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394B1 -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394B1
KR101812394B1 KR1020157026079A KR20157026079A KR101812394B1 KR 101812394 B1 KR101812394 B1 KR 101812394B1 KR 1020157026079 A KR1020157026079 A KR 1020157026079A KR 20157026079 A KR20157026079 A KR 20157026079A KR 101812394 B1 KR101812394 B1 KR 10181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emiconductor
insb
layer
semiconductor layer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855A (ko
Inventor
아키라 요시카와
요시타카 모리야스
무츠오 오구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
    • H01L43/0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87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395Arse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66Antimo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9Antimo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7Doping during depositing
    • H01L21/02573Conductivity type
    • H01L21/02576N-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04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31/0304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
    • H01L43/02
    • H01L43/1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50/85Magnetic a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2/00Hall-effect devices
    • H10N52/101Semiconductor Hall-effec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all/Mr Elements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전기 저항률이 1×105Ω㎝ 이상인 기판(101)과, 기판(101) 위에 형성되고, 탄소가 도핑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과,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 위에 형성되고,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보다도 탄소의 농도가 작으면서, 또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구비한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막 두께는 0.005㎛ 이상 0.2㎛ 이하이다. 또한,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탄소의 농도는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이다.

Description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COMPOUND SEMICONDUCTOR STACK AND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In과 Sb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을 구비하는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InSb 박막은 전자 이동도가 커서, 홀 소자나 자기 센서의 재료로서 적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자기 센서에의 응용에서는 고감도이면서 또한 저소비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환언하면, 고전자 이동도이면서 또한 막 두께가 얇은 것이 필수적이다. 이들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InSb 박막은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절연 기판인 GaAs나 InP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었다(비특허문헌 1 참조).
Oh et.al.저,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ume 66, 1989년 10월, p.3618-3621 Liu et.al.저, 「Journal of Vaccum Science&Technology B」, Volume 14, 1996년 5월, p.2339-2342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GaAs나 InP 기판 위에 InSb 박막을 형성하면, 기판과 InSb 사이에는 큰 격자 미스매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형성된 InSb층 중에는 미스피트 전이나 결정 결함이 대량으로 존재한다. 이들 전이나 결함은 잉여 전자를 생성하여, 전자 이동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판과의 미스매치에 의한 박막의 결정 결함은, 기판과의 계면 근방에서 현저하다. 박막의 성장에 수반하여 결정 결함의 밀도는 감소해 가지만, 결정 결함 농도가 높고 전자 이동도가 낮은 하부의 InSb층도 전기 특성에 기여하기 때문에, 결정 결함이 존재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 이동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수 마이크로미터 오더의, 비교적 두꺼운 박막을 형성하면 계면 부근의 결함에 의한 영향은 미소하게 되지만, 디바이스 제작에 있어서는 현실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막 두께 증가에 의한 저항 감소, 소비 전력 증가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GaAs 기판 위에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키는 버퍼층으로서, 고저항의 AlxIn1 - xSb(x≥0.07)를 제막하고, 그 위에 InSb를 제막시키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AlInSb 버퍼층을 사용하면 버퍼층 위에 제막된 InSb의 결정성이 악화되고,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AlInSb 버퍼층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전체의 막 두께가 증가된다고 하는 악영향이 발생한다.
이상으로부터, 고이동도이면서 또한 높은 결정성을 유지한 채, 전체의 막 두께가 얇은 InSb를 제막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판과의 계면 부근에서의 잉여 전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또한 결정성이 양호하고 얇은, 고이동도의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을 구비하는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전기 저항률이 1×105Ω㎝ 이상인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탄소가 도핑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In과 Sb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임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는, 전기 저항률이 1×105Ω㎝ 이상인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탄소가 도핑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보다도 탄소의 농도가 작으면서, 또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Si 또는 GaA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키는 버퍼층이고, 상기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이 소자의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는 활성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는, 상기한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기판과의 계면 부근에서의 잉여 전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또한 결정성이 양호하고 얇은, 고이동도의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본 실시 형태라고 칭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10)는, 전기 저항률이 1×105Ω㎝ 이상인 기판(101)과, 이 기판 위에 형성되고,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이고,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과,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 위에 형성되고,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보다도 탄소의 농도(즉, 도핑량)가 작으면서, 또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구비한다. 이들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1)과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2)에 의해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110)을 구성하고 있다.
기판(101)과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 사이에,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이고,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구비함으로써, 기판(101)과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110)의 계면 부근에서의 잉여 전자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은 기판(101)과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 사이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킨다.
[기판]
본 실시 형태의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에 있어서의 기판(101)으로서는, 전기 저항률이 1×105Ω㎝ 이상인 기판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Sb와 동일 결정 대칭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저렴하면서 또한 대형의 기판이 입수하기 쉬운 점에서, 기판(101)은 Si, GaAs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
본 실시 형태의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에 있어서의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으로서는,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이고, In과 Sb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으로서, 탄소가 도핑된 InSbInAlSb, InGaSb, InAsSb, InPSb, InAsPSb, InAlGaSb, InAlAsSb, InGaAsSb, InGaPSb, InAlPSb, InAlGaAsSb, InAlGaPSb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체의 막 두께 및 전기 절연층으로서의 관점에서,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막 두께는 0.005㎛ 이상 0.2㎛ 이하이고, 0.005㎛ 이상 0.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 이상 0.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상 0.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막 두께가 0.005㎛보다도 얇은 경우는 저저항층으로서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이동도의 저하도 발생한다. 또한 0.2㎛보다도 두꺼운 경우에는 기판과의 계면 근방에서의 잉여 전자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 이상으로 잉여의 정공을 발생시켜, 막의 이동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막 두께는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를 표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에 대하여 2차 이온 질량 분석 측정(SIMS)했을 때의, 후술하는 탄소의 농도의 피크값을 포함하는 피크의 반값 전체폭을 의미한다.
잉여 전자를 상쇄하기 위하여 필요 충분한 탄소량을 적용하는 관점에서,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이고, 5×1015-3 이상 3×1018-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6-3 이상 2×1018-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16-3 이상 2×1018-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의 도핑량이 너무 많으면, 생성된 과잉 정공에 의해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저항률이 내려가 버려, 정공 전류에 의해 이동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용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핑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잉여 전자의 보상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누설 전류 발생의 원인으로 된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탄소의 농도는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를 표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에 대하여 2차 이온 질량 분석 측정(SIMS)했을 때의 탄소의 농도의 피크값을 의미한다.
[제2 화합물 반도체층]
본 실시 형태의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에 있어서의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으로서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보다도 탄소의 농도가 작고, In과 Sb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으로서, InSb, InAlSb, InGaSb, InAsSb, InPSb, InAsPSb, InAlGaSb, InAlAsSb, InGaAsSb, InGaPSb, InAlPSb, InAlGaAsSb, InAlGaPSb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키는 관점에서,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은, 도펀트인 탄소를 제외하고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과 동일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이동도의 화합물 반도체층을 얻는 관점에서,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은, InSb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의 막 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공업 제조의 관점에서 0.5㎛ 이상 3㎛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탄소의 농도는, 예를 들어 SIMS에 의한 검출 하한 이하이다.
[응용]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 위에 복수의 화합물 반도체, 보호막 또는 전극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합물 반도체로서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핑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는다.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기판(101) 위에, 예를 들어 유기 금속 기상 성장(MOCVD) 장치를 사용하여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한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성장 온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원료의 분해율 및 InSb의 융점 내지 220℃ 이상 5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20℃ 이상 40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성장 온도가 220℃ 이상이면, 원료의 분해 효율이 양호하여 성장 속도가 느려지지 않아, 원하는 막 두께를 성장시키기 위하여 현저하게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성장 온도가 530℃ 이하인 경우는, 성장된 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되지 않아, 현저하게 결정성을 악화시켜 버리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성막에 사용하는 장치로서 특별히 제한은 없고, 분자선 증착, 전자선 증착, 저항 가열 증착, 화학 증착 등을 행하는 각종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성막에 사용하는 원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 도핑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료 캐리어 가스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관점에서 순도가 보증된 수소 또는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 위에 예를 들어 MOCVD 장치를 사용하여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한다.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의 성장 온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원료의 분해율 및 InSb의 융점 내지 220℃ 이상 5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의 성장 온도가 220℃ 이상이면, 원료의 분해 효율이 양호하고 성장 속도가 느려지지 않아, 원하는 막 두께를 성장시키기 위하여 현저하게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의 성장 온도가 530℃ 이하인 경우는, 성장된 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되지 않아, 현저하게 결정성을 악화시켜 버리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의 성막에 사용하는 장치로서 특별히 제한은 없고, 분자선 증착, 전자선 증착, 저항 가열 증착, 화학 증착 등을 행하는 각종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의 성막에 사용하는 원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료 캐리어 가스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관점에서 순도가 보증된 수소 또는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장치]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를 사용하여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의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을 활성층으로 하면 된다. In 및 Sb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을 활성층으로서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자기 센서나 홀 소자나 적외선 센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모두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의 계면 부근에서의 잉여 전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또한 결정성이 양호하고 얇은, 고이동도의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특성의 반도체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판(101)과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 사이에,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이고,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기판(101)의 계면 부근에서의 잉여 전자의 발생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고이동도의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110)으로 된다. 즉,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은, 그 탄소가 결함 기인의 잉여 전자를 상쇄함으로써 고저항의 층으로서 존재한다. 또한,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은, 기판(101)과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 사이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키면서, 또한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과의 사이의 격자 부정합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의 결정성을 높인다.
이와 같이, 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이 잉여 전자를 상쇄하여 고저항의 층으로서 존재하는 것과, 기판(101)과 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 사이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키는 것의 양쪽에 의해, 결정성이 양호하고 얇은, 고이동도의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110)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 GaAs 기판 위에, 3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과, 탄소 도핑의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를 사용하여,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펀더멘탈 파라미터(fundamental parameter)법을 사용한 형광 X선 분광(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5㎛이었다.
또한, 제1 InSb층 중에서의 탄소의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막의 일부를 잘라내어 SIMS에 의한 분석을 행했다. 이 결과,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의 위치에 1.0×1018-3을 최대값으로 하는 피크가 관찰되어, 소정량만 탄소가 도핑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38㎛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van der Pauw)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47300㎠/Vs의 전자 이동도, 1.6×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실시예 2]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한, 이 반절연성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성 GaAs 기판 위에, 3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InSb층을 저온 성장시킴으로써, 미분해의 원료 측쇄로부터 탄소가 막 중에 도입된다. 이 효과에 의해 SIMS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에는 탄소가 도핑되어 있고, 탄소의 도핑량이 5×1017-3인 것을 확인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5㎛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35㎛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48000㎠/Vs의 전자 이동도, 1.7×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실시예 3]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 GaAs 기판 위에, 3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탄소 도핑의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를 사용하여,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은, SIMS 측정으로부터 탄소의 도핑량이 1×1018-3이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3㎛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08㎛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40800㎠/Vs의 전자 이동도, 2.1×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실시예 4]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 GaAs 기판 위에, 3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탄소 도핑의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를 사용하여,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은, SIMS 측정으로부터 탄소의 도핑량이 1×1018-3이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5㎛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20㎛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35600㎠/Vs의 전자 이동도, 1.7×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실시예 5]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 GaAs 기판 위에, 3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과, 탄소 도핑의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를 사용하여,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은, SIMS 측정으로부터 탄소의 도핑량이 4×1016-3이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5㎛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28㎛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30500㎠/Vs의 전자 이동도, 2.6×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실시예 6]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한, 이 반절연성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성 GaAs 기판 위에, 24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nSb층을 저온 성장시킴으로써, 미분해의 원료 측쇄로부터 탄소가 막 중에 도입되지만, 실시예 2에 비하여 성장 온도가 낮기 때문에 보다 많은 탄소가 도핑되어, SIMS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 중의 탄소의 도핑량이 2×1018-3인 것을 확인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8㎛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38㎛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55600㎠/Vs의 전자 이동도, 1.6×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비교예 1]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전기 저항률: 8×107Ω㎝) 위에 4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탄소의 도펀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제1 InSb층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되어 있지 않은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을 형성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5㎛이었다. 또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을 행한 바, 제1 InSb층의 존재하는 부분에 SIMS 측정에서의 검출 감도의 하한값 이상의 탄소가 있는 영역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23000㎠/Vs의 전자 이동도, 3.4×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비교예 2]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 GaAs 기판 위에, 4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과, 탄소 도핑의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를 사용하여, 탄소를 6×1014-3의 농도로 되도록 조정하여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을 형성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5㎛이었다. 본 비교예에 있어서도, 제1 InSb층에, SIMS 측정에서의 검출 감도의 하한값 이상의 탄소가 있는 영역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23500㎠/Vs의 전자 이동도, 2.8×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비교예 3]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 GaAs 기판 위에, 4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과, 탄소 도핑의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를 사용하여, 탄소를 5×1018-3보다도 많아지도록 유량을 조정하여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은, SIMS 측정으로부터 탄소의 도핑량이 5×1020-3이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8㎛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45㎛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9800㎠/Vs의 전자 이동도, 4.0×1017-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비교예 4]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 GaAs 기판 위에, 46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탄소 도핑의 원료로서 사브롬화탄소(CBr4)를 사용하여,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이 제1 InSb층은, SIMS 측정으로부터 탄소의 도핑량이 3×1016-3이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3㎛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04㎛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25500㎠/Vs의 전자 이동도, 2.3×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비교예 5]
4인치의 반절연 GaAs 기판(기판(101))을 준비했다. 이 반절연 GaAs 기판의 전기 저항률은 8×107Ω㎝이다. 이 반절연성 GaAs 기판 위에, 400℃에서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제1 화합물 반도체층(102))을 형성했다. 이 탄소가 도핑된 제1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nSb층을 저온 성장시킴으로써, 미분해의 원료 측쇄로부터 탄소가 막 중에 도입되지만, 그 비율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적어, SIMS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 중의 탄소의 도핑량은 8×1014-3인 것을 확인했다.
이 제1 InSb층 위에 InSb의 원료로서 트리메틸인듐(TMIn), 트리스디메틸아미노안티몬(TDMASb)을 사용하여 460℃에서 제2 InSb층(제2 화합물 반도체층(103))을 형성했다. 이 제2 InSb층의 형성에는 MOCVD 장치를 사용했다. XRF 측정으로부터, 제1 InSb층과 제2 InSb층을 합한 InSb층 전체의 막 두께는 0.93㎛이었다. 또한 제1 InSb층의 두께로서, SIMS에 의한 탄소의 농도 측정에서의 피크가 반값으로 감소되는 범위를 구한 바, 0.017㎛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시료에 대하여 반 데르 포법에 의한 홀 측정을 행한 결과, 27000㎠/Vs의 전자 이동도, 2.2×1016-3의 n형 캐리어 농도가 얻어졌다.
[비교의 결과]
이상의 결과로부터,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이고,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과, 이 제1 화합물 반도체층보다도 탄소의 농도가 작으면서, 또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을 구비함으로써, 계면 근방의 결함으로부터 생성된 잉여 전자를 상쇄함으로써,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 전체의 캐리어 농도가 감소되고, 전자 이동도가 향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In과 Sb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은, 자기 센서, 적외선 센서용의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으로서 적합하다.
10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101 기판
102 제1 화합물 반도체층
103 제2 화합물 반도체층
110 화합물 반도체 다층막

Claims (4)

  1. 전기 저항률이 1×105Ω㎝ 이상인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탄소가 도핑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보다도 탄소의 농도가 작으면서, 또한 In과 Sb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막 두께가 0.005㎛ 이상 0.2㎛ 이하이고,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의 탄소의 농도가 1×1015-3 이상 5×1018-3 이하인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Si 또는 GaAs인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 반도체층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시키는 버퍼층이고,
    상기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이 소자의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는 활성층인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반도체 장치.
KR1020157026079A 2013-03-25 2014-03-25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 KR101812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2469 2013-03-25
JPJP-P-2013-062469 2013-03-25
PCT/JP2014/001703 WO2014156123A1 (ja) 2013-03-25 2014-03-25 化合物半導体積層体及び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855A KR20150123855A (ko) 2015-11-04
KR101812394B1 true KR101812394B1 (ko) 2017-12-26

Family

ID=5162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079A KR101812394B1 (ko) 2013-03-25 2014-03-25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35839A1 (ko)
EP (1) EP2980874A4 (ko)
JP (1) JP5857153B2 (ko)
KR (1) KR101812394B1 (ko)
CN (1) CN105103320A (ko)
WO (1) WO2014156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7530B2 (ja) * 2015-02-19 2019-05-2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積層体
JP6557538B2 (ja) * 2015-07-30 2019-08-07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基板、半導体装置及び化合物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CN106252502A (zh) * 2016-08-23 2016-12-21 苏州矩阵光电有限公司 一种霍尔元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553A (ja) 2010-03-31 2011-10-27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磁気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067A (en) * 1986-06-20 1989-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 adapted for low temperature operation
US4767494A (en) * 1986-07-04 1988-08-3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Corporation Preparation process of compound semiconductor
US5117543A (en) * 1988-12-23 1992-06-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ndium arsenide magnetoresistor
US5116455A (en) * 1991-01-24 1992-05-26 Spire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strain-free, carbon-doped epitaxial layers and products so made
US5184106A (en) * 1991-01-28 1993-02-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agnetic field sensor with improved electron mobility
US5132763A (en) * 1991-02-07 1992-07-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nAs hole-immobilized doping superlattice long-wave-infrared detector
US5275966A (en) * 1991-07-08 1994-01-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ow temperature process for producing antimony-containing semiconductor materials
US5385864A (en) * 1993-05-28 1995-01-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thin film and a Hall-effect device
US5883564A (en) * 1994-04-18 1999-03-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agnetic field sensor having high mobility thin indium antimonide active layer on thin aluminum indium antimonide buffer layer
US5491461A (en) * 1994-05-09 1996-0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Magnetic field sensor on elemental semiconductor substrate with electric field reduction means
US5650635A (en) * 1995-07-14 1997-07-22 Northwestern University Multiple stacked Sb-based heterostructures
JP3082719B2 (ja) * 1997-09-03 2000-08-2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630882B1 (en) * 1999-08-05 2003-10-07 Delphi Technologies, Inc. Composite magnetic sensor
US6707122B1 (en) * 1999-11-30 2004-03-16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Extraordinary magneto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in inhomogeneous narrow-gap semiconductors
US6580139B1 (en) * 2000-07-20 2003-06-17 Emcore Corporation Monolithically integrated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082838B2 (en) * 2000-08-31 2006-08-01 Tdk Corporation Extraordinary piezoconductance in inhomogeneous semiconductors
KR100762772B1 (ko) * 2003-09-09 2007-10-02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적외선 센서 ic, 적외선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05327861A (ja) * 2004-05-13 2005-11-24 Asahi Kasei Corp 強磁性微粒子検出装置
US7518196B2 (en) * 2005-02-23 2009-04-14 Intel Corporation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narrow bandgap source and drain region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8183556B2 (en) * 2005-12-15 2012-05-22 Intel Corporation Extreme high mobility CMOS logic
WO2007077865A1 (ja) * 2005-12-27 2007-07-1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InSb薄膜磁気センサ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8304734B2 (en) * 2006-04-24 2012-11-06 Asahi Kasei Emd Corporation Infrared sensor
EP2131398B1 (en) * 2007-03-23 2015-05-20 Asahi Kasei EMD Corporation Compound semiconductor laminate, process for producing the compound semiconductor laminat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921693B1 (ko) * 2007-10-23 2009-10-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In(As)Sb 반도체의 격자 부정합 기판상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US7670894B2 (en) * 2008-04-30 2010-03-02 Intel Corporation Selective high-k dielectric film deposition for semiconductor device
WO2009148134A1 (ja) * 2008-06-04 2009-12-10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量子型赤外線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量子型赤外線ガス濃度計
US8237236B2 (en) * 2009-06-03 2012-08-0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Sb-based swit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553A (ja) 2010-03-31 2011-10-27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磁気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855A (ko) 2015-11-04
CN105103320A (zh) 2015-11-25
EP2980874A4 (en) 2016-11-16
JP5857153B2 (ja) 2016-02-10
WO2014156123A1 (ja) 2014-10-02
EP2980874A1 (en) 2016-02-03
JPWO2014156123A1 (ja) 2017-02-16
US20160035839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625B1 (ko) 전자 디바이스용 에피택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8653561B2 (en) III-nitride semiconduct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III-nitride semiconductor electronic device
US8212288B2 (en)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comprising a multilayer buffer layer
KR101321660B1 (ko) 횡방향을 전류 도통 방향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용 에피택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5892495B2 (ja) Ga2O3系結晶膜の成膜方法、及び結晶積層構造体
US20160042946A1 (en) Buffer layer structures suited for iii-nitride devices with foreign substrates
KR102292543B1 (ko) 화합물 반도체, 그 제조 방법 및 질화물 반도체
KR20140041795A (ko)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 표시 장치, 이미지 센서 및 x 선 센서
WO2014125092A1 (en) P-doping of group-iii-nitride buffer layer structure on a heterosubstrate
KR20160141756A (ko)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
KR101812394B1 (ko) 화합물 반도체 적층체 및 반도체 장치
Zhao et al. Electroluminescence of the p-ZnO: As/n-ZnO LEDs grown on ITO glass coated with GaAs interlayer
JP2011035065A (ja) 半導体装置
Ahmad et al. Beryllium doped semi-insulating GaN without surface accumulation for homoepitaxial high power devices
Devi et al. Band offset studies in pulse laser deposited Zn1− xCdxO/ZnO hetero-junctions
JP2022031353A (ja) 赤外線発光素子
Dong et al. Role of heteroepitaxial misfit strains on the band offsets of Zn1− xBexO/ZnO quantum wells: A first-principles analysis
JP6764705B2 (ja) 赤外線受光素子
KR20200015583A (ko) 화합물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
Li et al. The influence of AlN interlayers on the micro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type AlGaN/GaN superlattices grown on GaN/sapphire templates
Ahn et al. Phosphorus-doped ZnO films grown nitrogen ambience by magnetron sputtering on sapphire substrates
JP6517530B2 (ja) 化合物半導体積層体
Zhang et al. Low temperature electron transport in phosphorus-doped ZnO films grown on Si substrates
Baltakesmez et al. Undoped p-type ZnTe thin film and thin film transistor channel performance
Zvonkov et al. Fabrication and properties of GaAsSb/GaAs heterostructures doped with a magnetic imp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