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514B1 -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514B1
KR101809514B1 KR1020110125383A KR20110125383A KR101809514B1 KR 101809514 B1 KR101809514 B1 KR 101809514B1 KR 1020110125383 A KR1020110125383 A KR 1020110125383A KR 20110125383 A KR20110125383 A KR 20110125383A KR 101809514 B1 KR101809514 B1 KR 10180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turbine
utility grid
controlling
frequency
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549A (ko
Inventor
트로엘스 바거
카제이 스코브 닐슨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5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03D7/048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controlling wind f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8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controlling wind motor output power
    • F03D7/0284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controlling wind motor output power in relation to the state of the electric gr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7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by measures acting on the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02J3/06Controlling transfer of power between connected networks; Controlling sharing of load between connected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37Electrical grid status parameters, e.g. voltage, frequency or power dem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풍력 터빈(100)의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129) 제어 방법이 기재되며, 이 방법은: 상기 전기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틸리티 그리드(115)의 상태 신호(f)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 및 풍력 터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ic device of a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전기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전기 장치는 유틸리티 그리드(utility grid; 전기 설비의 계통망)로부터 에너지(energy)를 소비하거나, 유틸리티 그리드로 에너지를 전달하거나, 풍력 발전소로부터 전력을 소비한다.
통상적인 전력 생산 설비에서 많은 풍력 터빈은 전기 에너지를 유틸리티 그리드로 전달할 수 있다. 상업용 및/또는 개인용 소비자는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 얻어진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소비자의 에너지 요구량 또는 전력 요구량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에너지 요구량이 크게 변화하는 동안, 소비자의 에너지 요구량 또는 전력 요구량은 전력 발생기(특히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풍력 터빈)로부터 유틸리티 그리드로 전달되는 에너지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시, 통상의 풍력 터빈에서, 풍력 터빈의 전력 출력 또는 에너지 출력, 특히 풍력 터빈의 컨버터(converter)의 전력 출력은 단기간 동안 증가될 수 있음으로써,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 얻어지는 소비자의 에너지 요구량 및 풍력 터빈으로부터 유틸리티 그리드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의 균형을 향상시킨다. 특히, 소비자의 에너지 요구량이 전력 발생기(특히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풍력 터빈)로부터 유틸리티 그리드로 전달되는 에너지보다 더 큰 경우, 그리드의 주파수가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전력 발생기(특히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풍력 터빈)로부터 유틸리티 그리드로 전달되는 에너지가 소비자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보다 더 큰 경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는 증가할 수 있다.
(유럽의 경우 50Hz 또는 미합중국의 경우 60Hz와 같은)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를 회복하기 위해, 풍력 터빈의 컨버터의 출력이 단기간동안 증가되는 경우, 더 많은 운동 에너지가 풍력 터빈의 로터(rotor)로부터 추출되며, 결과적으로 로터의 회전 속도의 감속을 초래한다. 그에 따라, 풍력 터빈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풍력 터빈의 컨버터의 출력 증가 후에 회복 시간이 후속될 수 있으며, 이때 생산량이 더 낮아질 수 있다.
US 2007/0120369는 유틸리티 및 풍력 터빈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며, 이 풍력 터빈 시스템은 풍력 터빈 발전기의 내부 기준 프레임(internal reference frame)을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이 제어기는 컨버터에 결합되며 내부 기준 프레임에 대한 유틸리티 시스템의 전력 스윙(power swing) 또는 주파수 교란(frequency disturbances)에 응답하여, 컨버터를 통해 전력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낮은 주파수인 경우시 일시적으로 출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풍력 터빈의 컨버터는 일시적으로 과부하가 걸려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부하는 컨버터의 부하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터빈 구동 트레인(turbine drive train) 상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유틸리티 그리드의 안정성이 유지되거나 적어도 개선될 수 있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전력 스윙중에 풍력 터빈의 컨버터에 과부하를 걸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대응하는 단점을 방지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는 독립 청구항에 따른 청구 대상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기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터빈의 (풍력 터빈에 포함되는, 특히 풍력 터빈에 적어도 인접하거나 풍력 터빈의 내부에 있는) 전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전기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특히 2개의 대향 방향으로 전력 흐름을 가능하게 하거나 용이하게 하는) (상업용 및/또는 개인용 소비자에게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제공된)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임의의 신호, 특히 전압, 전류 및/또는 주파수에 관한 것과 같이, 유틸리티 그리드의 전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 접근, 획득, 측정, 결정 및/또는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예를 들면, 일시 중지(shutting downs), 차단(shutting off), 활성화 및/또는 조정과 같이)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태 신호에 좌우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터빈은 전기 장치의 작동이 제어되는 동안, 유휴상태(idle)일 수 있으며,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안, 풍력 터빈의 컨버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풍력 터빈의 작동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관성 응답(inertia response)이 단순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특히, 풍력 터빈의 컨버터는 풍력 터빈의 정격 출력과 내부 소모를 조종하도록 설계될 수 있어서, 측정된 결과 전력 출력이 판매 전력 곡선(sales power curve)의 레벨(level)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일시적인 상황 동안 컨버터에 과부하를 거는 대신,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특히 모든) 불필요한 내부 소모가 단기간 동안 제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풍력 터빈의 기대 수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터빈 작동에 제한된 영향을 미치면서, 컨버터에 과부하를 걸 필요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방법의 총 효과는 임의의 정해진 터빈이 상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제한된 성능을 가질 수 있을 때 다소 통계적일 수 있지만, 통계적으로 이러한 특징은 (1000보다 더 큰 수와 같이) 많은 수의 풍력 터빈이 제어 기능을 가질 때, (특히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에 관한) 그리드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태 신호는 유틸리티 그리드에 공급된 에너지 또는 전력 및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 얻어진 에너지 또는 전력의 비율에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태 신호는 에너지 또는 전력의 생산 및 소비의 비율에 좌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장치(또는 풍력 터빈 내에 포함되는 둘 또는 그보다 많은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특히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에 관한)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동시에, 풍력 터빈의 컨버터와 같은 구성요소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전기 장치의 전력 소모(이는 작동중의 전기 장치에 의해 소모된 전력임) 또는 전기 장치의 유틸리티 그리드로의 전력 전달(이는 유틸리티 그리드로 공급된, 배터리(battery) 또는 축전지와 같은 전기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 또는 에너지일 수 있음)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상태 신호가 상기 풍력 터빈 또는 풍력 터빈들로부터 유틸리티 그리드로 공급되는 에너지 또는 전력이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 상업용 또는 개인용 소비자로 전달되는 에너지 또는 전력보다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전기 장치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고/감소될 수 있거나,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의 전력 전달이 증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 제어 방법은 풍력 터빈의 로터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발전기로부터의 전력을 유틸리티 그리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풍력 터빈은 상기 전기 장치에 또한 연결되는 유틸리티 그리드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한다. 특히, 상기 전기 장치는 내부적으로 풍력 터빈의 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유틸리티에만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풍력 터빈이 (전기 에너지를 산출하지 않는) 유휴 상태일 때 전기 에너지가 작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풍력 터빈의 작동은 풍력 터빈이 에너지를 산출하는지 또는 에너지를 산출하지 않는지 여부에 좌우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 제어 방법은 발전기로부터의 전력을 (예를 들면 50Hz 또는 60Hz와 같이) 미리 결정된 주파수를 갖는 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전력의 변환은 풍력 터빈의 로터로부터 얻어진 에너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정규 컨버터(full converter)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풍력 터빈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 또는 전력을 유틸리티 그리드로 공급하는 것이 용이해 질 수 있다. 특히, 출력의 증가는 그리드 균형(grid balance)을 회복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리드 주파수를 공칭 주파수로 회복시킬 수 있다. 특히, 미리 결정된 주파수는 유틸리티 그리드의 (공칭)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발전기로부터 유틸리티 그리드로 공급된 전력의 양은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 변화시 (적어도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이 기능은 단독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로터 RPM을 감소시키는 다른 유형의 전력 증가(power boost)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되었을 때, 단독으로 컨버터 조절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회복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컨버터 상의 잠재적인 부하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풍력 터빈의 발전기 및/또는 컨버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풍력 터빈의 효율 및/또는 기대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전기 장치 제어 방법은 상태 신호를 기초로 풍력 터빈의 (배터리 또는 축전지, 특히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과 같은) 에너지 버퍼(energy buffer)로부터의 전력을 유틸리티 그리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풍력 터빈 또는 풍력 터빈들의 에너지 산출량보다 소비자의 에너지 요구량이 더 큰 것을 나타냄), 추가의 에너지 또는 전력이 에너지 버퍼로부터 유틸리티 그리드로 공급되어 유틸리티 그리드의 희망 주파수를 적어도 대략 회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 제어 방법은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특히, 측정, 계산(computing), 유도, 접근, 수신 및/또는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함)를 더 포함한다. 특히, 측정 시스템, (예를 들면, 기존의 터빈 제어기 내에 통합되는) 계산 시스템 및/또는 변환 시스템은 상태 신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태 신호의 결정은 풍력 터빈의 제어기 내에서 또는 풍력 터빈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신호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AC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 변화는 전력 소모 및 전력 생산의 불균형이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소모 및 전력 생산의 불균형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많은 소비 장치가 미리 결정된 주파수를 갖는 AC 전력 신호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최적의 전기 조건으로부터의 편차(deviation)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 제어는 50Hz 또는 60Hz와 같은 기준 값과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상기 전기 장치의 전력 소모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감소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의 전력 전달은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증가된다. 그에 따라,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미리 결정된 주파수는 적어도 대략(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전력 소모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임계값만큼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차단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은 예를 들면 0.1Hz, 0.5Hz, 0.05Hz, 0.01Hz 또는 다른 값에 이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장치의 전력 소모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 소모의 점진적인 감소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의 상기 기준값으로부터의 편차가 더 큰 경우에 증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히 그 주파수에 관한)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유틸리티 그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전기 장치(특히 풍력 터빈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인, 풍력 터빈에 인접하거나 풍력 터빈 내에 포함되는 내부 전기 장치); 및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수신된 상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풍력 터빈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 제어 시스템과는 별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풍력 발전 지대 또는 전력 발생 플랜트(plant)의 각각의 터빈은 대응하는 풍력 터빈의 (하나 이상의, 특히 모든) 전기 장치(들)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태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태 신호를 유도, 계산 및/또는 측정하기 위한 계산 시스템, 저장 시스템, 산술/논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태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센서(sensor) 및/또는 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장치는 바람 방향에 대하여 풍력 터빈을 배향시키기 위한 요 모터(yaw motors), 풍력 터빈의 구성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기, 풍력 터빈의 구성요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풍력 터빈의 구성요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 냉각 액체를 순환시키는 펌프(pump),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 및 광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들 유형의 장치의 일부는 풍력 터빈의 작동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력 소모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이 제공된다.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에 대해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개시, 기재, 설명 또는 언급된 특징들은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터빈 시스템은 유틸리티 시스템에 풍력을 공급하도록 작동 가능한 풍력 터빈; 상기 유틸리티 시스템 내의 주파수 변화를 탐지하도록 배열된 그리드 측정 장치; 및 상기 그리드 측정 장치에 의해 탐지된 주파수 변화에 따라 상기 풍력 터빈 내의 하나 이상의 전기 부품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특히, 주파수가 특정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면, 풍력 터빈 내의 전기 부품으로부터의 전력 소모는 감소되거나 스위치 오프될(switched off) 수 있다. 또한, 특히 주파수가 특정 임계값 위로 상승하면, 풍력 터빈 내의 전기 부품으로부터의 전력 소모는 증가되거나 스위치 온될(switched on)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이한 청구 대상들에 대해 기재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일부 실시예는 방법 형식 청구항에 대해 기재된 반면, 다른 실시예는 장치 형식 청구항에 대해 기재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기 및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달리 통지되지 않는 한, 한가지 유형의 청구 대상에 속하는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 이외에, 상이한 청구 대상들에 대한 특징들 사이의, 특히 방법 형식 청구항의 특징들과 장치 형식 청구항의 특징들 사이의 임의의 조합도 본 문서와 함께 개시되는 것으로 간주됨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상기에 한정된 양태 및 다른 양태는 하기에 기재될 실시예들의 예시로부터 명백하며, 실시예의 예시들을 참조로 설명된다.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의 예시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의 예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터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터빈(100) 및 유틸리티 그리드에 연결된 패드 변압기(pad transformer)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풍력 터빈(100)은 로터를 포함하며, 로터는 복수의 로터 블레이드(rotor blade; 107)가 연결되는 로터 샤프트(rotor shaft; 105)를 포함한다. 로터 샤프트는 발전기(109)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발전기는 로터 샤프트(105)의 회전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발전기(109)에 의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는 가변 주파수 AC 전력 신호를 DC 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가변 주파수 AC-DC 컨버터(111)에 공급된다. DC 전력 신호는 주파수 DC-AC 컨버터(113)에 공급되며, 주파수 DC-AC 컨버터(113)는 DC 전력 신호를 50Hz 또는 60Hz와 같은 미리 결정된 공칭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AC 신호로 변환시킨다. AC 전력 신호는 유틸리티 그리드(115)로 공급된다. 유틸리티 그리드 또는 대안적으로 풍력 터빈(100)은 컨버터(113)로부터의 AC 전력 신호 출력을 미리 결정된 전압(또는 미리 결정된 최대 또는 최소 전압)을 갖는 AC 전력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패드 변압기(103)를 포함한다.
풍력 터빈(100)은 풍력 터빈(100)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101)을 더 포함한다. 이 시스템(101)은 풍력 터빈(100)을 바람 방향(119)에 대해 배향시키기 위한 요(117)와 같은 풍력 터빈(100)의 몇몇 전기 장치; 풍력 터빈(100)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 구성요소(121); 풍력 터빈(100)의 구성요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heater; 123); 풍력 터빈(100)의 구성요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125); 유틸리티 시스템(115)으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얻어질 수 없는 경우,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UPS); 127); 및 풍력 터빈(100)의 내부를 조명하거나, 풍력 터빈(100)의 외부를 조명하거나, 풍력 터빈(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129)을 포함한다.
또한, 풍력 터빈(100)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101)은 유틸리티 그리드(115)의 주파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그리드 측정 시스템(131)을 포함한다. 아울러, 이 시스템(101)은 그리드 측정 시스템(131)에 의해 측정된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f)를 수신하는 제어기(133)를 포함한다. 이 제어기(133)는 그리드의 측정된 주파수(f)를 하나 이상의 (50Hz 또는 60Hz와 같은) 기준 값과 비교하고, 이 기준값으로부터 그리드 주파수의 편차를 결정한다. 특히, 그리드 측정 시스템(131)에 의해 측정된 주파수는 유틸리티 그리드(115)의 전기적 조건 또는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를 나타낸다. 그리드 측정 시스템(131)에 의해 측정되거나 결정된 상태 신호를 기초로, 제어기(133)는 풍력 터빈(100)의 하나 이상의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및/또는 129)의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유틸리티 그리드(115)의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또는 기준 값 아래인 경우, 제어기(133)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및/또는 129)를 일시 중지시킬 수 있거나, 이들의 에너지 소모를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가 되도록 적어도 대략 회복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127)이 유틸리티 그리드(115)로 전기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그리드 측정 시스템이 기준 주파수를 초과하는 그리드 주파수를 측정하는 경우, 제어기(133)는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및/또는 129)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킬(turn on) 수 있거나, 이들의 에너지 소모를 적어도 증가시킬 수 있음으로써, 그리드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기준 주파수를 적어도 대략 회복시킨다.
요(117)는 터빈이 적절한 바람 방향으로 향하도록 강한 바람 조건인 동안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약한 바람 조건인 동안 풍력 터빈의 배향은 훨씬 덜 중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요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력 출력에 대한 터빈으로부터의 영향은, 유틸리티 그리드(115)의 주파수가 낮은 레벨에 있는 경우, 몇 초 동안 요의 활성화를 지연시킴으로써 크게 영향받지 않을 수 있다. 요의 활성화 지연에 대한 제한 및 특정 조건은 특정한 적용 및 요구되는 성능에 좌우될 수 있다.
유압 구성요소(121)는 제동 시스템, 요, 피치 각도(pitch angle) 등과 같은 풍력 터빈의 구성요소들의 모든 종류의 움직임을 위해서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움직임의 일부는 특정 조건하에서는 요구되지 않을 수 있어서, 이들 유압 구성요소가 스위치 오프될 수 있거나, 에너지 소모가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히터(123)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베어링, 이 베어링 내의 오일(oil in the bearing), 패널(panel)과 같은 전자 구성요소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발전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풍력 터빈의 대부분의 상태 또는 가동 조건의 경우에, 단기간 동안 대부분의 히터를 불능화시키는 것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기어 박스(gearboxes) 내의 히터, 제어기 및 발전기는 약간의 소모를 나타낼 수 있지만, 방한 포장된 터빈(turbines with cold weather packages)은 중요하게 기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히터 또는 히터의 적어도 일부의 불능화가 단기간동안 가능할 수 있다.
냉각 장치(125)는 컨버터(111, 113)를 냉각시키고, 유압 오일을 냉각시키며, 패널을 냉각시키고, 다른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를 냉각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부분의 상황에 대해, 단기간동안 대부분의 냉각을 불능화시키는 것으로부터 상당한 충격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127)은, 충분히 충전되었을 때, 낮은 주파수 경우동안 충전되지 않음으로써 그리드 안정성에 능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소비형 구성요소가 되는 대신, 터빈이 일시적으로 다소 더 많은 전력을 내보내도록 하는 제어의 작동을 지원하도록 이러한 상황에서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광원은 배터리 및/또는 유틸리티 그리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터빈의 모든 부품에서 빛에 대한 배터리 백업(battery backup)이 존재하더라도, 가능하다면 빛을 일시적으로 흐리게 할 때, 상당한 작업자 안전 문제가 존재할 수 있어서, 이에 임의의 단계들이 매우 주의 깊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UPS)에 대한 것과 유사하게, 이들 배터리 시스템은 소규모로 그리드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개별적인 배터리의 양은 사소하게 보일 수 있지만, 이들 배터리의 결합된 효과는, 터빈이 높은 돌파점(penetration)에 도달하였을 때, 적은 양의 그리드 지원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펌프(126)는 풍력 터빈의 몇몇 구성요소를 냉각시키는 것을 돕도록 냉각 액체를 순환시킨다.
터빈(1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풍력 터빈(100)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형("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재된 요소들은 결합될 수 있다. 청구항의 참조 부호들은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됨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Claims (15)

  1. 풍력 터빈(wind turbine; 100)의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129)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틸리티 그리드(utility grid; 115)의 상태 신호(f)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신호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를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기 장치의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전력 소모가 감소되고,
    상기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129)는 풍력 터빈(100)의 구성요소인,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상기 풍력 터빈으로부터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에 공급되는 에너지 또는 전력이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 상업용 소비자 또는 개인용 소비자에게 보내지는 에너지 또는 전력보다 작다는 것을 상기 상태 신호가 나타낼 경우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의 전력 전달을 증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풍력 터빈의 로터(rotor)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발전기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로부터의 전력을 공칭 주파수(nominal frequency)를 갖는 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 공급된 전력의 양은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의 변화시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신호를 기초로 풍력 터빈의 에너지 버퍼(energy buffer)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의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전력 소모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임계값만큼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에 차단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9.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으로서:
    유틸리티 그리드(115)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129); 및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상태 신호(f)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133);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신호는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를 기준 값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기 장치의 유틸리티 그리드로부터의 전력 소모가 감소되고,
    상기 전기 장치(117, 121, 123, 125, 127, 129)는 풍력 터빈(100)의 구성요소인,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measurement system; 131)을 더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는 바람 방향에 대하여 풍력 터빈을 배향시키기 위한 요 모터(yaw motor; 117), 풍력 터빈의 구성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기(121), 풍력 터빈의 구성요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heater; 123), 풍력 터빈의 구성요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125),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127), 광원(129) 및 냉각 액체를 순환시키는 펌프(pump; 12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125383A 2010-11-26 2011-11-28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809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EP10192749 2010-11-26
EP10192749.9A EP2458205B1 (en) 2010-11-26 2010-11-2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ic device of a wind tur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49A KR20120057549A (ko) 2012-06-05
KR101809514B1 true KR101809514B1 (ko) 2017-12-15

Family

ID=4397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383A KR101809514B1 (ko) 2010-11-26 2011-11-28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04392B2 (ko)
EP (1) EP2458205B1 (ko)
JP (1) JP5963424B2 (ko)
KR (1) KR101809514B1 (ko)
CN (1) CN102545254B (ko)
AU (1) AU2011226934B2 (ko)
BR (1) BRPI1105497B1 (ko)
CA (1) CA2759305C (ko)
DK (1) DK245820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1842T3 (es) * 2009-06-29 2016-03-01 Vestas Wind Systems A/S Turbina eólica que proporciona soporte a la red de distribución
EP2679809A1 (en) 2012-06-28 2014-01-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sponding to a grid event, such as fast frequency drop, by combining demand response, inertial response and spinning reserve
US9500182B2 (en) 2012-12-06 2016-11-22 Vestas Wind Systems A/S Three-phase AC electrical system, and a method for compensating an inductance imbalance in such a system
WO2014090255A1 (en) * 2012-12-14 2014-06-19 Vestas Wind Systems A/S Method and arrangement for swift power regulation
US20140343744A1 (en) * 2013-03-14 2014-11-20 The Powerwise Group Inc. Autonomous smart grid demand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DE102013206119A1 (de) * 2013-04-08 2014-10-09 Wobben Properties Gmbh Windenergie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ndenergieanlage
EP2851558B1 (en) 2013-09-18 2017-07-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controlling a wind turbine
US9458828B2 (en) * 2013-12-09 2016-10-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trolling wind power plant with negative power capability to respond to grid frequency instability
CN103807096B (zh) * 2014-02-18 2016-08-17 江苏金风科技有限公司 风力涡轮机及其控制方法
KR101526115B1 (ko) * 2014-04-07 2015-06-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3차원 조사 장치
DE102016003276A1 (de) * 2016-03-18 2017-09-21 Senvion Gmbh Windenergieanlage mit einem Leistungskontrollmodul
DE102016124135A1 (de) * 2016-12-13 2018-06-14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von Windenergieanlagen
US11434871B2 (en) * 2018-01-25 2022-09-06 Vestas Wind Systems A/S Black start restoration
CN111648915B (zh) * 2020-05-21 2021-04-16 浙江大学 风力发电机的冷却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EP4194685A1 (en) * 2021-12-07 2023-06-14 General Electric Renovables España S.L. A method for operating a wind turbine and a wind turb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505A (ja) * 2001-10-12 2003-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
JP2005328622A (ja) * 2004-05-13 2005-11-24 Shikoku Res Inst Inc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7506887A (ja) * 2003-08-07 2007-03-22 ヴェスタス,ウィンド,システムズ エー/エス 機能異常中の電力網に接続されている風力タービンを制御する方法、制御システム、風力タービン、及び一群の風力タービン
US20100060000A1 (en) * 2008-09-08 2010-03-11 Scholte-Wassink Hartmut Wind turbine having a main power converter and an auxiliary power converter and a method for the control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893A (ja) * 1997-08-26 1999-03-09 Hitachi Eng & Services Co Ltd ハイブリッド発電システム
WO2005046044A1 (en) * 2003-11-06 2005-05-19 Varispeed Electric Motors Pty Ltd A variable speed power generator having two induction generators on a common shaft
US7345373B2 (en) 2005-11-29 2008-03-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and wind turbine control
US20090160187A1 (en) * 2007-12-19 2009-06-25 Scholte-Wassink Hartmu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ind farm in a balanced state
DK2235367T3 (en) * 2007-12-21 2016-06-27 2-B Energy Holding B V Wind farm
ES2338396B1 (es) * 2007-12-27 2011-04-08 GAMESA INNOVATION & TECHONOLOGY S.L. Instalacion de energia eolica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US8198742B2 (en) * 2007-12-28 2012-06-12 Vestas Wind Systems A/S Variable speed wind turbine with a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and rotor and grid inverters that use scalar controls
ES2588915T3 (es) * 2008-06-30 2016-11-07 Vestas Wind Systems A/S Método de control de una central eólica
EP2166225B1 (en) * 2008-09-19 2016-08-10 Vestas Wind Systems A/S A wind park having an auxiliary power supply
CN101981310B (zh) * 2009-06-05 2013-10-30 三菱重工业株式会社 风力发电装置及其控制方法、风力发电系统
JP5550283B2 (ja) * 2009-08-06 2014-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風力発電装置の制御方法、風力発電システム及び風力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8046109B2 (en) * 2009-12-16 2011-10-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s for operating a wind turb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505A (ja) * 2001-10-12 2003-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
JP2007506887A (ja) * 2003-08-07 2007-03-22 ヴェスタス,ウィンド,システムズ エー/エス 機能異常中の電力網に接続されている風力タービンを制御する方法、制御システム、風力タービン、及び一群の風力タービン
JP2005328622A (ja) * 2004-05-13 2005-11-24 Shikoku Res Inst Inc 電力供給システム
US20100060000A1 (en) * 2008-09-08 2010-03-11 Scholte-Wassink Hartmut Wind turbine having a main power converter and an auxiliary power converter and a method for the control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5254B (zh) 2017-04-12
KR20120057549A (ko) 2012-06-05
JP5963424B2 (ja) 2016-08-03
EP2458205B1 (en) 2016-10-19
US8704392B2 (en) 2014-04-22
BRPI1105497B1 (pt) 2020-03-31
AU2011226934A1 (en) 2012-06-14
AU2011226934B2 (en) 2015-09-03
DK2458205T3 (en) 2017-01-30
BRPI1105497A2 (pt) 2015-07-07
CA2759305A1 (en) 2012-05-26
CA2759305C (en) 2019-05-07
JP2012112385A (ja) 2012-06-14
CN102545254A (zh) 2012-07-04
US20120133133A1 (en) 2012-05-31
EP2458205A1 (en)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514B1 (ko) 풍력 터빈의 전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7153676B2 (ja) 蓄電ユニットを使用するグリッド損失中の風力タービンの動作
JP5198791B2 (ja) 風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風力発電所
ES2554368T5 (es)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 una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durante una pérdida de red eléctrica
EP2360375B1 (en)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dissipating unit in a wind turbine
US8742609B2 (en) Power management during grid faults
CN103403346A (zh) 基于电网特性动态调节发电厂输出
AU2004293645A1 (en) Renewable energy resources
JP2013183491A (ja) 風力発電制御装置
TWI393320B (zh) System stabilization devices, methods, an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KR101415461B1 (ko) 풍력발전 열원화 시스템
DK201970717A1 (en) Short term power supply to a critical load of an auxiliary system
JP2018182775A (ja) 風力発電装置の出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