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486B1 -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486B1
KR101812486B1 KR1020160140150A KR20160140150A KR101812486B1 KR 101812486 B1 KR101812486 B1 KR 101812486B1 KR 1020160140150 A KR1020160140150 A KR 1020160140150A KR 20160140150 A KR20160140150 A KR 20160140150A KR 101812486 B1 KR101812486 B1 KR 10181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eciprocating
unit
broom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filed Critical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Priority to KR102016014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4Curling stone; Shuffleboard; Similar sliding games
    • A63B67/148Curling brooms or brushes
    • A63B2067/1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2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 이동 유닛; 및 상기 왕복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하단에 브룸 패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브룸 패드의 하부 면이 빙판의 얼음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브룸 패드에 하중을 인가하는 하중 인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왕복 이동 유닛 및 하중 인가 유닛에 의해 브룸 패드를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얼음 표면과 브룸 패드의 마찰에 의한 얼음 표면의 마모 또는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브룸 패드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PERFORMANCE TESTER OF BROOM PAD FOR CURLING}
본 발명은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왕복 이동 유닛 및 하중 인가 유닛에 의해 브룸 패드를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얼음 표면과 브룸 패드의 마찰에 의한 얼음 표면의 마모 또는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브룸 패드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링은 투 팀이 컬링 스톤을 얼음 위에 미끄러뜨려 정해진 표적 위에 컬링 스톤을 얼마나 더 정확하게 위치시켰는지에 따라 승패를 결정하는 동계 스포츠이다. 이러한 컬링은 16세기경부터 스코틀랜드에서 행해졌던 게임으로, 유럽 이민자들이 미국과 캐나다에 전파해 활성화되었다. 특히 캐나다에서는 국민적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으며, 1998년 제18회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컬링 경기는 각각 4명으로 구성된 두 팀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컬링 시트라고 부르는 직사각형의 얼음 링크 안에서 스톤을 미끄러뜨려 하우스의 중앙에 가장 가깝게 스톤을 보낸 팀이 그 앤드를 승리하고, 승리 팀은 하우스 내에 위치한 스톤 1개당 1점의 득점이 인정된다.
컬링 경기장의 얼음 표면에는 미세한 얼음알갱이들인 페블(pebble)이 있어서 스톤의 진행을 방해하게 되는데, 브룸으로 스톤의 진행방향 측을 닦아주어 스톤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브룸의 하부에는 브룸 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룸 패드의 스위핑에 의해 페블을 닦아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룸 패드는 컬링 경기의 경기력에 매우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브룸 패드 성능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브룸 패드의 성능을 평가자의 인력에 의존하여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브룸 패드의 성능을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6114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왕복 이동 유닛 및 하중 인가 유닛에 의해 브룸 패드를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얼음 표면과 브룸 패드의 마찰에 의한 얼음 표면의 마모 또는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브룸 패드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 이동 유닛; 및 상기 왕복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하단에 브룸 패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브룸 패드의 하부 면이 빙판의 얼음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브룸 패드에 하중을 인가하는 하중 인가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휠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휠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휠을 회전시키는 이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는 왕복 이동 모터; 상기 왕복 이동 모터에 축 결합되어 상기 왕복 이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왕복 이동 캠; 및 일 측이 상기 왕복 이동 캠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왕복 이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인가 유닛은, 상기 왕복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중 조절 봉; 및 상기 하중 조절 봉의 하부에 설치되어 브룸 패드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 조절 봉의 외주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부 나사산과 상기 하중 조절 봉의 외주 나사산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하중 조절 봉이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중 조절 봉은 회전에 의해 상기 관통 홀을 따라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의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조절 봉과 상기 패드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브룸 패드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 휠; 및 상기 이송 휠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되어 상기 각 이송 휠과 인접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그 하부 면이 빙판의 얼음 표면과 접촉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이동 유닛 및 하중 인가 유닛에 의해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왕복 이동되는 상기 브룸 패드가 스위핑한 얼음 표면을 촬영하여 얼음 표면의 정보를 제공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왕복 이동 유닛 및 하중 인가 유닛에 의해 브룸 패드를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얼음 표면과 브룸 패드의 마찰에 의한 얼음 표면의 마모 또는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브룸 패드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의 이동 유닛, 왕복 이동 유닛 및 하중 인가 유닛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의 왕복 이동 유닛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의 하중 인가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 메인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200), 이동 유닛(200)에 설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 이동 유닛(300) 및 왕복 이동 유닛(300)에 설치되되 하단에 브룸 패드(500)가 고정 설치되고 브룸 패드(500)의 하부 면이 빙판의 얼음 표면과 접촉되도록 브룸 패드(500)에 하중을 인가하는 하중 인가 유닛(400)을 포함한다.
먼저, 메인 프레임(1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철골 구조물로서, 후술하는 여러 구성 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빈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00)을 빙판의 얼음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메인 프레임(100)을 직사각 형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둔다.
이동 유닛(200)은,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레일(210), 레일(21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휠(미도시)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휠의 회전에 의해 레일(21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220) 및 상기 이동 휠을 회전시키는 이동 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프레임(220)을 이동 시키기위해 이동 휠을 대신하여 이동 블록(미도시)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 블록(미도시)은 이동 프레임(220) 하부에 형성되며 이동 모터(230)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 프레임(220)이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이동 블록(미도시)은 LM 블록일 수 있다.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휠(미도시) 및 이동 블록(미도시)은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레일(210)은 쌍으로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 면 상에 설치된다. 이때, 레일(210)은 메인 프레임(100)의 장변과 단변 중 장변의 상부 면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레일(210)은 이동 프레임(220)이 이동되는 패스(path)가 되는 것으로, 메인 프레임(100)의 장변 상에 레일(210)이 설치되어야만 이동 프레임(220)의 이동 영역이 더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22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의 철골 구조물로서, 양단의 너비가 상기 레일(210)의 사이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단의 하부에는 이동 휠(미도시)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210)의 측면 중앙부에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 홈에 상기 이동 휠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휠(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이동 휠(미도시)이 레일(21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이동 휠(미도시)이 연결된 이동 프레임(220)이 레일(21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레일(210)에 레일 홈이 형성되고, 이동 휠(미도시)가 상기 레일 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레일(210)의 형태 및 이동 휠(미도시)의 형태는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쉽게 설계 변경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210) 및 이동 휠(미도시)의 형태가 아닌 이동 프레임(220)을 메인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 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동 모터(230)는 일반적인 전동 모터로 마련되어 이동 프레임(220)에 설치되며, 이동 모터(230)의 구동축이 상기 이동 휠과 축 결합되어 이동 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 휠(미도시)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이동 모터(230)와 상기 이동 휠의 사이에 이동 감속기(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상기 이동 휠의 회전을 감속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 모터(230)는 이동 블록(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용 모터 또는 서보 모터일 수 있다.
한편, 왕복 이동 유닛(300)은, 도 1,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200) 상에 설치되어 이동 유닛(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 이동 프레임(310), 이동 유닛(200)에 설치되는 왕복 이동 모터(320), 왕복 이동 모터(320)에 축 결합되어 왕복 이동 모터(32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왕복 이동 캠(340) 및 왕복 이동 캠(340)과 왕복 이동 프레임(310)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350)를 포함한다.
왕복 이동 프레임(310)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 프레임(220)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왕복 이동 프레임(310)은 이동 프레임(220)의 길이 방향 즉, 레일(210)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왕복 이동 모터(320)는 일반적인 전동 모터로 마련되어 이동 프레임(2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왕복 이동 캠(340)은 이동 프레임(2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왕복 이동 모터(320)와 왕복 이동 캠(340)은 벨트 풀리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벨트 풀리에 의해 왕복 이동 모터(320)의 구동력이 왕복 이동 캠(340)에 전달되어 왕복 이동 캠(340)이 동작된다. 이때 왕복 이동 모터(320)와 왕복 이동 캠(340)의 사이에 왕복 감속기(330)가 설치되어 왕복 이동 캠(340)의 회전을 감속시킬 수 있다. 상기한 왕복 이동 모터(320), 왕복 이동 캠(340) 및 왕복 감속기(330)는 벨트 풀리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링크(350)는 소정 너비를 갖는 바(bar) 형태의 구조물로서, 일 측이 왕복 이동 캠(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은 왕복 이동 프레임(310)에 연결된다. 이때, 이동 프레임(310)의 상면과 이동 프레임(220)의 하면에는 이동 프레임(310)을 직선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 구조(미도시)는 이동 프레임(310)의 상면과 이동 프레임(220)의 하면 중 어느 한면에 설치되는 LM 가이드 및 다른 한면에 설치되는 LM 가이드 블록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링크(350)에 의해 왕복 이동 캠(340)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왕복 이동 프레임(310)에 전달됨으로써 왕복 이동 프레임(310)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하중 인가 유닛(400)은, 도 1 내지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이동 유닛(300)에 설치되되 왕복 이동 유닛(300)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중 조절 봉(410) 및 하중 조절 봉(4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브룸 패드(500)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부(430)를 포함한다.
하중 조절 봉(410)은 소정 직경을 갖는 봉 형상의 구조물로서, 왕복 이동 프레임(310)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관통 홀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중 조절 봉(410)의 외주에는 상기 관통 홀의 내부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 들의 치합에 의해 하중 조절 봉(410)이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하중 조절 봉(410)은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관통 홀의 나사산을 따라 왕복 이동 프레임(3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패드 고정부(43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브룸 패드(500)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중 조절 봉(410)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한 패드 고정부(430)는 그 하부에 브룸 패드(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미도시)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브룸 패드(500)를 하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부직포 또는 고정 클립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룸 패드(500)를 패드 고정부(43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하중 조절 봉(410)과 패드 고정부(430)의 사이에 로드셀(420)이 설치되어 브룸 패드(500)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제어부(600)에 표시함으로써 평가자에게 이의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에 의해 하중 조절 봉(410)이 회전되어 이동 프레임(310)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동 프레임(310)의 하부 이동은 패드 고정부(430)의 하중으로 작용하며, 하중 조절 봉(410)과 패드 고정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로드셀(420)이 패드 고정부(430)에 작용하는 하중을 브룸 패드(500)에 인가되는 하중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룸 패드(500)에 하중이 인가되어 브룸 패드(500)가 빙판에 밀착된 상태에서 브룸 패드(500)가 왕복 이동되면, 브룸 패드(500)가 빙판을 스위핑(sweeping)하게 되는데, 브룸 패드(500)의 스위핑에 의한 빙판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여 브룸 패드(500)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브룸 패드(500)의 스위핑에 의한 빙판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수단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 휠(110) 및 이송 휠(110)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이송 휠(110)과 인접한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휠(11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일반적인 휠로 마련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이 빙판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정 부재(120)는 일반 적인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때 고정 부재(120)는 볼트 머리 부분이 빙판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볼트 머리 부분이 빙판과 접촉됨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이 빙판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왕복 이동되는 브룸 패드(500)가 스위핑(sweeping)한 얼음 표면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미도시)는 브룸 패드(500)에 의한 빙판의 마모 정도 또는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브룸 패드(500)의 성능 평가를 위한 측정 데이터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는 평가자가 제어부(600)를 조작함에 의해 이동 유닛(200), 왕복 이동 유닛(300) 및 하중 인가 유닛(400)이 작동되고, 이에 의해 브룸 패드(500)가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왕복 이동된다. 이때, 열화상 카메라는 빙판의 얼음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왕복 이동되는 브룸 패드(500)에 의한 얼음 표면의 마찰 면을 촬영하여 얼음 표면의 마모 정도 또는 온도 변화의 정보를 평가자에게 제공하고 평가자는 이를 판독하여 브룸 패드(500)의 성능을 평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이송 휠
120 : 고정 부재 200 : 이동 유닛
210 : 레일 220 : 이동 프레임
230 : 이동 모터 300 : 왕복 이동 유닛
310 : 왕복 이동 프레임 320 : 왕복 이동 모터
330 : 왕복 감속기 340 : 왕복 이동 캠
350 : 연결 링크 400 : 하중 인가 유닛
410 : 하중 조절 봉 420 : 로드셀
430 : 패드 고정부 500 : 브룸 패드
600 : 제어부

Claims (8)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 이동 유닛; 및
    상기 왕복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하단에 브룸 패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브룸 패드의 하부 면이 빙판의 얼음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브룸 패드에 하중을 인가하는 하중 인가 유닛;을 포함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휠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휠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휠을 회전시키는 이동 모터;를 포함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왕복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는 왕복 이동 모터;
    상기 왕복 이동 모터에 축 결합되어 상기 왕복 이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왕복 이동 캠; 및
    일 측이 상기 왕복 이동 캠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왕복 이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인가 유닛은,
    상기 왕복 이동 유닛에 설치되되,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중 조절 봉; 및
    상기 하중 조절 봉의 하부에 설치되어 브룸 패드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 조절 봉의 외주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부 나사산과 상기 하중 조절 봉의 외주 나사산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하중 조절 봉이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중 조절 봉은 회전에 의해 상기 관통 홀을 따라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의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조절 봉과 상기 패드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브룸 패드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 휠; 및
    상기 이송 휠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되어 상기 각 이송 휠과 인접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그 하부 면이 빙판의 얼음 표면과 접촉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이동 유닛 및 하중 인가 유닛에 의해 빙판의 얼음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왕복 이동되는 상기 브룸 패드가 스위핑한 얼음 표면을 촬영하여 얼음 표면의 정보를 제공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KR1020160140150A 2016-10-26 2016-10-26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KR10181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50A KR101812486B1 (ko) 2016-10-26 2016-10-26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50A KR101812486B1 (ko) 2016-10-26 2016-10-26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486B1 true KR101812486B1 (ko) 2017-12-27

Family

ID=6093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150A KR101812486B1 (ko) 2016-10-26 2016-10-26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7017A (zh) * 2018-08-07 2018-10-30 上海海事大学 极地航行船舶材料低温环境摩擦碰撞性能测试装置
KR101937228B1 (ko) 2017-12-22 2019-01-11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컬링 브러쉬 스위핑 힘 및 각도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3920A (ja) 2012-06-22 2014-02-06 Kitami Institute Of Technology カーリングブラシ用検出装置、カーリングブラシ及びカーリング用測定システム
KR101611431B1 (ko) 2014-02-20 2016-04-1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컬링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3920A (ja) 2012-06-22 2014-02-06 Kitami Institute Of Technology カーリングブラシ用検出装置、カーリングブラシ及びカーリング用測定システム
KR101611431B1 (ko) 2014-02-20 2016-04-1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컬링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228B1 (ko) 2017-12-22 2019-01-11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컬링 브러쉬 스위핑 힘 및 각도 측정 장치
CN108717017A (zh) * 2018-08-07 2018-10-30 上海海事大学 极地航行船舶材料低温环境摩擦碰撞性能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486B1 (ko) 컬링용 브룸 패드의 성능 평가 장치
US7841233B2 (en) System for simulating the ground effect for testing vehicles or their simulacra in wind tunnels
KR101267711B1 (ko)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CN106949870A (zh) 测厚设备及基板玻璃的测厚方法
CN103776707A (zh) 一种混凝土弯曲载荷的测试平台
CN209707340U (zh) 一种用于实验室的摩擦色牢度仪
CN208139977U (zh) 一种孔位置度检测装置
CN201912423U (zh) 轨式按摩器
CN107132183B (zh) 一种卧式磁屏蔽往复式摩擦磨损试验机
CN109855947A (zh) 双驱动轮轨实物滚动接触疲劳试验机
CN203101249U (zh) 一种织物和皮肤间摩擦系数测试装置
CN112362507A (zh) 新型路基模量自动测试装置
US7252304B2 (en) Positioning vehicle for positioning a test probe
CN107339967A (zh) 一种圆度仪
CN205280000U (zh) 便携式火车车轮踏面轮廓检测装置
CN209246964U (zh) 轮廓测量机
KR20130051370A (ko) 엘엠가이드 테스트장치
CN208383639U (zh) 一种铺地物表面滑动摩擦磨损测试装置
JP2005299785A (ja) スライダ装置および測定機
CN110965749A (zh) 一种水平面铺设找平装置
KR101582635B1 (ko) 가이드 레일을 갖는 이족 운동 장치
CN206725209U (zh) 一种汽车换挡限位总成耐久测试装置
CN215338856U (zh) 线性滑轨综合检测平台
CN203658148U (zh) 一种混凝土弯曲载荷测试平台的定位机构
JPH02173539A (ja) 動釣合い試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