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387B1 -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 Google Patents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387B1
KR101811387B1 KR1020170079833A KR20170079833A KR101811387B1 KR 101811387 B1 KR101811387 B1 KR 101811387B1 KR 1020170079833 A KR1020170079833 A KR 1020170079833A KR 20170079833 A KR20170079833 A KR 20170079833A KR 101811387 B1 KR101811387 B1 KR 10181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platform
ship
coupling
floa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권
Original Assignee
(주)올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포랜드 filed Critical (주)올포랜드
Priority to KR102017007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58Adaptations of hooks for towing; Towing-hook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1Mooring bars, yokes, or the like, e.g. comprising articulations on both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63B2722/00
    • B63B2723/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고 2 이상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으로서, 예인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및 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뤄진 좌측 및 우측 선체부;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앵커 통과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측정 센서 관리 공간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Floating platform and ship for the same}
본 발명은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상의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가 이뤄질 수 있으며, 2 이상의 플랫폼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측정 데이터 수집이나 여러 가지 수상/수중 작업이 이뤄지는 작업 영역을 다양한 크기로 제공할 수 있는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부이(Buoy)는 해상에 띄워 기상 현상이나 유속 등을 측정하는 장비로, 해상을 표류하도록 표류 방식이나 일정 위치에 고정(계류)되도록 하는 고정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특히, 해상에서 일정 위치에 앵커(anchor)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계류식 부이는 특정 위치의 기상 현상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서 체계적인 관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가 고정되므로 관리가 용이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계류식 부이에 관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571071호(2015년11월17일 등록)는, 유속 측정장비용 계류식 선체형 부이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몸통 전후에 이등변삼각형 형태의 선수부를 일체로 성형한 선체형 부력체를 제안한 바 있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603530호(2016년03월09일 등록)는, 수질 환경 측정을 위한 폰톤-부체에 관한 것으로, 부유 가능한 폰툰과 견고한 재질의 부체와 작업자가 승선할 수 있는 공간을 보유하는 데크를 포함하는 부유장치(계류식 부이)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선박을 이용하여 계류식 부이를 예인하여 해상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기술구성이나 방법에 대한 고려가 이뤄지지 않았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각각의 계류식 부이가 독립적으로 설치, 운용될 뿐 계류식 부이를 2 이상 상호 연결하는 구성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571071호 (2015년11월17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603530호 (2016년03월09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상의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가 이뤄질 수 있으며, 2 이상의 플랫폼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측정 데이터 수집이나 여러 가지 수상/수중 작업이 이뤄지는 작업 영역을 다양한 크기로 제공할 수 있는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고 2 이상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으로서, 예인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및 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뤄진 좌측 및 우측 선체부;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앵커 통과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측정 센서 관리 공간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일측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결합 요홈이 형성되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이 상기 확장 설치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요홈에 삽입되어 상호 대향 접근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하부로 함몰된 연결핀 수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수납 홈의 저면에 "∩" 형상의 연결핀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핀 홈이 형성되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이 상기 확장 설치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에 형성된 연결핀 홈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에 형성된 또다른 연결핀 홈에 하나의 "∩" 형상의 연결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플랫폼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중앙부에 예인 선박의 도킹 암이 결합하여 도킹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도킹바가 구비되고, 상기 도킹바를 상기 도킹 암이 감싸는 형태로 도킹 상태를 이루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도킹용 요홈이 상기 도킹바 주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내부로 함몰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1 결합홀이 관통된 결합판부가 형성되어,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예인 선박 후미면에 구비된 예인 결합용 돌기부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요홈부에 내입된 상태에서, 예인 선박의 후미에 구비된 결합핀이 상기 결합판부의 제1 결합홀과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홀에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어 예인 선박과 부유식 플랫폼 상호 간의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예인 선박 상부면에 탑재된 크레인이 부유식 플랫폼 상부면으로 주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에는 크레인 바퀴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홈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유식 플랫폼은,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측정 센서 관리 공간으로 연결된 맨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유식 플랫폼은,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에 상기 앵커 통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향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유식 플랫폼은, 상기 측정 센서 관리 공간으로부터 플랫폼 외부로 측정 센서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측정 센서 인출공;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앵커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중앙부에 도킹바가 구비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선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의 부유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도록 예인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전후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예인용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측면과 상호 대향 접근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뤄진 후미면; 및 상기 후미면의 외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인접한 부유식 플랫폼의 바디부의 도킹바에 접근 또는 이탈이 가능하며, 접근 위치에서 도킹바를 감싸는 형태로 도킹 상태를 이루거나 감싸지 않는 도킹 해제 상태를 이루는 액츄에이터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도킹 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박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의 결합 요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의 일측에 형성된 후미 결합 돌기; 및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의 결합 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의 타측에 형성된 후미 결합 요홈;을 더욱 포함하여,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과 상호 대향 접근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박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부의 내부로 함몰 형성된 요홈부에 내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에 형성된 예인 결합용 돌기부; 및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요홈부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판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결합홀과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홀에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어 예인 선박과 부유식 플랫폼 상호 간의 예인용 결합을 이루도록, 예인 선박의 후미면 상단에 힌지 회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 결합핀;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박은, 예인 선박 상부면에 탑재되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부유식 플랫폼의 상부면으로 주행 이동하는 주행이동부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앵커 통과부로 앵커를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제1 기능과 선박의 후미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정렬된 2 이상의 부유식 플랫폼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한 "∩" 형상의 연결핀을 부유식 플랫폼의 연결핀 홈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제2 기능을 제공하는 호이스트부를 구비한 크레인;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박은,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예인 선박 상부면에 탑재된 상기 크레인이 부유식 플랫폼 상부면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주행 이동 시 크레인 바퀴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도록 선박 상부면에 형성된 선박 가이드 레일 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예인용 로프 없이도 선박과 예인용 결합이 가능하며, 예인될 때 물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므로, 선박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예인될 수 있고, 해상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 가능한 부유식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2 이상의 부유식 플랫폼의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어, 작업자가 측정업무나 해양 사고 발생시의 탐색, 구조업무 등의 작업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플랫폼 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식 플랫폼의 설치, 설치 위치의 변경이나 철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바디부 내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 및 선박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이 선박에 의해 예인되기 위한 결합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해상 설치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이 다수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10)은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20)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고 2 이상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은 상부의 바디부(100)와 하부의 선체부(200)로 구성되며, 바디부(100)에 의해 선박(20)과 연결되고 선체부(200)에 의해 해상에서 이동이 원활하게 이뤄진다.
상기 선체부(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 방향(도 4 기준 전후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및 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 선체부(220) 및 우측 선체부(240)로 이뤄지며,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 각각의 전단부(200') 및 후단부(200")가 각각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뤄진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부(200)의 전단부(200') 및 후단부(200")는 선체부(200)를 유선형에 가까운 형태가 되도록 하며, 해상에서 이동시 물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켜 부유식 플랫폼(10)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선박(20)에 의해 부유식 플랫폼(10)이 예인될 때, 물이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의 사이로 통과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의 전단부(200') 또는 후단부(200")의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인해 예인시 물이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의 하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부유식 플랫폼(10)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물의 이동에 의해 예인시 부유식 플랫폼(10)에 작용하는 저항이 최소화되며, 적은 힘으로도 부유식 플랫폼(10)의 예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이 선박에 의해 예인되기 위한 결합 과정의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해상 설치 과정의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이 다수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100)의 측면은 다른 부유식 플랫폼(10) 및/또는 부유식 플랫폼(10)의 예인을 위한 선박(20)과 용이하게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바디부(100)의 측면은 다른 부유식 플랫폼(10)과 용이하게 결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100)는 적어도 상기 바디부(100)의 상호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끼리 동일한 형태의 결합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의 형상에 따른 원활한 예인을 위해 전후좌우 측면 모두 동일한 형태의 결합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부(100)의 전후좌우 측면 모두 동일한 형태의 결합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의 결합시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맞추지 않더라도 상호 간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 설치된 부유식 플랫폼(10)과 선박에 의해 예인된 또다른 부유식 플랫폼(10)을 결합할 때, 선박(20)에 의해 예인 결합 중인 부유식 플랫폼(10)이 결합된 측면 외의 다른 어느 측면을 통해서도 기 설치된 부유식 플랫폼(10)과 상호 결합 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부유식 플랫폼(10) 상호 간 결합 방향 고려가 필요 없어 신속하고 용이한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를 제작하는데 있어서도 모든 측면이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별개 형태의 측면 구성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일측에 결합 돌기(132)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 돌기(132)가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결합 요홈(13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a)의 측면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b)의 측면이 상기 확장 설치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a)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132a)가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b)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요홈(134b)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 돌기(132a)와 결합 요홈(134b)의 삽입 결합에 의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a)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b)의 상호 대향 접근 위치가 정렬된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하부로 함몰된 연결핀 수납 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수납 홈(152)의 저면에 "∩" 형상의 연결핀(900, 도 10 참고)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핀 홈(15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a)의 측면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b)의 측면이 상기 확장 설치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a)에 형성된 연결핀 홈(154a)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b)에 형성된 또다른 연결핀 홈(154b)에 하나의 "∩" 형상의 연결핀(900)의 단부가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이 이뤄진 연결핀(900)의 삽입되지 않은 부분(외부 노출된 부분)이 상기 연결핀 수납 홈(15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결핀(9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핀(900)의 삽입에 의해 플랫폼 상호 간의 결합 상태가 이뤄지며, 앵커(A)의 설치까지 완료되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a)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b)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해상에 설치된다.
다른 예로, 상기 바디부(100)의 측면은 예인 선박(20)과 용이하게 결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중앙부에 예인 선박(20)의 도킹 암(23)이 결합하여 도킹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도킹바(122)가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도킹바(122) 주위에는 상기 도킹바(122)를 상기 도킹 암(23)이 감싸는 형태로 도킹 상태를 이루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도킹용 요홈(124)이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바디부(100)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내부로 함몰된 요홈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42)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1 결합홀(144)이 관통된 결합판부(146)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 선박(20)을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예인 선박(20)에 구비되는 도킹 암(23)을 부유식 플랫폼(10) 측으로 뻗어서 상기 도킹 암(23)의 그리퍼(gripper, 23a)가 상기 도킹바(122)를 잡고 부유식 플랫폼(10)을 선박(20) 측으로 당길 수 있으며, 이러한 당김에 의해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예인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한 상호 대향 접근이 이뤄진다.
이와 같이,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예인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도킹 암(23)을 선박(20) 측으로 더욱 당기게 되면 예인 선박(20) 후미면(21)에 구비된 예인 결합용 돌기부(26)가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요홈부(142)에 내입된다.
이 상태에서, 예인 선박(20)의 후미에 구비된 결합핀(25a)이 회동하여 상기 결합판부(146)의 제1 결합홀(144)과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26)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홀(26a)에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며, 예인 선박(20)과 부유식 플랫폼(10) 상호 간의 예인용 결합 상태가 이뤄진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의 상부면에는 크레인(C) 바퀴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홈(300)이 전후 방향(F-B 방향) 및 좌우 방향(L-R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 홈(3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플랫폼(10, 10b)의 측면에 예인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예인 선박(20) 상부면에 탑재된 크레인(C)이 부유식 플랫폼(10, 10a, 10b) 상부면으로 주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레인(C)은 상기 가이드 레일 홈(300)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의 부유식 플랫폼(10a, 10b) 상호 간의 결합을 보조하고, 부유식 플랫폼(10a, 10b)이 해상에 계류될 수 있도록 앵커(A)를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바디부 내측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의 사용상태도이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는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앵커 통과부(800)가 형성되며, 내부에 측정 센서 관리 공간(160, 도 5 참고)이 마련된다.
상기 앵커 통과부(800)는 부유식 플랫폼(10)을 해상에 계류하기 위한 앵커(A)를 부유식 플랫폼(10) 상측에서 수중으로 투하하는 통로가 되며, 상기 앵커 통과부(800) 일측에 상기 앵커(A)와 연결되는 로프(또는 와이어, R)가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앵커(A)는 모든 부유식 플랫폼(1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900)으로 상호 연결된 전체 부유식 플랫폼(10a~10i)을 해상에 계류하기 위한 최소한의 갯수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측정 센서 관리 공간(160)은 측정 센서를 관리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공간 내부에서 측정 센서 동작 이상 여부에 따라 측정 센서의 교체, 수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측정 센서는 기상 센서(622) 및 하이드로미터(hydrometer, 642)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기상 센서(622)는 풍향, 풍속, 습도, 기압,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624)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이드로미터(642)는 액체의 비중이나 유속을 측정하는 것으로, 바닷물을 채취하여 물의 염도를 확인하거나 바닷물의 흐름에 따른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며, 구동 모터(644)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은, 상기 측정 센서 관리 공간(160)으로부터 플랫폼 외부로 측정 센서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측정 센서 인출공(440, 480)을 더욱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플랫폼(10)이 설치되기 전(예, 예인 상태)에는 상기 기상 센서(622) 및 하이드로미터(642)가 바디부(100) 내측에 구비된다.
부유식 플랫폼(1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상 센서(622)가 구동 모터(62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며, 측정 센서 인출공(440)을 통해 바디부(100) 상측으로 인출되어 바디부(100) 상측의 기상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미터(642)가 구동 모터(644)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며, 측정 센서 인출공(480)을 통해 바디부(100) 하측으로 인출되어 수중의 유속이나 비중(염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미터(642)는 일예로, 공지의 음향 도플러 유속계(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은, 상기 바디부(100)의 상부면 일측에 어두운 환경에서의 작업이나 부유식 플랫폼(10)의 위치 확인을 위해 랜턴(662)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랜턴(662)은 바디부(100) 내부로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은, 상기 바디부(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측정 센서 관리 공간(160)으로 연결된 맨홀(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맨홀(420)은 맨홀 뚜껑(부호 미도시)에 의해 보호되며, 작업자가 맨홀(420)을 통해 측정 센서 관리 공간(160)으로 이동시 맨홀(420)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는 상기 맨홀(420)을 통해 측정 센서 관리 공간(160)으로 들어가기 위한 이동 사다리(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은, 상기 바디부(100)의 상부면에 상기 앵커 통과부(800)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향 설치된 태양광 패널(72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는 상기 태양광 패널(720)에 의해 수집, 변환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각각의 측정 센서의 운용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74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의 상부면에 둘레 측으로 상향 설치된 난간(50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난간(500)은 작업자가 부유식 플랫폼(10)의 상부면에서 작업을 진행하거나 해상 구조 활동 지원 등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의 이동을 돕게 되며, 상기 바디부(100) 내부로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난간(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 상부면의 사각 둘레를 따라 4개가 인출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유식 플랫폼(10a~10i)의 결합 상태에서 전체 플랫폼의 상부면의 사각 둘레에만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플랫폼 및 선박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인 선박(20)은, 상기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선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10)의 부유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도록 예인하는 선박이다.
상기 선박(20)은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전후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예인용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측면과 상호 대향 접근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뤄진 후미면(21) 및 상기 후미면(21)에 구비되는 도킹 암(23)을 포함한다.
상기 도킹 암(23)은 상기 후미면(21)의 외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인접한 부유식 플랫폼(10)의 바디부(100)의 도킹바(122)에 접근 또는 이탈이 가능하며, 접근 위치에서 도킹바(122)를 감싸는 형태로 도킹 상태를 이루거나 감싸지 않는 도킹 해제 상태를 이루는 액츄에이터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킹 암(23)의 단부에 형성된 그리퍼(23a)가 상기 도킹바(122)를 잡고 부유식 플랫폼(10)을 선박(20) 측으로 당길 수 있으며, 이러한 당김에 의해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예인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한 상호 대향 접근이 이뤄진다.
상기 도킹 암(23)은 공지의 로봇 암(robot arm)과 유사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박(20)은,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의 결합 요홈(134)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21)의 일측에 형성된 후미 결합 돌기(22) 및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의 결합 돌기(132)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21)의 타측에 형성된 후미 결합 요홈(24)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도킹 암(23)이 도킹바(122)를 당김으로 인해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예인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후미 결합 돌기(22)가 결합 요홈(134)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 돌기(132)가 후미 결합 요홈(24)에 삽입되므로 상기 부유식 플랫폼(10)과 상호 대향 접근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선박(20)은, 후미면(21)에 형성된 예인 결합용 돌기부(26) 및 후미면(21) 상단에 힌지 회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 결합핀(25a)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결합핀(25a)은 힌지(25b)에 연결된 회동 프레임(25)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25b)를 중심으로 회동 프레임(25)이 회동할 때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26)는,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예인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부의 내부로 함몰 형성된 요홈부(142)에 내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핀(25a)은,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26)가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요홈부(142)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14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판부(146)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결합홀(144)과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26)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홀(26a)에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어 예인 선박(20)과 부유식 플랫폼(10) 상호 간의 예인용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박(20)이 부유식 플랫폼(10)과 예인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이 또다른 부유식 플랫폼(10)과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과 선박(20)이 상호 예인 가능하도록 결합되면 상기 선박(20)에 의해 2개의 부유식 플랫폼(10)을 동시에 예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부유식 플랫폼(10)은, 도 2,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유식 플랫폼(10)의 선체부(200)의 전단부(200') 또는 후단부(200")측의 바디부(100) 측면이 상기 선박(20)의 후미면(21)에 대향하여 선박(20)과 일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이 선체부(200)의 전단부(200') 또는 후단부(200")가 상기 선박(20)의 후미면(2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선박(20)과 예인용 결합을 이루고, 또 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이 선체부(200)의 전단부(200') 또는 후단부(200")가 상기 선박(20)의 후미면(2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예인용 결합된 부유식 플랫폼(10)에 일렬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각각의 부유식 플랫폼(10)의 좌측 및 우측 선체부(220, 240)가 직렬 연결되어 물에 의해 부유식 플랫폼(10)이 받는 저항을 최소화하므로 선박(20)에 의한 2 이상의 부유식 플랫폼(10)의 예인이 더욱 용이하게 이뤄지며, 여러 개의 부유식 플랫폼(10)의 예인 및 설치 또는 철거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도 9는 상기 선박(20)이 2개의 부유식 플랫폼(10a, 10b)을 동시에 예인하고, 선박(20)의 후미면(21)에서 가장 먼 단부측의 부유식 플랫폼(10a)을 해상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설치 및 철거 방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예로, 상기 선박(20)은, 예인 선박(20) 상부면에 탑재되는 크레인(C)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크레인(C)은 몸체부(C3)와 상기 몸체부(C3) 상측에 구비된 호이스트부(C2) 및 상기 몸체부(C3) 하측에 구비된 주행이동부(C1)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이동부(C1)는,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크레인(C)을 부유식 플랫폼(10)의 상부면으로 주행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동력 수단(예, 모터 또는 엔진) 및 크레인(C) 바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부(C2)는,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앵커 통과부(800)로 앵커(A)를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제1 기능과 선박(20)의 후미면(21)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정렬된 2 이상의 부유식 플랫폼(10)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한 "∩" 형상의 연결핀(900)을 부유식 플랫폼(10)의 연결핀 홈(154)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제2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호이스트부(C2)는 도르래 및 갈고리를 이용하여 물체를 수직, 수평으로 이송하거나 적재하는 공지의 호이스트(hoist)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박(20)의 상부면에는 선박 가이드 레일 홈(28)이 형성된다.
상기 선박 가이드 레일 홈(28)은,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선박(20)의 후미면(21)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예인 선박(20) 상부면에 탑재된 상기 크레인(C)이 부유식 플랫폼(10) 상부면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주행 이동 시 크레인(C) 바퀴의 주행 경로를 제공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기준으로, 부유식 플랫폼(10)의 설치 및 철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을 예인하고 해상 설치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하기 위해서,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박(20)의 후미면(21)의 외측으로 인출된 도킹 암(23)이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바디부(100)의 도킹바(122)에 접근하여 도킹바(122)를 감싸는 형태로 도킹 상태를 이루면서 도킹바(122)를 당긴다.
이때, 상기 후미 결합 돌기(22)가 결합 요홈(134)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 돌기(132)가 후미 결합 요홈(24)에 삽입되며, 상기 요홈부(142)에 예인 결합용 돌기부(26)가 내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핀(25a)이 부유식 플랫폼(10) 측으로 회동하여 제1 결합홀(144)과 제2 결합홀(26a)에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면 예인 선박(20)과 부유식 플랫폼(10) 상호 간의 예인용 결합이 이뤄진다.
상기 부유식 플랫폼(10)과 결합된 선박(20)이 부유식 플랫폼(10)을 예인하여 해상의 설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크레인(C)이 선박 가이드 레일 홈(28)을 거쳐 부유식 플랫폼(10)의 가이드 레일 홈(300)을 따라 이동하여 부유식 플랫폼(10) 일측에 로프(R)와 연결된 앵커(A)를 앵커 통과부(800)로 삽입, 통과시켜 부유식 플랫폼(10)이 해상에 계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크레인(C)이 선박(20)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결합핀(25a)이 선박(20) 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도킹 암(23)이 도킹바(122)와의 도킹 상태가 해제되면 부유식 플랫폼(10) 설치가 완료된다.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유식 플랫폼(10a, 10b)이 선박(20)에 예인 결합된 경우, 상기 부유식 플랫폼(10a, 10b)과 결합된 선박(20)이 부유식 플랫폼(10a, 10b)을 예인하여 해상의 설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크레인(C)이 선박 가이드 레일 홈(28)을 거쳐 부유식 플랫폼(10a, 10b)의 가이드 레일 홈(300)을 따라 이동하여 선박(20)의 후미면(21)에서 가장 먼 단부측의 부유식 플랫폼(10a)의 앵커 통과부(800)로 앵커(A)를 삽입, 통과시켜 부유식 플랫폼(10a)이 해상에 계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크레인(C)이 설치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a)과 설치하지 않는(예인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b)을 연결하는 연결핀(900)을 회수하고 선박(20)으로 이동하면 설치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a)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 다른 예로, 기 설치된 부유식 플랫폼(10)에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을 결합하여 설치하려는 경우, 선박(20)이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을 예인하고 상기 기 설치된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기 설치된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132) 및 결합 요홈(134)이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요홈(134) 및 결합 돌기(132)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크레인(C)이 선박 가이드 레일 홈(28)을 거쳐 부유식 플랫폼(10)의 가이드 레일 홈(300)을 따라 이동하여, 설치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의 연결핀 홈(154) 및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연결핀 홈(154)과 인접한 기 설치된 부유식 플랫폼(10)의 연결핀 홈(154)에 연결핀(9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크레인(C)이 설치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의 앵커 통과부(800)로 앵커(A)를 삽입, 통과시켜 설치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의 해상 계류가 더욱 견고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크레인(C)이 선박(20)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결합핀(25a)이 선박(20) 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도킹 암(23)이 도킹바(122)와의 도킹 상태가 해제되면 부유식 플랫폼(10)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철거는 상기 부유식 플랫폼(10)의 설치 순서의 역순으로 이뤄지며, 예를 들어, 철거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과 선박(20)을 예인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선박(20)의 크레인(C)이 이동하여 철거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과 또다른 부유식 플랫폼(10)을 연결한 연결핀(900)을 제거한 후 철거하려는 부유식 플랫폼(10)의 앵커(A)를 철거하는 과정을 통해 부유식 플랫폼(10)을 철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10a~10i: 부유식 플랫폼
100: 바디부 122: 도킹바
124: 도킹용 요홈 132, 132a: 결합 돌기
134, 134b: 결합 요홈 142: 요홈부
144: 제1 결합홀 146: 결합판부
152, 152b: 연결핀 수납 홈 154, 154a, 154b: 연결핀 홈
160: 측정 센서 관리 공간
200: 선체부 220: 좌측 선체부
240: 우측 선체부 300: 가이드 레일 홈
420: 맨홀 440, 480: 측정 센서 인출공
460: 이동 사다리 500: 난간
622: 기상 센서 642: 하이드로 센서
624, 644: 구동 모터 662: 랜턴
720: 태양광 패널 740: 배터리
800: 앵커 통과부 900: 연결핀
20: 선박 21: 후미면
22: 후미 결합 돌기 23: 도킹 암
23a: 그리퍼 24: 후미 결합 요홈
25: 회동 프레임 25a: 결합핀
26: 예인 결합용 돌기부 26a: 제2 결합홀
28: 선박 가이드 레일 홈 C: 크레인
C1: 주행이동부 C2: 호이스트부
C3: 몸체부 R: 로프
A: 앵커

Claims (14)

  1.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고 2 이상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으로서,
    예인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및 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뤄진 좌측 및 우측 선체부;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앵커 통과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측정 센서 관리 공간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하부로 함몰된 연결핀 수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수납 홈의 저면에 "∩" 형상의 연결핀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핀 홈이 형성되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이 상기 확장 설치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에 형성된 연결핀 홈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에 형성된 또다른 연결핀 홈에 하나의 "∩" 형상의 연결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플랫폼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2.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고 2 이상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으로서,
    예인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및 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뤄진 좌측 및 우측 선체부;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앵커 통과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측정 센서 관리 공간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중앙부에 예인 선박의 도킹 암이 결합하여 도킹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도킹바가 구비되고,
    상기 도킹바를 상기 도킹 암이 감싸는 형태로 도킹 상태를 이루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도킹용 요홈이 상기 도킹바 주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3.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 후미에 결합되어 예인이 가능하고 2 이상이 상호 결합된 확장 설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으로서,
    예인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및 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뤄진 좌측 및 우측 선체부;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선체부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앵커 통과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측정 센서 관리 공간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상단 모서리부에 내부로 함몰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1 결합홀이 관통된 결합판부가 형성되어,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예인 선박 후미면에 구비된 예인 결합용 돌기부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요홈부에 내입된 상태에서, 예인 선박의 후미에 구비된 결합핀이 상기 결합판부의 제1 결합홀과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홀에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어 예인 선박과 부유식 플랫폼 상호 간의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일측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결합 요홈이 형성되어,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과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이 상기 확장 설치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또다른 하나의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요홈에 삽입되어 상호 대향 접근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예인 선박 상부면에 탑재된 크레인이 부유식 플랫폼 상부면으로 주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에는 크레인 바퀴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홈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측정 센서 관리 공간으로 연결된 맨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에 상기 앵커 통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향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 관리 공간으로부터 플랫폼 외부로 측정 센서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측정 센서 인출공;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플랫폼.
  10. 전후좌우 측면과 상부면이 박스 형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여 앵커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좌우 측면의 각각의 중앙부에 도킹바가 구비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선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유식 플랫폼의 부유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도록 예인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전후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예인용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측면과 상호 대향 접근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뤄진 후미면; 및
    상기 후미면의 외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인접한 부유식 플랫폼의 바디부의 도킹바에 접근 또는 이탈이 가능하며, 접근 위치에서 도킹바를 감싸는 형태로 도킹 상태를 이루거나 감싸지 않는 도킹 해제 상태를 이루는 액츄에이터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도킹 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의 결합 요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의 일측에 형성된 후미 결합 돌기; 및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의 결합 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의 타측에 형성된 후미 결합 요홈;을 더욱 포함하여,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과 상호 대향 접근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예인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호 대향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부의 내부로 함몰 형성된 요홈부에 내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미면에 형성된 예인 결합용 돌기부; 및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요홈부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부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판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결합홀과 상기 예인 결합용 돌기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홀에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어 예인 선박과 부유식 플랫폼 상호 간의 예인용 결합을 이루도록, 예인 선박의 후미면 상단에 힌지 회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 결합핀;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3. 제10항에 있어서,
    예인 선박 상부면에 탑재되며,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부유식 플랫폼의 상부면으로 주행 이동하는 주행이동부와, 상기 부유식 플랫폼의 앵커 통과부로 앵커를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제1 기능과 선박의 후미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정렬된 2 이상의 부유식 플랫폼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한 "∩" 형상의 연결핀을 부유식 플랫폼의 연결핀 홈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제2 기능을 제공하는 호이스트부를 구비한 크레인;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4. 제13항에 있어서,
    부유식 플랫폼의 측면에 선박의 후미면이 예인용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예인 선박 상부면에 탑재된 상기 크레인이 부유식 플랫폼 상부면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주행 이동 시 크레인 바퀴의 주행 경로를 제공하도록 선박 상부면에 형성된 선박 가이드 레일 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0079833A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KR10181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33A KR101811387B1 (ko)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33A KR101811387B1 (ko)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387B1 true KR101811387B1 (ko) 2017-12-21

Family

ID=6093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33A KR101811387B1 (ko)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117B1 (ko) * 2022-12-29 2023-05-1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부유식 라이다 조립체 및 모션보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450B1 (ko) * 2010-09-02 2010-12-13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코리아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KR101366516B1 (ko) * 2010-02-24 2014-02-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바지선, ro 모듈의 조립 시스템, ro 모듈의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16B1 (ko) * 2010-02-24 2014-02-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바지선, ro 모듈의 조립 시스템, ro 모듈의 조립 방법
KR101000450B1 (ko) * 2010-09-02 2010-12-13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코리아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117B1 (ko) * 2022-12-29 2023-05-1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부유식 라이다 조립체 및 모션보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157B1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CN111220354B (zh) 一种水下拖曳试验装置
BRPI0808590A2 (pt) Embarcação de apoio elevatória e seu uso"
KR10173187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CN103518143A (zh) 声纳数据采集系统
CN107917702B (zh) 海洋风电规划用海洋水文观测仪
KR101811387B1 (ko)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KR101877037B1 (ko) 모형 실험용 계류계 앵커의 위치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190100291A1 (en) Subse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hub
US8646390B2 (en) Device for the use of technical equipment underwater
EP3732097A1 (en) A semi submersible vessel
CN106628024B (zh) 一种水上打桩作业平台
CN211996069U (zh) 一种桥梁水下检测船
CN103569311B (zh) 推进器安装定位装置及推进器水下安装方法
KR101587875B1 (ko) 다기능 독
KR20180042940A (ko)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CN116476987A (zh) 一种海上无人系统自主布放回收系统
KR101481329B1 (ko)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JP2012112370A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KR101871103B1 (ko)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WO2004063002A1 (ja) 自走船台
CN114670976A (zh) 一种便于运输的筒型基础、背压式海上风电整机运输安装船及方法
CN113984333A (zh) 一种试验平台
JPH10175591A (ja) ユニット浮体連結式大型浮体
KR101549198B1 (ko)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