결부를 일단에 형성하고 타단에는 제 4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농약분기부에서 분기되는 농약의 수압을 통해 상기 농약분기부와 함께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증대되도록 일정각도의 꺽임부를 형성한 회전관체; 및, 상기 회전관체의 제 4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 5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관체의 회전으로부터 액상의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 노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부의 내부에는 상기 농약분기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농약분기부를 통해 노즐부로 농약이 안내될 때, 상기 노즐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약의 살포 범위를 확산시키도록 상기 공급관부의 전후좌우 유동을 지지하게 되는 탄성봉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농약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농약 흐름을 안내하며,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를 형성한 상기 공급관부가 스프레이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부는 1개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부는 상기 농약분기부로부터 인접하거나 또는 이격된 위치에 서로 분리된 상태로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체는 유연 금속인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이루어져 그 꺽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관체를 결합하고 있는 상기 농약분기부의 상단이나 하단에는 노즐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약의 살포 범위를 확산시키는 회전날개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무 살포장치.
KR1020140111282A 2014-08-26 2014-08-26 농약 분무 살포장치 KR10160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82A KR101604412B1 (ko) 2014-08-26 2014-08-26 농약 분무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82A KR101604412B1 (ko) 2014-08-26 2014-08-26 농약 분무 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94A KR20160024494A (ko) 2016-03-07
KR101604412B1 true KR101604412B1 (ko) 2016-03-17

Family

ID=5554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282A KR101604412B1 (ko) 2014-08-26 2014-08-26 농약 분무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652A (ko)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세웅 회전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613B1 (ko) * 2017-11-24 2019-10-01 김유경 방제용 약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51Y1 (ko) * 2010-08-02 2013-02-19 백근용 분무기의 회전 분사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51Y1 (ko) * 2010-08-02 2013-02-19 백근용 분무기의 회전 분사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652A (ko)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세웅 회전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94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797B1 (ko) 살수 분무기
US9764338B2 (en) Nozzle adjustment member for sprinkler
KR101635683B1 (ko) 승용 관리기 장착형 분무기
JP3189781U (ja) 全方向散水機
KR100856700B1 (ko) 스프링클러
US9265243B2 (en) Bi-directional break-away boom with torsion springs and rotary damper
CN205891260U (zh) 一种多旋翼农药喷洒机
KR101604412B1 (ko) 농약 분무 살포장치
WO2015140817A2 (en) A self propelled agriculture heighted boom sprayer
KR101013408B1 (ko) 광역살포기의 송풍정류장치
US6336599B1 (en) Sprinkler spray shield
US8864050B2 (en) Jet-breaker device for jet irrigation apparatus and jet irrigation apparatus comprising such device
CN201805833U (zh) 车载风送式喷雾机
KR101626557B1 (ko) 약액살포장치
US9898012B2 (en) Air assistance and drift reduction technology for controlled droplet applicator
KR20170134987A (ko) 다방향 분무가 가능한 주행형 분무장치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101177979B1 (ko) 농기계 장착용 농약 또는 비료 살포기 거치대
KR20160003870U (ko) 다목적 약액 분사기
US20130075491A1 (en) Sprinkler Structure
KR20180125652A (ko) 회전분사장치
KR101890641B1 (ko) 복수의 회전분사장치를 구비한 분무장치
KR102003613B1 (ko) 방제용 약대
CN209983400U (zh) 一种农药喷洒装置
KR200389781Y1 (ko) 살수 및 분무 기능을 갖는 특장차용 분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