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867B1 -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2867B1 KR101812867B1 KR1020160009234A KR20160009234A KR101812867B1 KR 101812867 B1 KR101812867 B1 KR 101812867B1 KR 1020160009234 A KR1020160009234 A KR 1020160009234A KR 20160009234 A KR20160009234 A KR 20160009234A KR 101812867 B1 KR101812867 B1 KR 101812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expansion
- compartment
- expansion compartment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2—Orthopaedic corsets consisting of one or more sh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는,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는 압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벨트에는 팽창 구획이 구비되고, 상기 팽창 구획의 팽창에 의해 상기 척추가 견인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프레임 중 일부는 골반/요추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 중 다른 일부는 등/흉추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척추를 지지하고, 압박 벨트의 팽창에 의해 지지 프레임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척추에 효과적으로 견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인체 골격의 중추적인 골격으로, 우리 몸을 지탱하고 지지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구조로서 인대, 근육, 연골 등과 상호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우리 몸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척추는 기둥 역할을 하는 척추체와,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추간판까지 다양한 관절과 신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척추는 정지 상태나 운동 상태에서도 균형을 유지해 주는 축 역할을 하고,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모여 상체의 체중을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하며, 구부리고 펴는 운동으로 상지 및 하지와 더불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관절 역할을 한다.
또한, 인체의 척추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인체의 머리부를 지탱하는 경추로 이어진다. 상기와 같은 인체의 척추와 경추는 다수개의 관절들로 이루어지고, 이들 관절 사이에는 관절들 사이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 수단인 디스크들이 각각 개재된다. 또한, 상기 인체의 척추 및 경추에는 뇌신경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각 근육 및 감각부로 전달하는 수단인 다수의 신경 라인들이 분포된다.
이에 따라,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사람이 활동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기둥의 역할을 하는 이러한 척추가 오랫동안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교통사고와 같이 외부로부터 심한 충격을 받게 되어 머리 쪽의 경추와 골반 쪽의 요추가 틀어져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척추 측만증이나 허리 디스크 또는 요통이나 소화불량 등과 같은 척추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 골격 중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척추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척추보조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2013년 8월 30일에 출원된 KR 2013-0103943에는 '체중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용 좌석 걸이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지지 프레임 중 일부는 골반/요추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 중 다른 일부는 등/흉추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척추를 지지하고, 압박 벨트의 팽창에 의해 지지 프레임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척추에 효과적으로 견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압박 벨트에 의해 지지 프레임이 척추에 더욱 밀착되게 함으로써 지지 프레임의 척추에 대한 과도한 들뜸이 방지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압박 벨트에 차단 부재가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압박 벨트의 접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압박 벨트 및 지지 프레임이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압박 벨트 및 지지 프레임의 교체가 용이하고, 지지 프레임이 분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지지 프레임을 교체하여 새롭게 조립 가능한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편하게 착용 가능하고, 실생활에서 근육통을 완화하거나 척추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는,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는 압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벨트에는 팽창 구획이 구비되고, 상기 팽창 구획의 팽창에 의해 상기 척추가 견인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은, 골반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몸통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팽창 구획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은, 상기 제3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에 외력을 가하는 제1 팽창 구획;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일단에 연결되고 몸통의 일 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2 팽창 구획; 및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타단에 연결되고 몸통의 타 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3 팽창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팽창 구획 또는 상기 제3 팽창 구획에는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을 수축 또는 팽창시키기 위해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박 벨트에는 상기 압박 벨트에 상기 제3 프레임이 탈부착되도록 마련된 탈부착 구획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탈부착 구획은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탈부착 구획 내에는 상기 유체 주입구에 주입된 유체의 유입이 차단되어, 상기 제1 팽창 구획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탈부착 구획 주위에서 우회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팽창 구획 및 상기 제3 팽창 구획에는 상기 유체의 유입이 차단되는 복수 개의 차단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중 인접한 차단 부재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유체가 전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는 상기 제2 팽창 구획 및 상기 제3 팽창 구획에서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척추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중 일부는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양단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3 프레임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팽창 구획은 상기 유체 주입구에 주입된 유체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하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수축 시,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이격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팽창 시,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 중 일부는 골반/요추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 중 다른 일부는 등/흉추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척추를 지지하고, 압박 벨트의 팽창에 의해 지지 프레임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척추에 효과적으로 견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압박 벨트에 의해 지지 프레임이 척추에 더욱 밀착되게 함으로써 지지 프레임의 척추에 대한 과도한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압박 벨트에 차단 부재가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압박 벨트의 접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압박 벨트 및 지지 프레임이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압박 벨트 및 지지 프레임의 교체가 용이하고, 지지 프레임이 분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지지 프레임을 교체하여 새롭게 조립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에 의하면,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편하게 착용 가능하고, 실생활에서 근육통을 완화하거나 척추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도 1(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지지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지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c)는 수축 시 압박 벨트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c)는 팽창 시 압박 벨트를 도시한다.
도 2는 지지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지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c)는 수축 시 압박 벨트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c)는 팽창 시 압박 벨트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지지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지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a) 내지 (c)는 수축 시 압박 벨트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c)는 팽창 시 압박 벨트를 도시한다.
도 1(a) 및 (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10)는 지지 프레임(100) 및 압박 벨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10)는 사용자의 척추 상에 착용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00)은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압박 벨트(200)는 지지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지지 프레임(100)에 대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10)가 사용자의 척추 상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에 지지 프레임(100)이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100)의 외측을 압박 프레임(200)이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 프레임(100)은 흉요천추 지지대(TLSO)와 같이 흉요천추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압박 벨트(200)는 요추를 견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3을 더 포함하여, 지지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제3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강성 재질로 마련되어, 골반 또는 요추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110)의 중앙 부분은 척추 상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제1 프레임(110)의 양단부 부분은 골반 또는 요추를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에 대하여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프레임(120)은 등 또는 몸통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120)의 중앙 부분은 척추 상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제2 프레임(120)의 양단부 부분은 등 또는 몸통을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30)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 사이에서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단부에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프레임(130)은 척추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130)의 중앙 부분에는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00)에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의 체결 및 분해를 위한 체결 부재(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3은 지지 프레임(100)에서 척추 상에 놓이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 프레임(110) 및 제3 프레임(130) 사이에 복수 개의 체결 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 사이에 복수 개의 체결 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10)의 배면에는 제3 프레임(130)의 일단과 체결을 위하여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프레임(120)의 배면에는 제3 프레임(130)의 타단과 체결을 위하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제3 프레임(130)이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100)의 배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의 체결 또는 분해 가능한 구조에 의해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을 교체하여 새롭게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몸통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경우, 또는 사용자의 척추 길이가 긴 경우 적절한 크기의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을 선택하여 새롭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10)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여 사용자에 따라서 적절한 척추 견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130)의 배면에는 압박 벨트(200)와 탈부착을 위하여 탈부착 요소(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요소(130)는 예를 들어 벨크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130)의 배면에 제3 프레임(130)의 길이방향 또는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0)의 탈부착 요소(130)에 대응되도록 압박 벨트(200)에도 탈부착 요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다만, 여기에서는 탈부착 요소(130)로서 벨크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3 프레임(130) 및 압박 벨트(200)를 효율적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상 지지 프레임(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압박 벨트(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특히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압박 벨트(200)에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의 팽창에 의해 척추가 견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은 제1 팽창 구획(210), 제2 팽창 구획(220) 및 제3 팽창 구획(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팽창 구획(210)은 제3 프레임(13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팽창 구획(220)은 제1 팽창 구획(210)의 일단에 연결되어 몸통의 일 측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 팽창 구획(230)은 제1 팽창 구획(210)의 타단에 연결되어 몸통의 타 측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팽창 구획(220) 또는 제3 팽창 구획(230)에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을 수축 또는 팽창시키기 위해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주입구(220)에는 공기와 같은 기체 또는 물과 같은 액체가 주입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을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 팽창 구획(220)에 유체 주입구(222)가 구비되고, 유체 주입구(220)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유체 주입구(222)는 제2 팽창 구획(220)의 일단에 구비되고, 유체 주입구(2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팽창 구획(220)을 통하여 제1 팽창 구획(210)을 거쳐 제3 팽창 구획(2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박 벨트(200) 내, 특히 제1 팽창 구획(210), 제2 팽창 구획(220) 및 제3 팽창 구획(230) 사이에는 일 방향으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팽창 구획(230)에 별도의 유체 주입구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제2 팽창 구획(220) 및 제3 팽창 구획(230)에는 복수 개의 차단 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차단 부재(250)는 제2 팽창 구획(220)에 구비된 제1 차단 부재(252) 및 제3 팽창 구획(230)에 구비된 제2 차단 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252)는 제2 팽창 구획(220)에서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차단 부재(252)의 길이는 제2 팽창 구획(2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팽창 구획(220)에서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차단 부재(2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 부재(252)는 척추의 길이방향 또는 척추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차단 부재(252) 중 인접한 차단 부재 사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팽창 구획(220)에서 척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차단 부재(252)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공기를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팽창 구획(220)의 단부로부터 제1 팽창 구획(210)을 향하여 공기가 전달되거나 제1 팽창 구획(210)으로부터 제2 팽창 구획(220)을 향하여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팽창 구획(220)은 공기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공기를 보유함으로써 팽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팽창 구획(220)에서 척추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차단 부재(252)의 사이 공간에 복수 개의 공기 기둥(2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기둥(254)은 제2 팽창 구획(220)에서 척추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1 차단 부재(252)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주입구(222)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또는 유체 주입구(222)를 통하여 공기가 제거하는 경우, 복수 개의 공기 기둥(254)은 수축되고, 압박 벨트(200)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반면, 도 5(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주입구(222)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복수 개의 공기 기둥(254)은 팽창되고, 도 4(a) 내지 (c)에 도시된 공기 기둥(254)에 비하여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제3 팽창 구획(230)에는 제1 팽창 구획(210)을 사이에 두고 제1 차단 부재(242)와 대칭되게 제2 차단 부재(254)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3 팽창 구획(230)에는 제1 팽창 구획(210)을 사이에 두고 제2 팽창 구획(220)의 공기 기둥(224)과 대칭되게 공기 기둥(2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 부재(254) 및 제3 팽창 구획(230)의 공기 기둥(232)은 전술된 제1 차단 부재(252) 및 제2 팽창 구획(220)의 공기 기둥(224)에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2 팽창 구획(220)에 구비된 제1 차단 부재(252) 및 제3 팽창 구획(230)에 구비된 제2 차단 부재(254)는 압박 벨트(200)의 접힘을 용이하게 하므로 압박 벨트(200)가 몸통에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제2 팽창 구획(220) 및 제3 팽창 구획(230)에서의 공기 전달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제1 팽창 구획(210)에서의 공기 전달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제1 팽창 구획(210)에는 제2 팽창 구획(220) 및 제3 팽창 구획(230)과 달리 차단 부재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 팽창 구획(210)의 중앙에는 제3 프레임(130)의 배면에 탈부착되도록 마련된 탈부착 구획(2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 구획(240)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130)의 탈부착 요소(132)에 대응되도록 벨크로와 같은 탈부착 요소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도 4(a) 및 도 5(a)는 척추를 향하는 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 및 도 5(a)에서 탈부착 구획(240)에 탈부착 요소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탈부착 구획(240)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팽창 구획(220)으로부터 제1 팽창 구획(210)에 전달된 공기가 탈부착 구획(240)에 의해서 우회되며, 제2 팽창 구획(220)의 상하부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부착 구획(240)에 공기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압박 벨트(200) 및 지지 프레임(100) 사이에 안정적으로 탈부착되게 함과 동시에 제2 팽창 구획(220) 내 유체 전달을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제1 차단 부재(252) 및 제2 차단 부재(254) 중 일부는 제1 팽창 구획(210)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제2 팽창 구획(220) 및 제1 팽창 구획(210) 사이에서 유체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제1 팽창 구획(210) 및 제3 팽창 구획(230) 사이에서 유체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압박 벨트(200)의 양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탈부착 부재(260)가 구비되어 압박 벨트(200)를 착용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10)의 비사용 시 탈부착 부재(260)를 이용하여 압박 벨트(200)를 사용자의 몸통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a)를 다시 참조하여, 압박 벨트(200)의 수축 시, 제1 팽창 구획(210)의 양단부에 이격 배치된 제1 차단 부재(252) 및 제2 차단 부재(254)의 이격 거리 또는 제1 팽창 구획(210)의 폭은 제3 프레임(13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압박 벨트(200)의 수축 시, 제1 팽창 구획(210)의 길이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반면, 도 1(b)를 참조하여, 압박 벨트(200)의 팽창 시, 제1 팽창 구획(210)의 양단부에 이격 배치된 제1 차단 부재(252) 및 제2 차단 부재(254)의 이격 거리 또는 제1 팽창 구획(210)의 폭은 제3 프레임(130)의 폭에 대응되거나 제3 프레임(130)의 폭보다 약간 크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압박 벨트(200)의 팽창 시, 제1 팽창 구획(210)의 길이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이격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1(b)를 계속 참조하여, 압박 벨트(200)의 팽창 시, 제1 팽창 구획(210)에서 탈부착 구획(240)의 외측 전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된 외력은 지지 프레임(100)에 전달되어 척추에 대하여 견인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결국 척추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는 지지 프레임이 골반/요추를 감싸도록 마련된 상태에서 압박 벨트로 지지 프레임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척추에 전반적으로 견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압박 벨트에 의해 지지 프레임이 척추에 더욱 밀착되게 함으로써 지지 프레임의 척추에 대한 과도한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100: 지지 프레임
110: 제1 프레임
120: 제2 프레임
130: 제3 프레임
132: 탈부착 요소
140: 체결 부재
200: 압박 벨트
210: 제1 팽창 구획
220: 제2 팽창 구획
222: 유체 주입구
224: 공기 기둥
230: 제3 팽창 구획
232: 공기 기둥
240: 탈부착 구획
250: 차단 부재
252: 제1 차단 부재
254: 제2 차단 부재
260: 탈부착 부재
100: 지지 프레임
110: 제1 프레임
120: 제2 프레임
130: 제3 프레임
132: 탈부착 요소
140: 체결 부재
200: 압박 벨트
210: 제1 팽창 구획
220: 제2 팽창 구획
222: 유체 주입구
224: 공기 기둥
230: 제3 팽창 구획
232: 공기 기둥
240: 탈부착 구획
250: 차단 부재
252: 제1 차단 부재
254: 제2 차단 부재
260: 탈부착 부재
Claims (9)
-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는 압박 벨트;
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벨트에는 팽창 구획이 구비되고, 상기 팽창 구획의 팽창에 의해 상기 척추가 견인되며,
상기 팽창 구획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서 상기 척추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팽창 구획;
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 벨트는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압박 벨트가 탈부착시키는 탈부착 구획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구획 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의 팽창을 위한 유체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탈부착 구획 주위에서 우회되어,
상기 압박 벨트의 팽창 시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압박 벨트의 부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팽창 구획에서 상기 탈부착 구획의 외측 전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척추에 밀착되고 상기 척추에 대하여 견인력이 작용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골반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몸통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프레임;
을 포함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은,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일단에 연결되고 몸통의 일 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2 팽창 구획; 및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타단에 연결되고 몸통의 타 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3 팽창 구획;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은 상기 제3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에 외력을 가하고,
상기 제2 팽창 구획 또는 상기 제3 팽창 구획에는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을 수축 또는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주입구가 구비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창 구획 및 상기 제3 팽창 구획에는 상기 유체의 유입이 차단되는 복수 개의 차단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중 인접한 차단 부재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유체가 전달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는 상기 제2 팽창 구획 및 상기 제3 팽창 구획에서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척추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중 일부는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양단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3 프레임의 폭에 대응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 구획은 상기 유체 주입구에 주입된 유체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하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수축 시,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이격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팽창 시, 상기 제1 팽창 구획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9234A KR101812867B1 (ko) | 2016-01-26 | 2016-01-26 |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EP16170972.0A EP3199129A1 (en) | 2016-01-26 | 2016-05-24 | Spine support and trac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9234A KR101812867B1 (ko) | 2016-01-26 | 2016-01-26 |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9171A KR20170089171A (ko) | 2017-08-03 |
KR101812867B1 true KR101812867B1 (ko) | 2017-12-29 |
Family
ID=5608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9234A KR101812867B1 (ko) | 2016-01-26 | 2016-01-26 |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EP (1) | EP3199129A1 (ko) |
KR (1) | KR1018128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7203A (ko) * | 2018-04-06 | 2019-10-16 | 장기용 | 흉요천추 보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26459B1 (nl) * | 2018-07-09 | 2020-02-05 | Dmt Wellness Solutions Bvba | Hulpmiddel voor het stimuleren van een gedeelte van de hui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4287B1 (ko) * | 2011-12-02 | 2012-09-21 | 장기용 | 디스크용 허리 벨트를 구비한 허리 견인 장치 |
US20140018715A1 (en) | 2012-01-13 | 2014-01-16 | Ossur Hf | Spinal orthosis |
US8992452B2 (en) | 2010-10-14 | 2015-03-31 | Archangel Armor Llc | Load carrier frame an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511527C2 (sv) * | 1995-12-06 | 1999-10-11 | Jan Broselid | Anordning för att applicera traktion på kotpelaren |
KR20150025851A (ko) | 2013-08-30 | 2015-03-11 | 김정원 | 체중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용 좌석 걸이장치 |
US10792179B2 (en) * | 2014-04-10 | 2020-10-06 | Theratogs, Inc. | Customized spinal bracing to aid in neuromotor training |
DE202014009385U1 (de) * | 2014-11-25 | 2014-12-05 | Special Protectors Co., Ltd. | Verstellbarer Korrektur- und Druckminderungsschutz für Taille und Rücken |
-
2016
- 2016-01-26 KR KR1020160009234A patent/KR1018128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5-24 EP EP16170972.0A patent/EP3199129A1/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92452B2 (en) | 2010-10-14 | 2015-03-31 | Archangel Armor Llc | Load carrier frame and system |
KR101184287B1 (ko) * | 2011-12-02 | 2012-09-21 | 장기용 | 디스크용 허리 벨트를 구비한 허리 견인 장치 |
US20140018715A1 (en) | 2012-01-13 | 2014-01-16 | Ossur Hf | Spinal orthosi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7203A (ko) * | 2018-04-06 | 2019-10-16 | 장기용 | 흉요천추 보조기 |
KR102055145B1 (ko) | 2018-04-06 | 2019-12-12 | 장기용 | 흉요천추 보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9171A (ko) | 2017-08-03 |
EP3199129A1 (en) | 2017-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1820B2 (en) | Pneumatic joint separator for lower body alignment | |
US4715362A (en) | Ambulatory lumbo-sacral traction systems and methods | |
US11786779B2 (en) | Joint separator for body alignment | |
US5279310A (en) | Spinal column correction device | |
US8734372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compression and elliptical traction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 |
US5405313A (en) | Adjustable back support | |
US2015014189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compression and elliptical traction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 |
US20080208091A1 (en) | Lower Back Orthosis | |
US20130253582A1 (en) | Backrest Apparatus Comprising a Concave Support Pad with Convex End Portions | |
US7878996B2 (en) | Lumbar selective stabilization support/brace | |
US7060085B2 (en) | Rocking vectored pneumatic joint separator | |
US20200276043A1 (en) | Trunk orthosis | |
KR101812867B1 (ko) |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
US11471357B2 (en) | Pneumatic joint separator for lower body alignment | |
US20150065933A1 (en) | Inflatable compression wrap for direct support of the spinous process in the lumbar specific spine region | |
KR101801868B1 (ko) | 척추측만증 보조기 | |
KR200498291Y1 (ko) | 가변식 척추교정장치 | |
KR101695276B1 (ko) | 척추측만증 보조기 | |
US20090204043A1 (en) | Lumbar Selective Stabilization Support/Brace | |
KR20090132163A (ko) | 복합식 척추보호대 | |
ES2746308T3 (es) | Dispositivo para enderezar con la ayuda de una fuerza, la parte superior inclinada del cuerpo de una persona | |
KR101887381B1 (ko) | 경사진 팽창부가 구비된 밴드형 척추보조기구 | |
JP3156477U (ja) | 腰、背部の疲労緩和具 | |
JP3156652U (ja) | 腰部、背部の疲労緩和ベルト | |
RU2033774C1 (ru) | 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корсет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