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145B1 - 흉요천추 보조기 - Google Patents

흉요천추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145B1
KR102055145B1 KR1020180040431A KR20180040431A KR102055145B1 KR 102055145 B1 KR102055145 B1 KR 102055145B1 KR 1020180040431 A KR1020180040431 A KR 1020180040431A KR 20180040431 A KR20180040431 A KR 20180040431A KR 102055145 B1 KR102055145 B1 KR 102055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thoracolumbar
connecting member
support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203A (ko
Inventor
장기용
Original Assignee
장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용 filed Critical 장기용
Priority to KR102018004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16Inflatable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는, 흉근 하부 및 골반 사이의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팽창에 의해 척추에 압력을 가하는 압박부; 및 상기 압박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늑골 형상을 따라서 굴곡 형성된 굴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 부재는 상기 압박부에 비고정되어 늑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흉요천추 보조기{THORACOLUMBOSACRAL ORTHOSIS}
본 발명은 흉요천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등과 허리부위(흉요추부)의 척추뼈는 역학적으로 3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이해되고 있다. 세 개의 부분은 위치에 따라 앞기둥(전주), 중간기둥(중주), 뒤기둥(후주)이며, 다양한 힘에 의해 3개의 주가 어떻게 손상되는지에 따라 등, 허리부위 척추골에 생긴 골절을 분류한다. 눌리는 힘(압박력)때문에 앞부분인 전주에 골절이 발생하는 것을 압박골절이라 한다.
이러한 압박골절은 대부분 신경학적 이상이 없고 치료 중에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없으므로 흉요천추 보조기(TLSO; thoraco-lumbo-sacral orthosis) 혹은 과신전 보조기를 착용하여 치료한다.
흉요천추 보조기는 흉추와 요추, 천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보조기로서, 외력을 이용하여 척추의 바른 자세를 조절하고 척추의 기형이나 비정상적인 만곡을 교정하고 예방하며, 척추의 안정성을 높이고 수술이나 손상 후 척추 관절 보호와 통증 경감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흉요천추 보조기는 유연성 보조기와 경직성 보조기로 나눌 수 있다. 유연성 보조기는 외관상 보기가 좋고, 무게가 가벼우며, 근력 약화가 비교적 적고, 고령층이나 비만 체형에 적합하고, 더욱 복부를 압박하는 장점이 있다. 경직성 보조기는 측방 및 회전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고 요추부의 체위를 잘 조절할 수 있다.
흉요천추 보조기는 착용 목적과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처방할 수 있고, 장시간 착용에 따르는 부정적 효과(근육 위축, 관절 구축, 의존성 등)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조기 착용에 앞서 무엇보다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KR10-0343123에는 '밴드형 척추측만증보조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압박부가 늑골 및 골반 사이의 몸통에 밀착되어 척추융합수술 등의 척추수술 이후에 척추를 안정화시키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흉요천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프레임에 압박부가 부분적으로 고정되거나, 프레임에 연결부가 탄성 재질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압박부를 몸통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는 흉요천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늑골 형상을 따라서 굴곡 형성된 굴곡 부재에 의해서 사용자의 늑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흉요천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프레임 또는 압박부의 상단이 겨드랑이와 비접촉하여 착용 후 활동 시에 겨드랑이의 쓸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착용감 및 활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흉요천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착용 후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좌측 연결 부재 및 우측 연결 부재의 연결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흉요천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압박부에 복수 개의 공기 기둥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몸통에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부드럽게 압박할 수 있는 흉요천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하드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된 프레임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착용된 후에 프레임의 내측면에 연결된 압박부를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압박력을 효과적을 전달할 수 있는 흉요천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는, 흉근 하부 및 골반 사이의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팽창에 의해 척추에 압력을 가하는 압박부; 및 상기 압박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늑골 형상을 따라서 굴곡 형성된 굴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 부재는 상기 압박부에 비고정되어 늑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능형근으로부터 흉근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부 지지 부재; 골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하부 지지 부재; 및 척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연결된 연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굴곡 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굴곡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굴곡 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 지지 부재에서 겨드랑이 하부에 위치된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굴곡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 부재에서 척추에 인접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지지 부재의 양단부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압박부에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지지 부재의 상단은 상기 압박부의 상단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압박부의 양단부에 배치된 좌측 연결 부재 및 우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를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탄성 재질의 직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에 각각 탈부착 가능한 중앙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는 상기 중앙 연결 부재에 후크 앤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에 의해서 탈부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일면에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는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립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립 부분에는 상기 후크 부분이 비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일면에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박부는,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팽창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팽창 부재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팽창 부재는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부터 후방까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팽창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비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박부는, 외기와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통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통기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에 의하면, 압박부가 늑골 및 골반 사이의 몸통에 밀착되어 척추융합수술 등의 척추수술 이후에 척추를 안정화시키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에 의하면, 프레임에 압박부가 부분적으로 고정되거나, 프레임에 연결부가 탄성 재질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압박부를 몸통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에 의하면, 늑골 형상을 따라서 굴곡 형성된 굴곡 부재에 의해서 사용자의 늑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에 의하면, 프레임 또는 압박부의 상단이 겨드랑이와 비접촉하여 착용 후 활동 시에 겨드랑이의 쓸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착용감 및 활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에 의하면, 착용 후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좌측 연결 부재 및 우측 연결 부재의 연결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에 의하면, 압박부에 복수 개의 공기 기둥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몸통에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부드럽게 압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에 의하면, 하드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된 프레임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착용된 후에 프레임의 내측면에 연결된 압박부를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압박력을 효과적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10)는 프레임(100) 및 압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흉근 하부 및 골반 사이의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압박부(2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하드한(hard)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연결된 압박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은 상부 지지 부재(110), 하부 지지 부재(120), 연장 부재(130) 및 굴곡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 부재(110)는 사용자의 능형근으로부터 흉근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부 지지 부재(110)의 일부는 능형근으로부터 좌측 흉근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지지 부재(110)의 나머지 일부는 능형근으로부터 우측 흉근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지지 부재(110)의 배치에 의해서 사용자의 흉부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 부재(110)가 능형근으로부터 흉근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면서 겨드랑이와 비접촉하도록, 상부 지지 부재(110)의 일부는 겨드랑이로부터 하부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부 지지 부재(110)의 상단보다 압박부(200)의 상단이 높게 위치되어, 상부 지지 부재(110)가 겨드랑이와 비접촉함으로써,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는 경우에 겨드랑이 쓸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지지 부재(110)의 양단부(112)는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된 고정 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고, 고정 부재(330)에 의해서 상부 지지 부재(110)의 양단부(112)가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 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압박부(200) 또는 연결부(30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압박부(200) 또는 연결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흉근 하부 둘레에 따라서 고정 부재(330)가 다음과 같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흉근 하부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인 경우,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고 고정 부재(330)의 길이가 길게 변형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흉근 하부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치수인 경우,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고정 부재(330)의 길이가 원상태로 복귀되거나 짧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흉근 하부 둘레가 달라지는 경우에 사용자 맞춤식으로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 부재(120)는 골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부 지지 부재(120)의 일부는 천골(sacrum)로부터 좌측 장골(ilium)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지지 부재(120)의 나머지 일부는 천골로부터 우측 장골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 부재(120)의 배치에 의해서 사용자의 골반 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 부재(120)의 양단부(122)는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된 고정 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고, 고정 부재(330)에 의해서 하부 지지 부재(120)의 양단부(122)가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지지 부재(120)는 전체적으로 압박부(200) 또는 연결부(30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압박부(200) 또는 연결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골반 둘레에 따라서 고정 부재(330)가 다음과 같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골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인 경우,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고 고정 부재(330)의 길이가 길게 변형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골반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치수인 경우,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고정 부재(330)의 길이가 원상태로 복귀되거나 짧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골반 둘레가 달라지는 경우에 사용자 맞춤식으로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130)는 척추 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지지 부재(110) 및 하부 지지 부재(1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장 부재(130)의 상단은 상부 지지 부재(110)에 연결되고 연장 부재(130)의 하단은 하부 지지 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부재(13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장 부재(130)가 척추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연장 부재(130)의 하단 폭이 복수 개의 연장 부재(130)의 상단 폭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연장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장 부재(130)가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척추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굴곡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연장 부재(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A, 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A, B)은 프레임(100)을 압박부(200)에 고정시키는 위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A, B)은 예를 들어 연장 부재(13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 부재(130)는 전체적으로 압박부(20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압박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굴곡 부재(140)는 늑골 형상을 따라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굴곡 부재(140)의 일단은 상부 지지 부재(110)에 연결되고, 굴국 부재(140)의 타단은 하부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굴곡 부재(140)의 일단은 상부 지지 부재(110)에서 겨드랑이 하부에 위치된 지점에 연결되고, 굴곡 부재(140)의 타단은 하부 지지 부재(120)에서 척추에 인접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굴곡 부재(140)는 압박부(200) 상에 비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압박부(200)의 팽창 전에는 굴곡 부재(140) 및 압박부(200)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는 반면, 압박부(200)의 팽창 후에는 압박부(200)가 굴곡 부재(14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굴곡 부재(140)의 형상 또는 배치에 의해서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늑골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흉근 하부 둘레 치수 및 골반 둘레 치수는 변화할 수 있지만, 늑골 부분의 치수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작기 때문에, 굴곡 부재(140)에 사이즈 조절을 위한 구성요소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 부재(110)의 양단부(112) 및 하부 지지 부재(120)의 양단부(122)는 고정 부재(330)에 의해서 압박부(200)의 양단부에 배치된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 연결되고, 연장 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A, B)에 의해서 압박부(200)에 고정되고, 굴곡 부재(140)는 압박부(200)에 비고정되므로, 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압박부(200)에 부분적으로 고정 또는 비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이 구조적으로 압박부(200)의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차단하지 않고, 상부 지지 부재(110), 하부 지지 부재(120), 연장 부재(130) 및 굴곡 부재(140)를 제외하고는 압박부(200)의 외측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프레임(100)이 압박부(20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흉요천추 보조기(10) 착용 시 활동성 및 착용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압박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200)는 팽창에 의해서 척추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압박부(200)의 외곽은 대체로 프레임(100)의 외곽 형상에 대응될 수 있으나, 압박부(200)의 상단이 프레임(100), 특히 상부 지지 부재(110)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으며, 압박부(200)의 상단 또한 겨드랑이와 비접촉하도록 겨드랑이로부터 하부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박부(200)는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 및 복수 개의 통기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는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또는 압박부(2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팽창 구획(210)의 일단은 압박부(200)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팽창 구획(210)의 타단은 압박부(200)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는 압박부(200)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중 일부는 좌측 연결 부재(3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중 다른 일부는 우측 연결 부재(3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는 유체 주입에 의해서 팽창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의 팽창에 의해서 압박부(200)가 척추를 향해서 압력을 가해서 척추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는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부터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중 일부는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중 나머지 일부는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가 팽창되는 경우 사용자의 몸통에서 허리 옆면을 압박하여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술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중 인접한 팽창 부재(210) 사이 공간에는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는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에는 유체가 주입되지 않으므로, 압박부(200)에 유체 주입 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만 팽창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및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의 배치에 의해 압박부(2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공기 기둥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 중 인접한 차단 부재(220) 사이 공간을 통하여 하나의 팽창 부재(210)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하나의 팽창 부재(210)으로 유체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및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는 프레임(100)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압박부(200)에서 프레임(100)과 비접촉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및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고, 압박부(200)에서 프레임(100)과 접촉하는 위치에는 복수 개의 팽창 부재(210) 및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가 배치되지 않고 압박부(200)에서 프레임(100)과 접촉하는 위치에는 유체가 유입되지 않아서 팽창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압박부(200)의 팽창 시에 압박부(200)가 사용자의 몸통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압박부(200)에서 발생된 압박힘이 사용자의 몸통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프레임(100)에는 관통홀(H)이 형성되고, 압박부(200)에 구비된 유체 주입 부재(240)가 관통홀(H)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될 수 되며, 유체 주입 부재(240)에 주입된 유체(예를 들어, 공기)는 방향성을 갖고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 중 일부에는 복수 개의 통기 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 중 하나에 복수 개의 통기 부재(230) 중 하나가 배치되고, 복수 개의 차단 부재(220) 중 다른 하나에 복수 개의 통기 부재(230)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통기 부재(230)는 외부와 사용자의 몸통 사이의 유체 전달 통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몸통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차가운 외기가 복수 개의 통기 부재(230)를 통해서 사용자의 몸통에 전달되거나, 사용자의 몸통으로부터의 열기가 복수 개의 통기 부재(230)를 통해서 외부에 발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무더운 여름에도 불쾌감 없이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압박부(200)의 양단부에는 연결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압박부(200)의 양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측 연결 부재(310), 우측 연결 부재(320), 고정 부재(330) 및 중앙 연결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 부재(310)는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며, 압박부(200)의 좌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결 부재(310)의 테두리는 압박부(200)의 테두리로부터 연결될 수 있으며, 좌측 연결 부재(310)가 압박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연결 부재(31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가 예를 들어 세 개로 마련된 경우,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중 하나는 흉근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중 다른 하나는 골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중 또 다른 하나는 흉근과 골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연결 부재(320)는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며, 압박부(200)의 우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우측 연결 부재(320)의 테두리는 압박부(200)의 테두리로부터 연결될 수 있으며, 우측 연결 부재(320)가 압박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연결 부재(32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가 예를 들어 세 개로 마련된 경우,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 중 하나는 흉근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 중 다른 하나는 골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 중 또 다른 하나는 흉근과 골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는 압박부(200)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10)의 외측면에는 각각 고정 부재(3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3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부 지지 부재(110) 및 하부 지지 부재(1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330)는 탄성 재질의 직물 등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서 고정 부재(33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10)가 복수 개로 마련된 경우,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10)의 외측면 각각에는 고정 부재(330)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지지 부재(110)의 단부(112) 및 하부 지지 부재(120)의 단부(122) 사이에는 추가적인 단부가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중 또 다른 하나 및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 중 또 다른 하나가 추가적인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연결 부재(340)는 전술된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연결 부재(34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중앙 연결 부재(340)가 예를 들어 세 개로 마련된 경우, 복수 개의 중앙 연결 부재(340) 중 하나는 흉근 하부 또는 복직근 상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중 하나 및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 중 하나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중앙 연결 부재(340) 중 다른 하나는 복직근 하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중 다른 하나 및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 중 다른 하나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중앙 연결 부재(340) 중 또 다른 하나는 복직근 중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좌측 연결 부재(310) 중 또 다른 하나 및 복수 개의 우측 연결 부재(320) 중 또 다른 하나에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10)의 내측면에는 배치된 제1 탈부착 부재(350) 및 중앙 연결 부재(340)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2 탈부착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는 중앙 연결 부재(340)에 후크 앤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에 의해서 탈부착될 수 있으며,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10)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1 탈부착 부재(350)에는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분이 구비될 수 있고, 중앙 연결 부재(340)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2 탈부착 부재(360)에는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좌측 연결 부재(310), 우측 연결 부재(320) 및 중앙 연결 부재(340)가 각각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의 복직근 상부, 복직근 하부 및 복직근 중부의 사이즈에 따라서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 사이의 거리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연결 부재(340)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요철 없이 매끄러운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중앙 연결 부재(34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른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의 연결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표시 부재는 예를 들어 곡선 또는 언어 표시(lexical indici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탈부착 부재(350)는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립 부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립 부분(352)에는 후크 부분이 비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립 부분(352)은 사용자가 흉요천추 보조기(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일 때, 제1 탈부착 부재(350) 및 제2 탈부착 부재(3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흉요천추 보조기(10)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착용될 수 있다.
우선 팽창 전 상태의 압박부(200)로 사용자의 몸통을 감싼 다음에,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좌측 연결 부재(310) 및 우측 연결 부재(320)를 중앙 연결 부재(340)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서 프레임(100)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착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압박부(200)가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몸통에 적절한 압박힘을 가하도록 압박부(200)에 유체를 주입한다.
이때, 흉요천추 보조기(10)는 사용자의 흉근 하부 및 골반 사이의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유체 주입에 의해서 척추에 대하여 압박힘을 가하여 척추융합수술 등의 척추수술 이후에 척추를 안정화시키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늑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착용감 및 활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100)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착용된 후에 압박부(200)를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흉요천추 보조기
100: 프레임
110: 상부 지지 부재
120: 하부 지지 부재
130: 연장 부재
140: 굴곡 부재
200: 압박부
210: 복수 개의 팽창 부재
220: 복수 개의 차단 부재
230: 복수 개의 통기 부재
240: 유체 주입 부재
300: 연결부
310: 좌측 연결 부재
320: 우측 연결 부재
330: 고정 부재
340: 중앙 연결 부재
350: 제1 탈부착 부재
352: 립 부분
360: 제2 탈부착 부재

Claims (14)

  1. 흉근 하부 및 골반 사이의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팽창에 의해 척추에 압력을 가하는 압박부; 및
    상기 압박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늑골 형상을 따라서 굴곡 형성된 굴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 부재는 상기 압박부에 비고정되어 늑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흉요천추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능형근으로부터 흉근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부 지지 부재;
    골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하부 지지 부재; 및
    척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연결된 연장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흉요천추 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굴곡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 지지 부재에서 겨드랑이 하부에 위치된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굴곡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 부재에서 척추에 인접한 지점에 연결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 부재의 양단부 및 상기 하부 지지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압박부에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 부재의 상단은 상기 압박부의 상단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압박부의 양단부에 배치된 좌측 연결 부재 및 우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를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흉요천추 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탄성 재질의 직물로 마련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에 각각 탈부착 가능한 중앙 연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는 상기 중앙 연결 부재에 후크 앤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에 의해서 탈부착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면에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탈부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는 상기 좌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 부재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립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립 부분에는 상기 후크 부분이 비형성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면에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탈부착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흉요천추 보조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팽창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팽창 부재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차단 부재;
    를 포함하는 흉요천추 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팽창 부재는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부터 후방까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팽창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비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외기와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통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통기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 중 일부에 배치되는 흉요천추 보조기.
KR1020180040431A 2018-04-06 2018-04-06 흉요천추 보조기 KR10205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431A KR102055145B1 (ko) 2018-04-06 2018-04-06 흉요천추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431A KR102055145B1 (ko) 2018-04-06 2018-04-06 흉요천추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03A KR20190117203A (ko) 2019-10-16
KR102055145B1 true KR102055145B1 (ko) 2019-12-12

Family

ID=6842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431A KR102055145B1 (ko) 2018-04-06 2018-04-06 흉요천추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4617A1 (en) 2007-03-12 2008-09-25 Disc Disease Solutions, Inc. Spinal brace
KR101184287B1 (ko) 2011-12-02 2012-09-21 장기용 디스크용 허리 벨트를 구비한 허리 견인 장치
KR101812867B1 (ko) 2016-01-26 2017-12-29 장기용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8531A (en) * 1991-07-02 1992-10-27 Christina M. Zamosky Spinal orthos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4617A1 (en) 2007-03-12 2008-09-25 Disc Disease Solutions, Inc. Spinal brace
KR101184287B1 (ko) 2011-12-02 2012-09-21 장기용 디스크용 허리 벨트를 구비한 허리 견인 장치
KR101812867B1 (ko) 2016-01-26 2017-12-29 장기용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03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0154T3 (es) Dispositivo de soporte para el cuerpo.
EP0735847B1 (en) Derotating orthotic devices for the correction of scoliotic deformities
US3306284A (en) Cervical brace
US9849021B2 (en) Orthopedic back support or vertebral column brace
US4135503A (en) Orthopedic device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US20050203453A1 (en) Adjustable spinal brace
US9522077B1 (en) Adjustable dual function spinal exoskeleton active spinal orthosis
BR112013017712B1 (pt) dispositivo ortótico e método para produzir um dispositivo ortótico
US6896662B2 (en) Method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CN112584800A (zh) 体现最佳的三点压迫功能的脊椎矫正器及利用其的脊椎侧弯症管理系统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WO20151710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йро-ортопедическ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EP3323391B1 (en) Scoliosis activity suit
KR102055145B1 (ko) 흉요천추 보조기
KR20190135812A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RU2725963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килевидной деформаци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компрессирующим ортезом
RU2758543C1 (ru) Корриг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ифотических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895004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GB2031732A (en) Orthopedic device
TWI763587B (zh) 胸腰椎矯具
JP3176411U (ja) サポートベルト
JP5386612B2 (ja) 側弯矯正装具
KR102052080B1 (ko)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척추 교정용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