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627B1 -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627B1
KR101810627B1 KR1020170024727A KR20170024727A KR101810627B1 KR 101810627 B1 KR101810627 B1 KR 101810627B1 KR 1020170024727 A KR1020170024727 A KR 1020170024727A KR 20170024727 A KR20170024727 A KR 20170024727A KR 101810627 B1 KR101810627 B1 KR 10181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delete delete
hollow
fixing
hollo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및 운반이 간편하며 지반에의 설치 작업이 앵커블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반에 설치된 네일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외부에서 중공부로 충진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가 구비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주입부를 폐쇄시키며 양측이 개구된 상태로 중공된 드럼 형상의 보강원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 내부에는 충진물을 가압하여 중공부 내 충진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플렉시블한 압축부재가 구비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Anchor block having hollow portion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anchor block}
본 발명은 앵커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한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덕이나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는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된 앵커블록이 설치되는데, 상기 앵커블록은 경사진 지형에 미리 설치시킨 앵커유닛의 노출된 일단부에 연결되어 경사면의 침식을 방지하여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앵커블록은 소정 크기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블록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다수 열을 이루며 경사면 외부를 덮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하, 종래 경사면에 설치되는 앵커유닛 및 상기 앵커유닛에 연결되며 지형 외부에 설치되는 앵커블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언덕이나 산악 지형 등 경사면에 설치되는 앵커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앵커블록(10)은 통상적으로 지반을 상당한 무게로 눌러 안정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재로 제작된 몸체부(11)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1)는 통상 사각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나, 도 1에서와 같이, 재료의 양을 줄이면서도 다수 면적에 걸쳐 지반을 가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윙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일 형태로써, 90도의 간격으로 4개의 윙을 구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를 가지는 앵커블록(1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앵커블록(10)의 몸체부(11) 중앙에는 고정홈(13)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홈(13)은 미리 지형에 설치된 앵커유닛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앵커유닛에 앵커블록이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형성시킨 천공홀(H)에 앵커유닛(50)을 별도의 그라우팅 작업 등을 거치어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앵커유닛(50)의 일단부는 지형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는데, 상기 앵커유닛(50)의 노출된 일단부가 상기 앵커블록(10)의 고정홈(13)을 관통하는 형태로 앵커블록(10)이 설치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고정홈(13)의 외측으로 보조지압판(20)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유닛(50)에 고정볼트(30)를 체결함으로써 앵커유닛(50)과 앵커블록(10)의 고정이 완료된다.
도 3은 상술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방식에 따라 앵커블록이 설치된 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지형상에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 앵커유닛(50) 각각에 앵커블록(10)이 설치되면,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은 모양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종래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진 앵커블록의 경우는 콘크리트의 비중이 큰 관계로 상당한 무게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각 변이 1m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무게가 2톤 이상이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앵커블록의 경우 상기 블록보다 더 큰 형태를 이루어 무게 또한 더욱 상당한 중량을 이루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앵커블록의 이동에 있어서 상당히 많은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게 됨은 설치 작업 또한 어려움과 동시에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앵커블록의 이동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앵커블록의 안정적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설치된 네일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외부에서 중공부로 충진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가 구비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주입부를 폐쇄시키며 양측이 개구된 상태로 중공된 드럼 형상의 보강원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 내부에는 충진물을 가압하여 중공부 내 충진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플렉시블한 압축부재가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 중공부에 각각의 공간부 사이로 충진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격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몸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의 사측 방향으로 네 개의 지지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 개의 지지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보에 상기 주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몸체부를 지반에 가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공에 관통삽입되어 지반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지반에 설치되는 측으로 지반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마찰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앵커블록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한 앵커블록을 이용하여 중량이 가볍게 이루어진 앵커블록의 운반 및 이송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 중공부에 별도의 충진물을 적용하여 지반 보강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종래 앵커블록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블록에 충진물을 주입하지 않고 네일에 설치한 상태에서 앵커블록이 가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부에 완충부재 등을 추가로 삽입하여 충진물의 유동을 막고 전체적으로 앵커블록의 설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블록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경사진 지형에 앵커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경사 지형에 복수 개의 앵커블록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앵커블록의 투영도;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앵커블록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에 충진물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충진물이 주입되는 앵커블록의 측단면도;
도 9는 주입부 둘레부에 내설홈이 구비된 형태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주입부에 개폐부재를 설치한 후 내설홈에 콘크리트 등을 주입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보강원통부와 몸체부가 분리된 앵커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보강원통부가 설치된 앵커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앵커블록의 관통부에 구비된 주입부를 이용 충진물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보강원통부를 앵커블록의 관통부에 설치하여 주입부를 폐쇄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압축부재가 내설된 앵커블록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7은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앵커블록의 배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상기 도 18에 도시된 앵커블록을 경사진 지반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상기 도 18에 도시된 앵커블록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1은 상기 도 20에 도시된 앵커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앵커블록은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즉, 단순한 블록 형태나 또는 원형 형태 등으로도 형상을 이룰 수 있는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중 중앙부에 네일이 관통되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하좌우로 지지보가 형성된 앵커블록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앵커블록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내부투영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은 내부에 중공부(120)가 구비되며 외부에서 상기 중공부(120)로 충진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115)가 구비된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는 상당한 강성을 가지며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우수함과 동시에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중앙부에 관통부(150)가 구비되되, 상기 관통부(150)의 사측 방향으로 네 개의 지지보가 구비된 십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부(115)는 상기 몸체부(110)에 한 개 이상이 구비된다.
즉, 상기 주입부(115)는 상기 네 개의 지지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지보의 전면측은 물론 상부측이나 측부에도 상기 주입부(115)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부재(100)는 상기 주입부(115)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7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부재(170)는 상기 주입부(115)에 스크류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172)와, 상기 몸체부(110)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볼트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주입부(115) 또한 상기 삽입부(172)가 스크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지반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에 충진물을 주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은 먼저 지반(21)에 네일(50)을 설치한 후, 상기 네일(50)에 앵커블록(100)의 관통부(150)가 관통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면서 상기 앵커블록(100) 몸체부(110)를 경사진 지반에 설치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몸체부(110)의 주입부(115)에 주입호스(88)를 연결하여 모래나 흙 또는 콘크리트 등 충진물을 주입시킨다.
이때, 상기 주입부(115)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상기 주입부(115)의 일부는 개방시킨 상태에서 충진물이 주입되도록 하고, 개방된 주입부(115)로 충진물이 배출되는 지를 확인하여 주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충진물의 주입이 모두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개폐부재(170)를 이용하여 개방된 주입부(115)를 폐쇄시킨다.
다음으로는, 상기 몸체부(110) 외부로 노출된 네일(50)에 중앙공(25)이 구비된 지압판(20)을 설치한 후, 고정볼트(30)를 네일(50) 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앵커블록의 설치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앵커블록(100) 내부로 충진물을 충진 시 상기 몸체부(110)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부(110) 내 충진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진물 사이 공극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보다 내실있게 충진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를 공지된 다양한 진동모듈에 연결하여 몸체부(110)를 진동시키면서 충진물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 내 충진된 충진물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물을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주입부(115)를 통하여 별도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예를 들어 일정 크기의 고무나 메모리폼 등의 재질을 상기 주입부(115)로 한 개 이상 주입하여 충진물과 몸체부(110) 내부에 충진물이 부족한 부분에서 생기는 공극이 없어지도록 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반과 몸체부(110) 사이로 별도의 로드셀을 적용하여 상기 충진물이 충진된 앵커블록 몸체부(110)의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충진물의 충진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앵커블록(100)은 네일(50)에 고정시키기 전에 별도로 외부에서 충진물의 주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종래 방식과 동일하게 지반에 설치된 네일에 고정시키고 지압판 및 고정볼트의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 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개폐부재(170)가 설치되는 위치로 상기 개폐부재(170)의 헤드부(174)가 내설되는 내설홈(118)이 상기 주입부(115) 둘레를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내설홈(118)에 상기 헤드부(174)가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내설홈(118)에 상기 헤드부(174)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콘크리트나 몰타르를 채움으로써 개폐부재(170)가 회전에 의하여 주입부(1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원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앵커블록 몸체부의 관통부에 보강원통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몸체부(110)를 구비하되, 충진물이 주입되는 주입부(155)가 상기 중앙 관통부(15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50)에 삽입설치되며 네일이 관통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드럼 형상을 이루는 보강원통부(2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원통부(250)는 철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150)에 설치되어 전술한 지압판(20)과 고정볼트(30)가 네일(50)에 체결 시 걸리는 압축력에 몸체부(110)의 관통부(1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입부(155)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앵커블록은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부(150)에 구비된 주입부(155)로 별도의 주입호스(88)를 연결하여 몸체부(110) 내 중공부(120)로 충진물을 주입한 후, 상기 관통부(150)에 보강원통부(250)를 삽입하여 주입부(155)를 폐쇄하면서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보강원통부(250)의 중앙홀에 지반에 설치된 네일(50)이 관통하도록 하는 형태로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차이점은 내부 중공부(120)에 충진물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보드(188)와 상기 가압보드(188)를 외부로부터 가압하도록 별도의 가압볼트(177)가 구비됨에 있다.
이때, 상기 가압보드(188)가 상기 몸체부(110) 내 중공부(120)에서 일정 영역까지만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부(110)는 중공부(120) 내측으로 단턱부(12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의 경우는 충진물을 주입 후 상기 가압보드(188)와 가압볼트(177)를 이용하여 중공부(120)의 부피를 줄이는 방식으로 충진물을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내밀한 충진 정도를 이룰 수 있게 된고 이에 따라서 앵커블록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차이점은 내부 중공부(120)에 충진물에 의하여 플렉시블하게 모양이 변형되는 압축부재(178)가 구비됨에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물을 지속적으로 충진 시 상기 압축부재(178)를 가압하면서 충진이 이루어지므로 충진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반대로 압축부재(178)가 충진물을 가압하게 되어 중공부(120)내 충진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고정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고정공(214)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12)과, 상기 고정브라켓(212)의 고정공(214)에 관통 삽입되어 지반에 설치되는 쐐기 형태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지반에 설치되는 측으로 지반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마찰돌기부(280)가 구비되어 앵커블록(100)의 지반 설치 후 충진 작업 시 앵커블록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상기 도 18에 도시된 앵커블록을 경사진 지반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200)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110)에 중앙 관통부가 구비되지 않고 주입부(115) 및 개폐부재(170)만 적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몸체부(110) 내측으로 충진물을 주입하기 위한 중공부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앵커블록(200)의 경우는 도 19에서와 같이, 경사진 지반에 앵커블록 몸체부(110)를 소정 위치마다 설치한 후에, 각 앵커블록(200)의 주입부(115)에 충진물을 주입함으로써 지반 보강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앵커블록은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돌기부(220)와, 상기 삽입돌기부(2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부(220)와 고정홈부(240)는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위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 레고 블록 등과 같은 공지된 다른 블록의 결합형태와 동일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의 경우는 도 2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앵커블록을 결합한 상태로 설치 적용이 가능하므로 지반 보강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자 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앵커블록의 설치 적용 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0 및 도 21에서는 몸체부(110)의 측방향으로 앵커블록들이 결합되는 형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앵커블록들이 적층되는 형태로도 상기 삽입돌기부(220)와 고정홈부(240)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 중공부(120)에 다수 개의 격자부가 서로 충진물이 유동 가능하게 연통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중공부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공부는 서로 연통된 형태로 허니컴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충진물의 주입 및 외부 가압에 따른 강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100: 앵커블록 110: 몸체부
115: 주입부 118: 내설홈
120: 중공부 170: 개폐부재
150: 관통부 172: 삽입부
174: 헤드부 177: 가압볼트
178: 완충부재 188: 가압보드
250: 보강원통부

Claims (20)

  1. 지반에 설치된 네일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외부에서 중공부로 충진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가 구비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주입부를 폐쇄시키며 양측이 개구된 상태로 중공된 드럼 형상의 보강원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 내부에는 충진물을 가압하여 중공부 내 충진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플렉시블한 압축부재가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 중공부에 각각의 공간부 사이로 충진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격자부가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몸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관통부의 사측 방향으로 네 개의 지지보가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지지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보에 상기 주입부가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지반에 가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모듈이 더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공에 관통삽입되어 지반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지반에 설치되는 측으로 지반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마찰돌기부가 구비되는,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24727A 2017-02-24 2017-02-24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181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27A KR101810627B1 (ko) 2017-02-24 2017-02-24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27A KR101810627B1 (ko) 2017-02-24 2017-02-24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627B1 true KR101810627B1 (ko) 2017-12-20

Family

ID=6093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727A KR101810627B1 (ko) 2017-02-24 2017-02-24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6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433B2 (ja) * 1989-07-20 1997-02-26 日本基礎技術株式会社 構造体支持工法およびこの工法に使用される構造体支持材
JP2003184100A (ja) * 2001-12-19 2003-07-03 Yoshinori Matsuki 地すべり防止用抑止杭と構造物基礎の支持杭の抑止及び支持力のアップ方法。
JP2003306940A (ja) * 2000-12-25 2003-10-31 Kubota Corp 法面安定化用押圧体
JP2006348606A (ja) * 2005-06-16 2006-12-28 Shin Gijutsu Koei Kk 表面倣い性がある固化材を用いた構造体の構築方法
US20080116348A1 (en) * 2005-01-13 2008-05-22 John Baum Elongated hold down and barrier device
JP2015121061A (ja) * 2013-12-25 2015-07-02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間詰め部材及びこの間詰め部材を用いた斜面安定化用の受圧板の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433B2 (ja) * 1989-07-20 1997-02-26 日本基礎技術株式会社 構造体支持工法およびこの工法に使用される構造体支持材
JP2003306940A (ja) * 2000-12-25 2003-10-31 Kubota Corp 法面安定化用押圧体
JP2003184100A (ja) * 2001-12-19 2003-07-03 Yoshinori Matsuki 地すべり防止用抑止杭と構造物基礎の支持杭の抑止及び支持力のアップ方法。
US20080116348A1 (en) * 2005-01-13 2008-05-22 John Baum Elongated hold down and barrier device
JP2006348606A (ja) * 2005-06-16 2006-12-28 Shin Gijutsu Koei Kk 表面倣い性がある固化材を用いた構造体の構築方法
JP2015121061A (ja) * 2013-12-25 2015-07-02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間詰め部材及びこの間詰め部材を用いた斜面安定化用の受圧板の設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3354A (en) Corrosion-protected anchoring rods for anchoring structural parts in the earth, as well as method of producing anchorings with corrosion-protected anchor rods
KR101793099B1 (ko) 사면 전방 성토부 벽체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전방 성토 공법
KR101353882B1 (ko) 근접 병설 터널의 필라부 선보강 및 굴착 시공 방법
KR102093071B1 (ko)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으로 전단합성 일체화시킨 외부사각 문형 아웃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JP6746264B1 (ja) 法面安定化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206344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967897B1 (ko) 옹벽용 지반보강장치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180005796A (ko) 지반보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02267B1 (ko) 근접병설터널 필라부 보강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5065227B2 (ja) 斜面補強工法
KR101810627B1 (ko) 중공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101024604B1 (ko) 경사부재와 주름관을 이용한 가압식 보강유닛 쏘일 네일링
JP4697875B2 (ja) 軽量盛土用ブロックおよび軽量盛土構造物
PH12020551966A1 (en)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1407965B1 (ko) 터널 상부 선행지보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20210277657A1 (en) Strand-to-threadbar coupler block for prestressed concrete
KR101175741B1 (ko) 이중 그라우팅 주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JP2019085756A (ja) 組積造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102093070B1 (ko)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으로 전단합성 일체화시킨 내부사각 문형 인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KR102083382B1 (ko) 그라우팅 동시주입 강관
JP3810759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835492B1 (ko) 그라우팅 보강장치
KR101547674B1 (ko) 사면보강용 네일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3588B1 (ko) 지반 성토용 타이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