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506A -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506A
KR20240043506A KR1020220122678A KR20220122678A KR20240043506A KR 20240043506 A KR20240043506 A KR 20240043506A KR 1020220122678 A KR1020220122678 A KR 1020220122678A KR 20220122678 A KR20220122678 A KR 20220122678A KR 20240043506 A KR20240043506 A KR 2024004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monitoring box
processor
reference lin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윤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506A/ko
Publication of KR2024004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5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1Computed x-ray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부가 복수개의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CT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CT 데이터 내 상기 복수개의 치아를 연결하는 기준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준 라인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하도록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모니터링 박스 내에서, 상기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HU(Hounsfield Unit) 값들을 복수의 컬러로써 구분하여 컬러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lor map}
본 개시는 환자 치아에 대한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환자의 치아 또는 구강 정보가 포함된 CT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 치아에 대한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환자 치아의 손상 또는 상실 여부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을 통해 인공 치아로 대체하는 시술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임플란트 시술 전 임플란트 식립 시 환자 구강에 대한 안정성 및 임플란트 식립 위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T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치과 의사는 환자 치아의 CT 데이터를 획득하여 임플란트 식립 위치, 임플란트 식립 방향성, 뼈(Bone)의 형태, 길이 및 폭을 결정함으로써 최종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결정하였다. 임플란트 시술 시 임플란트 식립 위치 부근의 뼈 또는 연조직의 유무 및 골밀도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다.
종래에는 치과에서 환자의 치아 CT 데이터를 획득하고 MPR(Multi Planner Reformation) 영상에서 뼈(Bone) 레벨을 판독하는 기술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현재 MPR 영상에서의 뼈 레벨 판독 기술은 피질골(Cortical bone) 및 치조골(Alveolar bone) 형상의 판독은 가능하나, 골밀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MPR영상에는 뼈 레벨이 흑백으로만 표현되어 그레이 진하기의 정도, 밝기의 정도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골밀도에 따른 컬러 표현이 명확하지 않아 환자의 치아 CT 데이터에서 연조직(Soft tissue) 및 치은(Gingiva)의 경계 점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 MPR 영상은 영상 필터를 제공하지만 환자의 치아 및 구강에 대한 골밀도, 치조골, 치은, 연조직의 정확한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임플란트 식립 위치 주변의 본 레벨을 판독하는데 있어서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서의 골밀도 정보 획득, 연조직 및 치은의 경계 점을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161043(2020.09.23), 영상데이터에서 치아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환자의 치아 CT 데이터에서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서의 골밀도, 연조직 및 치은의 경계점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하여 MPR 영상에서 환자 치아의 골밀도 정도를 컬러 맵으로 이미지화 함으로써, 뼈의 단단한 정도와 뼈를 감싸는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소아, 무치악, 인종 등에 따라 각각 최적화된 위치에서의 환자 치아를 MPR 영상에서 컬러 맵으로 이미지화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 주변의 뼈 형성 판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포함한다.
한편,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수신부가 복수개의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CT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CT 데이터 내 상기 복수개의 치아를 연결하는 기준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준 라인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하도록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모니터링 박스 내에서, 상기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HU(Hounsfield Unit) 값들을 복수의 컬러로써 구분하여 컬러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을 연결하여 획득되는 미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 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교합 면 및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점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과 하측 끝 점 간의 거리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준 점은 상기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라인 상에서 단위 거리만큼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크기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하거나 신규 라인 기준 점을 추가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라인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 내의 절단 기준 점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 기준 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절단 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중점과 상기 위치 기준 점이 서로 대응하도록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컬러 맵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CT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CT 데이터 내 상기 복수개의 치아를 연결하는 기준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 라인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하도록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 내의 HU(Hounsfield Unit) 값으로 구분된 컬러 맵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을 연결하여 획득되는 미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점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과 하측 끝 점 간의 거리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또는 디바이스는 환자의 치아 CT 데이터 내에서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3D Zoom 기능을 활용하여 모니터링 박스의 HU(Hounsfield Unit)값으로 나타낼 수 있고, MPR(Multi Planner Reformation)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하고자 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또는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박스의 MPR 영상을 HU 값 기반으로 박스 영역을 가시화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컬러 뼈(Color Bone) 영역의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고 모니터링 박스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 및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또는 디바이스는 MPR 영상을 HU 값으로 판독하기 때문에 해부학 구조 상태를 컬러 값으로 진단할 수 있고 임플란트 식립 위치의 뼈의 높낮이, 뼈의 밀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또는 디바이스는 기준 라인 및 미드 라인을 결정하고 모니터링 박스를 기준 라인 또는 미드 라인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자 각 치아의 예상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서의 컬러 맵을 제공할 수 있고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서의 뼈 확인에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또는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박스 영역을 컬러 맵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컬러에 따라 뼈의 단단한 정도와 뼈를 감싸는 해부학적 구조 및 연조직과 치은의 경계 지점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기준 라인을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기준 라인을 갱신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치아의 길이 또는 일정 비율에 기초하여 미드 라인을 획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치아 분할에 기초하여 미드 라인을 획득하는 일 예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MPR 영상 및 HU 값 기반의 뼈 레벨 MPR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가 갱신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모니터링 박스 내의 절단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러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부(110)는 복수개의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CT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를 연결하는 기준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준 라인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하도록 치아의 형상이 치아의 골밀도에 따라 상이한 컬러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박스 내의 HU(Hounsfield Unit)값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모니터링 박스 내의 HU 값을 나타내는 컬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프로세서(120)가 생성한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디바이스(100)는 CT 이미지 데이터 또는 2차원/3차원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명세서 전반에서 기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신호 처리 모듈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 또는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모니터링 박스 내의 HU 값을 나타내는 컬러 맵을 생성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저장부, 수신부(110), 송신부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모니터링 박스 내의 HU 값을 나타내는 컬러 맵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를 통해 복수개의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CT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10). 대상체는 환자의 전체적인 구강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를 연결하는 기준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S220). 기준 라인은 임플란트 식립 위치 결정 및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서의 뼈 확인을 위해 기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 라인은 복수개의 상악 치아 및 복수개의 하악 치아에 대한 교합 면을 따라 또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지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준 점들을 연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라인은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을 연결하여 획득되는 미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치아 각각의 정중앙에 대응되는 지점을 중심 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되는 복수의 중심 점을 연결하여 미드 라인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드 라인은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교합면 및 복수개의 치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치아 각각의 정중앙에 대응되는 지점 이외에도 복수개의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과 하측 끝 점 사이 거리의 일정 비율에 대응되는 지점을 중심 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상악 치아 및 복수개의 하악 치아에 대한 교합 면을 따라 또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지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준 점을 연결하여 기준 라인(31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기준 라인(310)에서의 정중앙 지점을 X방향으로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Z방향으로 생성되는 중심 평면(510) 및 하악 끝 지점을 X방향으로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Z방향으로 생성되는 하악 평면(520) 사이 거리의 일정 비율에 대응되는 지점을 미드 라인(320)이 획득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악치아 및 하악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치아의 기준 라인에서의 대응되는 하악 치아의 상측 끝 점과 하악 끝 점 사이의 거리를 100% 비율로 나타내었을 때 하악 치아의 상측 끝 점에서 하악 끝 점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40%가 되는 지점, 하악 끝 점에서 하악 치아의 상측 끝 점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60%가 되는 지점을 미드 라인(320)에서의 기준 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모든 하악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에서 하악 끝 점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40%이고, 하악 끝 점에서 상측 끝 점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60%가 되는 지점을 각각의 치아에 대한 기준 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되는 복수개의 기준 점을 연결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 일정 길이 또는 비율을 적용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하악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을 지나는 복수개의 직선이 포함되도록 Z축 방향으로 생성되는 평면인 하악 치아 상측 평면(530) 및 복수개의 하악 치아 각각의 하측 끝 점을 지나는 복수개의 직선이 포함되도록 Z축 방향으로 생성되는 평면인 하악 치아 하측 평면(540) 사이의 거리를 100% 비율로 나타내었을 때 하악 치아 상측 평면(530)에서 하측 평면(540)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60%가 되는 지점, 하악치아 하측 평면(540)에서 하악 치아 상측 평면(530)으로의 거리 비율이 40%가 되는 지점을 각각의 치아에 대한 기준 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되는 복수개의 기준 점을 연결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의 (b)는 하악 치아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악 치아에서의 복수의 기준 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악치아의 경우에는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상악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에 대응되는 상측 평면에서 상악 치아 복수개의 상악 치아 각각의 하측 끝 점에 대응되는 하측 평면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60%이고 상악 치아 하측 평면에서 상악 치아 상측 평면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40%가 되는 지점을 각각의 치아에 대한 기준 점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되는 복수개의 기준 점을 연결하여 상악 치아에 대응되는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기준 라인(31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 하면, 결정된 기준 라인을 일정 길이 또는 비율만큼 이동 시켜 치아에 대한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빠른 시간 내에 환자 치아에 대한 기준 라인(310) 및 미드 라인(320)을 대략적으로 결정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치아의 일정 길이 또는 비율에 있어서, 40%, 60% 또는 60%, 40%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 또는 기설정 비율 값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평면(510) 및 하악 평면(520) 사이에서의 일정 길이 또는 거리 비율에 있어서 40%, 60% 비율을 적용하고, 하악치아 상측 평면(530) 및 하악 치아 하측 평면(540) 사이에서의 일정 길이 또는 거리 비율에 있어서 60% 40% 비율을 적용할 경우 가장 적합한 위치에서의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으나, 환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다른 비율 값을 적용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중심 평면(510) 및 하악 평면(520) 사이에서의 거리에 따른 기설정 비율은 중심 평면(510)에서 하악 평면(520) 빙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30%, 하악 평면(520)에서 중심 평면(510)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70%일 수 있고, 하악치아 상측 평면(530) 및 하악 치아 하측 평면(540) 사이에서의 거리에 따른 기설정 비율은 상측 평면(530)에서 하악 치아 하측 평면(540)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70%, 하악 치아 하측 평면(540)에서 상측 평면(530) 방향으로의 거리 비율이 30%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610)은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기설정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개의 치아를 세분화하여 치아 각각의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함에 따라 전악 치아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각 치아의 중심 점(610)을 결정하기 위한 기설정 중심 좌표 값에 기초하여 분할된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 기설정 중심 좌표 값이 대응되는 지점을 각 치아의 중심 점(6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설정 좌표 값은 복수개의 치아 각각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각각의 개별 치아의 중심 점(610)을 결정하기 위한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분할된 각 치아 마다 결정되는 치아의 중심 점(610)을 연결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중심 좌표 값에 기초하여 각 치아 마다 대응되는 차이의 중심 점(610)을 결정하여 기준 라인(310) 및 미드 라인(320)을 획득하기 때문에 환자 치아에 대한 정확도 높은 기준 라인(310) 및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준 라인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하도록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230). 일 실시 예에서, 위치 기준 점은 기준 라인(310)에 포함된 복수의 기준 점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위치 기준 점과 모니터링 박스의 중점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의 중점과 위치 기준 점이 서로 대응되는 지점을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은 마우스 클릭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기준 라인(310) 내의 한 지점을 마우스 클릭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모니터링 박스의 중점이 중첩되도록 하여 모니터링 박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별도의 제 1 사용자 입력이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기준 라인 정중앙 기준 점에 모니터링 박스의 중점이 중첩되도록 하여 모니터링 박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기준 점은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기준 라인 상에서 단위 거리만큼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따라 기준 라인 상에 또는 기준 라인 정중앙 지점에 디스플레이된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스크롤을 위로 조작함에 따라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는 기준 라인을 따라 왼쪽으로 단위 거리만큼(예: 1mm) 이동 및 변경될 수 있고 스크롤을 아래로 조작함에 따라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는 기준 라인을 따라 오른쪽으로 단위 거리만큼(예: 1mm) 이동 및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박스 내의 HU 값을 나타내는 컬러 맵을 생성할 수 있다(S24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 내의 영역을 가시화하여 각 영역을 상이한 컬러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 내 치아의 영역을 밀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컬러로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뼈의 HU 값은 700에서 3000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연조직(Soft tissue)의 HU 값은 100에서 300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각 HU 값에 대응되는 컬러를 결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0)는 각 HU 값(밀도)에 대응되는 복수의 컬러를 나타내는 컬러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컬러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HU 값에 따라 대응되는 컬러가 기설정 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250).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 내의 각 영역에서 HU 값에 따라 대응되는 컬러를 결정하여 대응되는 컬러 맵을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생성된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 박스 내의 각 영역을 HU 값(밀도)에 따라 상이한 컬러로 결정하여 컬러 맵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30)가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박스 내부의 뼈 레벨(골밀도의 정도)을 확인할 수 있는 3D 모델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이한 컬러에 따라 뼈의 단단한 정도, 치조골, 치은, 연조직 등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어 사용자는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기준 라인(310)을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S2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상악 치아 및 복수개의 하악 치아에 대한 교합 면을 따라 또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지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준점을 연결하여 기준 라인(31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기준 라인(310)은 미드 라인(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프로세서(120)는 도 3의 (a)에서 결정된 기준 라인(310)을 일정 길이 또는 비율만큼 상하로 이동 시킴으로써 치아에 대한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기준 라인(310)을 갱신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410)에 기초하여 기준 라인(31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410)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하거나 신규 라인 기준 점을 추가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기준 라인(310)을 갱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라인 기준 점(410)은 기준 라인(3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기준 점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410)은 치아 중심 점과 동일한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고 상이한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치아 중심 점은 복수개의 치아 내에 위치하는 기준 점을 의미할 수 있고 라인 기준 점(410)은 치아 내에 위치하는 기준 점 또는 S220에서 결정된 기준 라인(310) 상에 치아, 잇몸, 연조직 등의 위치에 포함되는 모든 기준 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라인 기준점(410)은 기준 라인(310) 내에 위치하며, 치아 내 또는 잇몸, 연조직, 치아와 치아 사이(신경) 등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추가 기준 점(Add point) 및 기준 점 삭제(Remove point)에 대한 입력을 수신 받을 수 있는 '갱신 입력 창(4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된 추가 기준 점 및 기준 점 삭제에 대한 갱신 입력 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할 수 있고 우 클릭 또는 좌 클릭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하나의 라인 기준 점(410)의 위치에서 우 클릭을 하면 “Add point” 및 “Remove point” 선택 입력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Remove point” 영역을 좌 클릭하면 해당하는 라인 기준 점(410)이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Add point” 영역을 좌 클릭하고 원하는 위치에 좌 클릭하면 해당하는 위치에 신규 라인 기준 점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410)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2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추가된 신규 라인 점에서 좌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기준 라인(310) 내 라인 기준 점(410)과 신규 라인 점을 연결하여 기준 라인(310)을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기준 라인(310)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한 후 원하는 라인으로 기준 라인(310)을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기준 라인(310) 결정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치아의 길이 또는 일정 비율에 기초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에서 프로세서(120)는 단계 S2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 평면(510) 및 하악 평면(520) 사이에 일정 길이 또는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적용된 길이 또는 비율에 대응되는 지점의 위치에 생성되는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 모두 각각의 하악 치아의 상측 끝 점과 하악 끝 점에서의 40%, 60% 되는 지점을 각각의 치아에 대한 기준 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S2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하악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 및 복수개의 하악 치아 각각의 하측 끝 점 에서의 각각 60%, 40% 되는 지점을 각각의 치아에 대한 기준 점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복수개의 기준 점을 연결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치아 분할에 기초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하는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a), (b), (c), (d), (e), (f), (g) 순서의 흐름에 따라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S2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치아를 세분화 하여 치아 각각의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함에 따라 전악 치아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설정 중심 좌표 값에 기초하여 치아 각각에 좌표 값이 대응되는 지점을 각 치아의 중심 점(6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610)을 연결하여 미드 라인(32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 의 (f)에서 기준 라인(310) 및 모니터링 박스(600) 내에 포함되는 사각형으로 표시된 영역 내의 점과 같이 모니터링 박스(600)의 중점의 위치는 미드 라인(320)을 포함하는 기준 라인(310) 내 복수의 기준 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600) 내 영역에 대응되는 컬러에 대한 컬러 맵을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0)는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MPR 영상 및 HU 값 기반의 뼈 레벨 MPR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HU 값 기반의 뼈 레벨 MPR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b)는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MPR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b)는 종래 환자의 치아에 대한 CT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MPR 영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니터링 박스(600) 영역의 뼈 레벨의 정도를 그레이 타입의 진하기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확한 본 레벨의 확인이 어렵고 치조골, 치은 및 연조직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a)는 HU 값 기반의 컬러 맵을 제공하는 뼈 레벨 MPR 영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600) 영역을 밀도에 따라 대응되는 상이한 컬러로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확한 뼈 레벨의 확인이 가능하고 치조골, 치은 및 연조직의 구분이 가능하며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도 8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가 갱신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는 기준 라인(310)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기준 라인(310) 상에서 단위 거리만큼 갱신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가 스크롤 입력에 따라 갱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S2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는 모니터링 박스(600)의 중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모니터링 박스(600)의 중점은 위치 기준 점과 동일 위치로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기준 라인 상에서 단위 거리만큼 갱신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크롤을 아래로 조작함에 따라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는 기준 라인을 따라 오른쪽으로 단위 거리만큼(예: 1mm) 이동 및 변경됨으로써 갱신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스크롤을 위로 조작함에 따라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는 기준 라인을 따라 왼쪽으로 단위 거리만큼(예: 1mm) 이동 및 변경됨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는 모니터링 박스(600)의 꼭지점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클릭 및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를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니터링 박스(600) 직육면체의 8개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을 클릭할 수 있다. 사용자는 꼭지점을 클릭한 후, 모니터링 박스(600) 안쪽으로 드래그를 하여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꼭지점을 클릭한 후, 모니터링 박스(600) 바깥쪽으로 드래그를 하여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박스(600)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드래그 한만큼의 대응되는 크기로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다.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가 갱신될 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갱신된 하나의 꼭지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나머지 7개의 꼭지점의 위치도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의 꼭지점의 위치가 모니터링 박스(600)의 안쪽으로 갱신되었을 경우 나머지 7개의 꼭지점 또한 대응되는 좌표 값만큼 모니터링 박스(600) 안쪽으로 갱신되어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나의 꼭지점의 위치가 모니터링 박스(600)의 바깥쪽으로 갱신되었을 경우 나머지 7개의 꼭지점 또한 대응되는 좌표 값만큼 모니터링 박스(600) 바깥쪽으로 갱신되어 모니터링 박스(600)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 입력 하나로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 및 크기를 갱신할 수 있어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HU 값 기반의 뼈 레벨 MPR 영상은 5개의 분할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3D 모델을 제공하는 화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박스(600) 영역을 컬러 맵으로 제공하는 화면,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R 영역을 표시하는 3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는 Coronal, (b)는 Sagittal, (c)는 Axial 방향에서의 MPR 영역을 표시하는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모니터링 박스(600) 내의 절단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3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모니터링 박스(600) 내의 절단 기준 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절단 기준 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절단 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600) 내의 한 지점을 제 3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절단 기준 점으로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절단 기준 점에서의 절단 방향에 따라 3개의 측면에 따른 절단 면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단 기준 점에서의 절단 방향은 X, Y, Z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관상면, 시상면, 수평면 3개의 측면에서의 절단 면에 대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관상면은 절단 기준 점에서의 Y 축을 따라 절단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정면에서 본 면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시상면은 절단 기준 점에서의 Z 축을 따라 절단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측면(옆)에서 본 면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평면은 절단 기준 점에서의 X 축을 따라 절단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위 또는 아래에서 본 면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절단 기준 점 및 절단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3개의 측면의 절단 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절단 기준 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모니터링 박스(600) 내 치아 영역의 3개의 측면에서의 절단 면에 대한 뼈 레벨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230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및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 박스(600) 내부에서도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위치가 갱신되는 알고리즘이 연동되어 이용될 수 있다. 모니터링 박스(600)는 뼈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3D 모델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모니터링 박스(600)가 3D 모델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하단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설명한 스크롤 입력에 따른 위치 갱신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관상면 화면 영역에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관상면 방향으로 단위 거리만큼(예: 1mm) 이동된 화면이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상면 화면 영역에서 사용자가 위 방향으로 드래그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Mesial(근심면, 정중선에 가까운 쪽) 방향으로 단위 거리만큼(예: 1mm) 이동된 화면으로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관상면 화면 영역에서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화면에서 Distal(원심면, 정중선에서 먼 쪽) 방향으로 단위 거리만큼(예: 1mm) 이동된 화면으로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3D 모델로 디스플레이 된 모니터링 박스(600) 화면은 사용자의 Ctrl+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3D 모델로 디스플레이된 모니터링 박스(600) 화면에서 Ctrl+위 방향으로 드래그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단위 각도만큼(예: 1도) 위 방향으로 회전된 화면으로 갱신될 수 있고 Ctrl+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단위 각도만큼 아래 방향으로 회전된 화면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Ctrl+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단위 각도만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된 화면으로 갱신될 수 있고 Ctrl+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단위 각도만큼 왼쪽 방향으로 회전된 화면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1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러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S24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도에 따라 HU 값에 대응되는 컬러를 결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0)는 결정된 각 HU 값에 대응되는 컬러에 대한 컬러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 박스(600) 내의 각 영역을 컬러표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컬러로 나타내어 컬러 맵을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0)는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환자의 치아 CT 데이터 내에서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모니터링 박스(600)의 HU 값으로 나타낼 수 있고, MPR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하고자 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모니터링 박스(600)의 MPR 영상을 HU 값 기반으로 박스 영역을 가시화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컬러 뼈(Color Bone) 영역의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고 모니터링 박스(600)의 위치를 일정 간격(예: 1mm)으로 이동 및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MPR 영상을 HU 값으로 판독하기 때문에 해부학 구조 상태를 컬러 값으로 진단할 수 있고 임플란트 식립 위치의 뼈의 높낮이, 뼈의 두께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기준 라인(310) 및 미드 라인(320)을 결정하고 모니터링 박스(600)를 기준 라인(310) 또는 미드 라인(32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자 각 치아의 예상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서의 컬러 맵을 제공할 수 있고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서의 뼈 확인에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모니터링 박스(600) 영역을 컬러 맵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컬러에 따라 뼈의 단단한 정도와 뼈를 감싸는 해부학적 구조 및 연조직과 치은의 경계 지점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바이스
110: 수신부 120: 프로세서
130: 디스플레이부
310: 기준 라인 320: 미드 라인
410: 라인 기준 점 420: 갱신 입력 창
510: 중심 평면 520: 하악 평면
530: 하악 치아 상측 평면 540: 하악 치아 하측 평면
600: 모니터링 박스 610: 치아의 중심 점

Claims (14)

  1.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부가 복수개의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CT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CT 데이터 내 상기 복수개의 치아를 연결하는 기준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준 라인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하도록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모니터링 박스 내에서, 상기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HU(Hounsfield Unit) 값들을 복수의 컬러로써 구분하여 컬러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을 연결하여 획득되는 미드 라인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교합 면 및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점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과 하측 끝 점 간의 거리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결정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함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준 점은 상기 스크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라인 상에서 단위 거리만큼 갱신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크기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라인 기준 점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하거나 신규 라인 기준 점을 추가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라인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 내의 절단 기준 점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 기준 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절단 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중점과 상기 위치 기준 점이 서로 대응하도록 상기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11.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개의 치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CT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CT 데이터 내 상기 복수개의 치아를 연결하는 기준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 라인 상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기준 점에 대응하도록 모니터링 박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모니터링 박스 내의 HU(Hounsfield Unit) 값으로 구분된 컬러 맵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컬러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의 중심 점을 연결하여 획득되는 미드 라인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점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의 상측 끝 점과 하측 끝 점 간의 거리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결정되는, 디바이스.
  14. 제 1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
KR1020220122678A 2022-09-27 2022-09-27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40043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678A KR20240043506A (ko) 2022-09-27 2022-09-27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678A KR20240043506A (ko) 2022-09-27 2022-09-27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506A true KR20240043506A (ko) 2024-04-03

Family

ID=9066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678A KR20240043506A (ko) 2022-09-27 2022-09-27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5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43B1 (ko) 2019-05-09 2020-09-29 주식회사 디오 영상데이터에서 치아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43B1 (ko) 2019-05-09 2020-09-29 주식회사 디오 영상데이터에서 치아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717B2 (en) Visualization of clinical orthodontic assets and occlusion contact shape
JP2022000211A (ja) 歯列メッシュ矯正具除去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709466B2 (ja) 義歯アイテムを設計および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TWI663962B (zh) 移動鏈接植體診斷系統
EP2134290A1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KR102232294B1 (ko)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20200022564A (ko) 치아 분할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68074A1 (en) Method for graphically presenting a plurality of scans
KR20240043506A (ko)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US2023039003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bject area from three-dimensional model, and three-dimensional model processing device
US20230386119A1 (en) O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oral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582709B1 (ko) 삼차원 구강 모델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06889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268433B1 (ko) 치아교정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659927B1 (ko) 치아 형상 삭제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102602121B1 (ko)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US20230149086A1 (en) Maxillary sinus lifting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583135B1 (ko) 교정 진단을 위해 서로 다른 시점에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102493440B1 (ko) 3차원 모델로부터 대상체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3차원 모델 처리 장치
US20230390035A1 (en) O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oral image processing method
EP437481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7413378B2 (ja) 歯の状態のグラフィック表現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
US20240180397A1 (en) Data processing device, scan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40048738A (ko)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230000211A (ko) 구강에 대한 마진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