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660B1 -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 Google Patents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660B1
KR101808660B1 KR1020160072161A KR20160072161A KR101808660B1 KR 101808660 B1 KR101808660 B1 KR 101808660B1 KR 1020160072161 A KR1020160072161 A KR 1020160072161A KR 20160072161 A KR20160072161 A KR 20160072161A KR 101808660 B1 KR101808660 B1 KR 10180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ter melon
essential oil
water
bath
octyldod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터멜론(Bitter Melon)이 함유된 입욕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터멜론(Bitter Melon) 추출물; 및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을 물에 가용화시키는 가용화제를 포함하는 입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터멜론(Bitter Melon)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 및 피부 질환 등의 개선 효과가 높고, 상기 비터멜론(Bitter Melon) 추출물이 가용화제에 의해 물(목욕물)에 최적으로 가용화되어 지속적인 약리 효과 등을 갖는다.

Description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BATH ADDITIVE COMPOSITION INCLUDED BITTER MELON}
본 발명은 목욕(입욕) 시에 사용되는 입욕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터멜론(Bitter Melon)을 함유하여 항균 및 피부 질환 등의 개선 효과가 높고, 물(목욕물)에 최적으로 가용화될 수 있어 지속적인 약리 효과 등을 가지는 입욕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있어, 목욕(입욕) 시에 욕조의 목욕물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입욕제가 증가 추세에 있다. 입욕제는 욕조에 혼합 시 거품을 형성하는 거품형 입욕제, 꽃잎이나 약재를 이용한 티백 입욕제, 및 분말상의 기능성 성분을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우더 입욕제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51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8351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6366호 등에는 입욕제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천연 식물을 이용한 입욕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천연 식물로는 주로 쑥, 홍삼 및 편백나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식물을 이용한 입욕제는 약리 성분이나 향을 함유하며, 이는 욕조의 물과 어우러져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물론, 그의 약리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용자의 병을 치유하는 의학적인 효능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식물을 입욕제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추출 공정을 통해 얻어진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상기 식물 추출물은 정유(essential oil) 형태의 오일로서 입욕제에 첨가된다. 편백나무로부터 추출된 편백 에센셜 오일(Cypress essential oil)이 대표적이다.
편백 에센셜 오일은 다량의 피톤치드를 함유하며, 이는 알레르기성이나 민감성 피부 등의 피부 질환에 효능이 있고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여 피부질환을 개선해주며, 가려움을 진정시켜 주면서 세균이 피부 내에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편백 에센셜 오일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데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시켜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효능이 있고, 스트레스 완화, 심리안정과 같은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편백 에센셜 오일 등의 식물 오일(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종래 기술의 입욕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편백나무 등의 천연 식물로부터 추출된 대부분의 식물 오일은 지용성(수불용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는 욕조 내의 물(목욕물)에 균일하게 혼합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식물 오일을 욕조에 넣을 경우, 욕조 내의 물(목욕물)이 불투명해져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줄 수 있고, 식물 오일의 대부분이 물(목욕물)의 표면으로 부유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물 오일의 주요 성분은 휘발성 성분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물(목욕물)의 표면에 부유하는 경우, 대부분이 휘발되어 그의 약리 작용이나 아로마테라피 등의 효과가 떨어지고 장시간 지속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51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83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6366호
이에, 본 발명은 비터멜론(Bitter Melon)을 함유하여 항균 및 피부 질환 등의 개선 효과가 높고, 물(목욕물)에 최적으로 가용화될 수 있어 지속적인 약리 효과 등을 가지는 입욕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터멜론(Bitter Melon) 추출물; 및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을 물에 가용화시키는 가용화제를 포함하는 입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가용화제는 옥틸도데세스류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비터멜론 추출물과 옥틸도데세스류를 1 : 0.2 ~ 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입욕제 총 중량 기준으로 비터멜론 0.1 내지 10 중량%; 옥틸도데세스류 0.2 내지 12 중량%; 알코올 1 내지 15 중량%; 및 보습제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터멜론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 및 피부 질환 등의 개선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은 가용화제에 의해 물(목욕물)에 최적으로 가용화된다. 이에 따라, 외관이 투명하고 욕조 내의 물(목욕물)에 균일하게 혼합되며 휘발이 최대한 방지되어, 항균 및 피부 질환 등 약리 효과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 등이 극대화되고 우수한 지속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비터멜론(Bitter Melon)을 함유하는 입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물에 혼합하여 사용되며, 이는 구체적으로 목욕(입욕) 시에 욕조 내의 물(목욕물)에 혼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비터멜론(Bitter Melon) 추출물; 및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을 물에 가용화시키는 가용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액상 타입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비터멜론(Bitter Melon)은 여주라고 불리우며, 이는 박과의 덩굴식물로서 정식 학명은 모모르디카 카란티아(Momordica charantia)이다. 비터멜론(여주)는 여러 가지 기능성 약리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병 및 당뇨병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비터멜론의 원산지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인도를 비롯한 열대 아시아 지역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터멜론은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진 장수지역인 일본의 오키나와에서도 예로부터 많이 먹고 있는 식품 중의 하나이며, 이는 오키나와 방언으로 고야라고 부르고 있다. 최근에는 경제 선진국들에서 인기 높은 건강 농산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재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원래 비터멜론은 더위로 인해 식욕이 없거나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먹었다. 더위로 식욕이 없을 때 비터멜론을 먹으면 쓴맛이 위를 자극하여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이 생긴다고 한다. 또한, 비터멜론은 건위나 정장 작용도 있으며, 동남 아시아의 전통 의학에선 피부병, 야맹증, 기생충, 류머티스, 당뇨, 통풍 및 신체 허약 등에 효과가 있는 식품으로 여겨 이용해 왔다.
비터멜론에는 비타민 C가 100g 중 120mg이나 들어 있으며, 이는 딸기의 80mg, 양배추의 40mg, 레몬의 90mg을 크게 웃도는 양이다. 더구나 비터멜론의 비타민 C는 수분이 많은 과육에 들어있기 때문에 가열해도 거의 파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비터멜론에는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바뀌는 베타-카로틴과 함께 칼륨, 철 등과 같은 미네랄 성분의 함유량도 많다.
비터멜론에 함유된 성분들 중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는 것은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식물 인슐린(p-insulin)과 카란틴(charantin)이란 성분이다. 식물 인슐린은 체내에서 인슐린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펩타이드의 일종으로 비터멜론의 열매와 씨에 많이 들어 있다. 식물 인슐린은 간에서 당분(포도당)이 연소되도록 돕고, 이는 또한 포도당이 체내에서 재합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카란틴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지용성 성분이다. 이들 두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 비터멜론은 당뇨병 환자 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세계 각국에서 연구자들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위와 같은 효능/효과를 가지는 비터멜론 추출물을 항균 작용, 약리 작용 및 아로마테라피 등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에 함유되어, 예를 들어 항균 효과, 피부 질환(알레르기, 아토피염 등) 개선 등의 약리 효과,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진정 작용 등의 아로마테라피 효과 등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은 일반적인 추출 공정을 통해 비터멜론(여주)으로부터 얻어진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은 비터멜론(여주)의 열매, 입, 줄기 및/또는 뿌리 등을 용매 추출이나 압착 추출 등의 추출 공정으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은 비터멜론의 열매, 입, 줄기 및/또는 뿌리를 정유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정유 추출액(에센셜 오일)이나, 물 및/또는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은 정유(essential oil) 형태의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은 지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물(목욕물)에 가용화되기 어렵다. 특히, 정유 형태로서의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이 그러하다. 상기 가용화제는 이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용화제는 위와 같은 비터멜론 추출물, 즉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물(목욕물)에 가용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용화제에 의해 비터멜론 추출물이 물에 가용화되어 투명성을 갖게 함은 물론, 물(목욕물)에 균일하게 분산 혼합된다. 이때, 가용화제에 의해 미셀(Micelle)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셀은 콜로이드 분산계에 속하여 용액 내에서 브라운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용화제는 욕조의 물(목욕물)에 혼합 시 손으로 저어주는 등의 물리적 수단 없이도 자연적으로 욕조 내에서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균일한 혼합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가용화제는 옥틸도데세스(Octyldodeceth)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옥틸도데세스류로는, 예를 들어 옥틸도데세스-5(Octyldodeceth-5), 옥틸도데세스-10(Octyldodeceth-10), 옥틸도데세스-16(Octyldodeceth-16), 옥틸도데세스-20(Octyldodeceth-20) 및 옥틸도데세스-25(Octyldodeceth-25)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옥틸도데세스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위와 같은 옥틸도데세스류는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욕조 내의 물에 가용화시키는 가용화제로서 특정된다.
액상 타입의 제형에 있어서, 가용화 대상 물질(식물 오일)과 가용화제의 조합은 매우 중요하다. 가용화 대상 물질로서 식물로부터 얻어진 식물 오일 성분을 가용화시킬 수 있는 물질로는 계면활성제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든 계면활성제가 식물 오일을 효과적으로 가용화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용화시킨다 하더라도 많은 량을 사용해야 한다. 이때, 많은 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많은 실험적 고찰에 따르면, 상기 옥틸도데세스류는 일반적인 다른 계면활성제보다 비터멜론 추출물, 즉 지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가용화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옥틸도데세스류는 낮은 함량을 사용(첨가)하여도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효과적으로 가용화시켜 피부 안전성을 갖게 함을 알 수 있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과 옥틸도데세스류를 1 : 0.2 ~ 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 옥틸도데세스류 = 1 : 0.2 ~ 5의 중량비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대하여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량이 0.2 중량비 미만인 경우,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에 따른 가용화력이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량이 5 중량비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 안정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과 옥틸도데세스류를 적어도 포함하되,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서 알코올 및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옥틸도데세스류, 알코올 및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은, 예를 들어 에탄올 및/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 보습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1, 3-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글리세레스-26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다른 형태에 따라서, 물(정제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물(정제수 등)을 더 포함하여 투명한 액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물(정제수 등)를 더 포함하여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이 물(정제수 등)에 혼합되어 있되, 상기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에 의해 물(정제수 등)에 가용화(균일하게 분산 용해)되어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수용액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필요에 따라서 색소, 방부제, 천연 식물 추출물, 한방 약재 추출물 및/또는 산화 안정화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성분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로는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입욕제 총 중량 기준으로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0.1 내지 10 중량%,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 0.2 내지 12 중량%, 알코올 1 내지 15 중량% 및 보습제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잔량은 물(정제수) 및/또는 부가 성분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 비율에 있어서,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이의 사용에 따른 효과(약리 효과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 등)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지고 제형 안정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인 경우,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에 따른 가용화력이 미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 안정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은 0.1 내지 0.8 중량%, 0.1 ~ 0.5 중량%, 또는 0.2 ~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는 0.2 ~ 10 중량%, 0.2 ~ 5 중량%, 또는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알코올 및 보습제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 이들의 사용에 따른 희석, 소독 및/또는 보습 등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고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잔량으로서 물(정제수)은 예를 들어 30 ~ 92 중량%를 포함될 수 있으며, 부가 성분들은 상기 각 성분들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어 각각 0.001 ~ 10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입욕제의 제조방법으로서, 비터멜론으로부터 얻어진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알코올 및 가용화제를 혼합, 교반하여 알코올상의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정제수와 보습제를 용해시킨 수상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용액을 교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상 용액에 상기 알코올상의 용액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알코올상의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가용화제로서 옥틸도데세스류를 사용하되, 상기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과 옥틸도데세스류를 1 : 0.2 ~ 5의 중량비로 혼합, 교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여 항균, 피부 질환 개선,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진정 작용 등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물(목욕물)에 가용화시키는 가용화제(바람직하게는, 옥틸도데세스류)를 포함하여, 비터멜론 추출물(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이 물 위에 뜨지 않아 휘발이 최대한 방지되며, 욕조 내의 목욕물에 균일하게 혼합되고 투명한 외관을 갖는다. 아울러, 위와 같은 가용화에 의해 약리 효과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 등이 높고 지속성이 극대화되며, 부가적으로 제형 안정성과 피부 안정성 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는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1 내지 3]
< 항균 시험 >
잘 건조된 비터멜론의 열매를 정유 추출장치에서 추출한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비터멜론 추출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액체배지에 0.2 중량%(추출물 시료 1)와 0.5 중량%(추출물 시료 2)로 희석하고, 지루성 피부염균으로 잘 알려진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를 50 ㎕씩 접종한 후, 24시간 교반하면서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농도별 세균생육억제율(%)을 평가하였다. 이때, 대조군 시료로는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넣지 않은 액체배지에 지루성 피부염균(Malassezia furfur)을 접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세균생육억제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세균생육억제율(%) = [(대조군 시료의 흡광도 - 추출물 시료의 흡광도)/대조군 시료의 흡광도] x 100
< 항균 시험 결과 >
비 고
세균생육억제율(%)
추출물 시료 1(0.2중량%)
43.8
추출물 시료 2(0.5중량%)
58.2
상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비터멜론으로부터 얻은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비터멜론 추출물)은 피부염균에 대해 항균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입욕제 조성물 제조 >
상기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비터멜론 추출물)을 이용하되,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함량)으로 다음과 같이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은 조성 비율로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에탄올(75wt% 수용액) 및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를 약 45℃에서 충분히 혼합, 교반하여 에탄올상의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정제수와 보습제를 실온에서 용해시킨 수상 용액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상 용액을 디스퍼 믹서(Disper Mixer)에 넣어 천천히 교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에탄올상의 용액을 천천히 투입하고, 투입 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라 가용화제(옥틸도데세스류)의 종류를 달리하였다. 하기 [표 2]에서, 각 성분의 함량(중량%)은 입욕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한 것이다.
[비교예 1 및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옥틸도데세스류 대신에 캐스터 오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옥틸도데세스류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옥틸도데세스류 대신에 화장품 분야에서 기포 세정력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로서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olyethylene glycol-40 hydrogenated castor oil)(비교예 1)과,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olyethylene glycol-60 hydrogenated castor oil)(비교예 2)을 사용하였다.
< 입욕제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중량% >
비 고 성 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에탄올상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0.1 0.1 0.1 0.1 0.1
에탄올 6.0 6.0 6.0 6.0 6.0


가용화제
옥틸도데세스-16 0.3 - - - -
옥틸도데세스-20 - 0.3 - - -
옥틸도데세스-25 - - 0.3 - -
PEG1 ) - - - 0.3 -
PEG2 ) - - - - 0.3

수상
보습제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3-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위에서,
PEG1 ) : 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이고,
PEG2 ) :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이다.
< 투명도 평가 >
가용화는 제형의 투명도가 높을수록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각 실시예(1 ~ 3) 및 비교예(1 ~ 2)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에 대하여, 육안 관찰을 통해 투명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투명도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투명도
투명 투명 투명 불투명 불투명
상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가용화제로서 옥틸도데세스류를 사용한 실시예 1 ~ 3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투명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옥틸도데세스류가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대한 가용화력이 우수하여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이 옥틸도데세스류에 의해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가용화제로서 캐스터 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1 ~ 2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불투명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내지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각 실시예(4 ~ 8)에 따라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과 옥틸도데세스류(가용화제)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때, 실시예 4 ~ 6의 경우에는, 옥틸도데세스류의 함량을 0.3 중량%로 하되,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을 0.5 중량%(실시예 4), 1.0 중량%(실시예 5) 및 1.5 중량%(실시예 6)로 달리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 및 8의 경우에는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을 1.0 중량%로 하되, 옥틸도데세스류의 함량을 0.1 중량%(실시예 7) 및 6.0 중량%(실시예 8)로 달리하였다. 각 실시예 4 ~ 8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입욕제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중량% >
비 고 성 분 함량 (중량%)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에탄올상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0.5 1.0 1.5 1.0 1.0
에탄올 6.0 6.0 6.0 6.0 6.0
옥틸도데세스-16(가용화제) 0.3 0.3 0.3 0.1 6.0

수상
글리세린(보습제) 10.0 10.0 10.0 10.0 10.0
1,3부틸렌글라이콜(보습제) 5.0 5.0 5.0 5.0 5.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고객 관능 테스트 >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과 옥틸도데세스류(가용화제)의 함량에 따른 고객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성인 20 ~ 35세 분포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각 평가 항목에 대해 절대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때, 일반적인 입욕제의 사용법에 따라 물이 채워진 욕조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 100ml를 혼합한 다음, 목욕 시 아로마테라피 효과와 피부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으며, 상기 성인 여성들에 대하여 아래의 평가 기준에 따라 아로마테라피 효과와 피부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로 평가하게 한 다음, 이들을 종합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 매우 만족 : 5점
- 만족 : 4점
- 보통 : 3점
- 나쁨 : 2점
- 매우 나쁨 : 1점
< 고객 관능 테스트 결과 >
비 고
실시예 비교예
1 4 5 6 7 8 1 2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중량%)
0.1 0.5 1.0 1.5 1.0 1.0 0.1 0.1
옥틸도데세스류의
함량(중량%)
0.3 0.3 0.3 0.3 0.1 6.0 - -
캐스터 오일의
함량(중량%)
- - - - - - 0.3 0.3
만족도 평가 결과
(평균값)
7.2 8.2 9.4 7.4 6.4 6.6 4.8 4.5
< 제형 안정성 >
입욕제 조성물의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과 옥틸도데세스류(가용화제)의 함량에 따른 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1 ~ 8)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에 대하여, 온도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15℃, 0℃, 및 45℃의 각 항온조에 4주간 보관한 후, 분리 현상을 육안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분리 현상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양호", 분리 현상(불투명해지거나 응집물(부유물)이 관찰)이 발생된 경우에는 "미흡"으로 평가하였다.
<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
1 2 3 4 5 6 7 8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의
함량(중량%)
0.1 0.1 0.1 0.5 1.0 1.5 1.0 1.0
옥틸도데세스류의
함량(중량%)
0.3 0.3 0.3 0.3 0.3 0.3 0.1 6.0
-15℃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미흡 양호
0℃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미흡 양호
45℃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먼저,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이 비교예보다 우수한 관능 평가 결과(고객 만족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대한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량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시예 1, 실시예 4 ~ 6의 경우가 실시예 7 및 8보다 다소 우수한 결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대한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량에 따라 제형 안정성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량이 낮은 경우(실시예 7)에는 저온에서 제형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및 2의 경우에는, 실온에서도 불투명하고 부유물이 존재하므로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예를 통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옥틸도데세스류는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캐스터 오일)와 비교하여, 낮은 함량으로도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효과적으로 가용화시켜 우수한 투명도, 고객 만족도(아로마테라피 효과 및 피부 안정성) 및 제형 안정성 등을 갖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량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며, 실시예 1 ~ 6에서와 같이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대해 옥틸도데세스류의 사용량이 0.2 ~ 5 중량비인 경우(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2 ~ 5 중량%로 사용된 경우)에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입욕(목욕) 시에 욕조 내의 물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입욕제에 있어서,
    비터멜론(Bitter Melon)으로부터 얻어진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및
    상기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물에 가용화시키는 가용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가용화제는 옥틸도데세스류를 포함하고,
    상기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과 옥틸도데세스류를 1 : 0.2 ~ 5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투명하고,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제는,
    알코올과 보습제를 더 포함하되,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 0.1 내지 10 중량%;
    옥틸도데세스류 0.2 내지 12 중량%;
    알코올 1 내지 15 중량%; 및
    보습제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5. 제4항에 따른 입욕제의 제조방법이고,
    비터멜론(Bitter Melon)으로부터 얻어진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에 알코올 및 가용화제를 45℃에서 혼합, 교반하여 알코올상의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물과 보습제를 용해시킨 수상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용액을 교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상 용액에 상기 알코올상의 용액을 투입한 후, 1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상의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가용화제로서 옥틸도데세스류를 사용하되, 상기 비터멜론 에센셜 오일과 옥틸도데세스류를 1 : 0.2 ~ 5의 중량비로 혼합,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20160072161A 2016-06-10 2016-06-10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KR10180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61A KR101808660B1 (ko) 2016-06-10 2016-06-10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61A KR101808660B1 (ko) 2016-06-10 2016-06-10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660B1 true KR101808660B1 (ko) 2017-12-13

Family

ID=6094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161A KR101808660B1 (ko) 2016-06-10 2016-06-10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6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891A (ja) * 2003-11-17 2005-06-09 Ogawa &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891A (ja) * 2003-11-17 2005-06-09 Ogawa &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693B1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263B1 (ko)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20200029981A (ko)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3217B1 (ko)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CN105853260A (zh) 一种尿布皮炎霜及其制备方法
CN107184448A (zh) 一种具有预防痘痕生成的祛痘霜
KR20210017590A (ko)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8115B1 (ko) 미꾸라지추출물을 이용한 화장용 크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101777622B1 (ko)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JPH10139676A (ja) 抗アレルギー性皮膚外用組成物
CN107468609A (zh) 一种用于蚊虫叮咬后的皮肤修护组合物以及含有该种组合物的水基体系
KR101808660B1 (ko) 비터멜론이 함유된 입욕제
KR20170116334A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223359B1 (ko) 햄프추출원료가 포함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11322627A (ja) 抗アレルギー性皮膚外用組成物
RU2253433C2 (ru) Лечебный защит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крем &#34;венерогея&#34;,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экстракт &#34;венерогея&#34; для крема или бальзама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7623B1 (ko) 편백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입욕제 조성물
KR20190074618A (ko) 한약재 발효액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천연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1072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KR100441131B1 (ko) 천연 향유를 함유하는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