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450B1 -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 Google Patents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450B1
KR101000450B1 KR1020100085785A KR20100085785A KR101000450B1 KR 101000450 B1 KR101000450 B1 KR 101000450B1 KR 1020100085785 A KR1020100085785 A KR 1020100085785A KR 20100085785 A KR20100085785 A KR 20100085785A KR 101000450 B1 KR101000450 B1 KR 10100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loating body
floating
concre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8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1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concrete, e.g. reinforced
    • B63B5/18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concrete, e.g. reinforced built-up from elements
    • B63B5/2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concrete, e.g. reinforced built-up from elements in combination with elements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 B63B2231/62Lightweight concre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부유체에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4개의 부력 조절포켓내에는 부유체의 기울기에 따라 복수개의 중량블럭을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함과 아울러 연결장치를 통해 복수개 부유체를 하나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일 및 복수개 부유체의 부력이 균일(평준화)하도록 조절하여 부유체의 기울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전체 부유체의 수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또한 복수개의 부유체 연결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서 수상 구조물의 건축시간을 단축하고,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을 사용하므로 수상 구조물로 이용하더라도 내구성 향상 및 수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해상에 설치시 바닷물에 의한 부식도 방지할 수 있으며, 만일 균열 발생으로 부력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상기 부력 조절포켓 및 중량블럭을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FLOATING BODY OF HIGH STRENGTH LIGHT WEIGHT CONCRETE}
본 발명은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 구조물에 이용되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다, 강, 호수 등과 같은 수상에 부유체를 설치하여 수상 구조물을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수상 구조물은 대표적으로 해상플랜트, 수상 낚시터, 수상공원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규모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부유체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물로서, 부유체의 구조적 효율성을 위하여 내부 공간에는 통상 일정 간격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부유체의 내부 공간에 부력재를 충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부유체는, 공장 등에서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부유체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에는 골재와 같은 각종 첨가물들이 혼합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부유체는, 거푸집내에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와 같은 각종 첨가물을 부유체 전 영역에 균일하게 혼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부유체의 각 부분별 밀도나 중량을 정밀하게 맞출수가 없으며, 이로인해 콘크리트 부유체의 각 부분별 부력이 불균일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부유체를 수상에 설치하게 되면, 부력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부유체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이러한 콘크리트 부유체를 복수개 연결하더라도 각 콘크리트 부유체의 기울림 방향이 제각각 이어서 전체 부유체의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불안정함은 물론 연결구조에 많은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결국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상에 설치되는 특성상 수온 변화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부유체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에는 부력의 불균일함이 더욱 심해지고 이로인해 기울림 현상도 심해져서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에 더욱 큰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부유체에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4개의 부력 조절포켓내에는 부유체의 기울기에 따라 복수개의 중량블럭을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함과 아울러 연결장치를 통해 복수개 부유체를 하나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일 및 복수개 부유체의 부력이 균일(평준화)하도록 조절하여 부유체의 기울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전체 부유체의 수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또한 복수개의 부유체 연결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서 수상 구조물의 건축시간을 단축하고,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을 사용하므로 수상 구조물로 이용하더라도 내구성 향상 및 수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해상에 설치시 바닷물에 의한 부식도 방지할 수 있으며, 만일 균열 발생으로 부력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상기 부력 조절포켓 및 중량블럭을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의 내부에 밀폐된 부력공간이 형성되며, 외벽이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공간내에 채워지는 부력재와, 상기 부유체의 상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되, 부유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과, 상기 부유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어 상기 부유체 각 부분의 부력을 균일하게 조절하는 복수개의 중량블럭과, 상기 부력 조절포켓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각각 분리된 복수개의 부유체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부유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 부유체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완충부재홈과, 상기 완충부재홈에 삽입 설치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복수개 부유체의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양단부는 연결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부유체를 관통하되 마지막 양 부유체에 각각 너트로 고정되는 와이어커넥터로 구성된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부유체에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4개의 부력 조절포켓내에는 부유체의 기울기에 따라 복수개의 중량블럭을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함으로써, 상기 단일 및 복수개 부유체의 부력이 균일(평준화)하도록 조절하여 부유체의 기울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전체 부유체의 수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완충부재 및 와이어커넥터로 구성된 연결장치를 통해 복수개 부유체를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복수개의 부유체 연결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수상 구조물의 건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을 사용하므로 수상 구조물로 이용하더라도 내구성 향상 및 수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해상에 설치시 바닷물에 의한 부식도 방지할 수 있으며, 만일 균열 발생으로 부력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상기 부력 조절포켓 및 중량블럭을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콘크리트 부유체가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에서 부력 조절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콘크리트 부유체를 연결장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부유체(1)는, 바다, 강, 호수 등과 같은 수상에 복수개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수상 구조물로서, 이러한 수상 구조물의 대표적으로는 해상플랜트, 수상 낚시터, 수상공원, 선착장, 수상 편의시설 등이 있다.
상기 콘크리트 부유체(1)는, 부유체(10)와, 부력재(40)와, 부력 조절포켓(15)과, 중량블럭(20)과, 덮개(16)와, 연결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유체(10)는, 수상에 서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복수개 배치됨과 아울러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의 내부에는 밀폐된 부력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양단부의 하측에는 경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부유체(10)는 외벽이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은, 포틀랜드 시멘트 39.95~49.9중량부와 경량골재(Light Weight Aggregate) 50~60중량부와 섬유보강재 0.05~0.1중량부를 혼합한 100중량부 조성물에 물/시멘트의 중량비가 0.35~0.5의 값을 만족하도록 물이 첨가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량골재는 보통 골재보다 비중이 가벼운 것으로 천연경량골재와 인공경량골재로 나눌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경량골재로서는 경석(輕石, Shale)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인공경량골재로서는 혈암을 고온으로 소성시켜 균질하게 팽창발포시킨 소성혈암(燒成頁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량골재가 첨가되면, 보통 골재로 혼합된 콘크리트에 비해 중량을 20~30%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온성이 증대되어 수온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량골재의 입경(粒徑)은 5~13(mm)의 범위로 마련되어야 하며, 이는 콘크리트 부유체(1)의 내부에 철 구조물 사이로 상기 경량골재가 원활하게 유입되어 콘크리트 내에서 균등하게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섬유보강재는 원기둥형의 섬유물로서, 콘크리트 속에서 균일하게 분산되기 위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인, 직경이 0.05~0.5(mm)의 범위로, 길이가 6.35~50(mm)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프로필렌계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섬유보강재는 콘크리트 속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휨강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인성 및 내충격성을 개선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멘트와 경량골재와 섬유보강재가 혼합된 조성물에는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혼화제(混和劑)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첨가되는 혼화제로서는, 콘크리트 내부에 미소한 기포를 일정하게 분포시키기 위한 AEA(Air Entraining Agent)제와,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지연시켜, 응결에 필요한 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화지연제(Retarder)와,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감수제(Water Reducing Agent) 등이 있으며, 전술한 혼화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유체(10)의 외벽을 형성하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경량골재와 섬유보강재와 물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성형 후, 요구되는 비중과 압축강도를 구현시킬 수 있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조성물에 각종 혼화제를 하나 이상 혼합시켜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본 콘크리트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증대되어 수온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균열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상에 설치될 경우, 바닷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재(40)는,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공간(11)내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부력재(40)로는 스티로폼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티로폼 재질 외에도 다양한 부력재질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유체(10)의 내부가 상기 부력재(40)로 채워짐으로써, 만일 부유체(10)의 외벽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물이 부유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은 상기 부유체(10)의 상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되, 부유체(1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4개가 형성된다.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각 형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은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하여 4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4개의 부력 조절포켓(15)은 상기 부유체(10)의 네 모서리측에 각각 인접하도록 형성해야 부유체(10)의 부력 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은 상기 부유체(10)의 내부와는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블럭(20)은, 상기 부유체(1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15)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어 상기 부유체(10) 각 부분의 부력을 균일(평준화)하게 조절하게 된다.
상기 중량블럭(20)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대략 사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10)는 거푸집내에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거푸집내에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시멘트와 경량골재와 섬유보강재 등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어렵고, 각 부분별 밀도나 중량도 정밀하게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 완료되는 부유체(10)는 각 부분별 부력이 불균일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10) 복수개를 수상에 설치하게 되면, 부유체(10)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복수개 부유체(10)의 기울림 방향이 제각각 이어서 전체 부유체(10)의 수평이 불규칙하게 되어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을 균일하게 맞출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상에 수 개에서부터 수십~수백개 설치되는 부유체(10)의 부분별 부력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맞출수(평준화 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의 내부에 상기 중량블럭(20)을 채워가면서 부유체(10)의 부분별 부력을 평준화시켜 부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부유체(10)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림이 발생할 경우, 기울지 않은 반대편에 위치한 부력 조절포켓(15)에 중량블럭(20)을 채우게 되면 부력을 간편하게 평준화 및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을 균일하게 맞춘 후에는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의 상측 개구부를 덮개(16)로 덮어서 마무리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부유체(10)의 부력 조절을 위해 상기 부유체(10)에 부력 조절포켓(15)을 형성하였지만, 도 4와 같이, 부력 조절포켓(15)을 형성하지 않고, 부유체(10)의 네 모서리 하측면에 중량블럭(20a)을 설치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부유체(1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중량블럭(20a)은 연결바(50)를 통해 부유체(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30)는, 상기 각각 분리된 복수개의 부유체(10)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부유체(10)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복수개 부유체(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완충부재홈(34)과, 상기 완충부재홈(34)에 삽입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31)와, 상기 복수개 부유체(10)의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31)를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양단부는 연결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부유체(10)를 관통하되 마지막 양 부유체(10)에 각각 너트(33)로 고정되는 와이어커넥터(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홈(34)은 서로 마주하는 각 부유체(10)의 면에 반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1)는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장치(30)는, 해양에서 파도의 움직임에 의한 파손 및 각 부유체(1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연결장치(3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부유체(10)를 연결한 경우를 일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두 개의 부유체(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경우로서, 단면도인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두 부유체(10)의 마주하는 일단부에는 각각 와이어커넥터(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박스(35)가 형성되며, 두 부유체(10)의 연결박스(35) 사이는 와이어커넥터(32)가 관통하도록 관통부(36)도 형성된다.
따라서, 먼저 일측 부유체(10)의 관통부(36)에 와이어커넥터(32)를 끼운후, 연결박스(35)안에서 와이어커넥터(32)의 일단부에 너트(33)를 체결하고, 와이어커넥터(32)의 중간에 완충부재(31)를 끼운 후, 와이어커넥터(32)의 타단부를 타측 부유체(10)의 관통부(36)에 끼워 연결박스(35)안에서 너트(33)를 체결해 연결을 완료한다.
도 6은 하나의 부유체(10)의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다른 부유체(10)를 연결한 경우로서, 상기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면 된다. 다만 도 6에서는 와이어커넥터(32)의 일단부가 부유체(10)를 폭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여 너트(33) 체결된 것이다.
도 7은 복수개의 부유체(10)를 폭방향으로 연결한 경우로서, 복수개의 부유체(10) 사이에는 완충부재(31)가 설치되고, 와이어커넥터(32)는 복수개의 부유체(10)를 폭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면서 각 완충부재(31)도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와이어커넥터(32)의 양단부는 폭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한 양 부유체(10)의 측면에 너트(33)로 체결되어 고정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연결장치(30)를 통해 복수개의 부유체(10)를 연결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부유체(10)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콘크리트 부유체(1)는, 거푸집내에 부력재(4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하게 되며, 제조가 완료되면 콘크리트 부유체(1)의 내부에는 부력재(40)가 내장된 형태가 된다. 물론 상기 부력 조절포켓(15) 등도 형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콘크리트 부유체(1)는 설치장소(수상)까지 운반하여 수상 구조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부유체(1)를 수상에 부유시킨 후, 어느 한 쪽으로 기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기울지 않은 반대편에 위치한 부력 조절포켓(15)에 중량블럭(20)을 채워 부력을 평준화시킨다.
상기에서 콘크리트 부유체(1)의 부력을 균일하게 평준화한 후에는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의 상측 개구부를 덮개(16)로 덮어서 마무리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콘크리트 부유체(1)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장치(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유체(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연결방법은 앞서 설명한 도 5 내지 도 7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된다.
1: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10: 부유체
11: 부력공간 12: 경사부
15: 부력 조절포켓 16: 덮개
20: 중량블럭 30: 연결장치
31: 완충부재 32: 와이어커넥터
33: 너트 34: 완충부재홈
35: 연결박스 36: 관통부
40: 부력재

Claims (3)

  1. 서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의 내부에 밀폐된 부력공간(11)이 형성되며, 외벽이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부유체(10)와,
    상기 부유체(10)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공간(11)내에 채워지는 부력재(40)와,
    상기 부유체(10)의 상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되, 부유체(1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15)과,
    상기 부유체(1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4개의 부력 조절포켓(15)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어 상기 부유체(10) 각 부분의 부력을 균일하게 조절하는 복수개의 중량블럭(20)과,
    상기 부력 조절포켓(15)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16)와,
    상기 각각 분리된 복수개의 부유체(10)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부유체(10)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 부유체(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완충부재홈(34)과, 상기 완충부재홈(34)에 삽입 설치되는 완충부재(31)와, 상기 복수개 부유체(10)의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31)를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양단부는 연결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부유체(10)를 관통하되 마지막 양 부유체(10)에 각각 너트(33)로 고정되는 와이어커넥터(32)로 구성된 연결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0)의 외벽을 형성하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재질은,
    포틀랜드 시멘트 39.95~49.9중량부와 경량골재(Light Weight Aggregate) 50~60중량부와 섬유보강재 0.05~0.1중량부를 혼합한 100중량부 조성물에 물/시멘트의 중량비가 0.35~0.5의 값을 만족하도록 물이 첨가되어 마련되며,
    상기 조성물에는 콘크리트 내부에 미소한 기포를 일정하게 분포시키기 위한 AEA(Air Entraining Agent)제와,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지연시켜, 응결에 필요한 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화지연제(Retarder)와,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감수제(Water Reducing Agent)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40)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KR1020100085785A 2010-09-02 2010-09-02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KR10100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785A KR101000450B1 (ko) 2010-09-02 2010-09-02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785A KR101000450B1 (ko) 2010-09-02 2010-09-02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450B1 true KR101000450B1 (ko) 2010-12-13

Family

ID=4351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785A KR101000450B1 (ko) 2010-09-02 2010-09-02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45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348B1 (ko) * 2011-04-05 2011-12-09 홍경표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KR101119197B1 (ko) * 2011-04-05 2012-03-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291326B1 (ko) * 2012-08-27 2013-07-30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KR101444722B1 (ko) 2013-05-03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운용 방법
KR101492838B1 (ko) * 2014-06-18 2015-02-12 주식회사 제이에너지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
KR20160004808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중량탱크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39202B1 (ko) * 2015-12-23 2016-07-13 (주) 케이오더블유 수상 부력체
KR101811387B1 (ko) * 2017-06-23 2017-12-21 (주)올포랜드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KR101952367B1 (ko) 2018-07-27 2019-05-22 한림코퍼레이션(주) 수상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딩형 심블을 구비한 바지 형태의 플로팅 팩토리 플랫폼
KR102253127B1 (ko) 2020-07-24 2021-05-17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다기능 부유체
KR102270666B1 (ko) * 2019-12-19 2021-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중 조절이 가능한 경량골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5853B1 (ko) 2021-09-27 2023-02-06 정복균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FR3140065A1 (fr) * 2022-09-27 2024-03-29 Safier Ingenierie Plateforme flottante off-shore pour fabrication, assemblage, maintenance et/ou démontage d’éoliennes flottant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97B1 (ko) * 2011-04-05 2012-03-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092348B1 (ko) * 2011-04-05 2011-12-09 홍경표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KR101291326B1 (ko) * 2012-08-27 2013-07-30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KR101444722B1 (ko) 2013-05-03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운용 방법
KR101492838B1 (ko) * 2014-06-18 2015-02-12 주식회사 제이에너지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681257B1 (ko) 2014-07-04 2016-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중량탱크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20160004808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중량탱크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39202B1 (ko) * 2015-12-23 2016-07-13 (주) 케이오더블유 수상 부력체
KR101811387B1 (ko) * 2017-06-23 2017-12-21 (주)올포랜드 부유식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선박
KR101952367B1 (ko) 2018-07-27 2019-05-22 한림코퍼레이션(주) 수상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딩형 심블을 구비한 바지 형태의 플로팅 팩토리 플랫폼
KR102270666B1 (ko) * 2019-12-19 2021-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중 조절이 가능한 경량골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3127B1 (ko) 2020-07-24 2021-05-17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다기능 부유체
KR102495853B1 (ko) 2021-09-27 2023-02-06 정복균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FR3140065A1 (fr) * 2022-09-27 2024-03-29 Safier Ingenierie Plateforme flottante off-shore pour fabrication, assemblage, maintenance et/ou démontage d’éoliennes flottan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450B1 (ko)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KR101092348B1 (ko)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CN103898831B (zh) 一种超高性能混凝土的预制拼装式拱肋及其制作安装方法
KR102166388B1 (ko) 친환경 헥사콘
Bınıci et al. Investigation of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pipes incorporating blast furnace slag and ground basaltic pumice as fine aggregates
KR100954144B1 (ko)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KR102205978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 및 그 제조방법
CN102617085A (zh) 一种用于高速铁路道岔板底座的自密实混凝土
CN105256709A (zh) 由超高性能水泥基复合材料浇筑的超高性能水泥基π形梁
CN105236839A (zh) 防裂抗渗超薄板壳管构件的纤维混凝土及配制方法和应用
KR102125233B1 (ko) 지하 구조물 뒤채움용 유동성 채움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70267447A1 (en) Subsea platform
US20130219808A1 (en)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KR20110020573A (ko)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보강 경량콘크리트 폰툰
KR101255501B1 (ko)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잔교
KR100405164B1 (ko) 산업폐기물 및 폴리머를 이용한 상호연결 복층형 고기능포러스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EA016962B1 (ru) Способ утяжел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труб и утяжеленные пластмассовые трубы
JP3643260B2 (ja) 軽量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
KR20140028361A (ko) 콘크리트파일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파일 시공방법
JP2023019013A (ja) 曝気装置
WO2021006759A1 (ru) Литые и самоуплотняющиеся бетонные смеси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етонов
Abbou et al. Physico-mechanical characterization and durability of stabilized compressed earth bricks in the region of Timimoun in southwestern Algeria
Lukas Laboratory Studies on Compressive Strength of Normal Concrete Using Coral Limestone on Timor Island, East Nusa Tenggara Province as a Substitute for Coarse Aggregate
Reddy Replacement of Natural Sand with Robo/Artificial Sand in Specified Concrete Mix
CN105386563A (zh) 超高性能水泥基h型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