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706B1 -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 Google Patents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706B1
KR101811706B1 KR1020160004020A KR20160004020A KR101811706B1 KR 101811706 B1 KR101811706 B1 KR 101811706B1 KR 1020160004020 A KR1020160004020 A KR 1020160004020A KR 20160004020 A KR20160004020 A KR 20160004020A KR 101811706 B1 KR101811706 B1 KR 10181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racket
hinge
plate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977A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김치플랜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김치플랜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김치플랜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7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53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임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배추를 눌러주어 부력에 의한 삼투압이 크게 작용하여 절임 성능 및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된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1000)는, 복수개의 힌지브라켓트가 구비된 절임탱크(1100)와; 힌지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힌지수단이 구비되고, 각각 일측면이 힌지수단과 조립된 평면프레임을 횡바들에 의하여 구획하여 배추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절임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좌.우측에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됨은 물론, 서로 배추의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누름판(1300,1400);을 포함하되, 힌지수단(1310,1410)은, 힌지브라켓트(1120)에 제1힌지핀으로 1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절임탱크의 상부에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회동브라켓트(1312,1412)와, 회동브라켓트의 타단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타단이 좌,우측누름판에 고정된 누름판고정브라켓트(1313,1413)와, 회동브라켓트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311,1411)로 이루어지며, 좌,우측누름판은, 각각의 연결부재를 조작하여 회동브라켓트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의 연결을 해제시킨후 절임탱크의 내측에 염수가 빠지게 되면 배추와 함께 절임탱크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Description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Salting tank of Korean cabbage}
본 발명은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임공정에 따라 염수회수시 자동으로 하강된 배추를 염수재투입시 배추가 다시 위로 뜨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부력에 의한 삼투압이 크게 작용하게 함으로서 양질의 절임을 할 수 있도록 된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공장에서 김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배추의 절임 상태는 김치의 품질평가에 6할 이상을 차지함으로서 배추의 절임 공정은 매우 중요하다. 김치의 대량생산시 배추를 절이는 공정은 배추를 반으로 자르고 일정한 틀(절임조)에 넣은 다음, 염수를 만들어 절임조에 공급하고 절임조의 내부에서 배추를 염수 속에 담가서 배추에 어느 정도 압력을 가하여 기다린다. 이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배추가 절여지고 절여진 배추를 깨끗이 세척을 하여 양념 소를 만들어 절인 배추에 소를 넣어 김치를 완성한다
상기 절임 과정에서 절임조에 배추를 넣고 염수를 투입하면 배추가 염수보다 가볍기 때문에 염수 위로 뜨게 되므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틀을 만들어 배추 상부에 덮어 사용하였으며 절임 공정에서 어느 순간에는 염수를 회수하고 다시 공급하는 과정이 하루에 2-4 차례 있게 된다.
이렇게 염수를 회수하면 염수가 머물러 있는 만큼 배추 부피가 줄어들어 배추가 뜨지 못하게 눌러준 누룸판과 함께 배추가 절임조의 중간까지 내려 오게 된다. 이때가 밤 11시 정도 되는데 작업자가 이때를 기다렸다가 절임조 내부 중간 정도까지 내려온 누룸판을 염수의 재공급시 다시 위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고정작업을 하여준다
이유는 그러한 상태에서 염수를 공급하면 배추는 절임조 중간아래에 있고 염수는 절임조 상부까지 차 있으므로 삼투압이 더 강해져 상질의 절임이 되게 되므로 작업자가 불편하더라도 이 공정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종래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24959호 고안의 명칭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가 공지되어 있는바, 4각형태의 평면프레임을 횡바들에 의하여 구획하여 절임조의 상면을 눌러주는 좌.우측에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좌.우누름판을 경첩에 의하여 절임조의 상단에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한 좌.우누름판의 상부에 고정구를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하며, 상기한 누름판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고정구에는 걸림수단을 설치하고, 타측 누름판의 고정구에는 빗장고리들이 반대측의 고정구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한 절임조용 누름판을 상면에 설치하고, 일측면의 상부에는 메인염수공급관에서 분지한 염수 공급관을 설치하고, 하부에는 염수배출관을 설치하되, 이 메인염수공급관과 염수배출관은 염수수위감지센서부와 연결되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 절임조에 배추 등을 적재한 경우 배추가 절여지면서 배출하는 배출수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막고자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강한 압력으로 눌러주던 것을 없애고 수평유지에 의하여 적절한 절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절임조에 적재한 중량물을 제거할 필요없이 좌.우 누름판만 경첩을 매개로 열어주게 되면 내부의 배추 등을 손쉽게 배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게 된다.
또한 억지로 배추등을 눌러 주면서 눌려지는 야채류는 심하게 손상이 되고 다른 부분은 다른 형태로 절여지면서 동일한 절임 처리로도 김치의 품질이 다르던 현상을 근본적을 차단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절임조는 염수가 자동으로 공급되기도 하고 배출되기도 하는데, 배추를 넣고 절임시간이 지남에 따라 염수가 줄게 됨과 더불어 염수를 배출하게 되면 배추가 가라앉게 되고, 재차 염수를 공급하게 되면 배추가 뜨게 되는데, 이렇게 배추가 재차 공급되는 염수에 의해 뜨게 되면 뜨지 않은 배추보다 부력이 약하게 가해져 같은 시간이라도 절임이 잘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배추가 절임되어 염수가 빠지는 시간에 일정시간 염수로 절여진 배추가 뜨지 않도록 절임조의 내부에 배추상승방지부재를 조립설치하여 새로 유입되는 염수에 의해 배추가 뜨지 않고 잘 절여지도록 하게되는 불편함이 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24959호 고안의 명칭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임공정에 따라 염수회수시 자동으로 하강된 배추를 염수재투입시 배추가 다시 위로 뜨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부력에 의한 삼투압이 크게 작용하게 함으로서 양질의 절임을 할 수 있도록 된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는, 염수배출관이 구비됨과 더불어 양 측면 상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트가 구비된 절임탱크와; 상기 힌지브라켓트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수단이 구비됨과 더불어, 각각 일측면이 상기 힌지수단과 조립된 4각형태의 평면프레임을 횡바들에 의하여 구획하여 배추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절임조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좌.우측에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됨은 물론, 서로 배추의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트에 제1힌지핀으로 1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절임탱크의 상부에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회동브라켓트와, 상기 회동브라켓트의 타단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좌측누름판 또는 우측누름판에 고정된 누름판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회동브라켓트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은,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를 조작하여 회동브라켓트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의 연결을 해제시킨후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에 염수가 빠지게 되면 배추와 함께 절임탱크의 하부로 하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브라켓트가 설치되지 않은 절임탱크의 측면과 상기 힌지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절임탱크의 염수가 줄어들면서 함께 하강하는 것은 가능하면서 절임탱크의 염수가 재차 공급되면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이 상승하지 않도록 된 누름판상승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은,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걸리도록 설치된 수위계량걸림부와, 상기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측면에 설치된 누름판힌지브라켓트와, 상기 누름판힌지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회동하여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측면에 밀착설치되면 상기 수위계량걸림부에 일단이 걸려 염수가 공급되어도 배추와 함께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회동하여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상부로 놓이도록 밀착설치되면 상기 수위계량걸림부에 간섭을 받지 않고 절임탱크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회동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계량걸림부는,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설치된 수위계량걸림브라켓트와, 상기 수위계량걸림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걸림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판힌지브라켓트와 회동걸림부재는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동걸림부재는, 일단은 길고 타단은 짧게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와, 이 걸림부의 외측코너에 상기 힌지핀에 의해 누름판힌지브라켓트와 회동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힌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은,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와, 상기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걸리도록 설치된 수위계량봉과, 상기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회동되면서 상기 수위계량봉에 의해 더 이상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상승방지편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끼워지면서 타단이 상기 상승방지편을 수위계량봉쪽으로 회동되도록 탄발력을 주도록 된 탄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임탱크의 염수가 배출되면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이 상기 상승방지편을 가압하여 밀어내면서 절임탱크의 내측하부로 하강하고, 상기 절임탱크에 염수가 공급되면 상승방지편에 의해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이 걸려서 상승하지 못하고 배추에 부력을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은,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에 끼워진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의해 브라켓트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지지바와, 상기 좌.우측누름판의 양단부에 폭방향으로 걸림돌기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좌.우측누름판이 절임탱크의 내측 상부에 위치할 때는 회동지지바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동지지바를 받쳐주고 상태로 되고, 상기 좌.우측누름판이 절임탱크의 내측 하부로 내려간 상태에서는 회동지지바의 단부가 걸림돌기부재에 걸려 상기 좌.우측누름판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트에 스토퍼가 설치되되, 상기 회동지지바가 좌.우측누름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이탈하여 상기 좌.우측누름판이 재차 상승할 때 회동지지바가 좌.우측누름판의 상승제어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에 의하면, 절임탱크의 힌지브라켓트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힌지수단의 회동브라켓트와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에 고정된 누름판고정브라켓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분리하게 되면 절임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배추등의 야채를 눌러주어 부력에 의한 삼투압이 크게 작용하여 절임 성능 및 작업성이 우수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에 의하면, 절임탱크와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사이에 구비된 누름판상승방지수단에 의해 절임탱크의 염수가 재차 공급되면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이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상승하려는 절임배추의 부력을 향상시켜 절임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5는 도 2의 B부 상세도,
도 6은 도 2의 C부 상세도,
도 7은 도 3의 D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좌측면도,
도 11의 도 8의 E부 상세도,
도 12는 도 9의 F부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의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10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염수배출관(1110)이 구비됨과 더불어 양 측면 상부에 관통구멍(1121)이 형성된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트(1120)가 구비된 절임탱크(1100)와; 상기 힌지브라켓트(1120)에 힌지핀(1200)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수단(1310,1410)이 구비됨과 더불어, 각각 일측면이 상기 힌지수단(1310,1410)과 조립된 4각형태의 평면프레임(1320,1420)을 횡바(1330,1430)들에 의하여 구획하여 배추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절임탱크(110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좌.우측에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됨은 물론, 서로 배추의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공지의 빗장수단(T,T')에 의해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누름판(1300,14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힌지수단(1310,1410)을 힌지브라켓트(1120)에 힌지핀(1200)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절임탱크(1100)의 상부로 좌.우측누름판(1300,1400)을 회동시켜 공지의 빗장수단(T,T')을 끼우게 되면 절임탱크(1100)의 상부로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덮어져 배추의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후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빗장을 풀어서 좌.우측누름판(1300,1400)을 힌지핀(1200)을 회전중심으로 회동시켜 절임탱크(1100)의 양측면으로 위치하여 절임탱크(1100)의 내부에서 배추를 꺼내거나 절임탱크(1100)의 내부에 배추를 넣을 때 대기상태로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힌지수단(1310,1410)은, 상기 힌지브라켓트(1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121)으로 끼워진 힌지핀(1200)으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절임탱크(1100)의 상부에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회동브라켓트(1312,1412)와, 상기 회동브라켓트(1312,1412)의 타단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좌측누름판(1300) 또는 우측누름판(1400)에 고정된 누름판고정브라켓트(1313,1413)와, 상기 회동브라켓트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핀부재인 연결부재(1311,141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은,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1311,1411)를 조작하여 회동브라켓트(1312,1412)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1313,1413)의 연결을 해제시킨 후 상기 절임탱크(1100)의 내측에 염수가 빠지게 되면 배추와 함께 절임탱크(1100)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임탱크(1100)의 힌지브라켓트(1120)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과 상기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의 힌지수단(1310,1410)이 설치되지 않은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절임탱크(1100)의 염수가 줄어들면서 함께 하강하는 것은 가능하면서 절임탱크(1100)의 염수가 재차 공급되면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된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절임탱크(1100)와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의 사이에 구비된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에 의해 절임탱크(1100)의 염수가 재차 공급되면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승하려는 절임배추의 부력을 향상시켜 절임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은,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걸리도록 설치된 수위계량걸림부(1510)와, 상기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측면에 설치된 누름판힌지브라켓트(1520)와, 상기 누름판힌지브라켓트에 힌지핀(1540)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회동하여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측면에 밀착설치되면 상기 수위계량걸림부에 일단이 걸려 염수가 공급되어도 배추와 함께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회동하여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상부로 놓이도록 밀착설치되면 상기 수위계량걸림부에 간섭을 받지 않고 절임탱크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회동걸림부재(15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5의 상태로 상기 회동걸림부재(1530)가 위치해 있다가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이 하강하게 되면 도 4의 상태로 되게 되는바, 도 5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될 때 상기 회동걸림부재(1530)는 누름판힌지브라켓트(1520)에 힌지핀(154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4의 상래로 될 때 회동걸림부재(15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들어 올려지면서 하부로 내려오면 도 4와 같이 회동걸림부재(15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위계량걸림부(1510)에 걸려 상기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수위계량걸림부(1510)는, 상기 절임탱크(1100)의 내측면에 설치된 수위계량걸림브라켓트(1511)와, 상기 수위계량걸림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걸림봉(151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동걸림부재(1530)가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의 측면에 밀착되어 하강할 때는 상기 걸림봉(1512)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승할 때는 걸림봉(1512)에 걸려서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동걸림부재(1530)는, 일단은 길고 타단은 짧게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531)와, 이 걸림부의 외측코너에 상기 힌지핀(1540)에 의해 누름판힌지브라켓트(1520)와 회동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힌지부(153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힌지브라켓트(1520)에 힌지핀(1540)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회동하여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의 측면에 밀착설치되면 상기 수위계량걸림부(1510)에 일단이 걸려 염수가 공급되어도 배추와 함께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회동하여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의 상부로 놓이도록 밀착설치되면 상기 수위계량걸림부(1510)의 걸림봉(1512)에 간섭을 받지 않고 절임탱크(110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절임탱크(1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1550)와, 상기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걸리도록 설치된 수위계량봉(1560)과, 상기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축(1570)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회동되면서 상기 수위계량봉에 의해 더 이상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상승방지편(1580)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끼워지면서 타단이 상기 상승방지편을 수위계량봉쪽으로 회동되도록 탄발력을 주도록 된 탄발부재(15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절임탱크(1100)의 염수가 배출되면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이 상기 상승방지편(1580)을 도 11의 시계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내면서 절임탱크(1100)의 내측하부로 하강하고, 상기 절임탱크(1100)에 염수가 공급되면 상승방지편(1580)에 의해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이 걸려서 상승하지 못하고 배추에 부력을 증가시키도록 된다.
미설명부호 P는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방지편(1580)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브라켓으로 설치하게 되면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파손을 막아 유지보수에 용이하게 되며,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상기 상승방지편(1580)에 걸리는 위치까지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임탱크(1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트(1501)와, 상기 브라켓트에 끼워진 힌지핀(1502)과, 이 힌지핀에 의해 브라켓트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지지바(1503)와,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양단부에 폭방향으로 걸림돌기부재(1504)가 설치되되, 도 13의 일점쇄선과 같이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절임탱크의 내측 상부에 위치할 때는 회동지지바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동지지바를 받쳐주고 상태로 되고,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절임탱크의 내측 하부로 내려가 도 13의 실선과 같은 상태로 일때는 회동지지바의 단부가 걸림돌기부재(1504)에 걸려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도 13의 상세도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트(1501)에 스토퍼(1505)가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도 13의 상태보다 더 내려가는 경우에 상기 회동지지바(1503)가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이탈하여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재차 상승할 때 회동지지바(1503)가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상승제어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1100: 절임탱크
1110: 염수배출관 1120: 힌지브라켓트
1121: 관통구멍 1200: 힌지핀
1300: 좌측누름판 1310,1410: 힌지수단
1311,1411: 연결부재 1312,1412: 회동브라켓트
1313,1413: 누름판고정브라켓트 1320,1420: 평면프레임
1330,1430: 횡바 1400: 우측누름판
1500: 누름판상승방지수단 1510: 수위계량걸림부
1520: 누름판힌지브라켓트 1530: 회동걸림부재
1531: 걸림부 1532: 힌지부
1540: 힌지핀 1550: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
1560: 수위계량봉 1570: 회전축
1580:상승방지편 1590: 탄발부재

Claims (6)

  1. 염수배출관이 구비됨과 더불어 양 측면 상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트가 구비된 절임탱크와; 상기 힌지브라켓트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수단이 구비됨과 더불어, 각각 일측면이 상기 힌지수단과 조립된 4각형태의 평면프레임을 횡바들에 의하여 구획하여 배추가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절임조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좌.우측에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됨은 물론, 서로 배추의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누름판;을 포함하는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310,1410)은, 상기 힌지브라켓트(1120)에 힌지핀(1200)으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절임탱크(1100)의 상부에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회동브라켓트(1312,1412)와, 상기 회동브라켓트의 타단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좌측누름판(1300) 및 우측누름판(1400)에 고정된 누름판고정브라켓트(1313,1413)와, 상기 회동브라켓트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311,14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누름판(1300)과 우측누름판(1400)은,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1311,1411)를 조작하여 회동브라켓트와 누름판고정브라켓트의 연결을 해제시킨후 상기 절임탱크(1100)의 내측에 염수가 빠지게 되면 배추와 함께 절임탱크의 하부로 하강하고,
    상기 절임탱크의 힌지브라켓트가 설치되지 않은 쪽의 측면과 상기 좌측누름판과 우측누름판의 힌지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절임탱크의 염수가 줄어들면서 좌,우측누름판이 절임탱크의 하부로 내려가 하강하는 것은 가능하면서 절임탱크의 염수가 재차 공급되면 좌,우측누름판이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상승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은,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걸리도록 설치된 수위계량걸림부(1510)와,
    상기 좌,우측누름판의 측면에 설치된 누름판힌지브라켓트(1520)와,
    상기 누름판힌지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회동시켜 좌,우측누름판의 측면에 밀착설치되면 상기 수위계량걸림부에 일단이 걸려 염수가 공급되어도 배추와 함께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회동시켜 좌,우측누름판의 상부로 놓이도록 밀착설치되면 상기 좌,우측누름판이 수위계량걸림부에 간섭을 받지 않고 절임탱크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회동걸림부재(1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계량걸림부(1510)는,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설치된 수위계량걸림브라켓트(1511)와,
    상기 수위계량걸림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걸림봉(15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판힌지브라켓트와 회동걸림부재는 힌지핀(1540)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동걸림부재(1530)는, 일단은 길고 타단은 짧게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531)와, 이 걸림부의 외측코너에 상기 힌지핀(1540)에 의해 누름판힌지브라켓트(1520)와 회동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힌지부(15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은,
    상기 절임탱크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1550)와,
    상기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걸리도록 설치된 수위계량봉(1560)과,
    상기 누름판상승방지브라켓트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축(1570)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회동되면서 상기 수위계량봉에 의해 더 이상 상측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상승방지편(1580)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끼워지면서 타단이 상기 상승방지편을 수위계량봉쪽으로 회동되도록 탄발력을 주도록 된 탄발부재(1590)를 포함하고,
    상기 절임탱크(1100)의 염수가 배출되면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상기 상승방지편(1580)을 가압하여 밀어내면서 절임탱크(1100)의 내측하부로 하강하고, 상기 절임탱크(1100)에 염수가 공급되면 상승방지편에 의해 좌,우측누름판이 걸려서 상승하지 못하고 배추에 부력을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상승방지수단(1500)은,
    상기 절임탱크(1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트(1501)와,
    상기 브라켓트에 끼워진 힌지핀(1502)과,
    상기 힌지핀에 의해 브라켓트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지지바(1503)와,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양단부에 폭방향으로 걸림돌기부재(1504)가 설치되되,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절임탱크의 내측 상부에 위치할 때는 회동지지바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동지지바를 받쳐주고 상태로 되고,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절임탱크의 내측 하부로 내려간 상태에서는 회동지지바의 단부가 걸림돌기부재(1504)에 걸려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트(1501)에 스토퍼(1505)가 설치되되, 상기 회동지지바(1503)가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이탈하여 상기 좌.우측누름판(1300,1400)이 재차 상승할 때 회동지지바(1503)가 좌.우측누름판(1300,1400)의 상승제어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KR1020160004020A 2016-01-13 2016-01-13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KR10181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20A KR101811706B1 (ko) 2016-01-13 2016-01-13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20A KR101811706B1 (ko) 2016-01-13 2016-01-13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977A KR20160016977A (ko) 2016-02-15
KR101811706B1 true KR101811706B1 (ko) 2018-01-26

Family

ID=5535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020A KR101811706B1 (ko) 2016-01-13 2016-01-13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269A (ko) 2019-04-03 2020-10-14 임홍균 절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59Y1 (ko) * 2006-05-30 2006-08-28 (주)라이스코리아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KR101375167B1 (ko) 2012-11-06 2014-03-26 권태형 식품 용기
JP2015119696A (ja) 2013-01-28 2015-07-02 齋藤 達夫 保存容器を兼ねた多彩な漬物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59Y1 (ko) * 2006-05-30 2006-08-28 (주)라이스코리아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KR101375167B1 (ko) 2012-11-06 2014-03-26 권태형 식품 용기
JP2015119696A (ja) 2013-01-28 2015-07-02 齋藤 達夫 保存容器を兼ねた多彩な漬物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269A (ko) 2019-04-03 2020-10-14 임홍균 절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977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706B1 (ko)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KR200454855Y1 (ko) 양식 수산물용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채취선
KR20130129709A (ko) 농산물 세척 장치 및 세척 방법
JP4796162B2 (ja) 食品洗浄装置
US2482269A (en) Tilting workpiece support, especially for use with processing equipment for containers
KR200488371Y1 (ko) 연체 해산물 세척장치
CN210394533U (zh) 一种清洗装置
US986229A (en) Bait-receptacle.
US2644269A (en) Live bait container
KR200424959Y1 (ko) 염수 재순환식 절임조
JP2004065183A (ja) 発芽野菜における種殻除去槽
NO331347B1 (no) Lekteranordning for rengjoring av ringformede flytende og/eller neddykkede konstruksjoner samt anvendelse av lekteranordningen
US3860020A (en) Tray cart washer
US2884736A (en) Minnow box
JPH11266800A (ja) 食品処理装置
JP3962446B2 (ja) 食器洗浄機のラック支持構造
JP2002219091A (ja) 食器浸漬用食器篭
US2551431A (en) Fishing boat
JP3080817U (ja) 根菜類洗浄装置
US1686511A (en) Dishwashing machine
JP7161793B1 (ja) 食材洗浄機
US4658842A (en) Rinsing apparatus for flat objects
CN219601976U (zh) 一种食品加工的储料桶
CN108207753A (zh) 一种便于清理的鱼缸
CN210631058U (zh) 一种水车式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