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889B1 -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889B1
KR101806889B1 KR1020160176876A KR20160176876A KR101806889B1 KR 101806889 B1 KR101806889 B1 KR 101806889B1 KR 1020160176876 A KR1020160176876 A KR 1020160176876A KR 20160176876 A KR20160176876 A KR 20160176876A KR 101806889 B1 KR101806889 B1 KR 10180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ic
graphic
distance
adjacent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에 의하면, 치아 영상 모델에서 선택된 객체의 윤곽을 기점으로 확장되는 동심도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인접객체와 교차되는 동심도형의 순번과 동심도형의 간격을 기초로 치아 영상 모델의 객체간 거리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GRAPHIC FOR DESIGNING DENTAL RESTORATION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수복물 설계 프로그램에서 객체 간 거리표현에 관한 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임플란트, 크라운, 틀니 등 기존 치아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치아 수복물 제작시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 프로그램상에서 설계하고, 설계 결과물에 따라 3D 프린터 등으로 출력하여 실물로 생성한다.
치아 수복물은 인접 치아와의 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통한 설계시 환자의 3차원 구강 모델을 통해 수복될 치아와 인접한 치아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수복물의 적절한 크기와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접한 치아 또는 인접 수복물과의 거리를 제공하는 별도의 표시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프로그램도 상당수였으며, 거리 표시수단을 제공하더라도 거리 표시수단의 시작점과 끝점이 객체의 곡선에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아 거리 측정의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곧 제작된 치아 수복물의 정확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작된 치아 수복물을 환자에게 실제 적용하면 잘 맞지 않거나 환자에게 통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인접객체와의 거리를 사용자의 시각적 판단에 상당부분 의존함으로써 치아 수복물의 설계 결과물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접객체와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픽 수단을 제공하여 설계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각 단계가 컴퓨터를 통해 수행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은, 환자의 치아 배열에 대응하는 치아 영상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치아 영상 모델 상의 적어도 일 이상의 객체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상기 객체의 윤곽(Contour)에 대응하는 기준도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도형을 등간격으로 확장하여 상기 기준도형과 동심관계를 가지는 다중 동심도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도형과 상기 동심도형을 상기 치아 영상 모델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도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선택된 상기 객체의 윤곽을 뷰 평면으로 투영하여 상기 기준도형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객체는 상기 환자의 치아 배열에 실재하는 객체 또는 가상으로 생성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는, 환자의 치아 배열에 대응하는 치아 영상 모델을 생성하는 모델생성부; 상기 치아 영상 모델 상의 적어도 일 이상의 객체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선택된 상기 객체의 윤곽에 대응하는 기준도형과 상기 기준도형을 등간격으로 확장하여 상기 기준도형과 동심관계를 가지는 다중 동심도형을 상기 치아 영상 모델에 생성하는 도형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기준도형 또는 상기 동심도형과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가 교차하면 상기 동심도형의 생성을 위한 확장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기준도형의 모든 위치에서의 접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준도형을 확장하여 상기 동심도형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 동심도형 사이의 간격정보 또는 상기 각 동심도형의 순번정보를 표시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인접객체간 거리를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기준도형 또는 상기 동심도형 중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와 교차되는 도형을 다른 도형과 구분되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교차지점을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형생성부는,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동심도형을 생성하는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간격정보에 따라 상기 동심도형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기준도형과 상기 동심도형이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형생성부는, 설정된 숫자의 배수에 대응하는 순번의 동심도형이 다른 동심도형과 구분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심도형의 개수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는, 상기 객체의 수정에 따라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와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동심도형의 개수, 색상, 및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도형수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형수정부는, 상기 객체의 수정에 따라 변경되는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상기 인접객체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동심도형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형수정부는, 상기 객체의 수정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상기 인접객체와의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동심도형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거리가 감소하면 상기 동심도형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형수정부는, 상기 객체의 수정에 따라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상기 인접객체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객체간 최소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동심도형의 색상을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변경시키고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수복물을 설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객체의 윤곽에 대응되는 기준도형을 기점으로 형성되는 동심도형을 활용함으로써 객체 간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객체와 교차되는 동심도형의 순번을 기초로 객체 간의 거리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나의 객체만 선택하고 정렬 등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거리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의 흐름도; 및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도형과 동심도형이 치아 영상 모델에 생성된 것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는 치아 수복물의 컴퓨터 지원 설계시 활용되는 그래픽을 제공한다. 참고로, 치아 수복물은 크라운, 틀니, 임플란트, 치아 브릿지(Bridge) 등 기존 치아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100)는 모델생성부(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 도형생성부(30), 및 도형수정부(40)를 포함한다.
모델생성부(10)는 환자의 치아 배열에 대응하는 치아 영상 모델을 생성한다. 치아 영상 모델은 치아 배열이 나타나는 2차원, 3차원 등의 다차원 영상 모델로서,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Computed Tomography, CT), 구강 스캔 영상 등을 기초로 영상 정합, 분할(Segmentation) 등의 영상 처리를 거쳐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치아 영상 모델에 치아 수복물에 관한 라이브러리(미도시)로부터 기본 모델을 불러와 환자에 적합하게 가공함으로써 환자 맞춤형의 치아 수복물 설계가 이루어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함으로, 마우스, 키보드, 버튼, 키패드 등의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입력 메뉴와 처리 결과 등을 비롯하여 각종 영상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입출력을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입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는 치아 수복물 설계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인접객체와의 거리 측정이 필요한 치아 영상 모델 상의 객체를 선택받는다. 여기서, 객체는 치아 영상 모델에 나타나는 구조로서, 치아, 시술완료된 크라운 및 임플란트와 같이 이전부터 환자의 치아 배열에 존재하였던 실재 객체뿐 아니라,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하여 프로그램상에서 생성된 가상 객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형생성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선택된 객체인 제1 객체의 윤곽(Contour)에 대응하는 기준도형을 생성하고, 기준도형을 등간격으로 확장하여 다중의 동심도형을 생성한다. 여기서, 동심도형은 기준도형과 중심이 같고, 크기만 다른 도형을 의미한다.
기준도형과 동심도형은 치아 영상 모델에 중첩 형성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제공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기준도형을 기점으로 확장되는 다중 동심도형이 제1 객체와 인접하는 제2 객체와 서로 교차될 때, 교차되는 해당 동심도형이 몇 번째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하여 객체간 거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형생성부(30)는 선택된 제1 객체의 윤곽을 뷰 평면(View plane)으로 투영(Projection)하여 기준도형을 생성한다. 이에 따르면, 기준도형은 화면으로 보는 방향에서 객체의 최대 윤곽 형상을 가지는 2차원 도형으로서, 단일폐곡선(Simple closed curve)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투영을 통해 생성된 기준도형은 화면의 DPI(Dots Per Inch)를 기초로 픽셀(pixel) 단위의 화면 좌표(Screen coordinate)에서 mm 단위의 논리 좌표(Logical coordinate)로 변환되어 논리 좌표계에 맵핑(Mapping)된다.
한편, 도형생성부(30)는 기준도형을 등간격으로 확장하여 동심도형을 생성하되, 이때, 기준도형의 모든 위치에서의 접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이 이루어진다. 도형생성부(30)는 제1 객체에 대응하는 기준도형 또는 동심도형이 제1 객체와 인접한 제2 객체와 교차되기 전까지 등간격으로 동심도형을 생성하며, 교차되면 동심도형의 생성을 종료한다.
여기서, 확장되는 간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아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제1 객체 및 제1 객체와 인접한 제2 객체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확장되는 간격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일정 기준이상으로 멀 때 확장되는 간격이 너무 조밀하면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에 많은 동심도형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제2 객체와 교차하는 동심도형의 순번을 카운팅(Counting)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가까울 때 확장되는 간격이 지나치게 크면 동심도형이 제2 객체와 교차하지 않거나 또는 교차하더라도 제1 객체와 가까운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서 동심도형이 교차되므로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최단거리를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도형생성부(30)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에 따라 동심도형을 생성하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형생성부(30)는 선택된 제1 객체의 수정에 따라 제1 객체의 크기나 형상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기준도형이 변경되고, 이와 함께 동심도형이 변경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제1 객체의 크기나 형상이 변경되면 변경된 객체에 대응하여 기준도형 및 동심도형을 재생성한다.
이에 반하여, 제1 객체의 수정시 크기나 형상의 변경 없이 단순히 위치만 변경되면, 기준도형의 형상은 동일하고 제1 객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위치만 변경되면 되므로 기준도형의 재생성이 불필요하다. 다만, 위치 이동에 따라 제1 객체와 제2 객체간의 거리가 변경되므로, 동심도형의 생성간격이나 개수 등은 변경될 수 있다.
도형수정부(40)는 이와 같이, 객체의 수정에 따라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동심도형의 개수, 색상, 간격 등을 변경한다.
예컨대, 수정에 따라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동심도형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거리가 멀어지면 제2 객체와의 교차지점이 멀어지므로 동심도형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많이 멀어지면 동심도형의 생성간격을 늘리고, 거리가 많이 가까워지면 동심도형의 생성간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수정에 따라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최소기준보다 가까워지면 기준도형과 동심도형의 색상을 빨강색 등으로 변경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그래픽 제공 장치(100) 구성의 유기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모델생성부(10)는 CT 영상, 스캔영상의 정합, 분할 등의 과정을 거쳐 환자의 치아 배열에 대응하는 치아 영상 모델을 생성한다(S10).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치아 영상 모델 상에 나타난 객체를 선택받는다(S20). 전술된 바와 같이, 객체는 치아 영상 모델 생성 전부터 환자에 존재하였던 치아, 시술완료된 크라운, 임플란트 등 실재 객체뿐 아니라, 치아 영상 모델을 기초로 설계 중인 가상 크라운, 임플란트, 어버트먼트(Abutment) 등의 가상 객체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는 치아 영상 모델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객체가 선택되면, 도형생성부(30)는 선택된 제1 객체를 뷰 평면에 투영하여 뷰 방향에서 최대 윤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기준도형을 생성하고, 기준도형의 외곽의 모든 위치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기준도형을 확장하여 기준도형과 동심관계를 가지는 다중 동심도형을 생성한다(S30). 동심도형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일정하다. 이와 같이 생성된 기준도형 및 다중 동심도형은 치아 영상 모델에 중첩 표시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제공된다(S4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도형 및 다중 동심도형이 3차원 치아 영상 모델에 생성된 것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선택된 객체(301)의 윤곽에 대응하는 기준도형(R)과 기준도형(R)을 기점으로 등간격으로 확장시켜 생성된 다중 동심도형(C1, C2, C3, C4)이 표시된 예를 보여준다.
기준도형(R)은 객체(301)의 윤곽에 대응하여 객체(301)의 표면상에 중첩 표시되며, 동심도형(C1, C2, C3, C4)은 기준도형(R)을 중심으로 동심관계를 가지고, 일정 간격마다 위치한다. 여기서 동심도형(C4)은 인접객체(303)와 P1 지점에서 교차됨을 알 수 있고, 사용자는 동심도형(C1, C2, C3, C4) 간의 간격 d를 알고 있으므로 객체(301, 303) 간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동심도형(C1, C2, C3, C4) 간의 간격 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선택된 객체(301)와 인접객체(303)의 거리가 5mm 이하일 때에는 간격 d가 1mm, 5~10mm일 때에는 d가 1.5mm 등으로 선택된 객체(301)와 인접객체(303) 간의 거리에 따라 간격 d의 설정기준을 마련해 놓고, 이를 기초로 간격 d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기준도형(R)과 동심도형(C1, C2, C3, C4)을 표시할 때, 동심도형(C1, C2, C3, C4) 사이의 간격 d에 관한 정보와 각 동심도형(C1, C2, C3, C4)의 순번정보를 함께 표기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접객체(303)와 교차되는 동심도형(C4)의 순번 4와 간격 d를 곱하여 객체(301, 303) 간의 거리를 쉽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설정된 숫자의 배수에 대응하는 순번의 동심도형은 선의 굵기나 색깔, 형태 등을 다른 동심도형과 달리하여 다른 동심도형과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심도형의 개수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동심도형의 순번이 3의 배수에 해당하는 동심도형의 선을 굵게 표시하거나 점선 등으로 다른 동심도형과 달리 표현하면 사용자는 이와 같이 달리 표현된 동심도형이 총 몇 번 표시되는지 카운팅함으로써 동심도형의 전체 개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객체(303)와 교차되는 동심도형(C4)의 색상이나 패턴 등을 다른 도형(R, C1, C2, C3)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교차되는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치아 수복물 설계시 요구되는 객체 간의 최소 간격에 관한 기준을 미리 설정해두고, 해당 기준 이상으로 객체 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다중 동심도형의 색상을 모두 빨강색을 표시하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등으로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할 수 있을 것이다.
치아 수복물 설계과정에서 치아 영상 모델은 실제에 비하여 확대/축소되어 표시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거리를 단순히 숫자로 나타내면 절대적인 수치는 알 수 있지만 확대/축소된 치아 영상 모델 대비 상대적인 거리 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영상 모델의 확대/축소 비율에 대응하여 기준도형과 동심도형이 화면에 표시되는 크기가 함께 조절되므로 인접객체와 교차되는 동심도형의 순번과 동심도형의 간격정보를 이용하여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객체의 위치 이동시에도 동심도형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치아 영상 모델에 중첩 표시되는 기준도형(R) 및 동심도형(C1, C2, C3, C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하여 미리 결정된 이벤트 발생시에, 예컨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아이콘이 선택된 객체 근처에 위치할 때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드래깅(Dragging)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도형과 동심도형이 3차원 치아 영상 모델에 생성된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선택된 객체(401)와 인접객체(403)의 거리가 도 3의 두 객체(301, 303)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을 감안하여, 동심도형(C1, C2, C3, C4)의 생성간격을 더 좁게 설정한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객체의 거리에 따라 동심도형의 생성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두 객체의 최단거리에 보다 가까운 지점에서 교차가 이루어지게 하여 정확한 거리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수정되거나 추가되어 적용될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치아 수복물 설계과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객체의 형상이 수정되면 기준도형이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기준도형과 동심도형을 재생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위치가 이동되면 인접객체와의 거리가 변경되므로 도형수정부(40)가 변경된 거리에 대응하여 동심도형의 개수, 색상, 간격 등을 수정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객체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동심도형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거리가 멀어지면 동심도형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정에 따라 객체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객체간 최소거리보다 가까워지면 동심도형의 색상을 빨강색 등으로 변경시킴과 동시에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의 거리가 많이 가까워지면 동심도형의 간격을 더 좁게 변경하여 객체간 최단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100) 및 방법에 의하면, 객체의 윤곽에 대응되는 기준도형을 기점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중 동심도형을 활용함으로써 객체 간 거리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거리에 대응하여 도형의 개수, 간격, 색상 등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통하여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모델생성부 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0: 도형생성부 40: 도형수정부

Claims (17)

  1. 각 단계가 컴퓨터를 통해 수행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 배열에 대응하는 치아 영상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치아 영상 모델 상의 적어도 일 이상의 객체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상기 객체의 윤곽(Contour)에 대응하는 기준도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도형을 등간격으로 확장하여 상기 기준도형과 동심관계를 가지는 다중 동심도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도형과 상기 동심도형을 상기 치아 영상 모델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도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선택된 상기 객체의 윤곽을 뷰 평면으로 투영하여 상기 기준도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환자의 치아 배열에 실재하는 객체 또는 가상으로 생성한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 환자의 치아 배열에 대응하는 치아 영상 모델을 생성하는 모델생성부;
    상기 치아 영상 모델 상의 적어도 일 이상의 객체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선택된 상기 객체의 윤곽에 대응하는 기준도형과 상기 기준도형을 등간격으로 확장하여 상기 기준도형과 동심관계를 가지는 다중 동심도형을 상기 치아 영상 모델에 생성하는 도형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기준도형 또는 상기 동심도형과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가 교차하면 상기 동심도형의 생성을 위한 확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기준도형의 모든 위치에서의 접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준도형을 확장하여 상기 동심도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 동심도형 사이의 간격정보 또는 상기 각 동심도형의 순번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기준도형 또는 상기 동심도형 중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와 교차되는 도형을 다른 도형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동심도형을 생성하는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간격정보에 따라 상기 동심도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기준도형과 상기 동심도형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생성부는,
    설정된 숫자의 배수에 대응하는 순번의 동심도형이 다른 동심도형과 구분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수정에 따라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선택된 상기 객체와 인접하는 인접객체와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동심도형의 개수, 색상, 및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도형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수정부는,
    상기 객체의 수정에 따라 변경되는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상기 인접객체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동심도형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수정부는,
    상기 객체의 수정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상기 인접객체와의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동심도형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거리가 감소하면 상기 동심도형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수정부는,
    상기 객체의 수정에 따라 선택된 상기 객체 및 상기 인접객체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객체간 최소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상기 동심도형의 색상을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변경시키고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장치.
KR1020160176876A 2016-12-22 2016-12-22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80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76A KR101806889B1 (ko) 2016-12-22 2016-12-22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76A KR101806889B1 (ko) 2016-12-22 2016-12-22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889B1 true KR101806889B1 (ko) 2017-12-08

Family

ID=6091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876A KR101806889B1 (ko) 2016-12-22 2016-12-22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844A (ko) * 2018-07-09 2020-01-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악궁 라인을 이용한 치아 셋업 장치 및 그 방법
WO2023191577A1 (ko) * 2022-04-01 2023-10-05 주식회사 레이 다이렉트 3d 프린팅용 투명교정 장치를 위한 쉘 디자인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2234A (ja) 2010-03-31 2011-10-27 Olympus Corp 歯科画像処理装置、歯科用測色装置、歯科画像処理方法および歯科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613159B1 (ko) 2014-12-31 2016-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 자동 정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2234A (ja) 2010-03-31 2011-10-27 Olympus Corp 歯科画像処理装置、歯科用測色装置、歯科画像処理方法および歯科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613159B1 (ko) 2014-12-31 2016-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 자동 정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844A (ko) * 2018-07-09 2020-01-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악궁 라인을 이용한 치아 셋업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1078B1 (ko) 2018-07-09 2020-03-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악궁 라인을 이용한 치아 셋업 장치 및 그 방법
WO2023191577A1 (ko) * 2022-04-01 2023-10-05 주식회사 레이 다이렉트 3d 프린팅용 투명교정 장치를 위한 쉘 디자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4392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modifying a digital three-dimensional model of a dentition
US9245374B2 (en) Space carving in 3D data acquisition
US10346504B2 (en) 3D modelling of bodies
US113548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djustment of a model
EP3527163B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modifying a digital three-dimensional model of a dentition
KR102132369B1 (ko) 치아 분할 시스템 및 방법
JP2013192939A (ja) 歯根破折のインタラクティブな検査の方法
KR102086685B1 (ko) 객체조정 ui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806889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20220168074A1 (en) Method for graphically presenting a plurality of scans
KR102138919B1 (ko) 보철물 파라미터 조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1949202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422534B1 (ko)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8898B1 (ko) 보철물의 교합면 수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KR102493440B1 (ko) 3차원 모델로부터 대상체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3차원 모델 처리 장치
KR20230007909A (ko) 3차원 모델 상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방법 및 3차원 모델 처리 장치
CN116457835A (zh) 从三维模型确定对象体区域的方法和三维模型处理装置
KR20220019149A (ko) 마진라인 포인트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KR20240043506A (ko)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145598A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KR20210155456A (ko) 보철물의 인접치 컨택 수정 방법, 인접치 컨택 수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210017370A (ko) 치과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